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16:49:30

애슬레틱스

OAK에서 넘어옴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5년에 대한 내용은 애슬레틱스/2025년 문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애슬레틱스/2025년#s-|]]번 문단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애슬레틱스/2025년#|]] 부분을
#!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001840><tablebgcolor=#001840>
파일:MLB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colcolor=#FFFFFF> 동부 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로고.svg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로고.svg 파일:뉴욕 메츠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로고.svg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로고.svg파일:워싱턴 내셔널스 화이트 로고.svg
중부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파일:신시내티 레즈 로고.svg파일:신시내티 레즈 화이트 로고.svg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로고.svg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로고.svg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화이트 로고.svg
서부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고.svg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콜로라도 로키스 엠블럼.svg파일:콜로라도 로키스 로고.svg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svg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로고.svg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고.svg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동부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로고.svg 파일:뉴욕 양키스 로고.svg파일:뉴욕 양키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탬파베이 레이스 로고.svg파일:탬파베이 레이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중부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로고.svg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모자 로고.svg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svg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로고.svg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svg파일:미네소타 트윈스 화이트 로고.svg
서부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로고.svg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svg파일:텍사스 레인저스 화이트 로고.sv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3831> 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애슬레틱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3831><colcolor=#fff> 구단 기본 정보 GAP | 새크라멘토 시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주요 인물 구단주 존 J. 피셔 | 사장 데이브 카발 | 경영부사장 빌리 빈 | 단장 데이비드 포스트 | 감독 마크 캇세이
월드시리즈 우승
★★★★★★★★★
1910 | 1911 | 1913 | 1929 | 1930 | 1972 | 1973 | 1974 | 1989
구단 역사 정보 구단 역사 | 애슬레틱스 명예의 전당 | 역대 1라운더 | 역대 감독 | 역대 단장 | 머니볼 | 영화 머니볼
역대 연고지 필라델피아(1901~1954) | 캔자스시티(1955~1967) | 오클랜드(1968~2024) | 연고지 이전 과정
구단 주요 정보 선수단 | 유망주 순위
문서가 있는 역대 시즌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현재 시즌 2025년
영구결번 9 레지 잭슨 · 24 리키 헨더슨 · 27 캣피시 헌터 · 34 롤리 핑거스 · 34 데이브 스튜어트 · 43 데니스 애커슬리
경기장 관련 정보 수터 헬스 파크
산하 마이너 구단 파일: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 엠블럼.svg 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 / AAA | 파일:미들랜드 락하운즈 엠블럼.svg 미들랜드 락하운즈 / AA | 파일:랜싱 러그너츠 엠블럼.svg 랜싱 러그너츠 / A+
파일:스톡턴 포츠 엠블럼.svg 스톡턴 포츠 / A |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 ACL 애슬레틱스 / Rk |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 DSL 애슬레틱스 / Drk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
}}}}}}}}} ||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colbgcolor=#003831><colcolor=#ffffff> 애슬레틱스
Athletics
창단 1901년([age(1901-01-01)]주년)
연고지 캘리포니아 새크라멘토
연고지 변천 필라델피아 (1901~1954)
캔자스시티 (1955~1967)
오클랜드 (1968~2024)
새크라멘토 (2025~2027)[1]
라스베이거스 (2028~)[예정]
구단명 변천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Philadelphia Athletics, 1901~1954)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Kansas City Athletics, 1955~1967)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Oakland Athletics, 1968~2024)
애슬레틱스 (Athletics, 2025~2027)[3]
소속 변천 아메리칸 리그 (1901~)
- 서부 지구 (1969~)
홈구장 변천 콜럼비아 파크 (Columbia Park, 1901~1908)
샤이브 파크 (Shibe Park, 1909~1954)[4]
뮤니시펄 스타디움 (Municipal Stadium, 1955~1967)[5]
링센트럴 콜리세움 (RingCentral Coliseum, 1968~2024)[6]
수터 헬스 파크 (Sutter Health Park, 2025~2027)
애슬레틱스 스타디움 (Athletics Stadium, 2028~)[예정]
구단주 존 J. 피셔 (John J. Fisher)
사장 데이브 카발 (Dave Kaval)
수석 고문 빌리 빈 (Billy Beane)
단장 데이비드 포스트 (David Forst)
감독 마크 캇세이 (Mark Kotsay)
로컬 경기 중계 NBC Sports California
공식 링크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약칭 ATH
월드 시리즈 우승 (9회)
1910, 1911, 1913, 1929, 1930, 1972, 1973, 1974, 1989
아메리칸 리그 우승 (15회)
1902, 1905, 1910, 1911, 1913, 1914, 1929, 1930, 1931, 1972, 1973, 1974, 1988, 1989, 1990
지구 우승 (17회)
1971, 1972, 1973, 1974, 1975, 1981[8], 1988, 1989, 1990, 1992, 2000, 2002, 2003, 2006, 2012, 2013, 2020
와일드 카드 (4회)
2001, 2014, 2018, 2019
포스트시즌 진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831> 월드 시리즈 1905년, 1910년, 1911년, 1913년, 1914년, 1929년, 1930년, 1931년, 1972년, 1973년, 1974년, 1988년, 1989년, 1990년
챔피언십 시리즈 1971년, 1972년, 1973년, 1974년, 1975년, 1981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2년, 2006년
디비전 시리즈 1981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6년, 2012년, 2013년, 2020년
와일드카드 시리즈(게임) 2014년, 2018년, 2019년, 2020년 }}}}}}}}}}}}
팀 컬러 / 유니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팀 컬러
켈리 그린 금색 흰색
유니폼
파일:Athletics_Cap_1993.png 파일:Athletics_Cap_2018.png 파일:Athletics_Home_Jersey_2021.jpg 파일:Athletics_Away_Jersey_2021.jpg
<rowcolor=#003831> Cap1 Cap2 Home Away
파일:Athletics_Alternate1_Jersey_2021.jpg 파일:Athletics_Alternate2_Jersey_2021.jpg 파일:Athletics_Alternate3_Jersey_2021.jpg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
<rowcolor=#003831> Alt1 Alt2 Alt3 }}}}}}}}}}}}
월드 시리즈 우승 연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1f2024,#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10년 / 1911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1909
피츠버그 파이리츠
<colbgcolor=#efb21e><colcolor=#003831>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1912
보스턴 레드삭스
1913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1912
보스턴 레드삭스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1914
보스턴 브레이브스
1929년 / 1930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1928
뉴욕 양키스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1931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1972년 / 1973년 / 1974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1971
피츠버그 파이리츠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75
신시내티 레즈
1989년 월드 시리즈 우승팀
1988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1990
신시내티 레즈
}}}}}}}}}}}}
프랜차이즈 팀 기록
최고 승률 .704 - (1931년 152경기 107승 45패)
최다 승 107승 - (1931년 152경기 107승 45패)
최다 패 117패 - (1916년 153경기 36승 117패)
최다 관중 2,900,217명 - 1990년
최고 계약 $67,000,000 - 2025년 루이스 세베리노
1. 개요2. 역사3. 특징4. 여담5. 유니폼6. 홈 구장7. 영구 결번
7.1. 애슬레틱스 명예의 전당7.2. 주요 상 수상자7.3. 역대 주요 지표 선두
8. 역대 감독9. 역대 프런트
9.1. 구단주9.2. 단장
10. 계약 중인 마이너 리그 구단
10.1. 트리플 A10.2. 더블 A10.3. 하이 싱글 A10.4. 싱글 A10.5. 루키
11. 1라운드 지명선수12. 유망주 순위13. 40인 로스터 목록14. 관련 링크15. 둘러보기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아메리칸 리그 서부 지구 소속의 프로 야구단. 연고지는 캘리포니아새크라멘토. 구단명은 필라델피아 애슬레틱 클럽에서 유래하였으며 약자는 A's(에이스)이다.

