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13:28:54

디스플레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Perfume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DISPLAY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전기전자공학과|전기·전자공학
{{{#!wiki style="font-family: Times New Roman, serif; font-style: Italic; display: inline;"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9><colcolor=#fff> 학문 기반 학문
물리학 (전자기학 (회로이론 · 전자 회로 · 논리 회로) · 양자역학 · 물리화학 · 열역학 · 응집물질물리학) · 화학
연관 학문
수학 (공업수학 · 수치해석학 · 위상수학 · 미분방정식 · 대수학 (환론 · 표현론) · 선형대수학 · 이론 컴퓨터 과학 · 컴퓨터공학 (프로그래밍 언어 (HDL · VHDL · C · C++ · Java · 파이썬 · 베릴로그)) · 재료공학 · 제어 이론
공식 · 법칙 전자기 유도 · 가우스 법칙 · 비오-사바르 법칙 · 무어의 법칙 · 키르히호프의 법칙 · 맥스웰 방정식 · 로런츠 힘 · 앙페르 법칙 · 드모르간 법칙 · 페르미 준위 · 중첩의 원리
이론 · 연구 반도체 (P형 반도체 · N형 반도체) · 디스플레이 · 논리 회로 (보수기 · 가산기 · 플립플롭 · 논리 연산) · 전자 회로 · RLC 회로 · 역률 · DSP · 히스테리시스 곡선 · 휘트스톤 브리지 · 임베디드 시스템
용어 클럭 · ASIC · CPU 관련 (BGA · 마이크로아키텍처 · GPS · C-DRX · 소켓) · 전계강도계 · 축전기 · CMCI · 전송선 · 양공 · 도핑 · 이미터 · 컬렉터 · 베이스 · 시퀀스 · 헤테로다인
전기 · 전자
관련 정보
제품
스마트폰 · CPU · GPU (그래픽 카드) · ROM · RAM · SSD · HDD · MPU · CCD · eMMC · USB · UFS · LCD · LED · OLED · AMOLED · IoT · 와이파이 · 스마트 홈 · 마그네트론 · 마이크 · 스피커 · 배터리
소자
집적 회로 · 다이오드 · 진공관 · 트랜지스터 (BJT · FET · JFET · MOSFET · T-FT) · CMOS · IGBT · 저항기 · 태양전지 · 연산 증폭기 · 사이리스터 · GTO · 레지스터 · 펠티어 소자 · 벅컨버터
자격증
전기 계열 기능사
전기기능사 · 철도전기신호기능사
기사
전기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공사기사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 · 전기철도산업기사 · 철도신호기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기능장 및 기술사
전기기능장 · 건축전기설비기술사 · 발송배전기술사 · 전기응용기술사 · 전기안전기술사 · 철도신호기술사 · 전기철도기술사
전자 계열 기능사
전자기기기능사 · 전자계산기기능사 · 전자캐드기능사
기사
전자기사 · 전자산업기사 · 전자계산기기사 ·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기능장 및 기술사
전자기기기능장 · 전자응용기술사
기타 기능사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능사(태양광)
기사
소방설비기사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태양광) · 로봇소프트웨어개발기사 · 로봇하드웨어개발기사 · 로봇기구개발기사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Anzeigen%28Displays%29.jpg
각종 발광형 디스플레이. 위부터 닉시관, LED, VFD 1337 [1]

1. 개요2. 시장 현황3. 분류
3.1. 발광형 소재3.2. 수광형/투광형 소재3.3. 기계식 디스플레이3.4. 반사형 소재3.5. 평판 디스플레이의 화면 구동방식
4. 상표/마케팅5. 제조 기업6. 관련 문서7.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전자기기. CRT, LCD, OLED 화면 등이 대표적이다.

2. 시장 현황

디스플레이를 크게 9인치 이상의 대형 LCD, 9인치 미만의 중소형 LCD, 그리고 OLED로 구분했을 때, 2014년 매출액 기준 대형 LCD 750억 달러, 중소형 LCD 330억 달러, OLED 98억 달러의 비중을 보인다. 아직까지는 OLED의 시장 점유율이 10%가 채 안 되는 수준이지만, 그 규모가 급속도로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

디스플레이 시장의 종류별 점유율 변화는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 입장에서 매우 중요한데, 왜냐하면 LCD 기술은 공정 표준화로 인해 한국과 중국 업체 간의 기술 격차가 그리 크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 특유의 막대한 물량 공세로 인해 2019년부터는 이미 LCD 시장의 주도권이 중국으로 넘어간 상태인 만큼, 고부가가치에 기술장벽이 있는 OLED 시장이 커지는 쪽이 한국 업체들 입장에서는 훨씬 유리하다.

