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물리학·응집물질물리학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56666><colcolor=#fff> 기반 | 전자기학 · 양자역학(양자장론 · 이차양자화) · 통계역학 · 미분방정식 · 위상수학(매듭이론) |
결정학 | 고체 · 결정 · 결정 격자(브라베 격자) · 군론(점군 · 공간군) · 역격자(브릴루앙 영역) · 구조 인자 · 결함 · 준결정 | |
에너지띠 이론 | 결정 운동량 · 페르미 - 디랙 분포 · 자유 전자 모형(=드루드-조머펠트 모형) · 드루드 모형 · 분산 관계 · 원자가띠 · 전도띠 · 띠틈 · 페르미 준위 · 페르미 면 · 꽉묶음 모형 · 밀도범함수 이론 · 도체 · 절연체 · 반도체(양공 · 도핑) | |
자성 | 강자성(이징 모형) · 반자성 · 상자성 · 반강자성 · 준강자성 · 홀 효과 · 앤더슨 불순물 모형(콘도 효과) · 초전도체(쿠퍼쌍 · 조지프슨 효과 · BCS 이론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마이스너 효과) | |
강상 관계 | 상전이(모트 전이) · 페르미 액체 이론 · 초유동체 · 준입자(양공 · 엑시톤 · 포논 · 마그논 · 플라즈몬 · 폴라리톤 · 폴라론 · 솔리톤 · 스커미온) · 선형 응답 이론(쿠보 공식 · 요동-흩어지기 정리) · 평균장 이론 · 그린 함수 · 스펙트럼 함수 · 파인만 다이어그램 | |
위상 물리학 | 위상부도체(그래핀) · 기하학적 위상 · 양자 홀 효과 · 마요라나 페르미온(마요라나 영준위 상태) | |
실험 및 장비 | 전자현미경(SEM · TEM · STM · AFM) · XRD · 분광학(NMR · 라만 분광법) · 방사광 가속기 | }}}}}}}}} |
'''[[전기전자공학과|전기·전자공학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font-style: Italic; display: inlin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9><colcolor=#fff> 학문 | 기반 학문 물리학 (전자기학 (회로이론 · 전자 회로 · 논리 회로) · 양자역학 · 물리화학 · 열역학 · 응집물질물리학) · 화학 연관 학문 수학 (공업수학 · 수치해석학 · 위상수학 · 미분방정식 · 대수학 (환론 · 표현론) · 선형대수학 · 이론 컴퓨터 과학 · 컴퓨터공학 (프로그래밍 언어 (HDL · VHDL · C · C++ · Java · 파이썬 · 베릴로그)) · 재료공학 · 제어 이론 | |
공식 · 법칙 | 전자기 유도 · 가우스 법칙 · 비오-사바르 법칙 · 무어의 법칙 · 키르히호프의 법칙 · 맥스웰 방정식 · 로런츠 힘 · 앙페르 법칙 · 드모르간 법칙 · 페르미 준위 · 중첩의 원리 | ||
이론 · 연구 | 반도체 (P형 반도체 · N형 반도체) · 디스플레이 · 논리 회로 (보수기 · 가산기 · 플립플롭 · 논리 연산) · 전자 회로 · RLC 회로 · 역률 · DSP · 히스테리시스 곡선 · 휘트스톤 브리지 · 임베디드 시스템 | ||
용어 | 클럭 · ASIC · CPU 관련 (BGA · 마이크로아키텍처 · GPS · C-DRX · 소켓) · 전계강도계 · 축전기 · CMCI · 전송선 · 양공 · 도핑 · 이미터 · 컬렉터 · 베이스 | ||
전기 · 전자 관련 정보 | 제품 스마트폰 · CPU · GPU (그래픽 카드) · ROM · RAM · SSD · HDD · MPU · CCD · eMMC · USB · UFS · LCD · LED · OLED · AMOLED · IoT · 와이파이 · 스마트 홈 · 마그네트론 · 마이크 · 스피커 · 배터리 소자 집적 회로 · 다이오드 · 진공관 · 트랜지스터 (BJT · FET · JFET · MOSFET · T-FT) · CMOS · IGBT · 저항기 · 태양전지 · 연산 증폭기 · 사이리스터 · GTO · 레지스터 · 펠티어 소자 · 벅컨버터 | ||
자격증 | |||
전기 계열 | 기능사 전기기능사 · 철도전기신호기능사 기사 전기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공사기사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 · 전기철도산업기사 · 철도신호기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기능장 및 기술사 전기기능장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발송배전기술사 · 전기응용기술사 · 전기안전기술사 · 철도신호기술사 · 전기철도기술사 | ||
전자 계열 | 기능사 전자기기기능사 · 전자계산기기능사 · 전자캐드기능사 기사 전자기사 · 전자산업기사 · 전자계산기기사 · 기능장 및 기술사 전자기기기능장 · 전자응용기술사 | ||
기타 | 기능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기사 소방설비기사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 로봇소프트웨어개발기사 · 로봇하드웨어개발기사 · 로봇기구개발기사 | }}}}}}}}} |
1. 개요
陽孔 / Positive hole양공은 전자들이 본래 자리에서 빠져서 생긴 '구멍'을 마치 양전하를 가진 입자처럼 취급하여 이르는 말이다.
