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철도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대만 | ||||
중국 | 인도 | 이스라엘 | |||||
동남아시아 (베트남 · 태국) | 중앙아시아 | ||||||
유럽 | |||||||
독일 | 프랑스 | 영국 | 러시아 | ||||
스페인 | 이탈리아 | 스위스 | 오스트리아 | ||||
노르웨이 | 스웨덴 | 덴마크 | 핀란드 | ||||
네덜란드 | 벨기에 | 루마니아 | 헝가리 | ||||
폴란드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
아메리카 |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브라질 | ||||
아르헨티나 | |||||||
아프리카 | |||||||
모로코 | 이집트 |
1. 개요
폴란드의 철도 환경을 다룬 문서이다.폴란드 철도망은 2019년 기준 약 18,510km의 선로로 구성되며, 이 중 11,998km가 전철화되어있다. 26 국가전기통신시스템은 3kV DC이다.
폴란드는 국제철도연맹(UIC) 회원국으로, UIC 국가코드는 51이다.
철도 서비스는 다양한 공공 및 민간 철도 사업자에 의해 운영된다. 국가 소유의 공기업인 PKP(Polskie Koleje Państwowe) 그룹은 대부분의 철도 서비스를 운영한다. PKP 소유 기업 외에도 다수의 민간 화물 사업자와 다수의 독립 여객 사업자가 있으며, 주로 주지방 정부가 소유하고 있다.
2. 철도 일반
3. 수송 기능에 따른 특성
3.1. 여객 철도
3.1.1. 장거리 노선
PKP 그룹이 국내 철도는 물론 독일 방면 국제철도도 운행하고 있다.[1]펜돌리노를 도입하여 수도와 일부 주요 도시를 잇는 준고속철도 격인 EIP가 운영되고 있다. 이와 별개로 신공항 사업과 연계해 고속철도 건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출처 및 계획도 한국 업체들도 해당 사업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
고속철도 문서에 나오듯 발트 3국과 비세그라드 그룹 국가들이 의욕적으로 자기 나라와 폴란드 수도를 잇는 고속철도를 추진하고 있다. 실현되면 폴란드는 유럽의 동서간 환승 거점 국가로 발돋움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