14년까지는 여전히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점유율이 압도적이다. 수량 기준에서는 이미 중국이 한국을 초월했지만, 매출 기준으로는 한국(44%), 대만(27%), 일본(15%), 중국(12%)의 순서이다. 이는 국가별 디스플레이 평판의 평균 가격이 차이가 크기 때문인데, 14년에 한국 업체들의 평균 패널 가격은 72달러에 이르지만 대만과 일본은 36~40달러, 중국은 17달러에 불과하다. 고부가가치 제품에서는 한국이 여전히 우위를 쥐고 있는 셈.

한편 상술한 중국의 물량 공세로 LCD 패널 가격이 급락하면서 특정 기업을 가리지 않고 전 세계 업체들의 이익률이 나빠지고 있다.[2]

고객이자 적, 친구…디스플레이 '판다 딜레마'

3. 분류

📺️ 디스플레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소자별
분류
<colbgcolor=#ddd,#000> 발광형 닉시관 · VFD · CRT · PDP · LED (마이크로 LED · OLED · AMOLED)
수광형 LCD (TN · VA · IPS · 미니 LED · QLED)
반사형 전자종이
투광형 프로젝터 (OHP · DLP · 레이저 프로젝터)
폼펙터별
분류
3D · 플렉서블 · 스트레처블 · HMD · HUD
}}}}}}}}} ||

3.1. 발광형 소재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것은 △
더 이상 생산되지 않는 것은 †
* 닉시관 (개발명 Numerical Indicator eXperimental)
* VFD (Vacuum Fluorescent Display /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
* CRT 디스플레이 (Cathode-Ray Tube / 음극선관) †
* FED[3]
* PDP (Plasma Display Panel)†
* LED 디스플레이 (Light Emitting Diode / 발광 다이오드)[4]
* OLED 디스플레이 (Organic LED / 유기 발광 다이오드)
* 마이크로 LED (Micro LED)△
* 양자점 디스플레이 (Quantum dot) △[5]

3.2. 수광형/투광형 소재

3.3. 기계식 디스플레이

기계적인 요소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로, 세계 최초의 영상 디스플레이는 구멍이 뚫린 회전원판을 이용하여 픽셀을 표현한 기계식이었다.

3.4. 반사형 소재

3.5. 평판 디스플레이의 화면 구동방식

4. 상표/마케팅

광고 덕분에 기술 용어보다 더 널리 알려진 이름이 많다. 다만, 이과 기술 용어와 문과 상품/마케팅 용어는 다른 차원의 용어라 잘 알아보지 않으면 혼동을 야기하기도 한다. 치열한 경쟁 속 마케팅 측에서 첨단 이미지를 위해 한두 단계 앞선 기술 용어를 차용하는 바람에 생긴 문제이다.

5. 제조 기업

디스플레이 제조사 문서로.

6. 관련 문서

7. 외부 링크



[1] LED는 위성방송 수신기, VFD는 DVR이다.[2] 이상 디스플레이 시장 현황에 대한 내용은 한국신용평가, 「삼성디스플레이, LG 디스플레이 신용도 Forward Looking – 산업 內 위협요인과 사업경쟁력」를 참고하여 작성함.[3] 원리는 CRT와 같지만 전자총이 한 곳에 있는 CRT와 달리 전자총이 많으며, 고전압이 아닌 저전압 방식이다.[4] 단, 현재의 LED 모니터, LED TV 이렇게 광고하는 것은 사실 LED 백라이트 LCD다. 즉, LCD 광원을 기존의 CCFL(냉음극관)에서 LED로 바꾼 것, 다만 아래의 OLED, AMOLED, 마이크로 LED는 화소로 LED를 이용한 것이 맞는다. LED 전광판이나 LED 세그먼트 디스플레이도 마찬가지다.[5] 자발광 QLED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현재의 QLED TV는 그냥 기존 LCD의 필터를 양자점으로 바꾼 것이다.[6] 하이디스 AFFS+기술을 이용한 패널이며 상하이자동차처럼 먹튀 논란이 있다.[7] 지하철 전광판 사진을 찍으면 순간 깜빡여 꺼져있는 픽셀들이 찍힌다.[8] 주사율(FPS)에 따라 다음 프레임으로 넘어가기 위해 깜빡이는 것은 별개의 깜빡임이다. PM방식의 깜빡임과 비교하자면, PM은 켜져있는 시간이 짧고, AM은 켜져있는 시간이 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