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20:14:33

손연재

체조요정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radius: 8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0px; border-color: #0A2740; background:#fdbc48""
파일:손연재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10px; color: #ffffff; min-width: 33.3%"
{{{#!folding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 선수 경력 평가 수상 내역 사건 사고
방송 광고 여담
}}}}}}}}} ||

손연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한국인이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04년 한국갤럽이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인이 좋아하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한국인이 좋아하는 조사 시리즈를 기획해 2004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하고 있다.
2004년
※ 200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이승엽 박찬호 안정환 박세리 홍명보
6위 7위 8위 공동 9위
허재 박지성 차범근 이종범 선동열
2009년
※ 200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박지성 김연아 이승엽 박태환 박찬호
6위 공동 7위 10위
김태균 이용대 이종범 박세리 안정환
2014년
※ 201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박지성 류현진 손연재 박태환
공동 6위 공동 8위 10위
손흥민 이승엽 추신수 박찬호 기성용
2019년
※ 2019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를 선정.
{{{#!wiki style="margin: -16px -11px" 1위 2위 3위 4위 공동 5위
손흥민 류현진 김연아 박지성 추신수 이대호 }}}
7위 공동 8위 공동 10위
박찬호 기성용 차범근 이승엽 이동국
2024년
※ 2024년 한국갤럽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한국인이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를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손흥민 이강인 류현진 김연아 김연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6위 공동 7위 9위 공동 10위
김민재 박지성 이정후 박세리 김하성 박찬호 }}}
같이 보기: 한국인이 존경하는 인물, 좋아하는 스포츠 선수, 좋아하는 소설가, 좋아하는 탤런트, 좋아하는 영화배우, 좋아하는 가수, 좋아하는 노래, 좋아하는 예능인, 좋아하는 유튜버
}}}}}}}}} ||

파일:포브스(기업) 로고 화이트.svg
포브스 코리아 선정 파워 셀러브리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위 - 10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포브스 코리아는 2009년부터 매년 대한민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유명인의 직업적 성취, 미디어 노출, 소셜 미디어 인기도, TV 출연 및 지난해 수입에 따라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인'를 선정하고 있다.
2020년대 이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9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BIGBANG 원더걸스 이효리 소녀시대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지성 이승엽 유재석 김태희
2010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소녀시대 박지성 이병헌 BIGBANG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고현정 이승기 이효리 유재석 강호동
2011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박지성 김연아 이승기 2PM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유재석 이청용 2AM 추신수 강호동
2012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BIGBANG 아이유 카라 김연아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박지성 김태희 비스트 박태환
2013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싸이 소녀시대 손연재 김수현 BIGBANG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태환 송중기 아이유 김연아 SUPER JUNIOR
2014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BIGBANG 수지 류현진 EXO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추신수 동방신기 SHINee 김연아 아이유
2015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EXO 김수현 김연아 전지현 손연재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류현진 손흥민 소녀시대 씨스타
2016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EXO 유아인 혜리 소녀시대 김수현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BIGBANG 박인비 전지현 아이유 강정호
2017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박보검 송중기 TWICE EXO 방탄소년단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수지 송혜교 김유정 조정석 오승환
2018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Wanna One TWICE EXO 아이유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송혜교 송중기 박보검 김연아 류현진
2019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BLACKPINK 방탄소년단 Wanna One 강다니엘 Red Velvet
<rowcolor=#fff> 5위 7위 8위 9위 10위
박나래 홍진영 한지민 손흥민 EXO
}}}}}}}}} ||
2020년대 이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20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류현진 BLACKPINK 손흥민 봉준호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전현무 박나래 이수근 TWICE 김희철
2021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BLACKPINK 류현진 손흥민 임영웅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김광현 유재석 영탁 정동원 장윤정
2022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BLACKPINK 손흥민 류현진 이찬원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임영웅 윤여정 유재석 장민호
2023년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손흥민 BLACKPINK 송중기 유재석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임영웅 손석구 장민호 장윤정 영탁
}}}}}}}}} ||
}}}}}}}}} ||

파일:한국갤럽 CI_White.svg
올해를 빛낸 스포츠 선수 1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2007년부터 매년 한국갤럽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올해를 빛낸 스포츠선수'를 선정한다. 그중 1위만 기록한다.
{{{#!wiki style="margin: -16px -11px"<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김연아 박태환 }}}
<rowcolor=#FFFFFF> 2011
2012
2013
2014
2015
박지성 손연재 류현진 손연재 손흥민
<rowcolor=#FFFFFF> 2016
2017
2018
2019
2020
손연재 손흥민
<rowcolor=#FFFFFF> 2021
2022
2023
2024
2025
손흥민
}}}}}}}}} ||


