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 포르투갈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03399><colbgcolor=#fff> 상징 | <colcolor=#000,#fff>국기 · 국가 · 국장 · 국호 |
역사 | 역사 전반 · 헤콩키스타 · 포르투갈 왕국 · 대항해시대 · 이베리아 연합 · 포르투갈 내전 · 포르투갈 국가독재 · 카네이션 혁명 | |
정치 |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의회 | |
지리 | 행정구역(틀) · 이베리아 반도 · 마데이라 제도 · 아소르스 제도 | |
외교 | 외교 전반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유럽연합 | |
경제 | 경제 · | |
교통 | 포르투갈의 철도 환경(알파 펜둘라르) · 아우토이스트라다 · 리스본 지하철 · 리스본 국제공항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국제공항 · TAP 포르투갈 항공 | |
국방 | 포르투갈군 · NATO | |
문화 | 문화 전반 · 관광 · 아줄레주 · 요리(지리적 표시제) | |
언어 | 포르투갈어 ·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라틴 연합 · 미란다어 · 스페인어와의 차이 · 포르투뇰 · CAPLE · Celpe-Bras | |
인물 | 아폰수 1세 · 주앙 2세 · 페드루 알바레스 카브랄 · 바르톨로메우 디아스 · 루이스 드 카몽이스 · 안토니우 드 올리베이라 살라자르 · 에우제비우 · 루이스 피구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
스포츠 |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 프리메이라 리가 · 리가 포르투갈 · 리가 포르투갈 2 · 포르투갈 풋살 국가대표팀 | |
치안·사법 | 사법 전반 | |
기타 | 포르투갈인(러시아계) · 포르투갈계 미국인 · 포르투갈계 브라질인 · 포르투갈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포르투갈계 아르헨티나인 · 포르투갈계 멕시코인 · 포르투갈계 캐나다인 · 포르투갈계 호주인 | |
}}}}}}}}} |
세계의 철도 환경 가나다순 정렬(대한민국 예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대만 | 북한 | |||||
이스라엘 | 일본 | 인도 | 중국 | ||||
동남아시아 | 중앙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유럽 | |||||||
서유럽 | |||||||
네덜란드 | 독일 | 벨기에 | 스위스 | ||||
영국 | 프랑스 | ||||||
북유럽 | |||||||
노르웨이 | 덴마크 | 스웨덴 | 핀란드 | ||||
남유럽 | |||||||
스페인 | 이탈리아 | 포르투갈 | |||||
중·동유럽 | |||||||
러시아 | 루마니아 | 오스트리아 | 폴란드 | ||||
헝가리 | |||||||
오세아니아 | |||||||
뉴질랜드 | 호주 | ||||||
아메리카 | |||||||
미국 | 멕시코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
캐나다 | |||||||
아프리카 | |||||||
모로코 | 이집트 |
파일:Gare do Oriente.jpg |
{{{#fff 포르투갈 철도의 구심점인 [[리스본|{{{#white 리스본}}}]] 오리엔트역 야간 전경}}} |
파일:CP_4010_(49507080241).jpg |
{{{#fff 포르투갈 최고 등급 열차 [[알파 펜둘라르|{{{#white 알파 펜둘라르}}}]]}}} |
1. 개요
포르투갈의 철도 환경을 다룬 문서이다.현재 포르투갈은 2,527km의 철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1,791km가 전철화되어 71% 가량의 전철화 비중을 보이고 있다.
2. 역사
포르투갈의 첫 철도는 1856년 10월 28일 리스본 산타 아폴로니아 역과 교외 카헤가두(Carregado)를 잇는 길이 약 36.5km의 준표준궤(1,440mm) 철도였다. 첫 건설 당시는 영국과 프랑스의 영향으로 표준궤와 호환되는 준표준궤로 건설되었지만, 이후 유일하게 육상 국경을 맞닿은 스페인과의 연결 필요성이 대두되어, 이미 지은 준표준궤 철도를 1860년대 스페인 궤간(1,672mm)[1]과 호환되는 광궤(1,664mm)[2]로 개궤한다.[3]포르투갈의 경부선이라고 할 수 있는 리스본-포르투간 노르트선(Linha do Norte)은 1864년 리스본과 빌라노바드가이아까지 개통하였으나, 전구간 개통은 1877년 에펠이 설계한 도나 마리아 철교가 완성되며 도루강을 건너게 되면서 비로소 이뤄졌다. 이쯤이면 포르투갈 국내 및 스페인과 이어지는 주요 간선 철도망이 완성되었으며, 간선에서 뻗어나가는 광궤 및 1,000mm 미터궤 협궤 지선철도도 우후죽순 지어져 최대 3,621.6km에 달하는 철도망을 갖추게 된다.
