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555555,#aaaaaa | | | | | |||
| | | | ||||
| | | | ||||
| | | |||||
◀ | | ||||||
◀ 2024년 참가 구단 | 2026년 참가 구단 ▶ | ||||||
코리아컵 참가 구단 | 과거 참가 구단 |
K리그2 시즌 | ||||
2024 | → | 2025 | → | 2026 |
<colbgcolor=#001c48> 하나은행 K리그2 2025 Hana Bank K LEAGUE 2 2025 | ||
파일:하나은행 K리그2 2025 로고.svg | ||
<colcolor=#fff> 공식 슬로건 | The Field of Heroes | |
메인 스폰서 | 하나은행 | |
총 라운드 수 | 39라운드 | |
개막일 | 2025년 2월 22일 | |
시즌 종료 | 2025년 11월 23일 | |
중계 | <colbgcolor=#001c48><colcolor=#fff> TV | MAXPORTS IB SPORTS GOLF&PBA 생활체육TV BallTV |
뉴미디어 | 쿠팡플레이 | |
전년도 우승 구단 | FC 안양 | |
공식 개막전 | 인천 유나이티드 FC : 경남 FC | |
득점왕 | ||
도움왕 | ||
우승 구단 | ||
승격 구단 | ||
공인구 | 아디다스 커넥스트 25 프로 |
[clearfix]
1. 개요
하나은행 K리그2 2025 공식 인트로 -The Field of Heroes {{{#fff {{{#!folding [ 영상 설명 ] | 하나은행 K리그2 2025 공식 인트로 영상에는 각 구단과 연고지의 특징과 특색이 담겼다. | |
인천 | 인천항 | |
충남아산 | 수리부엉이 | |
서울E | 표범 | |
전남 | 용 | |
부산 | 기사 | |
수원 | 그리폰 | |
김포 | 한강 | |
부천 | 보라매 | |
천안 | 독립기념관 겨래의탑 | |
충북청주 | 사자 | |
안산 | 늑대 | |
경남 | 거북선 | |
성남 | 까치 | |
화성 | 코리아케라톱스 |
2. 이야깃거리
- 인천 유나이티드 FC가 사상 처음으로 참가한다.
- FC 안양이 승격하면서 현존하는 K리그 챌린지 창설 멤버 중 부천 FC 1995만 승격해보지 못한 채 K리그2에 남게 되었다.
- 화성 FC가 가입하면서 3년 만에 참가팀 수가 짝수가 되어 라운드마다 1팀씩 휴식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그리고 수도권 팀이 하나 더 늘어난 8팀이 되었다. 수도권 전철이 닿는 구단이 14팀 가운데 10팀이나 된다.
- 아시아 쿼터가 전면 폐지되었다. 이에 따라 2025 시즌부터는 국적에 상관없이 5명의 외국인 선수를 보유할 수 있으며 경기장에 동시 투입할 수 있는 숫자는 4명이다.
- K리그2-K3리그 간에 승강제가 시행되지 않는 마지막 시즌으로, 2026년부터 K리그2 최하위는 K3리그 강등이 유력해지므로[1] 리빌딩을 하는 팀들은 올해가 마지노선이 될 수 있다. 또한 39라운드 체제는 유지되지만 화성 FC의 가입으로 휴식일이 있는 팀이 다시 사라졌기 때문에 순위 싸움의 분수령인 여름철 체력 관리의 중요성이 올라가게 되었다.
- 김천 상무 FC가 연고지 연장 계약을 하면서 올해도 1+2 승격이다.