통산 월드 시리즈 9회 우승에 빛나는 명문팀이지만, 의외로 정규시즌 성적은 좋지 않다. 2025년 기준 통산 승률 5할 이하(0.488)이다. 한때는 슈퍼스타 군단으로 군림하던 때도 있었지만, 1990년대 중반부터 구단주가 예산을 줄인 이후 스몰마켓으로 운영되고 있다.[9] 하지만 저예산임에도 MLB에서 가장 유명한 단장이었던 빌리 빈(1998~2015년 단장 역임, 現 수석 고문) 체제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올렸던 것으로 유명하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애슬레틱스/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슬레틱스/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슬레틱스/역사#|]][[애슬레틱스/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연고지 이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애슬레틱스/연고지 이전 과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슬레틱스/연고지 이전 과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슬레틱스/연고지 이전 과정#|]][[애슬레틱스/연고지 이전 과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특징

3.1. 라이벌리

3.1.1.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사실 현지 베이 에어리어에서는 오클랜드와 샌프란시스코 두 팀을 모두 좋아하는 경우가 많지만(리그가 다르기에) 과거 연고지 이전하기 전 각각 필라델피아와 뉴욕을 연고지로 하고 있을 때 밑에 언급되지만 자이언츠가 '너네가 이기는 건 흰코끼리보다 더 드물다.'라고 도발하자 당시 빡친 애슬레틱스가 흰코끼리를 정식 마스코트로 쓰면서 월드시리즈에서 관광태우는 등 악연은 두 팀이 이웃지역에 위치하기 전부터 있었다. 구장과 연고지 문제에 나와있듯이 여전히 쭉 사이가 나쁘다. 자이언츠는 같은 지구 숙적 다저스와 인터리그로 만나는 양키스를 주적으로 삼고 있지만 텃세 및 여러 이유를 내세우며 애슬레틱스를 가난한 구단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만들고 있는 원인을 제공하는지라 애슬레틱스 팬들은 달갑지 않게 여긴다.[10] 한마디로 애슬레틱스 입장에서는 같은 지구 텍사스와 에인절스를 제외한 앙숙을 한팀 꼽으라면 자이언츠다.
애슬레틱스 - 자이언츠 라이벌리

3.1.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같은 아메리칸리그 서부 지구라 자주 만나고, 에인절스는 캘리포니아 남부, 오클랜드는 북부라 지역감정까지 겹쳤으며, 오클랜드가 지구 우승을 할 때는 레인저스의 승수 조공도 작용해 에인절스가 이를 갈고 있다. 2014 시즌에는 오클랜드의 추락에는 에인절스에게 연속적으로 털린 것도 작용했다.
에인절스 - 애슬레틱스 라이벌리

3.1.3. 텍사스 레인저스

텍사스가 리빌딩에 성공하며 2009년부터 본격적인 강호로서 도약을 하지만 같은 지구 오클랜드에게 몇 번이나 지구 우승을 내주고, 선두 경쟁 때마다 자주 부딪치는지라 자연스럽게 지구 라이벌 구도가 세워졌다.

3.2. 마스코트

파일:attachment/athletics_alt.gif

코끼리를 팀의 마스코트로 사용하고 있다.[11] 뉴욕 자이언츠의 감독이던 존 맥그로는 이 팀을 '흰 코끼리'라고 놀렸다가[12] 이 말을 듣고 당시 감독 겸 구단주 코니 맥[13]이 아예 흰 코끼리를 마스코트로 삼고 월드시리즈에 자이언츠를 상대로 승리해버렸다. 이후로 코끼리를 팀 마스코트로 사용하고 있다. 이름은 Stomper. 이후 찰리 핀리가 구단주로 취임한 이후에는 잠시 찰리-0-뮬(Charlie O the mule)이라는 마스코트를 사용한적이 있는데. 이유는 정치적 문제 때문인데. 코끼리가 현 미국 공화당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후 월터 A. 하스가 코끼리를 다시 부활시키고 찰리-0-뮬은 결국 핀리의 흑역사로 남게 되었다.

해당 글에는 캔자스 시티 애슬레틱스 시절에 쓰인 마스코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는 글로 참고할 수 있다.

4. 여담

5. 유니폼

유니폼의 디자인은 조금씩 달라지기는 했지만 기본적인 컬러링은 약 40년 넘게 유지 중.[24] 유니폼과 같은 색 배열인 모자는 인기가 많다. 팀을 인수한 찰리 핀리[25]가 골수 아일랜드계 이민자의 후손이었기 때문에 아일랜드의 상징 색인 초록색을 팀 컬러로 정한 이후로 이렇게 됐다. 그리고 90년대 후반부터는 아예 바지 밑단을 스타킹이 안 보이게 내리거나 무릎까지 끌어 올리고 종아리를 전부 감싸는 스타킹이 유행이라 잘 보이지 않지만, 스타킹 밑에 신는 양말은 샛노란 색이다. 80년대 이전 이 팀의 자료화면 사진을 보면 초록색의 끈형 스타킹 밑으로 누런 색 양말이 부조화를 더하고 있다.

