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미쓰비시 데보네어/2세대
1. 개요
1986년 7월 24일 출시되어 1992년 9월까지 판매된 현대 그랜저의 1세대 모델로, 프로젝트명은 YFL.[1]2. 개발 배경
현대 그라나다 | 현대 소나타 |
그렇게 그랜저/데보네어의 개발이 한창 진행되던 1985년, 현대자동차는 기존 플래그십을 맡고 있던 그라나다가 유럽 포드로부터 부품 단종 선언으로 인해 12월을 끝으로 단종될 예정이었고, 현대자동차는 그라나다가 단종되는 1985년 12월부터 그랜저가 출시되는 1986년 7월까지의 공석을 메우기 위해 기존 스텔라를 고급화한 소나타를 출시하게 된다. 하지만 소나타는 경쟁사인 대우자동차의 로얄 시리즈 고급 모델과의 경쟁에서 처참히 패배하게 되고, 이후 1986년 7월 24일에 로얄 시리즈를 제대로 겨냥한 그랜저를 출시하게 된다.
3. 상세
초기형 전면부[2] | 초기형 후면부[3] |
페이스리프트 전면부[4] | 페이스리프트 후면부[5] |
신문 광고 |
고급 승용차의 최고봉 - 그랜저[1986년]
편안한 王國[1986년]
한국 제일의 승용차 - 그랜저[1988년]
최고의 승용차에는 최고의 이상이 있다 - 그랜저 3.0 V6[1989년]
현대자동차와 미쓰비시 자동차의 첫 합작품으로[10], 1985년 12월 단종된 그라나다의 빈 자리를 이어받아 1986년 7월 24일 출시됐다. 한국에서는 현대와 미쓰비시의 공동 개발로 소개되고 있지만, 해외에서는 미쓰비시 단독 개발로 보는 경우가 많다. 파워트레인 등은 오롯이 미쓰비시의 기술력으로 개발됐다. 한국에서는 현대 그랜저로, 일본 및 해외 수출은 데보네어라는 이름으로 출시됐다. 공식 내부 코드명은 한 자리 L[11]이 아닌 'YFL'[12]이었다.
디자인은 미쓰비시와 기술제휴 관계에 있던 크라이슬러의 영향을 크게 받았는데 특히 크라이슬러 뉴요커나 크라이슬러 E클래스와 상당히 흡사한 외관을 가졌다. 덕분에 그랜저는 크라이슬러 뉴요커나 링컨 컨티넨탈 같은 전형적인 80년대 미국 고급 대형차의 각진 외관을 가지게 됐다. 유럽 또한 80년대 들어 메르세데스-벤츠 등이 각진 외관으로 바뀌고 있었다. 그랜저/데보네어는 대체로 크라이슬러 뉴요커/E클래스와 흡사한 외관을 지녔고, 링컨 컨티넨탈과도 비슷한 느낌이 많이 들지만 자동차의 디자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헤드라이트 부위가 유달리 차이가 나서 미국 고급차와는 또 다른 느낌을 주는데, 이는 1983년까지 이어져온 미국의 엄격한 헤드라이트 규정과 연관이 있다. 이 규제로 인해 미국의 고급차들은 분할형 헤드라이트를 채택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런 헤드라이트 규제가 없던 유럽에서는 메르세데스 벤츠를 필두로 고급차에 일체형 헤드라이트를 장착하는 트렌드가 있었고, 우리나라에서도 그랜저 이전에 대표적인 고급차인 대우 로얄이나 현대 그라나다 역시 유럽차를 들여온 것이기에 일체형 헤드라이트를 가지고 있었다. 그랜저도 일체형 헤드라이트를 장착하여 디자인의 기반이 된 크라이슬러와는 결정적으로 다른 인상을 주었다. 80년대 문화 개방으로 외화(미드)와 헐리우드 영화에 익숙해져 가던 한국인들은 비교적 수수하거나 둥근 이미지를 가지고 있던 기존 유럽식 대우 로얄(오펠 레코드)나 현대 그라나다와 달리 전형적인 미국식 대형 고급차 느낌을 물씬 풍기는 그랜저에서 진정한 최고급 고급차의 이미지를 느끼게 됐다. 차의 크기는 당시 일본의 5넘버 규정을 유지하는 선에서 만들어졌지만, 그렇다하더라도 유럽차 기반인 현대 그라나다(포드 그라나다 유럽형)이나 오펠 레코드를 들여온 대우 로얄보다 컸다.
