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02:37:09

카밀로 토레스 레스트레포


현대 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중세 신학 근세 및 근대 신학 현대 신학
종교 사회주의 <colbgcolor=#fafafa,#191919>블룸하르트 · 라가츠
종교사학파 궁켈 · 바이스 · 트뢸치 · 오토
근본주의 신학 워필드 · 반틸 · 쉐퍼
사회복음 스트롱
과정신학 화이트헤드 · 드샤르댕 · 하츠혼 ·
무교회주의 우치무라 · 김교신
은사주의 시모어 · 와그너 · 윔버 · 오순절주의 (오중복음과 삼중축복)
신정통주의 불트만 · 바르트 · 틸리히 · 브루너 · 니부어 · 김재준 · 본회퍼
현대 정치신학 슈미트 · 메츠 · 몰트만 · 요더
신가르멜 신비신학 슈타인
기독교 불가지론 웨더헤드
누벨 테올로지 뤼박 · 라너 · 콩가르 · 다니엘루 · 폰 발타사르 · 스힐레벡스 · 라칭거 ·
보편사 신학 판넨베르크
아나키즘 신학 엘륄
해방신학 구티에레스 · 레스트레포 · 보프 · 소브리노 · 웨스트
신복음주의 헨리 · 그레이엄 · 스토트
현대 철학적 신학 리쾨르 · 지라르 · 테일러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스윈번 · 바티모 · 크레이그 · 코피치
과학신학 토렌스 · 폴킹혼 · 워드 · 맥그래스
세속화 신학 콕스
신자유주의 신학 · 스퐁 · 보그 · 민중신학
후기자유주의 신학 린드벡 · 하우어워스
사신신학 니체 · 프라이스 · 지젝
공공신학 마티 · 볼프
페미니즘 신학 데일리
종교사회학 버거
고전정통주의 오든 · 윌리암스
흑인신학
그리스도 신화론 프라이스
킹 제임스 성경 유일주의 럭크만 }}}}}}}}}}}}
<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카밀로 토레스 레스트레포
Camilo Torres Restrepo
파일:카밀로 토레스 레스트레포.png
본명 호르헤 카밀로 토레스 레스트레포
Jorge Camilo Torres Restrepo
출생 1929년 2월 3일
콜롬비아 보고타 라 칸델라리아 인근 지역[1]
사망 1966년 2월 15일 (향년 37세)
콜롬비아 산탄데르 산비센테데추쿠리[2]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콜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콜롬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가족 칼리스토 토레스 우마냐 (부)
이사벨 레스트레포 가비리아 (모)
페르난도 토레스 레스트레포 (형)
학력 리세오 데 세르반테스 고등학교
로사리오 대학교 (퇴학)
콜롬비아 국립대학교 (중퇴·법학과)
보고타 공의회 신학교(1946~1953년)
루벤대학교(졸업·사회학·석사[3])
종교 가톨릭 (세례명: 카밀로)
직업 신부(성직자), 사회학자, 게릴라
소속 민족해방군(ELN)

1. 개요2. 생애
2.1. 초기2.2. 왼쪽으로 기울어지다2.3. 연합전선 활동2.4. 게릴라 활동과 사망
3. 사상과 평가4. 여담5. 어록6. 참고 문헌

1. 개요

파일:camilo-torres-restrepo.jpg
Si Jesús viviera, sería guerrillero.
만약 예수께서 살아 계셨다면 그분은 게릴라가 되셨을 것이다.
레스트레포의 발언.[4]
콜롬비아의 신부. 신부이자 동시에 마르크스주의자인 기독교 공산주의자였다.

2. 생애

2.1. 초기

카밀로 토레스 레스트레포는 1929년 2월 3일 라 칸델라리아의 명문 의사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자유주의 성향의 부유한 부르주아 가문 출신이었고, 생후 첫 몇 달을 부모님이 소유한 호화로운 리츠 호텔에 딸린 아파트에서 보냈다. 1931년, 토레스 박사가 국제연맹 콜롬비아 대표로 임명되자 그들은 스위스 제네바로 이주했다. 이사벨은 일시적인 별거로 인해 첫 번째 결혼에서 낳은 두 자녀, 게르다와 에드가 베스텐돌프, 그리고 토레스 레스트레포 형제 페르난도와 카밀로는 바르셀로나에 살았다. 1937년 그의 부모의 결혼생활이 파탄나자 그는 그의 어머니와 함께 보고타 외곽의 라 그란하(La Granja)라는 낙농장으로 이사했다.