파일:external/www1.pictures.gi.zimbio.com/Oakland+Athletics+v+Hanshin+Tigers+Preseason+JnD_Lp6sbn9l.jpg

80년대의 유니폼은 다음과 같다. 사진은 1989년 월드시리즈 우승 당시 사진. 바지 밑의 노란 양말이 인상적이다. 참고로 지금도 선수들은 스타킹 밑에 저 색 양말을 신고 있다. http://brad.photoshelter.com/image/I0000b2HK13nTd7w

6. 홈 구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터 헬스 파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터 헬스 파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수터 헬스 파크#|]][[수터 헬스 파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영구 결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3831> 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애슬레틱스
영구결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CCAC00> No.9 No.24 No.27 No.34
레지 잭슨 리키 헨더슨 캣피시 헌터 롤리 핑거스
<rowcolor=#CCAC00> No.34 No.42 No.43
데이브 스튜어트 재키 로빈슨 데니스 에커슬리
}}}}}}}}} ||

필라델피아 시절(1901~1954)에도 레프티 그로브, 코니 맥, 지미 폭스, 알 시몬스 같은 명예의 전당 인물이 있지만 너무 옛일이고 멀리 떨어진 동네 일이기도 해서 결번으로 기념하지는 않고 애슬레틱스 프랜차이즈의 한 역사로만 남았다. 그래서 영구 결번된 선수는 모두 오클랜드 시절(1968년 이후) 선수. 그리고 역대 우승 감독이 모두 영구 결번 대상에서 배제된 것도 특징.

9. 레지 잭슨(Reggie Jackson): 통산 563홈런을 자랑하는 강타자. 오클랜드와 뉴욕 양키스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하고 월드시리즈 MVP가 되었던 선수이자 두 구단에서 모두 영구 결번된 명예의 전당 외야수. 별명도 10월의 사나이(Mr.October). 팀 소속 기간은 (1967-1975, 1987[26])

24. 리키 헨더슨(Rickey Henderson):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상 최고의 1번 타자. 통산 최다 도루 기록 보유자. (1979-1984, 1989-1993,1994-1995, 1998[27])

27. 캣피시 헌터(Catfish Hunter): 1960년대 말~70년대 초반을 풍미한 이닝 이터 에이스. 오클랜드의 월드시리즈 3연패를 이끈 후, 뉴욕 양키스로 건너가 1977, 78년 2연패에 공헌했지만 지나친 혹사로 일찍 무너진 선수이기도 하다. 메이저리그 명예의 전당 멤버. (1965-1974)

34.(공동)
42. 재키 로빈슨(Jackie Robinson): 전 구단 영구 결번.

43. 데니스 에커슬리(Dennis Eckersley): 통산 197승 390세이브를 기록한 1이닝 마무리의 원조. 1992년 사이영상과 리그 MVP를 동시에 수상했는데, 2011년 저스틴 벌랜더가 수상하기 이전까지 투수로서는 마지막 기록이다. HoFer이자, 1980년대 후반 오클랜드의 전성기 주역. (1987-1995)

월터 A. 하스(Walter A. Haas Jr.): 미국 재계에서는 리바이 스트라우스(리바이스) CEO로 유명하지만, 팀에서는 1980년대 팀의 구단주로 애정을 아끼지 않고 투자를 해서 팀을 강호로 만든 업적을 기려 따로 기념하고 있다. 콜리세움 우측 펜스에는 하스의 이름이 들어간 유니폼이 붙어있다.

7.1. 애슬레틱스 명예의 전당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3831> 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애슬레틱스
명예의 전당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18년 헌액된 인물
<rowcolor=#003831> 등번호 이름 포지션 활동 기간
43 데니스 에커슬리 투수 1987~1995
32,38, 34 롤리 핑거스 투수 1968~1976
39, 35, 22, 24 리키 헨더슨 좌익수 1979~1984
1989~1993
1994~1995
1998
27 캣피시 헌터 투수 1965~1974
9, 44 레지 잭슨 우익수 1967~1975
1987
34, 35 데이브 스튜어트 투수 1986~1992
1995
- 찰리 핀리 구단주
단장
1960~1981
2019년 헌액된 인물
<rowcolor=#003831> 등번호 이름 포지션 활동 기간
10, 11, 22, 29, 42 토니 라 루사 내야수
감독
1963
1968~1971
1986~1995
14, 17, 21, 28, 35 바이다 블루 투수 1969~1977
19 버트 캄파네리스 유격수 1964~1976
25 마크 맥과이어 1루수 1986~1997
- 월터 A. 하스 주니어 구단주 1981~1995
2021년 헌액된 인물
<rowcolor=#003831> 등번호 이름 포지션 활동 기간
- 코니 맥 감독
구단주
1901~1950
1901~1954
- 에디 콜린스 2루수 1906~1914
1927~1930
- 홈런 베이커 3루수 1908~1914
- 치프 벤더 투수 1903~1914
2 미키 코크런 포수 1925~1933
2, 3 지미 폭스 1루수 1925~1935
10 레프티 그로브 투수 1925~1933
- 에디 플랭크 투수 1901~1914
6, 7, 28, 32 알 시몬스 좌익수
코치
1924~1932
1940~1941, 1944
1940~1945
- 루브 워델 투수 1902~1907
2022년 헌액된 인물
<rowcolor=#003831> 등번호 이름 포지션 활동 기간
30, 3 에릭 차베스 3루수 1998~2010
6 살 반도 3루수 1966~1976
15, 45, 8, 36, 26 조 루디 좌익수
1루수
1967~1976
1982
10 레이 포시 포수
해설자
1973~1975
1986~2021
- 키스 리프먼 팜 디렉터 1971~
- 스티브 부치니크 클럽하우스 매니저 1966~
2023년 헌액된 인물
<rowcolor=#003831> 등번호 이름 포지션 활동 기간
16 제이슨 지암비 좌익수
1루수
1995~2001
2009
26, 7, 4 밥 존슨 좌익수 1933~1942
5, 4 카니 랜스포드 3루수 1983~1992
24, 38, 18 진 테니스 포수
1루수
1969~1976
- 로이 스틸 퍼블릭 어드레스 아나운서 1968~2005
2007~2008
}}}}}}}}} ||
애슬레틱스 구단에서는 2018년 9월 5일, 팀의 여러 분야로 헌신한 인물들을 기리기 위해 자체 명예의 전당을 세웠다. 구장이 매우 열악한 관계로 아직 물리적인 공간은 없으나, 신구장 준공이 확정되면 명예의 전당을 위한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첫 해인 2018년도에는 7명의 인물이 헌액되었다. 2021년 8월 12일, 10명의 추가 헌액이 발표되었다. 이번에 발표된 인물들은 미키 코크런, 레프티 그로브와 같은 오래 전 인물들이다. 8월 22일 홈경기에서 공식 헌액 행사를 진행한다.

