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22:07:30

핀란드의 철도 환경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3580>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역사 역사 전반 · 핀란드 대공국 · 핀란드 왕국 · 핀란드 내전 · 겨울전쟁 · 계속전쟁 · 라플란드 전쟁
정치 정치 전반 · 핀란드 대통령 · 핀란드 총리 · 핀란드 의회 · 정부 · 핀란드/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핀란드 여권 · 유럽연합 · 북유럽 협의회 · 북극이사회 · 파시키비-케코넨 독트린 · 핀란드화
경제 경제 전반 · 핀란드 마르카(폐지) · 유로 · 노키아 · 슈퍼셀
교통 철도 환경(노선) · 헬싱키 노면전차 · 헬싱키 지하철 · 탐페레 노면전차 · 고속도로 · 국도
국방 핀란드군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징병제/핀란드
치안·사법 핀란드 경찰
교육 교육 전반 · 윌리오필라스툿킨토 · 헬싱키 대학교 · 알토 대학교
언어 핀란드어 · 스웨덴어 · 사미어 · 카렐리야어 · 발트핀어군
문화 요리 ·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핀란드 신화 · 칼레발라 · 핀란디아(장 시벨리우스) · 자일리톨 · 헤스버거 · 사우나 · 무민 · 산타클로스 · 킬유 · 살미아키 · Ievan Polkka · 요우힉코 · 헤비사우르스 · 나이트위시 · 스트라토바리우스 · 루터교회(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민족 핀인 · 핀란드/인구 · 스웨덴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핀란드계 미국인 · 핀란드계 캐나다인 · 카렐인(핀란드계 러시아인) · 핀란드계 스웨덴인 · 핀란드계 호주인
}}}}}}}}} ||

세계의 철도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ASEAN 깃발.svg
동남아시아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베트남 · 태국)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중앙아시아
유럽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벨기에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아프리카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
파일:Helsinki_Central_railway_station_in_Finland,_2021_July.jpg 파일:Kolari_VR_station.jpg
핀란드 철도의 중심점인 헬싱키 중앙역 전경 핀란드 최북단역인 콜라리역

1. 개요2. 역사3. 철도 일반4. 수송 기능에 따른 특성
4.1. 여객 철도
4.1.1. 장거리 열차4.1.2. 광역 철도4.1.3. 도시 철도
4.2. 화물 철도
5. 관련 문서

1. 개요

핀란드철도 환경을 다룬 문서이다.

2. 역사

2.1. 핀란드 대공국 시기

핀란드의 철도 건설은 유럽 여타 국가들과 비교해서 늦게 시작되었다. 첫 번째 철도 노선은 후에 핀란드 간선 철도의 일부분이 되는 헬싱키해멘린나 사이의 구간으로, 1862년 1월 31일에 개통되었다. 당시 핀란드는 러시아 제국의 지역인 핀란드 대공국이었기 때문에, 1524mm의 구형 러시아 궤간으로 철도가 건설되었다. 러시아 본토와의 연결은 1870년 당시 러시아 제국의 수도인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핀랸츠키역[1]을 종착지로 하는 리히매키-상트페테르부르크선의 개통으로 이루어지나, 러시아 내 나머지 철도망과는 1912년 네바 강을 가로지르는 핀랸츠키 철교가 건설되기까지 따로 노는 형태였다.

1876년 6월 22일 헬싱키-해멘린나선의 지선인 토이얄라 경유 해멘린나-탐페레선과 토이얄라-투르쿠선 두 노선의 개통으로 핀란드 3대 도시인 헬싱키, 탐페레, 투르쿠는 철도를 통해 연결되었다. 이후 1883년 탐페레발 하파매키 경유 세이내요키바사행 노선, 그리고 1886년 세이내요키발 오울루포흐얀마선이 개통되면서 핀란드 간선 철도는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1903년에는 포흐얀마선이 토르니오까지 연장되면서 철도망이 스웨덴 국경까기 닿게 되었고, 1909년에는 라우릴라에서 분기해서 흔히 라플란드라고 알려진 라피의 주도(州都) 로바니에미까지 연장되었다.

반면 1899년에는 핀란드 남서부 해안을 따라 카르야와 투르쿠를 잇는 연안선[2]이 개통, 1903년에는 헬싱키의 파실라역까지 연장되었다.

