陽 볕 양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阜,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ヨウ | ||||||
일본어 훈독 | いつわ-る, ひ, ひなた | ||||||
阳 | |||||||
표준 중국어 | yá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陽은 '볕 양'이라는 한자로, '볕', '태양(太陽)', '양지(陽地)', '남자' 등을 뜻한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阜(언덕 부)와 소리를 나타내는 昜(볕 양)이 합쳐진 형성자이자 회의자이다.유니코드에는 U+967D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NLAMH(弓中日一竹)로 입력한다.
陰에 대하여 활발한 것을 이른다.
2010년대 들어서 일본에서 아기 이름에 많이 쓴다. 朝陽(아사히), 陽太(히나타), 陽翔/陽斗(하루토), 陽菜(히나), 陽葵(히마리) 등.
3. 자형
갑골문 | 금문 | 소전 |
4. 용례
4.1. 단어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 고양성(高陽成)
- 구양수(歐陽修)
- 김진양(金震陽)
- 김치양(金致陽)
- 나가이 히나(長井 陽菜)
- 박기양(朴箕陽)
- 박부양(朴富陽)
- 박신양(朴新陽)
- 박정양(朴定陽)
- 스나가 히사야(須永 陽咲也)
- 양(캡콤)(陽)
- 어우양나나(歐陽娜娜)
- 우치노 세이요(内野 聖陽)
- 자오쯔양(赵紫阳)
- 코미야 요우코(古宮 陽子)
- 타카가키 아야히(高垣 彩陽)
- 히나타 쇼요(日向 翔陽)
- 히카사 요코(日笠 陽子)
4.4. 지명
예로부터 강의 북쪽 지역을 이르는 말로 쓰였다. 예를 들어 한강의 북쪽이면 한양으로 명명되었다. 반대로 강의 남쪽 지역은 음(陰).4.4.1. 현재 지명
4.4.1.1. 대한민국
4.4.1.2. 중국
4.4.2. 옛 지명
4.4.2.1. 대한민국
4.4.3. 기타
- 건양(建陽)
- 양명학(陽明學)
-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 영양왕(嬰陽王)
- 온양온천(溫陽溫泉)
- 태양왕(太陽王)
- 양천향교역(陽川鄕校驛)
- 가양역(加陽驛)
- 계양역(桂陽驛)
- 한양대역(漢陽大驛)
- 양천구청역(陽川區廳驛)
- 양천공영차고지(陽川公營車庫地)
- 한양대학교(漢陽大學校)
4.5. 창작물
- 곽분양전(郭汾陽傳)
- 금양잡록(衿陽雜錄)
- 남양시집(南陽詩集)
- 밀양(密陽)
- 수양산가(首陽山歌)
- 숭양기구전(崧陽耆舊傳)
- 악양누가(岳陽樓歌)
- 양명전서(陽明全書)
- 양산가(陽山歌)
- 양촌집(陽村集)
- 역양아운(嶧陽雅韻)
- 연양가(延陽歌)
-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 한양가(漢陽歌)
- 看見夕陽了嗎?(석양을 보고 있니?)
- 太陽はやめて!ぼくらのスカーレット警察(태양은 그만 우리들의 스칼렛 경관)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啺/𡃯[⿰唐昜](당나라 당)
- 𤾉[⿰白昜](밝을 당)
- 餳(엿 당)
- 糃(정미 당)
- 愓(빠를 상)
- 䵘(메진모양 새, 쬘 쇄)
- 鰑(가물치 양)
- 䵮(검붉을 양)
- 禓(길제사 양)
- 揚(날릴 양)
- 煬(녹일 양)
- 䁑(눈썹사이/날릴 양)
- 𩋬[⿰革昜](말굴레 양)
- 鍚(말이마치장 양)
- 崵(먼산 양)
- 楊(버들 양)
- 輰(수레 양)
- 𪕫[⿰鼠昜](쥐 양)
- 𥠜[⿰禾昜](쬘 양)
- 諹(칭찬할 양)
- 暘(해돋을 양)
- 場(마당 장)
- 腸(창자 장)
- 畼(곡식나지않을 창)
- 𥏫[⿰矢昜](상처 창)
- 瑒(옥잔 창, 옥이름 탕)
- 暢(화창할 창)
- 湯(끓을 탕)
- 踼(넘어질 탕)
- 蝪(땅거미 탕)
- 碭(무늬있는돌 탕)
- 䑗(방아찧을 탕)
- 偒(방탕할 탕)[1]
- 婸(음탕할 탕)
- 𠧊[⿰⿳丿吕十昜]
- 𡀻[⿰告昜]
- 𬻸[⿰中昜]
- 𭘩[⿰巾昜]
- 𬌺[⿰犭昜]
- 𬌤[⿰牛昜]
- 𣉠[⿰丘昜]
- 𬋺[⿰爵昜]
- 𫌅[⿰衤昜]
- 𦎪[⿰羊昜]
- 𮈬[⿰糸昜]
- 𧶽
- 𫌰[⿰角昜]
- 𩤟[⿰馬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