1946년 세르반테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47년 1학기에는 법학 공부를 시작하기 위해 콜롬비아 국립 대학교에 입학했으며 한 학기만 수강했다. 어느 날, 2명의 도미니코회 성소(聖召)[5] 홍보자와 접촉한 이후로 그는 산토 토마스 공동체의 수도자가 되기로 결심했다. 그의 부모는 그의 결정에 반대했지만, 그의 의지가 너무 커서 결국 1947년 9월 카밀로가 보고타 공의회 신학교에 입학하는 것을 허락하고 만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사회문제와 현실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재학 동안 콜롬비아의 사회적 불평등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급우 구스타보 페레스와 함께 사회학 동아리를 만들었다. 이 그룹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국가의 사회 현실에 대해 배우고 가장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었다. 수년에 걸쳐 그는 자신을 사회과학자로 정의 내리게 된다. 1954년 그의 스승인 하나단 고메스(Hanathan Gómez) 주교로부터 사제서품을 받은 후, 다음 날 세르반테스 고등학교 경당에서 첫 미사를 집전했다.

2.2. 왼쪽으로 기울어지다

1955년 벨기에루뱅 가톨릭 대학교에서 사회학을 공부하기 위해 미국 뉴욕을 경유하여 유학을 떠났다. 그러다 우연히 옛 동창인 구스타보도 만나게 된다. 그는 이 시기 유럽에서 유행하던 기독교 민주주의, 사회학 이론, 생디칼리즘, 기독교 노동 운동마르크스주의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억압받는 계층을 위한 직접 행동을 시작했고, 콜롬비아로 돌아와서 이러한 사상에 기반한 연구와 교육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서유럽 대부분 국가에 위원회를 둔 콜롬비아 사회경제 연구팀(ECTSA)을 설립했고, 라틴 아메리카 대학의 부총장을 역임했다. 그는 라틴 아메리카 학생 활동에도 참여하여 파리의 빈민가를 직접 방문했다. 파리의 알제리 저항 단체와도 교류했다. 카밀로 토레스는 벨기에프랑스에서 노동자 사제들의 활동을 직접 보고 공유하며 광산 노동자들을 방문하면서 '마르크스주의 사회 분석이 기독교의 이상과 양립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1958년 그는 “Una aproximación estadística a la realidad socioeconómica de Bogotá”[6]이라는 저서로 사회학자 학위를 취득하였고, 1959년에 보고타로 돌아와 미국에서 3개월을 보내며 미니애폴리스 대학교에서 사회학 과정을 수강했다. 1959년 1월 콜롬비아에 도착하여 국립대학교의 교목으로 임명되었고, 새로 설립된 사회학과의 교수로 활동했다. 올랜도 팔스 보르다(Orlando Fals Borda)와 함께 1960년에 사회학부를 설립하고 교수가 되었다. 학사 논문으로 시작된 사회학 연구를 통해 도시와 농촌의 사회구조에 모두 익숙해졌고, 그는 지역사회 진흥을 위한 대학 운동(MUNIPROC)을 설립하여 툰주엘리토(Tunjuelito) 지역과 같은 보고타의 인기 있는 노동계급 지역에서 연구 및 사회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유럽에서 강세를 보였던 해방신학 운동 사회진보주의적 가톨릭 운동에 끌렸고, 이로 인해 그의 사상은 더욱 탄력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그의 급진적인 신념은 높으신 분들의 눈에 띄게 되었다. 토레스의 사회운동가와 마르크스주의자들과 함께 일하려는 의지는 그의 장상(長上)들을 불안하게 했고, 1961년에 카밀로의 활동을 호의적으로 보지 않은 루이스 콘차 코르도바 추기경과 문제를 일으키기 시작했다. 상황은 날이 갈수록 심각해졌고, 고위 성직자들은 그에게 성무(聖務), 학문적 업무, 국립대학교의 행정직을 중단하게 했다.