2021년 11월 12일, 1986년부터 무려 35년간 NBC 스포츠 캘리포니아 소속으로 애슬레틱스의 경기를 중계하다가 암으로 타계한 레이 포시를 2022년 명예의 전당에 헌액한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21년간 팜 디렉터로 활동하며 선수 육성에 혁혁한 공을 세운 키스 리프먼, 60~70년대 애슬레틱스의 스타 3루수 살 반도, 53년간 장비 관리자로서 선수들에게 보이지 않는 헌신을 한 스티브 부치니크 등이 헌액된다.

7.2. 주요 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3831> 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애슬레틱스
역대 MVP 목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페넌트레이스 MVP
순번 선수명 출생 연도 수상 연도 포지션 bWAR fWAR 비고
1 에디 콜린스 1887 1914 2루수 9.1 8.3
2 미키 코크런 1903 1928 포수 3.3 3.7
3 레프티 그로브 1900 1931 선발 투수 10.4 7.3
4 지미 폭스 1907 1932 1루수 10.4 11.3
5 지미 폭스 1907 1933 1루수 9.0 9.9
6 바비 샨츠 1925 1952 선발 투수 8.8 6.1
7 바이다 블루 1949 1971 선발 투수 9.0 8.8
8 레지 잭슨 1946 1973 우익수 7.8 7.1
9 호세 칸세코 1964 1988 우익수 7.3 7.6 금지 약물 복용자
10 리키 핸더슨 1958 1990 좌익수 9.9 10.2
11 데니스 에커슬리 1954 1992 불펜 투수 2.9 3.1
12 제이슨 지암비 1971 2000 1루수 7.8 7.7 금지 약물 복용자
13 미겔 테하다 1974 2002 유격수 5.7 4.5 금지 약물 복용자
월드시리즈 MVP
순번 선수명 출생 연도 수상 연도 포지션 비고
1 진 테니스 1946 1972 포수 23타수 8안타 4홈런, OPS 1.313
2 레지 잭슨 1946 1973 우익수 29타수 9안타 1홈런, OPS 0.941
3 롤리 핑거스 1946 1974 불펜 투수 9.1이닝 8피안타 2자책 6탈삼진, ERA 1.93
4 데이브 스튜어트 1957 1989 선발 투수 16이닝 10피안타 3자책 14탈삼진 1완봉, ERA 1.69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3831> 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애슬레틱스
역대 사이영 상 수상자 목록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번 선수명 출생 연도 수상 연도 이닝 ERA bWAR 포인트
1 바이다 블루 1949 1971 312 1.82 9.0 98
2 캣피쉬 헌터 1887 1974 318.1 2.49 6.9 90
3 밥 웰치 1956 1990 238 2.95 2.9 107
4 데니스 애커슬리 1954 1992 80 1.91 2.9 107
5 배리 지토 1978 2002 229.1 2.75 7.2 114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3831> 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애슬레틱스
역대 신인왕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순번 선수명 수상 연도 포지션 bWAR 포인트
1 해리 버드 1952 선발 투수 3.2 9
2 호세 칸세코 1986 좌익수 3.1 110
3 마크 맥과이어 1987 1루수 5.1 140
4 월트 와이스 1988 유격수 2.8 103
5 벤 그리브 1998 우익수 2.2 130
6 바비 크로스비 2004 유격수 3.3 138
7 휴스턴 스트리트 2005 마무리 투수 2.9 97
8 앤드류 베일리 2009 마무리 투수 3.7 88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3831> 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애슬레틱스
역대 실버 슬러거 수상자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순번 선수명 수상 연도 포지션 비고
1 리키 핸더슨 1981 외야수
2 호세 칸세코 1988 외야수 금지 약물 복용자
3 리키 핸더슨 1990 외야수 개인 통산 두 번째
4 호세 칸세코 외야수 금지 약물 복용자, 개인 통산 두 번째
5 호세 칸세코 1991 외야수 금지 약물 복용자, 개인 통산 세 번째
6 마크 맥과이어 1992 1루수 금지 약물 복용자
7 마크 맥과이어 1996 1루수 금지 약물 복용자, 개인 통산 두 번째
8 제이슨 지암비 2001 1루수 금지 약물 복용자
9 에릭 차베스 2002 3루수
10 브렌트 루커 2024 지명타자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3831> 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애슬레틱스
역대 골드 글러브 수상자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순번 선수명 수상 연도 포지션 비고
1 빅 파워 1958 1루수
2 조 루디 1974 외야수
3 조 루디 1975 외야수 개인 통산 두 번째
4 조 루디 1976 외야수 개인 통산 세 번째
5 마이크 노리스 1980 투수
6 드웨인 머피 외야수
7 마이크 노리스 1981 투수 개인 통산 두 번째
8 드웨인 머피 외야수 개인 통산 두 번째
9 리키 핸더슨 외야수
10 드웨인 머피 1982 외야수 개인 통산 세 번째
11 드웨인 머피 1983 외야수 개인 통산 네 번째
12 드웨인 머피 1984 외야수 개인 통산 다섯 번째
13 드웨인 머피 1985 외야수 개인 통산 여섯 번째
14 알프레도 그리핀 유격수
15 마크 맥과이어 1990 1루수 금지 약물 복용자
16 에릭 차베스 2001 3루수
17 에릭 차베스 2002 3루수 개인 통산 두 번째
18 에릭 차베스 2003 3루수 개인 통산 세 번째
19 에릭 차베스 2004 3루수 개인 통산 네 번째
20 에릭 차베스 2005 3루수 개인 통산 다섯 번째
21 에릭 차베스 2006 3루수 개인 통산 여섯 번째
22 조시 레딕 2012 외야수
23 맷 올슨 2018 1루수
24 맷 채프먼 3루수
25 맷 올슨 2019 1루수 개인 통산 두 번째
26 맷 채프먼 3루수 개인 통산 두 번째
27 션 머피 2021 포수
28 맷 채프먼 3루수 개인 통산 세 번째
}}}}}} ||