그랜저는 등장하자마자 대우 로얄살롱 슈퍼를 밀어내고 한국 대형차 시장 왕좌를 차지했으며, 각진 외형 덕분에 각그랜저라는 이름으로 많이 불리는 전설의 자동차로 손꼽힌다. 초창기에는 MPI 방식의 120마력 2.0L 시리우스 SOHC 엔진만 탑재했으나 이후 배기량과 출력을 올린 130마력 2.4L 엔진 모델도 출시하여 대우 로얄 살롱 슈퍼를 압살해버렸다.[13]
초창기에는 5단 수동변속기만 있었다가[14] 얼마 뒤에, 국산차 최초로 락업 클러치가 장착된 전자 제어식 4단 자동변속기 옵션을 선보인다.[15] 자동변속기 옵션은 본래 2.4L에만 있다가 이후 2.0L까지 확대했다. 썩어도 준치라고 21세기 일반차들이 사용하는 구동계의 전반적인 전자 제어장치들을 탑재했으므로, 당대 국산차 중에서 가장 현대적인 차량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16][17]
휠의 모습 (이미지 출처)[18] |
그랜저 V6 3.0[20] |
전체적으로 이 모델은 명성을 더욱 업그레이드시켰다. 출시 몇 달 전에 등장한 대우 임페리얼과 격투에서도 KO승을 기록하고,[24] 명성을 꾸준히 이어갔다. 대우 로얄에 가려진 고급 세그먼트 명성을 다시 회복한 의미있는 모델이다. 또한 장착한 옵션들 중에선 국산차 최초로 풀 전자제어 인젝션 방식(MPI) 엔진과, ABS, 차고 조절이 가능한 에어 스프링 방식인 ECS를 선보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또한 등장 당시에는 고급 모델로 인식됐다. 일례로 지존파는 그랜저 타는 인간들을 전부 몰살하려 했다는 발언까지 했을 정도다. '그랜저 보유자=부자'라는 인식이 있었다는 뜻이다.[25] 여기에 정부 기관이나 관공서, 군에서도 기관장 및 장성급 장교 같은 높으신 분들의 의전용 차량으로도 많이 쓰였으며,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1988 서울 올림픽을 비롯한 국제행사 시 외국 국빈이 방한하거나 남북회담에 참석하는 북측 대표단이 입경할 때도 의전 차량으로 많이 쓰였다.[26]
1988 서울 올림픽 당시 현대자동차가 공식 자동차 공급업체로 지정되면서, 2.0L 모델 22대가 올림픽조직위원회에 지원되었다. 올림픽조직위원회에 지원된 차량들은 임원진 및 VIP들을 위한 행사차로 이용되었다. 올림픽까지만 쓰인 차량은 15% 할인, 이어서 열린 패럴림픽까지 쓰인 차량은 20% 할인하여 사전 계약한 고객들에게 판매되었다. 올림픽 지원차들은 마감 전에 이미 계약이 끝났을 정도로 높은 인기에 팔려나갔다.[27] #
Y2 쏘나타와 플랫폼을 삐딱한 휠까지 공용했는데, 이 전륜구동 플랫폼은 1983년에 등장한 미쓰비시 자동차 최초인 전륜구동 중형차인 갤랑 Σ 것을 공유한 것이다. 원체 각 그랜저 일본판인 미쓰비시 데보네어 V 차체[28]가 갤랑 Σ 플랫폼을 늘리어 만들어진 차이니, 현대 그랜저와 쏘나타까지 계보를 확대해 보면 맞는 말인 것이다.