1910년 공화국 수립 이후 1926년에는 리스본 카이스 두 소드레 역과 카스카이스간 철도에 1,500V 직류 전철화로 첫 전철이 도입되었고, 1957년 리스본 산타 아폴로니아-엔트롱카멘투 구간을 시작으로 주요 간선의 25kV 50Hz 교류 전철화를 추진해 1966년 노르트선 전 구간이 교류 전철화 되었다. 또한 1959년에는 첫 중전철 도시철도인 리스본 지하철이 개통하였다.
첫 철도 개통 이래 포르투갈 철도는 대부분 민간기업이 운영하였으나, 1974년 4월 25일 일어난 카네이션 혁명의 여파로 이듬해 포르투갈 국내 모든 철도가 국영화된다.
포르투갈은 1986년 EU의 전신인 유럽경제공동체에 가입하면서 지역개발 지원금으로 1990년 약 300km에 불과하던 고속도로가 2000년 약 1,200km, 2007년 약 2,000km로 크게 확대되는 등 도로 교통이 개선되었지만, 반대로 철도는 1980년대 이후 도루강 계곡을 따라 나무가지 갈라져 나가던 협궤 철도와 전국 곳곳의 몇몇 광궤 지선철도가 운행을 중단하면서, 철도 운행구간은 도리어 크게 감소하였다.
1999년에는 펜돌리노를 도입해 고속열차인 알파 펜둘라르 운행을 시작했다.
3. 철도 운영 기관
3.1. 여객열차
- 철도공사(Comboios de Portugal): 약칭 CP. 국영 철도공사로 여객철도 대부분을 운행한다.
- 열차 등급
- Fertagus: 카네이션 혁명 이후 첫 등장한 민영 철도회사로 테주 강을 4월 25일 다리를 건너는 리스본-세투발간 광역철도를 운행한다.
3.2. 화물열차
여객열차의 국제열차 운행이 미미한 데 비해, 화물열차는 대부분 기본적으로 스페인를 넘나들며 운행한다.- Takargo: 2006년 설립한 화물 철도 전문 회사
- Medway: 구 CP 화물 사업 부문이 유로존 위기에 따라 2016년 민영화되어 해운기업 MSC에 매각되며 현 모습을 갖추었다.
3.3. 철도시설
- 인프라공단(Infraestruturas de Portugal, 약칭 IP): 과거 도로관리공단(EP)과 철도관리공단(REFER)을 합쳐 2015년 만들었다.
3.4. 도시 철도
3.4.1. 트램
- 리스본 트램
- 포르투 트램
- 신트라 트램
- MST 경전철[5]
4. 미래
리스본과 포르투를 잇는 300km급 고속철도를 2030년까지 건설을 계획중이다. 해당 노선은 북쪽으로 스페인 비고(Vigo)까지 연장할 계획이 있다.또한 리스본에서 에보라, 엘바스를 거쳐 마드리드로 이어지는 고속철도 또한 일부 구간 건설이 진행중이다.
5. 관련 문서
[1] 6 스페인 피트[2] 5 포르투갈 피트[3] 이후 양국은 1955년 두 궤간의 중간인 1,668mm 이베리아 단일궤간에 합의해 지금까지 이어진다.[4] 과거 리스본과 마드리드, 산 세바스티안(프랑스-스페인 국경)을 잇는 야간 국제열차도 운행하였으나, 2020년 초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운행을 중단한 이후 재개되지 않고 있다. 공동운행하던 스페인 Renfe가 장거리 열차를 고속철도 위주로 운행하며 더이상 야간 장거리 열차 운행에 관심이 없는 것이 운행 재개가 이뤄지지 않는 가장 큰 이유다.[5] 리스본 이남에 위치한 Almada시를 중심으로 운행중인 현대적인 경전철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