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Widescreen Baroque아주 복잡하고 장대한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 작품들을 뜻하는 용어로, 영국의 사이언스 픽션 작가이자 비평가 브라이언 W. 올디스가 만든 용어다. 올디스는 찰스 L. 하네스(Charles L. Harness)의 소설 《패러독스 맨》(The Paradox Men)의 1964년판 서문에서 이러한 장르에 대해 처음으로 언급했다.
Their plots are elaborate and generally preposterous, their inhabitants have short names and short lives. They traffic as readily in the impossible as the possible. They obey a dictionary definition of baroque; which is to say that they have a bold and exuberant rather than a fine style, they are eccentric, and sometimes degenerate into extravagance. They like a wide screen, with space and possibly time travel as props, and at least the whole solar system as their setting.
그리고 1973년 SF 비평서 《10억년의 잔치》(Billion Year Spree)에서 에드워드 E. 스미스와 A. E. 밴보트가 SF 장르에 끼친 영향에 대해 논하면서 "와이드스크린 바로크"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다. 시간과 공간이 정신없이 바뀌고 초인적인 주인공이 등장하며 최소한 태양계의 운명을 걸고 모험을 하는 '바로크적인'―바꿔 말해서, 화려하고 복잡하고 기괴한 스페이스 오페라를 가리킨다.[1] 올디스의 SF 비평서 《10억년의 잔치》에 기인한 조어이며, 주로 영어권의 SF 평론과 일본의 SF 팬덤에서만 드물게 쓰이는 정도이다.2. 주요 작품
2.1. 소설
- 에드워드 E. 스미스 《렌즈맨 시리즈》 - 1937
- A. E. 밴보트 《The World of Null-A》 - 1948
- 찰스 L. 하네스 《The Paradox Men》 - 1949
- A. E. 밴보트 《스페이스 비글》 - 1950
- 알프리드 베스터 《타이거! 타이거!》 - 1956
- 새뮤얼 딜레이니 《바벨-17》 - 1966, 《노바》 - 1968
- 배링턴 J. 베일리 《Collision Course》 - 1973
- 크리스 보이스 《Catchworld》 - 1975
- 이언 뱅크스 《컬처 시리즈》 - 1987
- 피터 F. 해밀턴 《The Night's Dawn Trilogy》 1996-99
- 얼라스테어 레널즈 《Revelation Space Universe》 2000-
- M. 존 해리슨 《Light》 - 2002
2.2. 웹소설
- 광악 - 무한전생-스페이스 니트
- havock - 함장에서 제독까지
- 드림캐스터 - 킬 더 에일리언
- 원티드 - 피자 타이거 스파게티 드래곤
2.3. 라이트 노벨
- 모리오카 히로유키 - 성계 시리즈
- 카야타 스나코 - 스칼렛 위저드
- 칸자카 하지메 - 로스트 유니버스
- 미시마 요무 - 나는 성간 국가의 악덕 영주!
- 아즈마 류노스케 - 에이룬 라스트 코드
- 사사키 이치로 - 이코노클라스트!
- unlock - 울티메이트 크로스
2.4. 만화
- 존 F. 딜&딕 칼킨스 - 벅 로저스
2.5. 웹툰
2.6. 애니메이션
2.7. 드라마
2.8. 특촬물
2.9. 영화
2.10. 게임
- 세가 - 판타시 스타 시리즈
3. 기타
와이드스크린 바로크와 관련된 표현으로는 키친싱크(kitchen-sink) SF와 주로 사이버펑크와 관련해서 쓰이는 인포덤프(info dump)가 있는데, 전자는 장르의 오만가지 요소를 한데 몰아넣은 SF라는 뜻이며, 후자는 현기증이 날 정도로 대량의 (과학기술) 정보나 용어를 문장 안에 쓸어넣는 경향을 의미한다.《10억년의 잔치》가 1980년 일본어로 번역되면서, 일본 SF 팬덤에서도 "와이드스크린 바로크"라는 용어가 쓰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그 의미가 확장되며 미묘하게 바뀌었는데, 일본식 와이드스크린 바로크는 스페이스 오페라에 국한되지 않고 "아찔할 만큼 온갖 아이디어를 쓸어 박은" SF 작품을 가리키며, 상술한 키친싱크 SF의
소녀☆가극 레뷰 스타라이트 애니메이션에선 와(일)드 스크린 바로크로 이름이 바뀌어서 오마주되었다.
4. 외부 링크
- 영어 위키백과 Widescreen baroque
- 일본어 위키백과 ワイドスクリーン・バロック
- SF 백과사전 Widescreen Baroque
- 와이드스크린 바로크 재논의(Wide-screen Baroque Revisi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