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23:03:59

핀란디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3580>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역사 역사 전반 · 핀란드 대공국 · 핀란드 왕국 · 핀란드 내전 · 겨울전쟁 · 계속전쟁 · 라플란드 전쟁
정치 정치 전반 · 핀란드 대통령 · 핀란드 총리 · 핀란드 의회 · 정부 · 핀란드/행정구역
외교 외교 전반 · 핀란드 여권 · 유럽연합 · 북유럽 협의회 · 북극이사회 · 파시키비-케코넨 독트린 · 핀란드화
경제 경제 전반 · 핀란드 마르카(폐지) · 유로 · 노키아 · 슈퍼셀
교통 철도 환경(노선) · 헬싱키 노면전차 · 헬싱키 지하철 · 탐페레 노면전차 · 고속도로 · 국도
국방 핀란드군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징병제/핀란드
치안·사법 핀란드 경찰
교육 교육 전반 · 윌리오필라스툿킨토 · 헬싱키 대학교 · 알토 대학교
언어 핀란드어 · 스웨덴어 · 사미어 · 카렐리야어 · 발트핀어군
문화 요리 ·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핀란드 신화 · 칼레발라 · 핀란디아(장 시벨리우스) · 자일리톨 · 헤스버거 · 사우나 · 무민 · 산타클로스 · 킬유 · 살미아키 · Ievan Polkka · 요우힉코 · 헤비사우르스 · 나이트위시 · 스트라토바리우스 · 루터교회(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민족 핀인 · 핀란드/인구 · 스웨덴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핀란드계 미국인 · 핀란드계 캐나다인 · 카렐인(핀란드계 러시아인) · 핀란드계 스웨덴인 · 핀란드계 호주인
}}}}}}}}} ||

정식 명칭 : Finlandia Op.26, 핀란디아

1. 개요2. 작곡 배경3. 곡의 구성4. 핀란디아 찬가(Finlandia-hymni)5. 악기 편성6. 이모저모



NHK 교향악단, 샤를 뒤투아의 지휘.

1. 개요

핀란드의 작곡가 장 시벨리우스가 작곡한 교향시.

2. 작곡 배경

당시 핀란드는 핀란드 대공국이라는 이름으로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핀란드에서는 근대적인 핀란드 민족주의가 형성되었으며 이는 종종 러시아 제국의 탄압을 받았다.

이 때 핀란드의 카를로 베르그봄(Kaarlo Bergbom)은 총 6막으로 이루어진 핀란드 역사 연극을 만들고 그 반주음악을 시벨리우스에게 의뢰했다. 이 반주음악을 붙인 연극은 1899년에 초연되었고, 초연 이후 최종막인 '핀란드는 각성한다'(Suomi herää) 부분의 반주음악만 따서 개정해 발표된 곡이 핀란디아이다. 러시아 제국은 핀란드 민족주의를 자극하는 이 곡의 연주를 금지했고, 이에 따라 핀란디아로써의 초연은 1900년에 프랑스 파리에서 이루어졌다. 그 뒤로도 핀란드 본토에서는 핀란디아의 공연이 오랫동안 금지되었기에 '핀란드에 봄이 찾아왔을 때의 행복한 기분' 따위의 이상한 제목으로 공연을 하기도 했다.

3. 곡의 구성

아래에 악장처럼 구분된 것 처럼 보이지만 연주에서는 끊지 않고 연속적으로 연주한다.

4. 핀란디아 찬가(Finlandia-hymni)


1940년에 핀란드 시인인 베이코 안테로 코스켄니에미(Veikko Antero Koskenniemi)가 곡의 제3부 알레그로 부분에 가사를 붙였으며, 이 가사를 활용해 시벨리우스가 해당 부분을 합창곡으로 편곡하였다. 이 부분은 흔히 따로 핀란디아 찬가(Finlandia-hymni)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핀란디아 원곡과는 조성이 다르며, 기악이 동반되지 않는 아카펠라이다. 1940년대 핀란드는 소련침략을 맞아 국가 존망의 위기에 처했는데, 그러한 분위기에서 이 곡은 핀란드인들에게 애국심을 자극하는 곡으로 두루 불려졌다. 핀란드에는 진짜 국가가 따로 있지만 핀란디아 찬가 역시 핀란드라는 국가를 상징하는 노래처럼 취급되고 불린다.


핀란드의 방송 YLE TV 1에서 방영된 핀란드 태생의 지휘자 유카페카 사라스테 지휘의 헬싱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핀란드 방송 교향악단의 협연.

본래 핀란디아는 순수 기악곡이지만, 위의 영상처럼 핀란디아 원곡에 핀란디아 찬가의 가사를 붙인 합창으로 연주하기도 한다. 특히 이 곡이 작곡된 핀란드에서는 더더욱 그런 경향이 두드러진다.
Oi, Suomi, katso, sinun päiväs' koittaa, Yön uhka karkoitettu on jo pois,
Ja aamun kiuru kirkkaudessa soittaa,
Kuin itse taivahan kansi sois'.
Yön vallat aamun valkeus jo voittaa,
Sun päiväs' koittaa, oi synnyinmaa.

Oi, nouse, Suomi, nosta korkealle,
Pääs' seppelöimä suurten muistojen.
Oi, nouse, Suomi, näytit maailmalle, Sa että karkoitit orjuuden,
Ja ettet taipunut sa sorron alle,
On aamus' alkanut, synnyinmaa
아, 핀란드여, 보라. 이제 밤의 위협은 저 멀리 물러났다.
찬란한 아침에, 종달새는 다시 영광의 노래를 부르고,
천국의 대기가 충만하였다.
어둠의 힘은 사라지고 아침햇살은 지금 승리하였으니,
너의 날이 다가왔다, 오 조국이여.

아, 일어나라, 핀란드여. 높이 들어올려라.
너의 과거는 자랑스럽게 등극하였다.
아, 일어나라, 핀란드여, 노예의 흔적을 몰아내고, 새로운 세상을 보여주어라.
억압에 굴복하지 않았으니,
자랑스러운 아침이 시작되리라, 조국이여.

5. 악기 편성

플루트2/오보에2/클라리넷2(B♭)/바순2/콘트라바순/호른4/트럼펫3(F)/트롬본3(F)/튜바/팀파니/트라이앵글/심벌즈/베이스드럼/제1바이올린/제2바이올린/비올라/첼로/콘트라베이스이다.

6. 이모저모

영화 다이 하드 2 종반부에, 비행기들이 활주로에 비상 착륙하는 장면의 배경 음악과 엔딩 크레딧 음악으로 삽입되었다. 레니 할린 감독이 핀란드 출신이라 이 곡을 선택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를 겪었던 한국에도 공감되는 정서가 있어서 그런지 음악 교과서 등에서는 안익태한국환상곡과 잘 엮이는 편이다. 한국 환상곡의 일부가 애국가로 사용되는 것과, 이 곡의 일부가 애국가와 같은 지위를 갖는 점도 비슷하다.


핀란드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에 반대하는 항의집회에서 반러시아 핀란드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이 노래가 종종 불린다. 본 영상에서는 핀란드처럼 러시아에 오래 시달려온 우크라이나의 역사에 비유해 핀란디아 가사의 '핀란드'(Suomi) 부분을 우크라이나(Ukraina)로 바꾼 가사가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