사족으로, 1세대 그랜저나 기아 포텐샤 등 1970~1980년대 일부 자동차 기함들은 신문 광고만 한 경우가 많았다. 이에 대해서는 고상한 신문이나 입소문 등을 통해 전해지는 신비주의를 모티브로 삼아서 TV 광고를 만들지 않았던 것이라는 말도 있다.
그랜저라는 브랜드의 가치와 더불어 당대의 국산 최고급 승용차였다는 역사적 가치, 그리고 당시 열악했던 국산차 품질 속에서 최고의 품질을 보여준 덕분에 국산 올드카 중에서는 최고 명차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를 증명하듯 중고가는 2021년 평균 600 ~ 800만 원, 가끔은 300만 원 언저리인 매물도 있으나 관리상태가 매우 좋으면 1,000만 원에도 거래될 정도로 올드카 소장가치를 제대로 인정받고 있다. 지금도 대도시에 있는 오래된 동네나 개발이 잘 되어있는 시골 등지에서 간혹 가다 발견되며 대부분 요즘 차들 부럽지 않게 잘 굴러간다. 대부분 할아버지들이 몰고 다니는 1자리수 신조 번호판 장착차량이나 리스토어가 된 차량이라 현재 굴러다니는 차들은 신차까진 아니더라도 5~10년 된 중고차급으로 연식을 생각하면 성능이 좋은 편이라고 보면 된다.
자동차 등록원부상 표기는 "차명+배기량"으로 표기되어 있었다.[29]
후륜에 3링크[30] 일체차축식 토션빔 서스펜션이 사용됐기 때문에 돌발 상황이나 격한 거동을 견뎌내지 못하니 주의가 필요하다.[31] 이는 대우 티코와 똑같은 구조다! 동 시기 미쓰비시 파워트레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엘란트라나 Y2 쏘나타도 똑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 문제는 2세대에 가서야 멀티링크[32] 서스펜션을 채용하면서 어느 정도 해소된다.[33]
그랜저 헤리티지 EV |
3.1. 라인업
- 2.0(17,200,000원[MT]/18,900,000원[AT])
- 2.4(22,200,000원[AT])
- 3.0 V6 Social[37](25,900,000원[AT])
- 3.0 V6(28,900,000원[AT])
4. 제원
GRANDEUR/1세대 | |
<colbgcolor=#002c5f> 생산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울산광역시 북구 양정동 |
코드네임 | YFL |
차량형태 | 4도어 준대형 세단 |
승차인원 | 5명 |
전장 | 4,865㎜ |
전폭 | 1,725㎜ |
전고 | 1430 ~ 1,450㎜ |
축거 | 2,735㎜ |
윤거(전) | 1,455㎜ |
윤거(후) | 1,405㎜ |
공차중량 | 1,390 ~ 1,520㎏ |
연료탱크 용량 | 72ℓ |
타이어 크기 | 195/70R14 205/60R15 |
플랫폼 | 현대 Y2 플랫폼[40] |
구동방식 | 앞엔진-앞바퀴굴림(FF) |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후륜 현가장치 | 토션빔 서스펜션[41] |
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파워트레인 | ||||||
엔진 | 엔진 형식 | 흡기 방식 | 배기량 | 최고 출력 | 최대 토크 | 변속기 |
현대 뉴-시리우스 (G4CP) | 2.0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997㏄ | 120 → 115ps | 16.2 → 17.3㎏f·m | 5단 수동변속기[42] 4단 자동변속기[43] |
현대 뉴-시리우스 (G4CS) | 2.4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2,351㏄ | 130 → 123ps | 18.5 → 19.9㎏f·m | 4단 자동변속기[44][45] |
현대 사이클론 V6 (G6AT) | 3.0L V형 6기통 | 자연흡기 | 2,972㏄ | 164 → 161ps | 25.5 → 24.5㎏f·m |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2c5f><colcolor=#fff>세단 | <colbgcolor=#002c5f><colcolor=#fff>준중형 | 아반떼 (N) |