이 시기에 카밀로 토레스는 새로 설립된 농업개혁연구소(INCORA) 이사회에 임명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여러 당국과 갈등을 빚으며 농무부의 정책을 비판했다. 하지만 이 특권적인 지위를 통해 그는 콜롬비아 농민들이 직면한 여러 문제를 깨달았을 뿐만 아니라, 관료주의와 정부의 포교 활동에 대해서도 매우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그 무렵, 카밀로 토레스는 공공행정대학(ESAP) 사회행정연구소 학장으로 임명되었고, 1965년 4월 말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교황청의 압력에 못 이겨 그는 1965년 5월 22일 루뱅으로 가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기로 결정했다. 1962년에 초안된 그의 논문은 오스카 루이스의 사례를 따라 이주민의 도시 환경 동화를 연구하고 보고타에 사는 10가구의 농민 경험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었다. 그러나 토레스는 이 여행을 떠나지 않고 지적 추구보다는 무장 투쟁의 길을 택했다. 그는 바로 폭력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마지막 심층 사회학 논문인 『농촌 지역의 폭력과 사회문화적 영역』(1963)을 집필했다. 이 논문은 제1차 전국 사회학 대회에서 발표되었으며, 그는 폭력이 사회 변화의 중요한 요인이라고 주장했다. 카밀로 토레스는 지속적인 교육 활동과 국가의 가장 시급한 문제들에 대한 집중을 통해 점차 급진화되었다. 1962년 8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라틴아메리카 주교협의회(CELATIN) 설립을 앞둔 회의에서 그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새로운 사회를 위해 싸우고 있으며, 따라서 기독교인들도 그들과 함께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2.3. 연합전선 활동

고위 사제들은 그에게 사제로서의 의무와 세속적 관심사 중에서 선택하라고 명령했고, 결국 1965년 6월 24일 추기경으로부터 공식적으로 면직(laicization) 처분을 받았다. 그는 사제직을 내려놓고 새로운 좌파 연합인 연합전선(Frente Unido)를 출범시켰다. 연합전선은 콜롬비아의 양당 독점 체제인 국민전선(Frente Nacional)에 맞서 전통 정당에 속하지 않은 모든 콜롬비아인의 연대를 목표로 한 대중 정치운동이었다. 연합전선의 이념은 급진적이면서도 종교적인 색채가 짙었다. 토레스는 의회 참여를 넘어서 “토지·자원·산업의 국유화”, “무상교육·무상의료 확대”, “부자에 대한 징벌적 과세” 등을 요구하며, 쿠바식 사회주의 모델을 이상으로 제시했다. 특히 “혁명 없는 해방은 없다”는 슬로건 아래, 정당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정당한 수단에 따른 무력 사용도 불가피하다고 주장함으로써 해방신학과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결합했다. 토레스는 1965년 5월 22일 학생 집회에서 연합전선의 강령을 발표한 뒤, 곧바로 ‘comandos’라 부르는 지역 지부 조직을 전국에 설치했다. 각 지부는 노동조합·농민조합·학생회·여성단체·실업자 모임 등 다양한 계층으로 구성되었고, 토레스 자신은 일주일에 수십 회에 걸쳐 연설, 토론회를 열며 지지를 호소했다. 이와 병행해 매주 발행된 주간지 Frente Unido를 통해 “기독교인에게 보내는 메시지”, “공산주의자에게 보내는 메시지”, “군인에게 보내는 메시지” 등 대상별 선전물을 배포했고, 1965년 여름에는 호수와 도시 광장을 메우는 250만 명 규모의 집회가 열리기도 했다.

그러나 1965년 말로 갈수록 연합전선 내부에서는 공산주의자기독교 민주주의자 간 이념 갈등이 심화되었다. 당초 자유당·보수당이 장악한 의회가 아닌, 민중 스스로의 권력 탈환을 목표로 했으나, 카밀로의 정치성향이 마르크스-레닌주의로 기울고 선거는 올리가르히 사무실에서 결정된다는 토레스의 선언과 함께 의회 불참, 과격 혁명의 길로 선회했다. 결국 기독교민주주의 진영이 대거 이탈했고, 정부의 탄압과 경찰 폭력도 잦아졌다.