7.3. 역대 주요 지표 선두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
애슬레틱스 구단 주요 지표 선두
투수
승리 에디 플랭크 284승
패배 에디 플랭크 162패
세이브 데니스 에커슬리 320세이브
경기 데니스 에커슬리 525경기
이닝 에디 플랭크 3860.2이닝
탈삼진 에디 플랭크 1985개
완봉 에디 플랭크 59회
타자
타율[최소타석] 알 시몬스 .356
출루율[최소타석] 지미 폭스 .440
장타율[최소타석] 지미 폭스 .640
경기 버트 켐페네리스 1795경기
홈런 마크 맥과이어 363홈런
타점 알 시몬스 1178타점
득점 리키 헨더슨 1270득점
도루 리키 헨더슨 867도루
타석 버트 켐페네리스 7895타석
안타 버트 켐페네리스 1882안타
삼진 레지 잭슨 1226개
몸에 맞는 공 지미 다익스 93개
타격 fWAR
순위 선수 WAR 경기수
1 리키 헨더슨 68.6 1704
2 지미 폭스 64.6 1256
3 에디 콜린스 55.9 1156
4 알 시몬스 51.6 1290
5 살 반도 47.5 1468
6 레지 잭슨 45.2 1346
7 마크 맥과이어 44.4 1329
8 밥 존슨 44.3 1459
9 버트 캠페네리스 42.6 1795
10 홈런 베이커 40.9 899
투수 fWAR
순위 선수 WAR 경기수
1 에디 플랭크 57.8 524
2 레프티 그로브 54.3 402
3 치프 벤더 42.3 385
4 루브 워델 41.9 251
5 바이다 블루 36.2 273
6 팀 허드슨 27.6 183
7 캣피시 헌터 27.2 363
8 에디 롬멜 26.6 500
9 루브 왈버그 24.4 412
10 배리 지토 23.8 225

8.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3831> 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애슬레틱스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시대 (1901~1954)
1대
코니 맥
파일:미국 국기.svg

1901~1950
2대
얼 맥
파일:미국 국기.svg
1937, 1939
3대
지미 다익스
파일:미국 국기.svg
1951~1953
4대
에디 주스트
파일:미국 국기.svg
1954
파일: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엠블럼(1954).gif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시대 (1955~1967)
5대
루 보드로
파일:미국 국기.svg
1955~1957
6대
해리 크래프트
파일:미국 국기.svg
1957~1959
7대
밥 엘리엇
파일:미국 국기.svg
1960
8대
조 고든
파일:미국 국기.svg
1961
9대
행크 바우어
파일:미국 국기.svg
1961~1962
10대
에디 로팟
파일:미국 국기.svg
1963~1964
11대
멜 머게이어
파일:미국 국기.svg
1964~1965
12대
헤이우드 설리반
파일:미국 국기.svg
1965
13대
앨빈 다크
파일:미국 국기.svg
1966~1967
14대
루크 애플링
파일:미국 국기.svg
1967
파일: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엠블럼.png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시대 (1968~2024)
15대
밥 케네디
파일:미국 국기.svg
1968
9대
행크 바우어
파일:미국 국기.svg
1969
16대
존 맥나마라
파일:미국 국기.svg
1969~1970
17대
딕 윌리엄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1~1973
13대
앨빈 다크
파일:미국 국기.svg

1974~1975
18대
척 태너
파일:미국 국기.svg
1976
19대
잭 매키언
파일:미국 국기.svg
1977
20대
바비 윙클스
파일:미국 국기.svg
1977~1978
19대
잭 매키언
파일:미국 국기.svg
1978
21대
짐 마셜
파일:미국 국기.svg
1979
22대
빌리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1980~1982
23대
스티브 보로스
파일:미국 국기.svg
1983~1984
24대
재키 무어
파일:미국 국기.svg
1984~1986
25대
제프 뉴먼
파일:미국 국기.svg
1986
26대
토니 라 루사
파일:미국 국기.svg

1986~1995
27대
아트 하우
파일:미국 국기.svg
1996~2002
28대
켄 마카
파일:미국 국기.svg
2003~2006
29대
밥 게런
파일:미국 국기.svg
2007~2011
30대
밥 멜빈
파일:미국 국기.svg
2011~2021
파일: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엠블럼(1993~2024).svg
애슬레틱스 시대 (2025~)
31대
마크 캇세이
파일:미국 국기.svg
2022~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
: 월드 시리즈 우승 / : 월드 시리즈 준우승 / : 첫 월드 시리즈(1903년) 이전 아메리칸 리그 우승
}}}}}}}}} ||

9. 역대 프런트

9.1. 구단주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
애슬레틱스 구단주
<rowcolor=#000000> 기간 이름 비고
(1901~1921) 벤 샤이브[31] 코니 맥과 공동 구단주.
(1901~1954) 코니 맥 벤, 톰, 존 샤이브와 1937년까지 공동 구단주, 이후 단독 구단주. 1951년부터는 자식들과 공동 구단주.
(1921~1937) 톰 샤이브 & 존 샤이브 코니 맥과 공동 구단주.
(1951~1954) 얼 맥 & 로이 맥 코니 맥과 공동 구단주.
(1954~1960) 아놀드 존슨 캔자스시티로 구단을 옮김.
(1960~1980) 찰리 핀리 괴짜 구단주로 유명했다. 난쟁이를 타석에 세운다거나, 지명타자, 지명주자제를 주장하기도 했다. 오클랜드로 구단을 옮겼다.
(1980~1995) 월터 A. 하스 전 리바이 스트라우스(리바이스) CEO로, 구단에 지원을 아끼지 않은 구단주로 손꼽힌다. 구단에서도 꼽히는 기념비적인 구단주로 알려져 있다.
(1995~2005) 스티브 쇼트 & 켄 호프먼 돈을 지나치게 아꼈고, 이는 역설적으로 머니볼이 탄생한 배경이 된다.
(2006~2016) 루이스 울프 절망적인 마켓 상황에 연고지 이전이라는 강수를 두었지만 번번한 실패로 지역 팬들에게 매우 까였던 구단주이다.
(2016~현재) 존 J. 피셔 최악의 구단주로 뽑히는 인물

9.2. 단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3831> 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애슬레틱스
역대 단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시대
초대
코니 맥
파일:미국 국기.svg
1901~1950
2대
미키 코크런
파일:미국 국기.svg
1950
3대
아더 엘러스
파일:미국 국기.svg
1950~1953
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시대
4대
조지 셀커크
파일:미국 국기.svg
1954~1959
5대
파크 캐롤
파일:미국 국기.svg
1959~1960
6대
프랭크 레인
파일:미국 국기.svg
1961
7대
팻 프라이데이
파일:미국 국기.svg
1961~1965
8대
행크 피터스
파일:미국 국기.svg
1965~1967
9대
에디 로팟
파일:미국 국기.svg
1967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시대
-대
찰리 핀리
파일:미국 국기.svg
1968~1980
10대
빌리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1981~1982
11대
샌디 앨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1983~1997
12대
빌리 빈
파일:미국 국기.svg
1998~2015
13대
데이비드 포스트
파일:미국 국기.svg
2015~
}}}}}}}}} ||

10. 계약 중인 마이너 리그 구단

2020 시즌 코로나19로 인한 마이너 리그 대개편 과정에서 벨로잇 스내퍼스와 버몬트 레이크 몬스터즈와의 계약이 해지되고 토론토 산하에 있던 랜싱 너그너츠가 새롭게 합류했다. 또한 기존 A+ 구단이었던 스톡턴 포츠가 쇼트시즌A로 이동하였다. 이로서 기존 8개였던 오클랜드 산하 마이너 리그 구단이 6개로 감소했다.