2. 설명
전자가 움직이면 본래 전자가 있던 자리는 비어 있게 된다. 빈 허공인 것이다. 전자들이 지속적으로 움직이면 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빈 허공들이 생겨난다. 화면에서 영상속 물체가 움직이는 원리를 생각해보자. 실제로 움직이지 않지만 화면을 이루는 작은 전구인 픽셀들이 차례로 빛나고, 먼저 빛난 픽셀은 점별하기 때문에 마치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양공도 전자의 흐름 때문에 빈 허공이 마치 실제 입자인냥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느낌을 준다. 그래서 이를 전자와 반대의 전하인 양전하로 취급한다. 이런 일을 하는 이유는, 모든 전자의 움직임을 일일이 계산하는 것보다 전자 스핀을 통한 양전하 몇 개의 움직임만을 계산하는 게 더 쉽기 때문이다. p-n형 반도체,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의 설명 및 설계에 계산량을 줄이기 위해선 필히 사용해야 하는 개념이다. 전하 운반자의 역할을 하는 것은 전자와 같으며 대개 이동도(mobility)가 전자보다 작아서 빠른 동작을 하는 장치에 이용하기 어려운 편이다.3. 상세
양공이라고 마치 입자처럼 이야기하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구멍이 아니라 가상의 개념이다. 자력에서도 주변 입자들간의 상호작용을 이용해 가상의 자기 홀극을 만들 수 있지만 당연히도 자장의 배열에 따라 생겨날 뿐이지 이동가능한 자기 홀극이 실존하는 것은 아니다. 양공도 마찬가지로 개념상 전자가 이동할 수 있는 위치를 가상으로 일컫는 것이지 실제로 전자가 끼어들어갈 수 있는 자리가 비어있는 것은 아니다. 원자에 매여있는 전자를 떼어내는데 어마어마한 에너지와 전압이 필요하므로 반도체 레벨에서 가능한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반도체 공학에서 당연하게 양공을 가정하는것은 그렇게 입자처럼 취급하면 계산이 편하기 때문. 공학에서는 실제 원리보다는 결과만 맞고 그것이 더 편하면 원리는 아무래도 신경쓰지 않는다. 물론 이걸 이론으로서 새로운 개념에 적용하려하면 당연히 문제가 생긴다. 이는 전류와 전자 이동방향이 반대라는 뿌리깊은 모순에서 비롯하는 것으로 어디까지나 전하를 운반하는것은 전자 뿐이라는 것을 간과해선 안된다.때문에 양공을 본 뜻대로 '전자의 구멍'으로 서술할 경우 관련 전공에 발바닥이라도 담그지 않았다면 이해가 어려울 수 있어 보통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에서는 전자와 같이 하나의 입자로 취급한다. 고전적인 전류 방향(그러니까 +에서 -로 흐르는)과 이동 방향이 같기도 하고.
보통 영어 단어를 음차해서 홀이라고 부른다. 한국어로 번역해야 할 경우 일본 쪽의 번역을 따라 정공(正孔)이라고 부르며 특히 공학 계열에서 이런 경향이 강하나 현재 표준인 단어는 항목명인 양공(陽孔)이다. 이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언어 차이 때문인데, 한국에서 '陽/陰'을 써서 양/음전하라고 부르는 것을 일본에서는 '正/負'를 써서 정/부전하라 부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