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1 11:19:10

카를 마리아 폰 베버

칼 마리아 폰 베버에서 넘어옴
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 · 기록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고대 메소포타미아 음악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중세 음악 노트르담 악파 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 비트리 · 마쇼
기타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 부르고뉴 악파 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스페인 빅토리아
영국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프랑스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이탈리아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중부 유럽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영국 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 전고전(로코코)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초기 고전파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 전기 낭만​주의 초기 낭만파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오페라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후기 낭만​주의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폴란드
낭만주의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미국
후기 낭만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국민​악파 러시아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중부 유럽 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흐리스토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모니우슈코 파일:폴란드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 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음악
인상주의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신고전주의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제2 빈 악파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 음악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영국 근현대 음악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헝가리 근현대 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폴란드 현대 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 음악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한국 현대 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
<colbgcolor=#AFAFAF><colcolor=#272727> 카를 마리아 폰 베버
Carl Maria von Weber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arl_Maria_von_Weber.jpg
본명 카를 마리아 폰 베버[1]
Carl Maria von Weber
출생 1786년 11월 18일
신성 로마 제국 뤼베크 주교구 오이틴
사망 1826년 6월 5일 (향년 39세)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런던
직업 작곡가
사조 전기 낭만주의
종교 가톨릭

1. 개요2. 생애3. 작곡 특징4. 주요 작품
4.1. 오페라4.2. 교향곡&관현악4.3. 협주곡4.4. 실내악4.5. 기타작품
5. 기타



▲ 오페라 《마탄의 사수》(Der Freischütz) 中 서곡.[2] 연주는 The National Philharmonic of Russia.

[clearfix]

1. 개요

독일의 낭만파 작곡가로, 오페라 '마탄의 사수'로 독일 낭만파의 문을 열었다는 평을 받는다.

2. 생애

베버는 1786년 극단의 음악감독을 맡았던 아버지와 그의 두번째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태어날 때 부터 병약했던 그는 골반에 문제가 있어 4살때까지 걷지 못했다고 한다.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로부터 음악을 배웠지만, 그보다는 아버지를 따라 극단을 구경하며 얻은 극과 음악에 대한 경험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이후 10세 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고, 요제프 하이든의 동생 미하엘 하이든에게 작곡법, 대위법을 배운 후, 13세에 첫 가극을 작곡하면서 작곡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한편 1804년에는 프로이센 왕국 브레슬라우[3] 극장의 악장으로 취임을 하고 지휘 분야에서도 독일 곳곳의 극장들을 전전하면서 활동한다. 한편 20살 때 쯤에 초산을 포도주로 잘못 알고 마셔서 성대가 상해 목소리가 작아져 노래를 부르지 못했다고 한다.

그리고 1811년, 2곡의 클라리넷 협주곡과 바순 협주곡을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1812년에는 교향곡 1번과 피아노 협주곡을, 1813년에는 교향곡 2번을, 1815년에는 호른 협주곡을 연이어 발표하였고, 1819년에는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무도에의 권유'를 발표한다. 그러나 이것은 시작에 불과했으니….

1821년, 그가 작곡하여 베를린에서 초연한 오페라 '마탄의 사수'는 대성공을 거두고, 내용과 음악 모두 혁신을 보여 이후 낭만파 음악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같은 해에 발표한 '피아노 협주 작품 F단조'역시 호평을 받고, 이후 협주 작품(Konzertstück)라는 형식을 많은 작곡가들이 사용한다.

그러나, 이어 발표한 오페라 '오이리안테'는 흥행이 영 좋지 못 하였고, 이로 인한 충격으로 지병인 결핵이 악화되었다. 이후 런던에서 다시 의뢰가 들어와 그의 마지막 오페라 '오베론'을 작곡하지만, 초연 준비 중 극장 관계자와의 마찰이 심하였고 이로인해 건강은 더더욱 악화되어 4월 12일 초연을 마친 후 그곳에서 6월 5일에 세상을 뜬다.[4] 이때 나이는 겨우 39세였다.