2.4. 게릴라 활동과 사망

1966년 1월 7일, 게릴라 조직 중 쿠바의 모델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조직인 콜롬비아의 민족해방군(ELN)에 합류하게 되며, 혁명가로써의 삶을 선택한다. 그의 무장투쟁 활동은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 1966년 첫 전투에 참가한 그는 콜롬비아 산탄데르 파티오세멘토(Patiocemento) 전투에서 군인의 소총을 탈취하려다 그의 어린 시절 친구였던 알바로 발렌시아 토바르(Álvaro Valencia Tovar) 대령이 이끄는 제5여단에게 37세의 나이로 사망하게 된다. 전투에서 전사한 그의 무덤은 41년 동안 미스터리로 남았는데, 당시 대령이었던 알바로 발렌시아 토바르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그의 매장지를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장군이 사망하자 그의 유해가 군 영묘에 안치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BBC 기사에 따르면, 시신은 2016년 1월 25일 산탄데르 주의 주도인 부카라망가 제5여단의 군 묘지에서 발굴되었다. 몇 년 후, 장군으로 은퇴한 발렌시아 토바르는 『카밀로의 마지막』(El final de Camilo) 이라는 책을 썼는데, 책에서 카밀로 토레스의 죽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밝혔다. 발렌시아 토바르에 따르면, 토레스는 군 영묘에 묻혔고, 유해를 가족에게 인도하는 절차도 마련되었다고 한다. 미국에 거주하던 그의 형이자 의사였던 페르난도 토레스 레스트레포는 동생의 사망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카밀로 토레스의 사상은 좌파 정치 운동과 무장 게릴라 단체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민족해방군(ELN)나 콜롬비아 무장혁명군(FARC), 인민혁명군, 4월 19일 운동 같은 단체의 얼굴마담이 되었다. 여러 학교와 동네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

3. 사상과 평가

토레스는 매우 중요한 인물이었으며, 시기와 죽음이 매우 비슷한 체 게바라의 평행 인물이었다.”
엔리케 두셀(Enrique Dussel)[8]
“He was ‘the Che Guevara of Catholics’.”
“그는 ‘가톨릭계의 체 게바라’였다.”
월터 조 브로데릭(Walter Joe Broderick)[9]

카밀로 토레스 레스트레포는 가톨릭 신부이자 마르크스주의 혁명가로서, 로마 가톨릭교회와 혁명적 사회주의를 조화시키려는 초기 형태의 라틴아메리카 해방신학의 선구자였다. 그는 새로운 기독교를 통해 교회가 사회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어 가난한 다수에게 권력을 이양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러한 사상은 이후 ‘카밀리즘(Camilism)’이라 불리며 몬토네로스 등 여러 혁명 조직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저작과 활동은 기독교인이 사랑을 실현하는 유일한 효과적이고 광범위한 방법은 혁명이라는 명제로 요약되며, 이는 해방신학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그는 가톨릭신학마르크스주의를 긴밀히 결합함으로써, 전통 신학이 간과해온 구조적 폭력(structural violence)을 해명하고자 했다. 그는 기독교 인본주의 운동의 산물로서 마르크스주의적 인본주의를 긍정적으로 수용했으며, 이를 통해 농민, 노동자, 빈민의 억압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특히 1964년 발표된 글에서는 “경제적 계획은 다수의 정치적 압력 없이는 불가능하며, 국가가 생산수단을 장악해야만 구조적 변혁이 실현된다”고 설파했다. 그는 삶으로의 신학(theology of lived experience)을 강조했다. 콜롬비아 농촌의 폭력을 단순 치안 불안이 아니라 민중이 고립을 넘어 국가적 연대의식을 획득하는 역사적 과정으로 분석한 그의 논문 “Violence and Socio-cultural Change in Rural Colombia”는, 사회학과 신학을 결합한 실천적 접근의 전형으로 꼽힌다. 이러한 현장 중심 연구는 그가 그리스도인의 반응은 자선이나 선언에 머물지 않고, 억압받는 사람들과 함께 ‘육화(incarnation)’되어야 한다라고 주장한 근거가 되었다.

토레스는 전통적 ‘정의의 전쟁(jus ad bellum)’ 교리를 혁명에 적용함으로써, 무장투쟁을 윤리적으로 정당화했다. 그는 “정의로운 사회를 위해서는 상황에 따라 무력 사용도 불가피하다”고 보았고, 이는 교회가 종종 묵인해온 경제적 착취라는 ‘보이지 않는 폭력’에 대한 반성에서 비롯되었다. 레오나르도 보프(Leonardo Boff) 등에 따르면, 토레스의 시도는 올바른 신앙(orthopraxis)이 올바른 교리(orthodoxy)에 우선해야 한다는 해방신학의 핵심 원칙과 궤를 같이한다. 이처럼 토레스 사상의 중심에는 ‘혁명적 사랑(revolutionary love)’이 있다. 그는 “초자연적 사랑은 모든 위험을 감수하라고 요구하며, 이는 혁명을 통해야만 완성된다”고 주장했다. 프랑스 신학자 조르주 카살리스는 이를 두고 라틴아메리카의 디트리히 본회퍼에 비견했고, 토레스의 삶을 ‘전기적 신학’의 전범으로 삼았다. 그러나 그의 사상은 비판도 받았다. 일부 평론가들은 토레스가 자본주의 분석을 단순화한 채 무장투쟁에만 치중했다고 지적하며, 경제구조의 복합성을 간과했다고 비판한다.