10.1. 트리플 A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3831> 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애슬레틱스
역대 산하 AAA 구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순번 구단명 계약 기간 연고지
1 토론토 메이플리프스
(Toronto Maple Leafs)
1946 캐나다 온타리오 주 토론토
2 버팔로 바이슨스
(Buffalo Bisons)
1950 뉴욕 주 버팔로
3 오타와 A's
(Ottawa A's)
1952~1954 캐나다 온타리오 주 오타와
4 콜럼버스 제츠
(Columbus Jets)
1955~1956 오하이오 주 콜럼버스
5 버팔로 바이슨스
(Buffalo Bisons)
1957~1958 뉴욕 주 버팔로
6 포틀랜드 비버스
(Portland Beavers)
1959 오리건 주 포틀랜드
7 댈러스-포트워스 레인저스
(Dallas-Fort Worth Rangers)
1960 텍사스 주 댈러스
8 하와이 아일랜더스
(Hawaii Islanders)
1961 하와이 주 하와이
9 포틀랜드 비버스
(Portland Beavers)
1962~1963 오리건 주 포틀랜드
10 댈러스 레인저스
(Dallas Rangers)
1964 텍사스 주 댈러스
11 밴쿠버 마운티스
(Vancouver Mounties)
1965~1968 캐나다 브리티시 콜럼비아 주 밴쿠버
12 아이오와 오크스
(Iowa Oaks)
1969~1972 아이오와 주 디모인
13 투쏜 토로스
(Tucson Toros)
1973~1976 애리조나 주 투쏜
14 산 호세 미션스
(San Jose Missions)
1977 캘리포니아 주 산 호세
15 밴쿠버 캐내디언스
(Vancouver Canadians)
1978 캐나다 브리티시 콜럼비아 주 밴쿠버
16 오그덴 A's
(Ogden A's)
1979~1980 유타 주 오그덴
17 타코마 타이거즈
(Tacoma Tigers)
1981~1994 워싱턴 주 타코마
18 애드먼턴 트래퍼스
(Edmonton Trappers)
1995~1998 캐나다 엘버타 주 애드먼턴
19 밴쿠버 캐내디언스
(Vancouver Canadians)
1999 캐나다 브리티시 콜럼비아 주 밴쿠버
20 사크라맨토 리버 캣츠
(Sacramento River Cats)
2000~2014 캘리포니아 주 사크라맨토
21 내쉬빌 사운즈
(Nashville Sounds)
2015~2018 테네시 주 내쉬빌
22 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
(Las Vegas Aviators)
2019~ 네바다라스베가스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2. 더블 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들랜드 락하운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들랜드 락하운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들랜드 락하운즈#|]][[미들랜드 락하운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3. 하이 싱글 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랜싱 러그너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랜싱 러그너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랜싱 러그너츠#|]][[랜싱 러그너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4. 싱글 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톡턴 포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톡턴 포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톡턴 포츠#|]][[스톡턴 포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5. 루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CL 애슬레틱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CL 애슬레틱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CL 애슬레틱스#|]][[ACL 애슬레틱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SL 애슬레틱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SL 애슬레틱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SL 애슬레틱스#|]][[DSL 애슬레틱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1라운드 지명선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3831> 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애슬레틱스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1965년 ~ 현재
1965
릭 먼데이
외야수 / 전체 1번
1966
레지 잭슨
외야수 / 전체 2번
1967
브리엔 비커튼
투수 / 전체 7번
1968
피트 브로버그
투수 / 전체 2번
1969
돈 스탄하우스
투수 / 전체 9번
1970
댄 포드
외야수 / 전체 18번
1971
윌리엄 대니얼스
투수 / 전체 17번
1972
쳇 레몬
유격수 / 전체 22번
1973
랜디 스카베리
투수 / 전체 23번
1974
제리 존슨
포수 / 전체 22번
1975
브루스 로빈슨
포수 / 전체 21번
1976
토마스 설리반
투수 / 전체 24번
1977
크레이그 해리스
투수 / 전체 17번
1978[보상픽]
팀 콘로이
투수 / 전체 20번
1978
마이크 모르간
투수 / 전체 4번
1979[보상픽]
마이크 스텐하우스
외야수 / 전체 26번
1979
후안 버스타바드
유격수 / 전체 5번
1980
마이크 킹
투수 / 전체 4번
1981
팀 피즈나스키
투수 / 전체 15번
1982
FA 조 루디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박탈
1983
스탠 힐튼
투수 / 전체 5번
1984
마크 맥과이어
1루수 / 전체 10번
1985
월트 와이스
유격수 / 전체 11번
1986
스캇 헤먼드
포수 / 전체 12번
1987
리 틴슬리
외야수 / 전체 11번
1988
스탠 로이어
포수 / 전체 16번
1989
FA 마이크 무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박탈
1990[보상픽]
커크 드레센도퍼
투수 / 전체 36번
1990[보상픽]
데이브 잔카나로
투수 / 전체 34번
1990
돈 피터스
투수 / 전체 26번
1990[보상픽]
토드 반 포펠
투수 / 전체 14번
1991[보상픽]
마이크 로시터
투수 / 전체 38번
1991
브랜트 게이츠
유격수 / 전체 26번
1992
벤지 그릭스비
투수 / 전체 20번
1993[보상픽]
윌리 아담스
투수 / 전체 36번
1993
존 와스딘
투수 / 전체 25번
1994
벤 그리브
외야수 / 전체 2번
1995
아리엘 프리에토
투수 / 전체 5번
1996
에릭 차베스
3루수 / 전체 10번
1997[보상픽]
대니 와그너
투수 / 전체 42번
1997[보상픽]
네이선 헤이네즈
외야수 / 전체 32번
1997[보상픽]
에릭 듀보스
투수 / 전체 21번
1997
크리스 에노크스
투수 / 전체 11번
1998
마크 멀더
투수 / 전체 2번
1999
배리 지토
투수 / 전체 9번
2000
FA 마이크 마그낸트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박탈
2001[보상픽]
존 레이네커
투수 / 전체 37번
2001[보상픽]
제레미 본더맨
투수 / 전체 26번
2001
바비 크로스비
유격수 / 전체 25번
2002[보상픽]
마크 티엔
3루수 / 전체 39번
2002[보상픽]
스티브 오벤체인
투수 / 전체 37번
2002[보상픽]
제레미 브라운
포수 / 전체 35번
2002[보상픽]
벤 프리츠
투수 / 전체 30번
2002
존 맥커디
유격수 / 전체 26번
2002[보상픽]
조 블랜튼
투수 / 전체 24번
2002[보상픽]
닉 스위셔
1루수 / 전체 16번
2003[보상픽]
오마르 퀸타니야
유격수 / 전체 33번
2003[보상픽]
브라이언 스나이더
3루수 / 전체 26번
2003
브래드 설리반
투수 / 전체 25번
2004[보상픽]
휴스턴 스트리트
투수 / 전체 40번
2004[보상픽]
대니 퍼트넘
외야수 / 전체 36번
2004
리치 로브넷
외야수 / 전체 26번
2004[보상픽]
랜던 파웰
포수 / 전체 24번
2005[보상픽]
트래비스 벅
외야수 / 전체 36번
2005
클리프 페닝턴
유격수 / 전체 21번
2006
FA 에스테반 로아이자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박탈
2007[보상픽]
코리 브라운
외야수 / 전체 59번
2007[보상픽]
션 두리틀
1루수 / 전체 41번
2007
제임스 시몬스
투수 / 전체 26번
2008
제마일 윅스
2루수 / 전체 12번
2009
그랜트 그린
유격수 / 전체 13번
2010
마이클 초이스
중견수 / 전체 10번
2011
소니 그레이
투수 / 전체 18번
2012
맷 올슨
1루수 / 전체 47번
2012[보상픽]
다니엘 로버트슨
유격수 / 전체 34번
2012
에디슨 러셀
유격수 / 전체 11번
2013
빌리 맥키니
중견수 / 전체 24번
2014
맷 채프먼
3루수 / 전체 25번
2015
리치 마틴
유격수 / 전체 20번
2016
달튼 제프리스
투수 / 전체 37번
2016
A.J. 퍽
투수 / 전체 6번
2017
케빈 메렐
유격수 / 전체 33번
2017
오스틴 벡
외야수 / 전체 6번
2018
카일러 머리
중견수 / 전체 9번
2019
로건 데이비슨
유격수 / 전체 29번
2020
타일러 소더스트롬
포수 / 전체 26번
2021
맥스 먼시
유격수 / 전체 25번
2022
대니얼 수삭
포수 / 전체 19번
2023
제이콥 윌슨
유격수 / 전체 6번
2023[보상픽]
마일스 네일러
3루수 / 전체 39번
2024
닉 커츠
1루수 / 전체 4번
* 취소선 처리된 선수는 애슬레틱스 구단과 계약하지 않은 선수