3. 참가 구단
2025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555555,#aaaaaa | | | | | |||
| | | | ||||
| | | | ||||
| | | |||||
◀ | | ||||||
◀ 2024년 참가 구단 | 2026년 참가 구단 ▶ | ||||||
코리아컵 참가 구단 | 과거 참가 구단 | ||||||
<rowcolor=#fff> 구단 | 구단주 | 감독 | 연고지 | 경기장 | 전년도 순위 |
인천 유나이티드 FC | 유정복 | 윤정환 | 인천광역시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 K리그1 12위 |
충남 아산 FC | 조일교[권한대행] | 배성재 | 아산시 | 이순신종합운동장 | 2위[3] |
서울 이랜드 FC | 박성수 | 김도균 | 서울특별시 | 목동종합운동장 | 3위[4] |
전남 드래곤즈 | 장인화 | 김현석 | 전라남도 | 광양축구전용구장 | 4위[5] |
부산 아이파크 | 정몽규 | 조성환 | 부산광역시 | 구덕운동장 | 5위[6]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김종현 | 변성환 | 수원시 | 수원월드컵경기장 | 6위 |
김포 FC | 김병수 | 고정운 | 김포시 | 김포솔터축구장 | 7위 |
부천 FC 1995 | 조용익 | 이영민 | 부천시 | 부천종합운동장 | 8위 |
천안 시티 FC | 박상돈 | 김태완 | 천안시 | 천안종합운동장 | 9위 |
충북 청주 FC | 김현주 | 권오규 | 청주시 | 청주종합경기장 | 10위 |
안산 그리너스 FC | 이민근 | 이관우 | 안산시 | 안산와~스타디움 | 11위 |
경남 FC | 박완수 | 이을용 | 경상남도 | 창원축구센터 | 12위 |
성남 FC | 신상진 | 전경준 | 성남시 | 탄천종합운동장 | 13위 |
화성 FC | 정명근 | 차두리 | 화성시 | 화성종합경기타운 | K3리그 2위[7] |
4. 중계 방송
(2025 시즌)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1C48> 캐스터 | <colbgcolor=#FFF,#AEAEAE> | 박봉서, 배성재, 소준일, 이광용 |
| 김용남, 박용식, 박찬, 서기철, 윤장현, 이대현, 이진욱, 한종희 | ||
해설자 | | 김재성, 이상윤, 이황재, 현영민 | |
| 김강남, 김대길, 김오성, 박찬우, 서형욱, 서호정, 정다운, 정종봉 | ||
리포터 | | 장현정 | |
중계 채널 | | | |
| |||
| |||
| |||
| | ||
| |||
| |||
| |||
4.1. 쿠플픽 중계 현황
| ||||
<rowcolor=white> 경기 | 중계진 | |||
<rowcolor=#fff> 캐스터 | 해설 | 프리뷰쇼 게스트 | 현장 리포팅 | |
R / vs |
5. 심판진
주심 심판진 (2025 시즌)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고민국 | 김재홍 | 김희곤 | 박세진(女) | 박정호 | |||
박종명 | 박진호 | 안재훈 | 오현정(女) | 오현진 | ||||
원명희 | 이경순 | 정동식 | 정회수 | 조지음 | ||||
최규현 | 최승환 | 최철준 | 최현재 |
}}}}}}}}} ||
}}}}}}}}} ||
6. 겨울이적시장
7. 여름이적시장
8.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1c48> | K리그2 구단별 감독 (2025)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555555,#aaaaaa | 경남 이을용 (이을용호) 파일:이을용경남.png | 김포 고정운 (고정운호) | 부산 조성환 (조성환호) | 부천 이영민 (이영민호) |
서울 김도균 (김도균호) | 성남 전경준 (전경준호) | 수원 변성환 (변성환호) | 아산 배성재 (배성재호) | |
안산 이관우 (이관우호) | 인천 윤정환 (윤정환호) | <colbgcolor=#ffde00> 전남 김현석 (김현석호) | 천안 김태완 (김태완호) | |
청주 권오규 (권오규호) | 화성 차두리 (차두리호) | | ||
◀ K리그1 구단별 감독 | K3리그 구단별 감독 ▶ |
2025 시즌 클럽별 감독 변동 | ||||||
<rowcolor=#fff> 팀 | 이전 감독 | 사유 | 교체 날짜 | 당시 순위 | 선임된 감독 | 선임 날짜 |
| | 계약 종료 | 2024년 12월 5일 | 프리시즌 | | 2024년 12월 5일 |
| | 계약 종료 | 2024년 12월 10일 | | 2024년 12월 12일 | |
| | 계약 종료 | 2024년 12월 10일 | | 2024년 12월 10일 | |
| | 계약 해지 | 2024년 12월 22일 | | 2024년 12월 22일 |
9. 외국인 선수
외국인 선수는 국적에 상관없이 최대 5인까지 보유할 수 있다. 단, 경기에 출전할 수 있는 외국인 선수는 최대 4인까지 가능하다. 또한 대한민국 국적의 선수가 아니더라도 홈그로운 조항에 충족하는 선수는 구단당 1명을 외국인 선수 쿼터 집계에서 제외한다.구단 | ① | ② | ③ | ④ | ⑤ |
인천 유나이티드 FC | | | | | |
충남 아산 FC | | | | | |
서울 이랜드 FC | | | | | |
전남 드래곤즈 | | | | | |
부산 아이파크 | | | |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 | | |
김포 FC | | | | | |
부천 FC 1995 | | | | | |
천안 시티 FC | | | | | |
충북 청주 FC | | | | | |
안산 그리너스 FC | | | | | |
경남 FC | | | | | |
성남 FC | | | | | |
화성 FC | | | | | |
- 선수가 시즌 도중 이적할 시 삭제하는 대신 선수 이름에 --로 취소선을 그어주시기 바랍니다.