한편, 그의 급진적 사회운동은 전통적 정치·종교 권력으로부터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1965년 가톨릭교회로부터 면직 처분을 받았고, 콜롬비아 정부로부터는 수배와 탄압을 당했다. 결국 그는 교회를 떠나 ELN(국가해방군)에 합류하였다가 첫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이후 해방신학 진영에서는 순교자적 희생으로 기념되고 있다.

학문적으로도 토레스의 신학과 사회학은 비판적·실천적 관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대학의 밀턴 누녜스-코바(Milton Núñez-Coba)는 토레스의 ‘유효적 사랑(efficacious love)’ 개념이 억압·폭력의 맥락에서 “정의와 평화를 모색·구축·지속하는 신학적·윤리적 기초”를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또한, 라팜스 쿼터리(Lapham’s Quarterly)의 기고에서 그를 “기독교와 혁명 간의 긴장을 구현한 대표적 사례”로 조망하며, 기독교인도 혁명적 실천을 통해 참된 신앙을 드러낼 수 있음을 보여준 인물로 꼽았다. 실천은 1968년 메데인 회의에서 해방신학 교리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오늘날까지도 가난한 이들의 해방을 위한 신앙적, 정치적 행동이 무엇인지를 묻는 기준점으로 자리하고 있다.

4. 여담

5. 어록

“인간의 결정에 대한 궁극적인 기준은 초자연적 사랑이다. 나는 그 사랑이 요구할 모든 위험을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다.”[10]
“인간 희생보다 고귀한 전통은 없다. 내가 말하는 것은 고대의 잔인한 의식이 아니다. 내가 말하는 것은 타인을 위해 영웅적으로 자신을 바치는 것이다.”[11]
“The Catholic who is not a revolutionary is living in mortal sin.”
“혁명적이지 않은 가톨릭 신자는 치명적인 죄를 짓고 있는 것이다.”[12]
"el deber de todo cristiano es ser revolucionario, y el deber de todo revolucionario es hacer la revolución"
"모든 기독교인의 의무는 혁명가가 되는 것이고, 모든 혁명가의 의무는 혁명을 일으키는 것이다"[13]
“예를 들어 스파르타쿠스는 노예제도와 살육을 종식시키고자 했으며, 검투사 경기장에서 자신이 죽기 전에 서둘러야만 했다. 성공하기 위해 그는 자신을 죽이려는 자들을 처단해야 했다. 그는 정치적 불의를 완전히 없애기를 바랐고, 그러기 위해 모든 부당한 자들을 제거해야 한다고 느꼈다. 로베스피에르도 마찬가지로 정치적 불의를 완전히 제거하기를 희망했으며, 그를 위해 부당한 자들을 모두 없애야 한다고 믿었다. 경제적 착취가 불의의 진정한 원인이라고 여긴 레닌과 트로츠키는 이를 영속시키려는 강자들을 모두 제거해야만 한다고 생각했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 후계자 스탈린이 자의적 숙청을 자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그럼에도, 그들의 모든 잘못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세계가 더 나아졌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과연 누구인가? 노예였던 적이 없는 사람만이 스파르타쿠스를 비난할 수 있고, 정치적으로 무시당해 본 적 없는 사람만이 로베스피에르를 비난할 수 있으며, 한 번도 굶주림을 겪어본 적 없는 사람만이 레닌을 비난할 수 있다."
Revolutionary Priest, The Complete Writings and Messages of Camilo Torres by John Gerassi (1971)

6. 참고 문헌


[1] #[2] San Vicente de Chucurí[3] “Una aproximación estadística a la realidad socioeconómica de Bogotá”[4] #[5] 하느님의 부르심. 성직자, 수도자, 결혼생활, 독신 평신도, 직업 등등 다양하며, 모든 사람에게는 각자의 성소가 있다고 한다. 좁은 의미로서의 성소는 성직자나 수도자의 길을 의미한다.[6] "보고타의 사회경제적 현실에 대한 통계적 근사"[7] #[8] #[9] #[10] #[11] #[12] #[13] #[14] 박사 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