중형 | 쏘나타 · 아이오닉 6 | ||
준대형 | 그랜저 | ||
SUV | 경형 | 캐스퍼 | |
소형 | 캐스퍼 일렉트릭 · 베뉴 · 코나 | ||
준중형 | 투싼 · 아이오닉 5 (N) | ||
중형 | 싼타페 · 넥쏘 | ||
준대형 | 팰리세이드 · 아이오닉 9예정 | ||
MPV | 스타리아 (전기차) | ||
버스 | 소형 | 쏠라티 | |
준중형 | 카운티 (일렉트릭) | ||
중형 | 일렉시티 타운 | ||
준대형 | 슈퍼 에어로시티 · 일렉시티 | ||
대형 |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 · 모바일 오피스)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굴절형) | ||
트럭 | 소형 | 포터 (일렉트릭) · ST1 | |
준중형 | 마이티 | ||
중형 | 파비스 | ||
준대형 | 뉴파워트럭 | ||
대형 |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 회색 글씨: 단종 차량 | |||||||
<colbgcolor=#002c5f><colcolor=#fff><rowcolor=#fff> | 승용 · SUV · RV · 승합 | 버스 | 트럭 | |||||
1960년대 | 코티나 · 포드 20M | R버스 | - | |||||
1970년대 | 포니 · 그라나다 · HD1000승합 | 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HD버스 · RB버스 · D버스 · DK버스 | HD1000트럭 · 바이슨 · 대형트럭 | |||||
1980년대 | 프레스토 · 포니엑셀 · 엑셀 · 스텔라 · 쏘나타 · 그랜저 · 그레이스 · 미쓰비시 프레시스 | 코러스 · FB버스 · 에어로버스 | 포터 · 마이티 | |||||
1990년대 | 아토스/쌍트로(1세대) · 아토스 프라임 · 엑센트/베르나 · 엘란트라/아반떼(1세대) · 마르샤 · 다이너스티 · 에쿠스 · 스쿠프 · 티뷰론 · 갤로퍼 · 싼타모 · 트라제 XG · 스타렉스 | 카운티 · 에어로타운 · 에어로시티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
2000년대 | i10 · 클릭 · i20 · i30 · 링샹 · 투스카니 · 제네시스 · 제네시스 쿠페 · 라비타 · 투싼(ix35) · 싼타페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앙트라지 · 닷지 브리사 · 쏘나타 모인카 · 기아 천리마 | 슈퍼 에어로시티 · 그린시티(구 글로벌900) · 유니버스 | 리베로 · 메가트럭 · 뉴파워트럭 · 트라고 | |||||
2010년대 | 이온 · 블루온 · HB20 · XCENT · 위에둥 · 아이오닉 · i40 · 미스트라 · 아슬란 · 벨로스터 · 아반떼 쿠페 · ix20 · 크레타 · 맥스크루즈 · 쏠라티 · 코나 · 레이나 · 넥쏘 · 라페스타 · 팰리세이드 · 베뉴 | 블루시티 · 유니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 | 엑시언트 · H350 · 루이웨/홍투 · 파비스 | |||||
2020년대 | 아우라 · 포레스트 · 쿠스토 · 베이온 · 아이오닉 5 · 스타리아 · 알카자르 · 싼타크루즈 · 캐스퍼/인스터 · 스타게이저 · 아이오닉 6 · 무파사 · 엑스터 · 아이오닉 9예정 | 모던 PUV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 타운 | ST1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002c5f><rowcolor=#fff><colcolor=#fff>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
승용차 | ||||||||
경차 | i10 · 아우라 | 아토스 · 블루온 · 이온 · 쌍트로 · XCENT | ||||||
소형차 | 엑센트 · i20 · HB20 | 포니 · 엑셀 · 프레스토 · 클릭 · 베르나 · 닷지 브리사/기아 천리마 · 미쓰비시 프레시스 · 레이나 · 닷지 애티튜드 | ||||||
