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주의 사상의 분파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사상적 기초 | ||||
계몽주의 | 경험주의 | 평등주의 | 인민주권 | 합리주의 | |
참정권 | 공동선 | 사회계약론 | 공동체주의 | 삼권분립 | |
공화주의 | |||||
고전적 공화주의 | 자유공화주의 | 시민국민주의 | 민주주의 | 자유주의 | |
입헌주의 | 법치주의 | 반교권주의 | 보수주의 | 사회주의 | |
애국주의 | |||||
관련 인물 |
자유주의적 패권 | 어퍼머티브 액션 | 소수자 권리 | 자유시장 | 시니스트리슴 |
자유주의(국제관계학) | 소셜 저스티스 워리어 | 폐지주의 | 모병제 | 객관주의 |
민권 운동 | 세계화 | 부르주아 정당 | 현대자유주의 | 자결권 |
친선택 | 해방 신학 | 무기소지권 | 사회자유 보수주의 | 세속주의 |
관련 단체 | ||||
자유주의 인터내셔널 | 자유지상당 국제동맹※ | 나우만 재단 | 몽펠르랭 소사이어티 | 진보동맹※ |
독립협회 | ||||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자유주의와 관련된 다른 틀 (사회민주주의 · 신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 진보주의) ※ 넓은 의미의 자유주의 단체; 각각 자유지상주의, 진보주의에 속한다. |
Constitutionalism
1. 개요
입헌주의란 정치권력의 자의적 행사를 막고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정치권력의 근거와 행사를 헌법에 규정함으로써 국가의 권력작용이 헌법에 구속되도록 하는 통치 원리이다. 헌법주의라고 번역하기도 한다.입헌주의는 헌법과 삼권분립을 통해 형식적으로 완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