}}}}}}}}}}}} ||

12. 유망주 순위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831> 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efb21e> 1위 (전체 36위) 2위 3위 4위 5위
닉 커츠
(1B)
콜비 토마스
(OF)
메이슨 바넷
(RHP)
루이스 모랄레스
(RHP)
덴젤 클라크
(OF)
<rowcolor=#efb21e> 6위 7위 8위 9위 10위
맥스 먼시
(SS)
토미 화이트
(3B)
헨리 볼트
(OF)
잭 퍼킨스
(RHP)
조슈아 쿠로다-그라우어
(SS)
<rowcolor=#efb21e>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대니얼 수삭
(C)
스티븐 에차바리아
(RHP)
게이지 점프
(LHP)
거너 호글런드
(RHP)
케이드 모리스
(RHP)
<rowcolor=#efb21e>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그랜트 홀먼
(RHP)
콜 밀러
(RHP)
라이언 라스코
(OF)
로드니 그린 주니어
(OF)
브래디 바소
(LHP)
<rowcolor=#efb21e>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윌 존스턴
(LHP)
카를로스 파체코
(OF)
마일스 네일러
(3B)
브레넌 마일론
(1B)
에이든 존슨
(SS)
<rowcolor=#efb21e>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쇼타로 모리
(SS/RHP)
브라이얀 부엘바스
(OF)
첸종아오주앙
(RHP)
네이트 낸킬
(OF)
카를로스 듀란
(RHP)
출처
}}}}}}}}} ||

13. 40인 로스터 목록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3831> 파일:애슬레틱스 화이트 로고.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3831><colcolor=#fff> 투수 19 밀러 · 28 스펜스 · 30 왈디척IL-60 · 36 H.해리스 · 37 르클럭IL-15 · 38 시어스 · 40 세베리노 · 44 퍼거슨 · 45 비도 · 46 메디나IL-60 · 47 오타네스IL-15 · 48 맥팔랜드 · 49 알렉산더40인 · 57 로페스40인 · 58 머독 · 59 스프링스 · 60 스터너 · 66 바소IL-60 · 67 홀먼 · 68 에스테스40인 · 70 · 74 큐식40인 · 79 호글런드40인 · 80 알바라도40인 · # 켈리(1)
포수 23 랭글리어스 · 64 페레다
내야수 2 에르나이스40인 · 5 윌슨 · 10 먼시40인 · 11 B.해리스40인 · 12 슈먼 · 13 어셸라 · 16 커츠 · 17 우리아스 · 20 겔로프IL-10 · 21 소더스트롬 · 26 알렉산더40인
외야수 4 버틀러 · 15 브라운 · 16 클라크40인 · 22 안두하 · 25 루커 · 33 블러데이
'''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캇세이''' 파일:미국 국기.svg 대런 부시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알드레티 ·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크론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에머슨 파일:미국 국기.svg 바비 크로스비 · 파일:미국 국기.svg 에릭 마틴스 파일:미국 국기.svg 댄 헙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라몬 에르난데스 파일:미국 국기.svg 마커스 젠센 파일:미국 국기.svg 더스틴 휴즈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파일:미들랜드 락하운즈 엠블럼.svg 산하 AA팀 로스터 보기
(1) 스포츠 도박 규정 위반 1년 출장 정지 }}}}}}}}}