- 이 문단을 수정할 때, 외국인 선수 문서의 K리그2 문단도 같이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10. 홈그로운 선수
2025년부터는 대한민국에서 3년 연속 혹은 합계 5년 이상 유스 시스템을 밟은 외국인 선수는 첫 프로 등록팀이 K리그 팀일시 홈그로운 선수로 인정되어 외국인 쿼터에서 제외되고 내국인 선수와 동일한 대우를 받는다. 2025년에는 각 팀별로 1명씩만 홈그로운 선수를 등록 가능하다.구단 | 선수명 | 국적 | 포지션 |
11. 동계 전지훈련
2025 K리그2 참가팀 동계 전지훈련지 | |||
<rowcolor=#fff> 훈련구단 | 지역 | 기간 | 차수 |
| | 1월 2일 ~ 1월 31일 | 1차 |
| 2월 3일 ~ 2월 15일 | 2차 | |
| | 1월 4일 ~ 2월 2일 | 1차 |
| 2월 6일~2월 19일 | 2차 | |
| | 1월 5일 ~ 1월 27일 | 1차 |
| 2월 1일 ~ 2월 17일 | 2차 | |
| | 1월 15일 ~ 2월 4일 | 1차 |
| | 1월 3일 ~ 2월 3일 | 1차 |
| | 월 일 ~ 월 일 | 1차 |
| | 월 일 ~ 월 일 | 1차 |
| 월 일 ~ 월 일 | 2차 | |
| | 월 일 ~ 월 일 | 1차 |
| | 1월 6일 ~ 1월 27일 | 1차 |
| | 월 일 ~ 월 일 | 1차 |
| | 월 일 ~ 월 일 | 1차 |
| | 월 일 ~ 월 일 | 1차 |
| | 1월 3일 ~ 1월 28일 | 1차 |
| 2월 1일 ~ 2월 11일 | 2차 | |
| | 1월 6일 ~ 1월 18일 | 1차 |
| 1월 22일 ~ 2월 12일 | 2차 |
12. 정규 시즌 순위
| |||||||||||
하나은행 K리그2 2025 시즌 순위 | |||||||||||
<rowcolor=#001c48> 순위 | 구단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차 | 승점 | 비고 | 컵 대회 |
코리아컵 | |||||||||||
<colcolor=#000> 1 | | 0 | 0 | 0 | 0 | 0 | 0 | 0 | 0 | R2 | |
2 | | 0 | 0 | 0 | 0 | 0 | 0 | 0 | 0 | R2 | |
3 | | 0 | 0 | 0 | 0 | 0 | 0 | 0 | 0 | R2 | |
4 | | 0 | 0 | 0 | 0 | 0 | 0 | 0 | 0 | R2 | |
5 | | 0 | 0 | 0 | 0 | 0 | 0 | 0 | 0 | R2 | |
<colbgcolor=#fff> 6 | | 0 | 0 | 0 | 0 | 0 | 0 | 0 | 0 | R2 | |
7 | | 0 | 0 | 0 | 0 | 0 | 0 | 0 | 0 | R2 | |
8 | | 0 | 0 | 0 | 0 | 0 | 0 | 0 | 0 | R2 | |
9 | | 0 | 0 | 0 | 0 | 0 | 0 | 0 | 0 | R2 | |
10 | | 0 | 0 | 0 | 0 | 0 | 0 | 0 | 0 | R2 | |
11 | | 0 | 0 | 0 | 0 | 0 | 0 | 0 | 0 | R2 | |
12 | | 0 | 0 | 0 | 0 | 0 | 0 | 0 | 0 | R2 | |
13 | | 0 | 0 | 0 | 0 | 0 | 0 | 0 | 0 | R2 | |
14 | | 0 | 0 | 0 | 0 | 0 | 0 | 0 | 0 | R2 | |
순위 산정 기준: 승점 > 다득점 > 득실 차 > 다승 > 승자승 > 벌점 | |||||||||||
K리그2 2025 시즌 우승, K리그1 2026 시즌 승격 | |||||||||||
K리그1 2026 시즌 승격 | |||||||||||
K리그 2025 시즌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 |||||||||||
K리그2 2025 시즌 플레이오프 진출 | |||||||||||
K리그2 2025 시즌 준플레이오프 진출 |
12.1. 라운드별 순위 변동
2025 하나은행 K리그2 1라운드~13라운드 | ||||||||||||||
{{{#!wiki style="color: #001c48;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rowcolor=#fff> 순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2025 하나은행 K리그2 14라운드~26라운드 | ||||||||||||||