준중형차 | 아반떼 · i30 · 라페스타 | 포드 코티나 · 엘란트라 · 아반떼 쿠페 · 벨로스터 · 위에둥/셀레스타 | ||||||
중형차 | 쏘나타 · 아이오닉 6 | 포드 코티나 · 스텔라 · 마르샤 · i40 · 링샹 · 쏘나타 모인카 · 미스트라 | ||||||
준대형차 | 그랜저 | 포드 20M · 그라나다 · 아슬란 · 다이너스티 · 제네시스 | ||||||
대형차 | - | 에쿠스 | ||||||
스포츠카 | - | 스쿠프 · 티뷰론 · 투스카니 · 제네시스 쿠페 | ||||||
SUV | ||||||||
경형 SUV | 캐스퍼 · 엑스터 | - | ||||||
소형 SUV | 베뉴 · 코나 · 크레타 · 알카자르 · 베이온 · 인스터 | - | ||||||
준중형 SUV | 투싼 · 아이오닉 5 · 무파사 | - | ||||||
중형 SUV | 싼타페 · 넥쏘 | 갤로퍼 | ||||||
준대형 SUV | 팰리세이드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맥스크루즈 | ||||||
픽업트럭 | ||||||||
소형 픽업트럭 | 싼타크루즈 | 픽업 · 포드 코티나 픽업 | ||||||
MPV | ||||||||
소형 MPV | - | 라비타 · ix20 | ||||||
준중형 MPV | 스타게이저 | 싼타모 | ||||||
중형 MPV | 쿠스토 | 트라제 XG | ||||||
준대형 MPV | - | 앙트라지 | ||||||
대형 MPV | 스타리아 | 스타렉스 | ||||||
캠핑카 | - | 포레스트 | ||||||
상용차 | ||||||||
소형버스 | 쏠라티 | 그레이스 · HD1000 | ||||||
준중형버스 | 카운티 · 모던 PUV | D버스 · 코러스 | ||||||
중형버스 | 일렉시티 타운 | 에어로타운 · 그린시티 | ||||||
준대형버스 | 슈퍼 에어로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 | R버스 · DK버스 · RB버스 · HD버스 · FB버스 · 에어로시티 · 블루시티 · 유니시티 | ||||||
대형버스 | 유니버스 · 유니버스 FCEV ·일렉시티 이층버스 | 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에어로버스 | ||||||
소형트럭 | 포터 · H350 · ST1 | HD1000 · 리베로 | ||||||
준중형트럭 | 마이티 | - | ||||||
중형트럭 | 루이웨/홍투 · 파비스 | 바이슨 · 대형트럭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메가트럭 | ||||||
준대형트럭 | 뉴파워트럭 | - | ||||||
대형트럭 | 엑시언트 | 마루 · 트라고 | }}}}}}}}} }}} | |||||
· · 콘셉트 카 |
[1] 대내외적으로는 L이라고 불렸지만 자세한 얘기는 상세 문단에서 후술.[2] 1987년에 2.4와 오토매틱이 출시되면서 별 모양의 "H" 후드 오너먼트가 추가됐다. 사진은 1986년 첫 런칭 당시의 모습이다.[3] 1987년 이후에 일자형 램프에 하얀색 테두리가 추가되었다.[4] 사진 속의 모델은 1992년 이전 판매분으로, 별 모양의 "H" 후드 오너먼트가 달려 있는데, 단종 직전인 1992년식에는 현재의 "H" 로고 후드 오너먼트가 붙어 있었다고 한다.[5] 휠캡을 자세히 보면 현재의 H로고가 부착되어있다.[1986년] [1986년] [1988년] [1989년] [10] 미쓰비시 자동차의 미쓰비시 데보네어(2세대)를 기반으로 한다.[11] Luxury car의 약자로 알려졌었다.[12] Y카 쏘나타의 앞바퀴굴림 롱바디 차량(Y Front wheel drive Long body)이라는 뜻이다.[13] 이때 재미있는 것은 2.4L에는 데보네어의 하위 모델인 V6 2.0L 모델의 것과 같은 라디에이터 그릴이, 2.0L에는 데보네어의 상위 모델인 V6 3.0L 모델의 것과 같은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되었다는 사실이다. 