<colbgcolor=#fdbc48><colcolor=#ffffff> 손연재
孫延在|Son Yeonjae
파일:545333_458393_1416.jpg
출생 1994년 5월 28일 ([age(1994-05-28)]세)
서울특별시 성동구 군자동
(現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밀양 손씨
학력 세종초등학교 (졸업)
광장중학교 (졸업)
세종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스포츠레저학 / 학사)
신체 165cm, 52kg, 235mm, AB형
소속 더시드컴퍼니, 리프스튜디오
가족 아버지 손동수(1963년생)
어머니 윤현숙(1968년생)[1]
배우자 이준효(1985년생)[2]
아들 이준연(2024년 2월 16일생)[3]
반려견 두부(말티즈)
서명 파일:손연재 싸인.svg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Threads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평가
3.1. 장점3.2. 단점3.3. 음악성3.4. 종목별 특징
3.4.1. 곤봉3.4.2. 공3.4.3. 리본3.4.4. 후프
4. 수상 기록5. 논란 및 사건사고6. 방송 출연7. 광고8. 여담
8.1. 기타8.2.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리듬체조 선수이다. 2012 런던 올림픽 개인 종합 5위와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개인 종합 4위를 기록했다.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손연재/선수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

3.1. 장점

장점으로는 (1)난도 사이 연결 흐름의 자연스러움, (2)음악적인 표현의 성숙함, (3)신체난도와 수구난도의 조화, (4)견고한 피봇(회전난도)이었다.

전성기라고 할 수 있는 2011~2012 올림픽 시즌 루틴을 보면 본인의 장점 덕에 난도의 조화가 가장 크게 두드러진다. 2009~2012 시즌은 12개의 신체난도를 구사해야 했고 특히 유연성 난도의 비중이 가장 커서 벡밴드를 포함 유연성을 요구하는 난도들을 여러 번 구사해야 난도점수를 따내는데 유리했다. 반면 상대적으로 수구조작의 비중은 낮았고, 당시 선수들을 보면 의외로 수구난도는 빈약한 반면 신체난도 위주로 루틴을 따오는 경향이 컸다. 반면 손연재의 경우, 벡밴드 애티튜드턴 2회전, 벡밴드 아라베스크 턴과 같은 벡밴드를 요구하는 피봇과, 체스트 밸런스와 같은 유연성 난도, 벡밴드 스태그 턴립등 신체난도와 더불어, 수구별로 당시 기준으로는 다채로운 수구조작들을 조화롭게 선보였다. 이는 이후 2013~2016 시즌까지 선수가 국제대회에서 선전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음악적 표현도 섬세하게 이뤄졌다. 물론 후술된 단점처럼 손연재의 연기는 멜리티나 스타니우타나 알리나 막시멘코처럼 다이나믹하지는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서정적이고 부드러운 음악을 표현하는 것으로 보완하였다. 실제로 표정 연기에 많은 공을 들였으며, 특히 음악적 표현 요소를 강조한 2013~2016 시즌에선 댄스 스텝에서 팔의 움직임이 매우 섬세한 것을 볼 수 있다. 매트 커버리지도 준수했었다.

난도 사이의 연결동작도 매끄러웠다. 비슷한 시기 다른 한국 선수들(이다애, 천송이 등)을 보면 수구난도(마스터리)를 수행하는데 잠깐 멈춰있거나 머뭇거리는 듯한 모습들이 보이는 반면, 손연재의 경우 주저없이 수구를 던지고 받았다. 실제로 시야 밖으로 수구를 던지거나, 손이 아닌 신체부위로 수구를 던지거나 받기, 축회전을 동반하기, 블라인드 캐치 등의 고난이도 기준을 충족했다.

마지막으로 피봇이 견고하고 3회전 이상의 회전이 가능했다. 특히 팡셰턴은 4회전, 애티튜드 턴은 3회전, 포에테 피봇은 10회전, 벡밴드 애티튜드 턴은 2회전을 구사했다. 이는 2013~2016 시즌 난도 기준으로 차례대로, 1점, 0.9점, 2점, 0.8점에 해당한다. 총 10점 난도로 루틴을 구성해야 했던 당시의 채점제에선 3회전 이상의 피봇을 여러번 구사할 수 있는 선수들이 의외로 안정적으로 난도점수를 얻었는데, 손연재는 이러한 특징들로 채점제에서 비교적 잘 적응할 수 있었다.