{{{#!wiki style="color: #001c48;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rowcolor=#fff> 순위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2025 하나은행 K리그2 27라운드~39라운드 | ||||||||||||||
{{{#!wiki style="color: #001c48;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rowcolor=#fff> 순위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1 | ||||||||||||||
2 | ||||||||||||||
3 | ||||||||||||||
4 | ||||||||||||||
5 | ||||||||||||||
6 | ||||||||||||||
7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13. 라운드별 경기 결과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1c48> | 하나은행 K리그2 2025 관련 문서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555555,#aaaaaa | <colbgcolor=#001c48><colcolor=#FFF> 시즌 진행 | 정규 라운드(39경기) · 준PO · PO | ||||||||||||||
주요 경기 | ||||||||||||||||
이적 시장 | 겨울이적시장(01.01.~03.08.) · 여름이적시장 | |||||||||||||||
팀별 시즌 진행 | 인천 | 충남아산 | 서울E | 전남 | 부산 | 수원 | 김포 | |||||||||
부천 | 천안 | 충북청주 | 안산 | 경남 | 성남 | 화성 | ||||||||||
관련 틀 | 순위표 |
◀ K리그1 시즌 진행 |
13.1. 정규 라운드
13.2. K리그2 준플레이오프
13.3. K리그2 플레이오프
14. 개인 순위
14.1. 득점 순위
14.2. 도움 순위
14.3. 공격 포인트 순위
14.4. 해트트릭
15. 관중 동원
16. K리그2 참가 팀들의 다른 대회 성적
16.1. 코리아컵
2025 하나은행 코리아컵 | ||||||||
<rowcolor=#f7c626> 순위 | 팀 | 2라운드 | 3라운드 | 16강 | 8강 | 준결승 | 결승 | |
<rowcolor=#f7c626> 1차전 | 2차전 | |||||||
1 | | vs ??? #:# | ||||||
2 | | vs ??? #:# | ||||||
3 | | vs 수원 #:# | ||||||
4 | | vs ??? #:# | ||||||
5 | | vs ??? #:# | ||||||
6 | | vs 서울E #:# | ||||||
7 | | vs ??? #:# | ||||||
8 | | vs ??? #:# | ||||||
9 | | vs ??? #:# | ||||||
10 | | vs ??? #:# | ||||||
11 | | vs ??? #:# | ||||||
12 | | vs ??? #:# | ||||||
13 | | vs 시흥시민 #:# | ||||||
14 | | vs ??? #:# |
17. 관련 문서
18. 역대 시즌
K리그2 역대 시즌 |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2032 |
[1] 확정이 아닌 유력이라고 서술한 이유는 K3리그 우승팀의 K리그 라이센스 확보 여부 때문이다. K3리그에서 우승하더라도 K리그 라이센스가 없으면 K리그2로 승격할 수 없고, 이 경우 K리그2 최하위팀도 강등되지 않는다. 어찌됐든 2026년부터 K리그2에서 최하위를 기록하여 강등되는 사례가 발생한다면 해당 팀은 프로화 이후 처음으로 세미프로 레벨의 리그로 강등되는 최초의 팀이라는 영원히 낙인으로 남게 될 타이틀을 달게 된다.[권한대행] [3] 승강 PO 1 패배[4] 승강 PO 2 패배[5] 플레이오프 통과 실패[6] 준플레이오프 통과 실패[7] 신규 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