상위 모델과 하위 모델의 외관이 뒤바뀐 셈인데, 그래서인지 나중에 V6 3.0L 모델이 나올 때는 데보네어에 없는 새로운 모양의 그릴을 새로 만들어서 적용했다.[14] 당시에는 '5-SPEED' 엠블렘을 붙여서 자랑스럽게 내세우던 시절이었다. 그 당시 대부분 차량이 4단 수동변속기가 장착됐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동변속기만 장착하여 출시한 것은 원래 그 시절에는 자동변속기가 보편화되지 않았을 뿐 특별히 수동변속기를 고집할 이유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15] 당시에는 자동변속기 기술 발전이 더뎌서 수동변속기보다 출력이나 연비 면에서 불리한 점이 많았다. 상당한 고급 옵션이었고, 가격도 당시 기준으로는 꽤 비싸서 수동변속기 탑재 차량이 많았다. 괜히 자동변속기 차량에 Automatic 엠블럼이 크롬까지 두른 채로 보란 듯이 박혀 있었던 것이 아닐 정도다.[16] 아웃사이드 미러는 밖에서 수동으로 접는 방식이었다. 실내에서 스위치를 눌러서 접는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는 기아 엔터프라이즈때부터다.[17] 이 때문에 국산 승용차 올드카 중에서는 잔존개체가 제법 있는 편이다. 관리하기 까다로운 카뷰레터 엔진이 아니며, 그렇다고 전자장치도 너무 많이 들어가지는 않고 적당한 수준이기 때문이다.[18] 참고로 찍은 장소는 그 유명한 타워팰리스이다.[19] 각 그랜저 일본판인 데보네어-V에도 없었다.[20] 초기 3.0은 라디에이터 그릴 좌측 하단에 3.0 V6라는 엠블럼이 부착됐으나, 1991년식 이후에는 원가절감으로 빠졌다. 후드 오너먼트와 휠캡도 1991년식부터는 현재의 H로고가 부착된다.[21] 나중에 161마력으로 디튠.[22] 참고로 1989년 V6 3.0을 발표할 시기에 맞춰 후면 디자인이 변경됐는데 초기 모델의 일자형 미등에서 위아래를 거꾸로 뒤집음과 동시에 가운데가 움푹 내려앉은 듯한 디자인인 미등으로 변경됐으며 이건 4기통 2.0, 2.4 모델에도 같이 적용됐다. 현대차에서는 이 디자인을 '연미복 스타일'이라고 했다. 하지만 기존 일자형에 비해 무게감이 다소 뜨는 듯한 인상이 보이기도 했다.[23] 실질적으로 판매한 기간은 초기형이 약간 더 긴 셈인데, 아무래도 연식이 연식이다 보니 현재 남아있는 잔존개체는 대부분 후기형이다.[24] 각그랜저는 개체 수가 많이 남아있지만 임페리얼은 물론이고 로얄 살롱/수퍼 살롱 등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점에서 알 수 있다.[25] 그런데 정작 당시 진짜 부자들에게 그랜저는 볼보, 벤츠 같은 외제 고급차 모델보다 격이 낮은 것으로 취급받았다.[26] 여담으로 1985년 남북적십자회담 당시 입경한 북측 대표단도 남한제 승용차를 이용했다. 이 때 남한이 북한보다 먼저 승용차를 만들었다는 사실에 자극받은 김정일의 지시로, 북한에서 벤츠 190을 갱생-88이라는 이름으로 10대를 복제한 적이 있다. # 그랜저 출시 전이므로 그라나다나 로얄 시리즈를 탔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후 그랜저를 타 본 북측 대표단과 김정일의 반응은 그 때와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27]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당시에도 그랜저 15대가 행사차로 지원되었는데, 이 때는 할인율이 25%나 달했음에도 사전 홍보가 제대로 안 되어서 주로 직원들이 구입했다. 쏘나타의 경우 2세대 쏘나타는 출시 이전이었기 때문에 1세대 쏘나타 29대와 스텔라 74대가 행사차로 지원되었다.[28] 단 차체는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했다.[29] 2.0 수동은 "그랜저2.0", 2.0 오토는 "그랜저2.0오토매틱", 2.4는 "그랜저2.4", 3.0은 "그랜저3.0"으로 표기했다. 하지만, 2세대 뉴 그랜저는 택시를 제외하곤 "그랜져"로만 표기된다.[30] 각 바퀴마다 3개의 링크가 걸린 게 아니다! 