3.2. 단점

단점으로는 (1)지나친 수구의 안정성, (2)유연성 부족, (3)마스터리 난도의 아쉬움이 있었다.

공과 후프에서는 비교적 강세를 보였으며 특히 후프 조작에서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반면 곤봉에서는 조작의 어려움을 보였다. 2013~2016 채점제에서도 유독 곤봉에서는 마스터리의 비중이 적은 편이었으며, 리본도 엉키거나 신체에 닿는 등 리본의 조작에 실수를 많이 보였다. 2013 세계선수권, 2014 세계선수권에서도 리본에서의 크고 작은 실수들로 다른 수구에 비해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2015 세계선수권에선 리본에서 너무 많은 실수를 하여 개인종합 11위에 머물렀다. 공은 비교적 무난했으나 시야 밖에서 수구를 조작하는 마스터리 난도의 경우 종종 놓치는 실수를 보이곤 했다. 2014 세계선수권에서 마스터리 실수,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개인종합 결선에서 리스크 실수, 2015 세계선수권 개인종합 결선에서 마스터리 실수가 이에 해당한다.

선수시절 허리 부상, 발가락 부상들 크고 작은 부상들에 시달렸다. 이러한 부상의 여파로 시니어 초반과 달리 벡밴드를 요구하는 동작들을 구사하지 못했다. 2014 시즌까지만 해도 모든 루틴에 벡밴드 애티튜드 턴 2회전을 구사했으나 720도를 정확하게 돌지 못했고 실시에서 감점 요인이 되다 보니 이를 애티튜드 턴 3회전에 웨이브를 추가하여 0.9+0.1을 포함한 1점의 점수를 받아가는 것으로 대체하였다. 특히 턴립 시리즈 점프를 포함 링점프 등에서 벡밴드 요소를 넣지 않았다.

그리고 2013~2016 시즌부턴 수구의 독창적인 활용, 수구의 숙련요소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패러다임이 바뀌었는데 공과 후프에 비해 곤봉과 리본에선 비교적 마스터리 구사에 어려움을 겼었다. 특히 곤봉에서는 발로 곤봉을 던지고 축회전하여 받는 마스터리 난도외에는 불안정한 요소를 보였다. 한손으로 두 개의 곤봉을 받는 마스터리 난도, 곤봉을 던지고 캐치하는 시점에서 곤봉을 동시에 떨어트려 되받는 마스터리 난도도 꾸준히 루틴에 포함시켰으나 실전에서의 잦은 실수로 규모가 큰 국제대회에서는 번번히 빼버리는 상황이 발생했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곤봉 루틴에서도 마스터리 난도 1개를 구사했다. 리본의 경우, 리본으로 나선형 패턴을 유지하면서 바닥에서 회전하는 마스터리 난도를 꾸준히 선보였으며, 2013 시즌, 2014 시즌에선 발로 리본을 던진 후 리본의 위치를 바꾸는 마스터리 난도, 2015 시즌에선 발로 리본을 멀리 던진후 되받는 부메랑 마스터리 난도를 선보였으나 이후에 생략하였다.

3.3. 음악성

클래식, 재즈, 왈츠 음악풍의 OST 음악을 주로 사용했으며 가끔 이국적인 색채의 음악도 선곡했다. 그에 따른 안무와 표정 댄스스텝을 구성했다.

3.4. 종목별 특징

3.4.1. 곤봉

파일:손연재 곤봉 연기.gif
곤봉 2개를 머리 위에 올리고 댄스 스텝을 하거나, 곤봉 1개를 던진 후 곤봉이 떨어질 것 같은 위치에 다른 곤봉을 떨어뜨린 다음 곤봉 2개를 동시에 발로 밟는 기술을 자주 선보였다.

3.4.2.

파일:손연재 볼 연기.gif
공을 높이 던지고 뒤를 돌아보지 않은 채 바닥에서 튕겨나오는 공을 팔과 등 사이로 잡는 기술(블라인드 캐치)을 선보였었다. 팬들 사이에서는 이를 우스갯소리로 '하하 난도'라고 불렀다. 무한도전 손연재 특집에서 손연재의 이 기술을 하하가 따라했는데, "이거 웬만한 선수들도 잘 못해요"라는 손연재의 말이 무색하게 한 번의 시도로 성공했기 때문이다. '하하가 할 수 있는 난도'라는 뜻으로 '하하 난도'라고 했다. 2011-2012년도 공 루틴이 동일했는데 똑같이 루틴 마지막에 선보인 수구 난도(마스터리 난도)가 이것이다. 예브게니야 카나예바도 2012년 공 루틴에서 이 난도를 구사했다.