3. 작곡 특징

고전기와 낭만파의 중간 시기에 위치한 작곡가로 음악 성향도 고전기와 낭만주의의 특징이 섞여 있다. 초기에는 대체로 고전파 양식에 충실한 작품을 남겼으나 1810년대 중반 이후의 작품에서는 낭만주의적인 성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베버는 오페라 작곡가로 특히 유명한데 그의 이름을 유럽 전역에 알린 출세작이 바로 오페라 마탄의 사수였다. 39살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는 바람에 많은 수의 오페라를 남기지는 못했으나[5] 마탄의 사수를 비롯한 그의 오페라는 독일 낭만주의 오페라의 효시격인 작품들로 인정받고 있으며 모차르트에서 시작되어 바그너로 이어지는 독일오페라의 계보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기악분야에서도 나름의 업적을 남겼는데 특히 피아노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법을 가진 작품들을 많이 발표했고(그의 콘체르트스튀크와 무도회의 권유, F단조 피아노 협주곡이 유명하다) 무도회의 권유와 같은 작품을 통해 표제 음악의 길을 개척하기도 했다. 다만 특정 악기를 위한 레퍼토리 확충이라는 면에서 보자면 피아노곡보다 클라리넷을 위한 작품, 특히 두 개의 클라리넷 협주곡이 더 중요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 주요 작품

4.1. 오페라

오베론 서곡오베론 중 "Sieh, die Meermädchen!... O wie wogt es sich schön"
마탄의 사수 중 Jägerchor오이리안테 서곡

4.2. 교향곡&관현악

교향곡 1번

4.3. 협주곡

피아노 협주 작품 F단조바순 협주곡 F장조
클라리넷 협주곡 1번 F단조클라리넷 협주곡 2번 E플랫장조

4.4. 실내악

4.5. 기타작품

무도에의 권유피아노 소나타 Op.39

5. 기타

루트비히 판 베토벤과 친구였다. 베토벤보다 16살이나 어렸으나 나이를 넘어 꽤 친한 사이였다. 베버는 베토벤의 집을 방문했을 때 방 안이 온통 악보와 옷으로 어질러져 있었지만 테이블에는 악보 용지 한 장과 끓는 커피가 있었다고 증언했다. 베토벤의 교향곡 7번을 듣고 "베토벤이 드디어 미쳤군!"이라고 외쳤다는 일화는 잠시 접어두자

베토벤과 잠깐 사귀기도 했던 아말리 제발트는 베버와도 매우 친했던 소프라노 가수였다.[11]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부인인 콘스탄체 베버와 사촌지간이다.


[1] 정식 이름은 '카를 마리아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폰 베버'이다.[2] 한글 찬송가에는 이 선율이 "내 주여 뜻대로" 로 차용되기도 하였다. 개신교 신자라면 아마도 익숙한 선율일 것이다.[3] Breslau, 2차 대전 이후 오데르-나이세 선이 그어지면서 슐레지엔 지방이 폴란드로 넘어가 현재는 브로츠와프(Wrocław)라는 폴란드어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중앙역에서 구시가지로 들어가는 길목에 자리잡은 고등학교 건물 벽면에 베버 기념판이 세워져 있는 등 폴란드로 도시가 완전히 넘어간 상황에서도 베버의 흔적을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건 아니다.[4] 오베론은 초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초연 자체는 대성공이었다. 하지만 베버는 이런 인기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죽었다.[5] 원숙기에 씌어진 오페라는 '마탄의 사수', '오이리안테', '오베론' 3곡이다. 이전에도 몇 곡의 오페라를 남겼으나 거의 연주되지 않는다.[6] 미완성작. 후에 구스타프 말러가 완성한다.[7] 서곡과 6곡으로 구성[8] 원래 '화려한 론도'라는 피아노 독주곡으로, 결혼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베버의 아내에게 헌정한 이후 엑토르 베를리오즈가 관현악곡으로 편곡하면서 현재 통용되는 제목으로 바꾸었다. 이 곡은 수미상관의 요소가 있기 때문에 후반부의 가짜 엔딩에 절대로 낚이면 안 된다. 음악사적으로 베버의 이 작품은 '춤곡이 아닌 왈츠'의 효시로써 쇼팽의 왈츠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고, 이후에도 실제 왈츠를 추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운 '연주회용 왈츠곡'들이 대거 작곡되었다. 또한 헨젤트, 타우지히의 피아노 독주, 고도프스키의 피아노 2연탄 편성의 편곡도 남아 있다.[9] 워털루 전투승리 기념 헌정곡이다.[10] 마지막 4악장 론도가 무궁동 형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11] 물론 연인이 아니라 음악적인 동지로 친했다. 베버는 캐롤라인 브란트라는 다른 소프라노 가수와 결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