양쪽의 트레일링 링크와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된 레터럴 링크해서 총 3개다. '트레일링 암'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암'과 '링크'는 기구학적으로 기능이 전혀 다르다. 이 현가장차에 달린 것이 '트레일링 암'이면 '3링크'가 될 수가 없다.[31] 엄밀히 말하면 이 방식의 서스펜션에는 장단점이 있다. 당시의 전륜구동용 독립현가 서스펜션은 아직 초창기라서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는데 그럴 바에는 차라리 토션빔이 낫다는 사고방식으로 이렇게 토션빔을 중형차급 이상에까지 적용하는 경우가 당시에는 많았다. 이후 독립현가 서스펜션이 발전하여 단점이 해소되면서 더이상 수준이 낮은 토션빔을 쓸 필요가 없어졌으므로 중형차 이상의 토션빔은 결국 사라지게 됐다. 그랜저에 사용된 3링크 방식 토션빔 서스펜션의 단점은 차체가 상하로 이동할 때, 즉 좌우의 뒷바퀴가 동시에 아래로 내려가거나 동시에 위로 올라갈 경우 가로 링크의 영향으로 뒷바퀴가 동시에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는 것이었다. 이는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결점이었으므로 차량의 성능을 높이는 데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는데, 같은 토션빔을 사용하면서 이렇게 좌우 뒷바퀴가 동시에 옆으로 움직이는 결함을 해결한 것이 바로 닛산의 '멀티링크 빔 서스펜션으로서 삼성자동차에서 내놓은 1세대 SM5가 이 방식의 토션빔 서스펜션을 채용하고 있었다. 3링크식 토션빔 서스펜션의 장점은 유지하면서 단점을 제거한 서스펜션이므로 당시에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모든 경쟁사가 채택한 후륜 독립현가 서스펜션과도 어느 정도 경쟁할 수 있었던 방식이었다.[32] 4링크가 아니다! 링크 4개로 이루어진 서스펜션이 아니라 1개의 트레일링 암과 3개의 링크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물론 각 그랜저의 3링크와는 전혀 다른 방식이다. 이는 마쓰다에서 처음 개발한 방식으로서 3개의 링크가 뒤에서 볼 때 E자 모양을 이룬다고 하여 'E 링크 서스펜션'이라고도 불리며, 지금은 '5링크 방식'과 더불어 멀티링크를 대표하는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다.[33] 해소라기보다도 후륜 독립현가 서스펜션의 기술이 발전하여 초창기의 단점이 사라졌으므로 더 이상 단점을 안고 3링크식 토션빔 서스펜션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Y3 쏘나타와 뉴 그랜저부터는 E 링크와 트레일링암이 조합된 형태의 멀티링크 서스펜션을 사용하게 됐고, 지금은 이 방식이 중대형 전륜구동 승용차에서는 보편적이다. 단, EF 쏘나타와 그랜저 XG에서는 그 방식이 아니라 더블 위시본을 기본으로 변형시킨 1암+3링크 방식의 후륜 멀티링크 서스펜션을 택하기도 했다.[MT] 수동변속기[AT] 자동변속기[AT] [37] 염가형 트림[AT] [AT] [40] 상술했듯이 Y2 플랫폼의 원형은 미쓰비시 갤랑 5세대의 플랫폼이다.[41] CTBA 형태가 아닌 트레일링 암, 액슬 빔, 레터럴 로드가 합쳐진 형태이다.[42] 기어비: 3.363/1.947/1.285/0.939/0.756/3.038[43] 전기형의 기어비: 2.551/1.488/1.000/0.685/2.176, 후기형 기어비: 2.846/1.581/1.000/0.685/2.176[44] 2.4 전기형의 기어비: 2.846/1.581/1.000/0.685/2.176, 2.4 후기형의 기어비 2.551/1.488/1.000/0.685/2.176[45] 3.0의 기어비 2.551/1.488/1.000/0.685/2.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