이외에 각각 1873년, 1874년에 사철로 개통한 카르야-항코선과 포르보-케라바선 등이 있으나 예상보다 적은 수요로 몇 년 운영되지 못하고 핀란드 국영 철도에게 매각되었다.

2.2. 핀란드 공화국 시기

1919년 토르니오와 토르네 강 건너 스웨덴의 하파란다를 잇는 철교가 건설되면서 핀란드와 스웨덴은 철도로 이어지게 되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는 핀란드 철도 건설의 전성기였는데, 핀란드를 동서로 잇는 이살미-윌리비에스카선(1925년)과 오울루-콘티오매키선(1930년), 로바니에미에서 케미얘르비까지 동쪽으로 연장(1934년), 포리-하파매키선(1938년) 등이 개통되면서 핀란드의 철도망은 더 촘촘해져갔다.

그러나 2차대전 기간에 철도 기반 시설이 상당수 파괴되었고, 이후 소련과 평화 협정을 맺은 뒤 카렐리야 및 라플란드 일부 지역을 소련에게 양도하면서 그 지역의 철도도 자연스레 잃게 되었고, 계획중에 있던 페첸가선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대대적인 노선 건설은 1966년 소련에게 넘어간 카렐리야를 경유하는 철도의 대체 노선과 탐페레-세이내요키 고속선 이외에 거의 없고, (복)복선화 작업, 1969년부터 시작한 전철화 및 헬싱키 통근 열차 체계 등 철도 기반과 지역 내 철도교통에 더 투자하기 시작했다.

핀란드의 철도 총연장 길이는 아래와 같다:
년도 총연장 길이
(km)
1862 108
1862 483
1880 852
1890 1,876
1900 2,650
1910 2,650
1920 3,987
1930 5,010
1938 5,407
1950 4,798
1960 5,314
1970 5,804
1980 6,075
1990 5,846
2000 5,854
2010 5,919
2022 5,918

3. 철도 일반

핀란드 철도망은 2022년 기준 총 5,918km이며, 이 중 5,205km가 단선이고 전철화 된 노선은 3,449km이다. 여객철도는 VR이라는 국영기업이 독점하고 있고, 화물철도도 일부 극소수 구간을 제외하면 VR이 독점하고 있다.

모든 철도 구간은 러시아 지배의 영향으로 인해 1,524mm인 옛 러시아 궤관을 사용한다.

전압은 교류 25000V 50Hz를 채택하고 있고, 가공전차선을 통해 전동차에 전기를 공급한다.

대부분의 여객 열차 서비스는 헬싱키 중앙 철도역에서 시·종착하며, 여객 철도 네트워크의 상당 부분이 헬싱키에서 방사되는 형태이다. 비록 낮은 인구 밀도 치고 철도망이 꽤 발달했으나, 장거리 버스 등장 이후로 시골에 있는 역 및 노선 구간이 폐쇄되는 등 여객철도가 발달된 네덜란드·독일에 비교하면 아쉬운 부분이 있다.

4. 수송 기능에 따른 특성

4.1. 여객 철도

4.1.1. 장거리 열차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와 오가는 고속철도 알레그로가 있다. 그러나 러우전쟁 이후 운영 중단중인데다 양국 관계가 나토 가입 문제로 최악이 되어서 심하면 폐지 가능성도 있다.

4.1.2. 광역 철도

파일:Commuter_Train_2_(type_Sm4)_Helsinki-Lahti_railway_network_2016_04.jpg 파일:JKOY_Sm5_at_Tuomarila_Station_2019.jpg
VR이 운영하는 SM-4형 전동차 헬싱키 통근 열차로 쓰이는 SM-5형 전동차

4.1.3. 도시 철도

4.2. 화물 철도

5. 관련 문서


[1] 러시아어로 핀란드역을 의미한다.[2] 핀란드어: Rantarata, 스웨덴어: Kustbanan[3] 발리모역, 피태얜매키역, 매퀼래역 통과[4] 발리모역, 피태얜매키역, 매퀼래역 정차[5] 헬싱키와 반타 국제공항을 하트 형태로 순환하는 노선.[6] 외선순환[7] 내선순환[8] 단 헬싱키 중앙역-시운티오역 구간은 헬싱키 지역 교통국 승차권이 사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