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18:57:04

영신여객(서울)

영신여객자동차에서 넘어옴
파일:강북구 CI.svg 서울특별시 강북구 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시내버스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마을버스 드림운수 미봉운수 미향운수 복지운수
수유운수 인수운수 하이상운 화계운수
사라진 버스 회사
시내버스[a] 동아버스 동아여객
[a] 과거 동아운수의 계열사로 존재했다가 흡수 합병된 회사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 ||
영신여객자동차 주식회사
榮信旅客自動車 株式會社
Youngsin Transportation Co., Ltd.
설립일 1966년 6월 14일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박성동
주요 주주 마대준: 34.07%
마대영: 24.99%
(2023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소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164명(2023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5,510만원(2023년 기준)
매출액 147억 3,089만 6,890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7,025만 3,272원(2023년 기준)
순이익 1억 3,884만 2,658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40억 1,237만 3,273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15억 5,593만 6,477원(2023년 기준)
부채비율 63.34%(2023년 기준)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173길 22 (우이동)

1. 개요2. 차고지3. 운행 노선
3.1. 폐선되거나 공동 배차에서 철수한 노선3.2.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개편 전 운행 노선
4. 면허 체계
4.1. 타 회사 출신 면허
5. 보유차량
5.1. 현재 보유차량5.2. 과거 보유차량
6. 지배구조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영신1167번_개선형저상.png 파일:서울_120번.png
지선버스
1167번
간선버스
120번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에 본사를 두고 있는 소규모 버스 회사다.

부산의 동명 회사와는 달리 전통적으로 현대자동차를 주로 출고해 왔으며[1], 소수의 아시아자동차(P9AMC, AM818 등)도 존재했으나, 모두 대차되어 현재는 현대버스만 존재한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업체중 가장 마지막까지 디젤 차량[2]을 운행했던 회사였다. 2014년 11월부로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유로6 차량으로 대차되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차내 곳곳 및 안내방송 등에 성경 구절을 껴 집어 넣어[3], 비개신교인들로부터는 까인 적이 있었다.[4] 알려진 카더라 중 하나는 개신교인만 채용한다는 이야기도 솔솔 오갔다. 실제로 어떤 불자 버스 동호인이 1166번의 한 기사에게서 개신교를 믿으라고 설교당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관련 글

마을버스 업체에서 전환한 업체를 제외하면 초저상버스가 전혀 없는 몇 안 되는 업체였으나, 2015년 10월에 첫 초저상버스가 투입되었다.[5]

차고지에 가스 충전소가 없는 관계로 쌍문운수 차고지에서 충전한다.[6]

우이동에는 총 4개의 회사가 있다. 선일교통, 동아운수, 삼양교통, 영신여객인데 동아운수와 선일교통은 차고지가 넓지만 나머지 영신과 삼양은 차고지가 매우 협소하다. 이때는 새벽에 지원운행하는 할렐루야기도원 셔틀노선의 코스를 이용해 할렐루야기도원 주차장에 주박하거나, 도선사입구 앞에 있는 주차장에 주박한다.

요즘은 과거 동아운수처럼 범퍼에 원톤으로 초록색이나 파란색으로 도색한다. 개선형 차량들 중 일부는 전방 유리 밑 검은 베젤에도 도색하기도 한다.

전광판은 싸인텔레콤을 사용하지만 2015년식은 컴텔싸인으로 설치하였다. 2015년식만 컴텔싸인이고 2016년부터는 다시 싸인텔레콤.

2010년대까지만 해도 차량 관리를 잘 하는 회사로 꼽혔으나 2020년대 이후 구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고상형(특히 손잡이)은 F/L 이전 부품을 재활용해 짬뽕으로 운행하는 것이 많으며 하차벨이나 시트도 섞여 있는 경우도 종종 볼 수가 있다.[7]

2. 차고지

3. 운행 노선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109 우이동 덕성여대 - 화계사입구 - 삼양동사거리 - 길음뉴타운 - 성신여대입구역 - 혜화역 - 안국역 광화문 8~12
120 덕성여대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사거리역 - 월곡역 - 돌곶이역 - 외대앞 - 청량리역 → 경동시장 → 동대문구청 → 제기동역 제기동 5~7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1167 우이동 연산군.정의공주묘 - 방학2동주민센터 - 방학역 - 노원역 - 중계구민체육센터 은행사거리 8~13

3.1. 폐선되거나 공동 배차에서 철수한 노선

3.2.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개편 전 운행 노선

4. 면허 체계

4.1. 타 회사 출신 면허

5. 보유차량

5.1. 현재 보유차량

5.1.1. 현대자동차

5.2. 과거 보유차량

5.2.1. 현대자동차

5.2.2. 기아

6. 지배구조

2023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마대준
34.07%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마대영
24.99%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마대종
24.99%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김선희
15.91% 감사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자사주
0.04%

