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물리학·응집물질물리학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56666><colcolor=#fff> 기반 | 전자기학 · 양자역학(양자장론 · 이차양자화) · 통계역학 · 미분방정식 · 위상수학(매듭이론) |
결정학 | 고체 · 결정 · 결정 격자(브라베 격자) · 군론(점군 · 공간군) · 역격자(브릴루앙 영역) · 구조 인자 · 결함 · 준결정 | |
에너지띠 이론 | 결정 운동량 · 페르미 - 디랙 분포 · 자유 전자 모형(=드루드-조머펠트 모형) · 드루드 모형 · 분산 관계 · 원자가띠 · 전도띠 · 띠틈 · 페르미 준위 · 페르미 면 · 꽉묶음 모형 · 밀도범함수 이론 · 도체 · 절연체 · 반도체(양공 · 도핑) | |
자성 | 강자성(이징 모형) · 반자성 · 상자성 · 반강자성 · 준강자성 · 홀 효과 · 앤더슨 불순물 모형(콘도 효과) · 초전도체(쿠퍼쌍 · 조지프슨 효과 · BCS 이론 · 보스-아인슈타인 응집 · 마이스너 효과) | |
강상 관계 | 상전이(모트 전이) · 페르미 액체 이론 · 초유동체 · 준입자(양공 · 엑시톤 · 포논 · 마그논 · 플라즈몬 · 폴라리톤 · 폴라론 · 솔리톤 · 스커미온) · 선형 응답 이론(쿠보 공식 · 요동-흩어지기 정리) · 평균장 이론 · 그린 함수 · 스펙트럼 함수 · 파인만 다이어그램 | |
위상 물리학 | 위상부도체(그래핀) · 기하학적 위상 · 양자 홀 효과 · 마요라나 페르미온(마요라나 영준위 상태) | |
실험 및 장비 | 전자현미경(SEM · TEM · STM · AFM) · XRD · 분광학(NMR · 라만 분광법) · 방사광 가속기 | }}}}}}}}} |
결정 Crystal |
[Clearfix]
1. 개요
結晶 / Crystal원자, 이온, 분자 따위가 장거리 규칙성(Long-Range Order)을 갖고 배열된 물질을 이르는 말이다. 결정을 의미하는 영단어 크리스탈은 수정(Crystal)으로부터 유래한 용어이다. 주기적 배열에 의해서 퍼텐셜을 단순화시켜 근사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 결정질 고체의 특성을 탐구하는 학문이 고체 물리학이다.
수학적인 결정은 이러한 배열이 주기적으로 무한히 나타나야 하나, 현실적으로 그런 결정은 있을 수 없다. 통상적으로 결정이라 부르는 것은 단일 알갱이 (grain) 의 크기가 수백 nm - 수 um 이상의 크기를 가진다. 그보다 작은 크기의 결정은 나노결정 (nanocrystal) 으로 부르는데, 이 경우 물질의 주기성에 비해 물질과 진공 사이의 계면 (interface) 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어 보통의 물질 (bulk) 과는 특성이 크게 달라지게 된다.
다만 결정구조 그 자체는 물리적 특성과 무관한 하나의 기하학적 배열로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학문이 결정학이다.
반도체와 박막 연구에 있어서도 반드시 필요로 하는 학문이다.
2. 결정의 분류
결정이 가질 수 있는 230여 개의 공간군은 삼사정계(三斜晶系, Triclinic), 단사정계 (單斜晶系, Monoclinic), 사방정계 (斜方晶系, Orthorhombic), 정방정계 (正方晶系, Tetragonal), 육방정계 (六方晶系, Hexagonal), 등축정계 (等軸晶系, Cubic)의 crystal family로 분류할 수 있다.이러한 crystal family 중 육방정계는 분류 기준에 따라 서로 다른 하위 분류를 만들어낸다. 대칭성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crystal system에서는 삼방정계 (三方晶系, Trigonal) 및 육방정계로 분류하는 반면, 결정의 격자상수 및 결정축 간의 각도로 분류하는 lattice system에서는 이를 마름모계 (마름모系, Rhombohedral) 및 육방정계로 나눌 수 있다. 자세한 기준은 아래 표 참고.
Crystal Family | Crystal system | 조건 | Lattice system | 조건 |
삼사정계 | 삼사정계 | - | 삼사정계 | - |
단사정계 | 단사정계 | 1개의 mirror plane 또는 1개의 2-fold rotational symmetry | 단사정계 | [math(\alpha = \gamma = 90\degree)] |
사방정계 | 사방정계 | 3개의 2-fold rotational symmetry 또는 1개의 2-fold rotational symmetry + 2개의 mirror plane | 사방정계 | [math(\alpha = \beta = \gamma = 90\degree)] |
정방정계 | 정방정계 | 1개의 4-fold rotational symmetry | 정방정계 | [math(a = b)] [math(\alpha = \beta = \gamma = 90\degree)] |
육방정계 | 삼방정계 | 1개의 3-fold rotational symmetry | 마름모계 | [math(a = b = c)] [math(\alpha = \beta = \gamma)] |
육방정계 | [math(a = b)] [math(\alpha = \beta = 90\degree, \gamma = 120\degree)] | |||
육방정계 | 1개의 6-fold rotational symmetry | |||
등축정계 | 등축정계 | 3개의 4-fold symmetry | 등축정계 | [math(a = b = c)] [math(\alpha = \beta = \gamma = 90\degree)] |
3. 결정 분석
결정 구조 분석은 기본적으로 XRD(X-Ray Diffractometer) 장비를 이용해 진행한다. 위 사진은 3차원 분석법으로 X선을 결정에 투과시켜 회절되는 빛을 디텍터로 감지하여 원자들이 어떤 패턴으로 쌓여 있는지 확인하는 방식이다. 약식으로 1차원 분석법도 있으며 이 경우 한가지 축에 대한 회절 Intensity만 확인 가능하지만 Rietveld Refinement를 통해 3차원 분석법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