이외에도 공을 던진 후 팔을 뒤로 올려서 목과 팔 사이로 받아내거나, 공을 던진 후 매트를 구르고 양 다리 사이로 공을 받는 리스크 난도를 구사했다. 팬들은 이를 또 우스갯소리로 '혜빈 난도'라고 불렀는데, 손연재가 주니어 유망주였던 시절 출연한 방송에서 전혜빈이 한 번의 시도로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는 2016년도 은퇴할 때까지 계속 루틴에서 구사했다.

또한 발등에 공을 올리고 뒤로 물구나무를 서서 공을 움켜쥔 다리를 바꾸는 마스터리 난도를 많이 선보였다. 2012년에는 이 기술에다 다리만을 움직여 공의 위치를 바꾸기도 했다. 이 기술도 2016년까지 계속 구사하였다. 그 외에도 2015년 한정으로 공을 높게 던진 후 다리 사이로 공을 캐치하거나, 프론트 스플릿 밸런스 상태에서 어깨선을 따라 공을 굴리는 난도도 구사하였다.

3.4.3. 리본

파일:손연재 리본.gif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댄스 스텝 도중 팔꿈치로 리본대를 조작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2015년부터는 오른팔에서 등선을 따라 리본대를 굴리고 리본을 보지 않고 캐치하는 마스터리 난도를 선보였다.

3.4.4. 후프

파일:20160120141921_anigif22222.gif
본인이 가장 자신 있다고 말한 종목이었으며, 현역 시절 후프에서 메달을 종종 따왔다. 후프를 높이 던지고 점프하여 후프를 통과하는 기술과, 연속 립을 시도하면서 후프를 발에 걸어 착지함과 동시에 발목 사이로 후프를 돌리는 마스터리 난도를 구사했었다. 곤봉이나 공과 달리 실수없이 무난하게 루틴을 잘 소화해냈다. 후프를 허리에 돌리면서 포에테 피봇과 애티튜드 피봇을 돌았다. 또 팡셰 턴을 할 때는 후프를 목에다 걸고 돌렸다. 리스크로는 후프를 높게 던지고 후프를 통과하면서 수구를 받는 등 후프 조작은 안정적으로 구사했다.

4. 수상 기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손연재/수상 기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세계선수권
동메달 2014 이즈미르 후프
아시안 게임
<colbgcolor=#FFD700> 금메달 2014 인천 종합
은메달 2014 인천 단체전
동메달 2010 광저우 종합
아시아선수권
금메달 2013 타슈켄트 종합
곤봉
후프
2015 제천 종합
후프
2016 타슈켄트 종합
곤봉
리본
후프
은메달 2013 타슈켄트 단체전
리본
2015 제천 단체전
동메달 리본
유니버시아드
금메달 2015 광주 종합
후프
은메달 2013 카잔
2015 광주 곤봉
리본

5. 논란 및 사건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손연재/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방송 출연

파일:마이 리틀 텔레비전 로고.svg 파일:MBC 로고.svg 마이 리틀 텔레비전 역대 우승자
MLT-35 MLT-36 MLT-37 ~ 38
No. 084
인실.KIM
No. 085
콩까남
No. 086
콩진호
No. 088
꿀연재
No. 089
허당닥터
옵세닥터
김가연
임요환
홍진호
손연재 홍혜걸
여에스더

7. 광고

8. 여담

8.1. 기타

8.2.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디시인사이드에 여타 스타 선수들과 마찬가지로 손연재 갤러리가 존재한다. 네이버와 다음에도 팬 카페가 있지만 회원 수도 5,000명 미만이고 올라오는 게시물 수도 적다. 리듬체조를 사랑하는 사람들 중엔 손연재 팬보다는 안티들이 더 많지만, 리듬체조에 대해 관심도 자체는 높은 편이다. 특히 고난도 기술을 예술적으로 소화하는 다른 국내/해외 선수에 대하여 호의적인 입장을 취하는 양상을 띄고 있다. 특히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안나 리잣디노바에 대하여 호감을 보여준다.[4]

[1] 외동딸이다.[2] 금융인 겸 기업인이다. 바클리스 투자은행에서 근무했으며 현재는 율리시스캐피탈 코리아(한국지사)의 대표다.[3] 2023년 8월 20일 JTBC 뉴스룸 인터뷰에서 최초로 밝혔다.[4] 일부는 손연재를 '전갤주(前 갤러리 주인)' 등으로 피휘하여 부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