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1 22:49:58

합리주의

합리론에서 넘어옴



서양 철학사
근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fff> 16-18세기
에라스뮈스 · 모어 · 마키아벨리 · 몽테뉴 · 브루노
합리주의 · 스피노자 · 말브랑슈 · 라이프니츠
경험주의 베이컨 · 홉스 · 로크 · 버클리 · · 스미스
계몽주의 몽테스키외 · 볼테르 · 디드로 · 루소 · 엘베시우스
칸트 / 신칸트주의
19세기
피히테 · 셸링 / 낭만주의: 헤르더 · 슐라이어마허 / 초월주의(미국): 에머슨 · 소로
헤겔 / 청년 헤겔학파: 포이어바흐 · 슈티르너
공리주의 벤담 · · 스펜서
실증주의 콩트 · 마흐 / 사회학: 뒤르켐 · 베버
사회주의 아나키즘: 프루동 · 바쿠닌 · 크로포트킨
마르크스주의: · 엥겔스
키르케고르 · 쇼펜하우어 · 딜타이 · 베르그송
니체
}}}}}}}}} ||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사상의 분파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사상적 기초
계몽주의 공화주의 경험주의 평등주의 인민주권
합리주의 자연권 양심의 자유 자유 무역 민주주의
표현의 자유
초기 자유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급진주의 시민국민주의 국민자유주의 자유방임주의
지공주의 공리주의 종교적 자유주의 자유주의 페미니즘
일반적 자유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보수자유주의 문화적 자유주의 세속 자유주의
국민자유주의 시민국민주의 급진적 자유주의 종교적 자유주의 이슬람 자유주의
제3의 길 신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자유주의 신학 자유 가톨릭주의
자유주의 페미니즘 녹색 자유주의 기술 자유주의 입헌자유주의 민주자유주의
진보주의 신고전적 자유주의 자유국제주의
지역별 자유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제퍼슨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잭슨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뉴 내셔널리즘 파일:미국 국기.svg 뉴 프리덤 파일:미국 국기.svg 뉴딜 자유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자유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휘그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근력 자유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새자유주의
파일:그리스 국기.svg 베니젤로스주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치니주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를루스코니주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수정 시오니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자유 시오니즘
파일:이란 국기.svg 개혁주의 파일:멕시코 국기.svg 마곤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오를레앙주의 파일:호주 국기.svg 현대자유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 룰라주의
파일:독일 국기.svg 질서자유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개화사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중도개혁주의
나라별 현황
대만의 자유주의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독일의 자유주의 러시아의 자유주의 몽골의 자유주의
미국의 자유주의 영국의 자유주의 인도의 자유주의 일본의 자유주의 중국의 자유주의
캐나다의 자유주의 프랑스의 자유주의 호주의 자유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아메리카의 자유주의 아시아의 자유주의 아프리카의 자유주의 오세아니아의 자유주의 유럽의 자유주의
한반도의 자유주의
연관 이념
자유보수주의 자유사회주의 사회민주주의 자유지상주의 반권위주의
근대주의 개인주의 친유럽주의 세계시민주의 탈국민주의
재정보수주의 자유민주주의 자유주의 신학 기독교 좌파 시장 자유주의
성해방 급진적 중도 반공주의 반파시즘 반군국주의
흑인 자유주의 성소수자 자유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자유제국주의 냉전자유주의
법적 평등주의 입헌주의 반교권주의 입헌민주주의 해적 정치
기타
시민혁명 자유주의 엘리트 뉴딜 정책 차티스트 운동 자유주의적 매파
라이시테 자코뱅주의 제한된 정부 서프러제트 정치적 올바름
자유주의적 패권 어퍼머티브 액션 소수자 권리 자유시장 시니스트리슴
자유주의(국제관계학) 소셜 저스티스 워리어 폐지주의 모병제 객관주의
민권 운동 세계화 부르주아 정당 현대자유주의 자결권
친선택 해방 신학 무기소지권 사회자유 보수주의 세속주의
관련 단체
자유주의 인터내셔널 자유지상당 국제동맹 나우만 재단 몽펠르랭 소사이어티 진보동맹
독립협회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자유주의와 관련된 다른 틀 (사회민주주의 · 신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 진보주의)
※ 넓은 의미의 자유주의 단체; 각각 자유지상주의, 진보주의에 속한다.
}}}}}}}}} ||

파일:프리기아 모자.png
공화주의 사상의 분파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사상적 기초
계몽주의 경험주의 평등주의 인민주권 합리주의
참정권 공동선 사회계약론 공동체주의 삼권 분립
공화주의
고전적 공화주의 자유공화주의 시민국민주의 민주주의 자유주의
입헌주의 법치주의 반교권주의 보수주의 사회주의
애국주의
관련 인물
}}}}}}}}} ||
1. 철학2. 언어학

1. 철학

/ Rationalism

모든 판단에 최대한 이성적이려는 것. '충동과 욕구에 바탕을 둔 태도, 신앙주의를 비롯한 종교적 사고방식, 회의 없는 맹신'과 대립되는 대표적인 철학이자 관념이다. 이성론이나 합리론이라고도 칭한다.

경험론이 대체로 중세 후기~르네상스의 기조를 이어받아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기반 하에서 구축되었다면, 합리주의는 이로부터 어느정도 탈각하여 플라톤피타고라스 등의 철학을 기반으로 탄생한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합리론자들도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주의의 경험론, 플라톤주의의 합리론이라는 식의 도식은 옳지 않다.

경험론과 합리론은 대립하는 철학이 아니고 경험론이 이성을 배척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합리론 철학자 중에 경험을 소홀히 여긴 학자는 없고 반대도 마찬가지다. 단지 지식 체계의 기본 전제를 이성적 추론에 두느냐, 반복적 경험에 두느냐의 차이일 뿐이다.

합리론자 중 제일 유명한 사람으로는 르네 데카르트, 경험론자 중 제일 유명한 사람으로는 프랜시스 베이컨이나 데이비드 흄이 있다. 흔히 합리론의 계보는 데카르트에서 스피노자로 이어지고 니콜라 말브랑슈를 거쳐 라이프니츠에서 정점을 찍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셸링, 헤겔 등 이후의 철학자들도 경우에 따라서는 합리론의 계보를 잇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합리주의는 근현대 철학의 핵심이고 대개 옳지만[1] 만능은 아니다. 인간이 완전한 이성에 도달할 수 없으므로 인간의 이성적 태도가 언제나 약간의 오류도 없이 논리적으로 무결하다고는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를 쓴 심리학자 존 브래드쇼는 합리주의가 우리가 감정을 표출하는 걸 막았고 거기서 내면의 아이가 상처받았으며 나중에 컸을 때 여러 문제를 일으키는 등의 행동을 보이는 원인이 되었다고 비판했다. 다만 '내면아이' 이론도 대중심리학의 일종이라고 비판받는 이론이니 참고할 것.[2]

2. 언어학

언어학에서는 날 때부터 언어 습득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그런 면에서 생성언어학의 창시자인 놈 촘스키는 합리론자임을 자처한다.


[1] 합리적이라는 표현도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게 일반적이다.[2] 정신분석학의 파생형에 속하는데 정신분석학 자체가 과학적 연구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즉, 과학적 연구방법론에 기반되지 않은 유사과학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