7.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colcolor=#fff> 강남구 도선여객 정평운수
강동구 서울승합
강북구 동아운수 선일교통 삼양교통
영신여객 한성운수
강서구 공항버스 김포교통 다모아자동차
영인운수 정평운수
관악구 관악교통 보성운수 한남여객운수
광진구 신흥운수
구로구 군포교통 보성운수 서울매일버스
금천구 범일운수 보영운수 신인운수
노원구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진아교통 태릉교통
도봉구 서울교통네트웍 아진교통
마포구 다모아자동차 유성운수
서대문구 서부운수 신촌교통 원버스
현대교통
서초구 대흥교통 삼성여객 우신운수
우신버스
성동구 태진운수 대원교통 대원여객
성북구 대진여객 도원교통 상진운수
송파구 남성버스 동성교통 대성운수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
한국brt 한서교통
양천구 관악교통 도원교통 세풍운수
신길교통 양천운수 중부운수
은평구 보광교통 신수교통 선진운수
원버스 유성운수 제일교통
종로구 동해운수
중랑구 경성여객 대원교통 메트로버스
보광운수 북부운수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동대문구 동작구 영등포구 용산구
범례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흥안운수 계열사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KD 운송그룹 계열사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



[1] 서울의 영신여객은 창립 이래 지금까지 자일대우버스를 단 한대도 뽑지 않았으며 인수분으로도 운행한 적이 없다.[2] 소형차로 다녔던 구 5538번은 제외. 당시 기존 디젤차의 기본 내구연한인 9년을 굴리고 대차했다. 천연가스버스 의무화를 처음에는 기존 디젤버스까지 조기교체시키는 방향으로 시행하였으나 행당동 버스 폭발사고를 계기로 남은 디젤차는 다시 정식 내구연한까지 사용이 가능해지고 이후 구매하는 차량부터 디젤 출고를 금지하는 것으로 완화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3] 차내 곳곳에 성경 구절을 껴 집어 넣은 업체로는 김포교통, 舊 화곡교통, 舊 신진운수와 수도권 업체로는 경기운수의 전신인 舊 세진버스도 있었다. 현재는 마을버스 회사인 연성운수가 있지만 나오는 차도 있고 없는 차도 있다. 간혹 드물게 차내 곳곳에 성경 구절이 아닌 명언이나 속담, 고사성어 등을 껴 집어 넣은 업체도 있는데 서울버스가 대표적이었다.[4] 게다가 종점과 가까운 곳에 도선사가 있다. 즉, 불교 신자들도 이 버스를 많이 이용한다는 것.[5] 문단의 전환된 업체들이라면 성원여객, 보광운수, 원버스, 정평운수처럼 마을버스 출신이였다가 전환된 업체들을 말하는 것이다. 아무래도 대다수 노선들의 태생이 마을버스인지라 도로 사정도 영 나쁘고, 회사의 규모도 영세한 편이라서 초저상버스는 커녕 대형버스를 투입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도 일반 업체로 2차 전환된 양천운수를 시작으로 전환업체도 초저상버스나 대형차량을 속속 출고하여 최종적으로 초저상버스가 아예 없는 회사는 유일하게 선일교통만이 남게 되었다.[6] 동아운수 소속 차량들 외에 우이동 충전소를 이용하는 업체는 삼양교통 뿐이다. 그나마 삼양교통도 우이동 충전소의 용량 사정을 인지하는지(당장 동아운수의 노선인 121번마저도 요즘에는 우이동에서 충전하는 것 대신 서울숲까지 편도운행을 한 직후 태진운수 성수동 소속 차량이나 신흥운수 자양동 소속 차량들처럼 서울숲 충전소에서 충전을 하기도 한다.) 쌍문운수 차고지나 도봉공영차고지로 가는 경우가 많다. 쌍문운수도 상당히 많은 회사들(상기한 4개 회사 외에도 인수운수, 청록운수 포함)의 원정 충전을 커버 중이다.[7] 검빨시트 짬뽕도 있다.[8] 삼양교통의 본사와 찰싹 붙어있고, 큰길인 삼양로에서 아래로 조금만 더 내려가면 동아운수의 우이동 영업소도 있기 때문에 이 3개 회사들 소속 거의 모든 기사들이 회사 가릴 것 없이 손인사를 하는 경향이 있다. 소수의 기사들은 조금 거리가 있긴 하지만 선일교통 기사들과도 손인사를 하기도 한다.[9] 개편 후 동대문으로 단축하고 동아운수에 이관되어 서울 버스 101로 운행했으나 노선과다중복으로 오면 타는 존재였다. 하지만 한국brt 100번이 폐선되고, 종암로~종로구간을 물려받았고 현재는 오히려 아진교통 2-1번 대체노선에 가깝다.[10] 개편 후 1219번으로 운행했으나, 긴 배차간격과 수요부족으로 삼양동, 수유역으로 노선변경을 하였으나 결국은 서울 버스 1166으로 변경되고, 월곡동~청량리 구간은 서울 버스 1226이 대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