14. 관련 링크

1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b80a31><tablewidth=320><tablebgcolor=#b80a31>
파일:캘리포니아 문장.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NFL MLB
파일: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로고.svg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svg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
샌프란시스코 포티나이너스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애슬레틱스*
NBA NHL MLS
파일: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엠블럼.svg 파일:새크라멘토 킹스 로고.svg 파일:산호세 샤크스 로고.svg 파일:산호세 어스퀘이크스 로고.svg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새크라멘토 킹스 산호세 샤크스 산호세 어스퀘이크스
NWSL NLL MLR
파일:Bay_FC_logo.svg.png 파일:샌디에이고 웨이브 FC 로고.svg 파일:샌디에이고 실즈 로고.png 파일:샌디에이고 리전.png
베이 FC 샌디에이고 웨이브 FC 샌디에이고 실즈 샌디에이고 리전
WNBA PVF
파일:골든스테이트 발키리스 로고.png 파일:샌디에이고 모조 로고.png
골든스테이트 발키리스 샌디에이고 모조
* 2028년에 네바다주연고지 이전 예정인 구단
로스앤젤레스 연고 프로 구단 보기 ▶
}}}}}}}}} ||

파일:MLB 로고.svg MLB 역대 왕조
★★★★
1936~1939
뉴욕 양키스
★★★★★
1949~1953
뉴욕 양키스
★★★
1972~1974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1998~2000
뉴욕 양키스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다른 스포츠 역대 왕조 틀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야구 축구 e스포츠
일본프로야구 역대 왕조
한국프로야구 역대 왕조
대만프로야구 역대 왕조
프리미어 리그 역대 왕조
라리가 역대 왕조
세리에 A 역대 왕조
분데스리가 역대 왕조
에레디비시 역대 왕조
리그 1 역대 왕조
한국프로축구 역대 왕조
LCK 역대 왕조
}}}}}}}}} ||

[1] 라스베이거스 신구장 완공 전까지의 임시 연고지. 마이너 리그 팀 새크라멘토 리버 캣츠의 홈이며 본래는 오클랜드 산하 마이너 리그 팀이었다가 현재는 샌프란시스코 산하 마이너 리그 팀이다.[예정] [3] 임시 연고지 사용 동안 새크라멘토를 구단명에 넣지 않기로 정했다고 한다. #[4] 1938년부터 필라델피아 필리스, 1940년 한정과 1942년부터 NFL 필라델피아 이글스와 공용.[5] 1963년부터 NFL 캔자스시티 칩스와 공용.[6] 1981년까지, 1995~2019년까지 NFL 오클랜드 레이더스, 2008~2009년부터 MLS 산호세 어스퀘이크스와 공용.[예정] [8] AL 서부지구 전기리그 우승.[9] 지역만 놓고 보면 스몰마켓은 아니다. 다만 입지가 나쁜 것이 문제. 오클랜드샌프란시스코 광역권에 있는 도시라서 광역권 기준으로는 인구가 800만이나 되는 지역에 애슬레틱스가 자리잡고 있는 것인데, 오클랜드가 치안이 워낙 막장인지라 입지가 나쁘고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버티고 있어서 치고 들어갈 만한 자리가 없다.[10] 다저스와는 공동의 적을 가졌다는 동질감 때문인지 묘한 공감대를 형성한다. 다저스와 애슬레틱스의 또 하나 공동의 적은 밑에서 언급되는 에인절스.[11] 이름은 스톰퍼.[12] 자연 상태에서 알비노증에 걸린 흰 코끼리를 찾기란 정말로 어렵다. 이 때문에 부진하던 당시 애슬레틱스의 성적을 가지고 맥그로는 '이 팀은 이기는 날을 찾는 게 흰 코끼리만큼 어렵다'라고 조롱한 것이다.[13] 50년동안 감독을 했기 때문에 통산 3731승으로 역대 1위이다. 다만 패한 것도 3,948패로 1위이다. 그가 구단주도 겸하고 있었기 때문이다.[14] 보통 이렇게 시장성이 떨어지거나 인기가 없는 스몰마켓 팀들은 십중팔구 육성에 일가견이 있는 팀들이다.[15] 이 당시 여러 대도시에서 자이언츠를 유치하려 했었고, 그 중 하나였던 탬파-세인트피터즈버그에서 이를 대비하기 위해 경기장을 지었으니 그게 바로 현재 탬파베이 레이스의 홈구장인 트로피카나 필드다.[16] 1994 시즌 종료 후 레이더스는 오클랜드 콜리시엄 외야쪽에 2층 관중석을 올리는 공사에 대해 오클랜드-앨러메다 카운티에 금전적인 지원을 했다. 이렇게 되니 에이스는 돌아온 탕자에 밀린 집지킨 효자꼴이 나버렸다.[17] 예를 들면 에루비엘 두라조, 스캇 해티버그, 노마 가르시아파라, 마이크 피아자, 프랭크 토마스, 마이크 스위니, 제이슨 지암비, 마쓰이 히데키, 잭 커스트 등이 있다. 특히 지명타자 포지션에서 이런 사례가 많은 편이다.[18] 한때는 '안 터지는 유망주만 가득한 팀', '에이스가 리빌딩에 지쳐서 트레이드를 요청한 팀' 등의 오명을 쓰며 포스트시즌도 못 나가는 한심한 팀이라는 이미지가 있었지만, 2014년 포스트시즌 8연승이라는 블록버스터를 쓰며 WS에 진출하더니 그 다음 해 WS에선 우승을 차지하며 여기 나온 구단 중 가장 높은 성과를 거둔 팀이 되었다.[19] 단장이었던 앤드류 프리드먼은 빈을 이은 MLB의 新 거성 단장으로 평가받는다. 조 매든 감독과 함께 힘을 합쳐 2008~11 4시즌 연속 5할 승률 이상, 2008년 월드시리즈 진출, 2010~11 포스트시즌 진출 등 굵직한 결과를 냈다. 우승을 제외하면 로열스보다도 성과가 월등히 앞서며, 2011년 기준 MLB 전체 팜 순위 1위.[20] 현지에서도 오클랜드만큼은 과거부터 세이버메트릭스에 투자한 게 경기력 향상보다는 가성비 향상, 즉 선수단 페이롤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였다고 보는 경우가 많다.[21] 2010년 5월 둘째 주 어머니의 날에 탬파베이를 상대로 퍼펙트 게임을 기록한 그 투수 맞다.[22] 2021년까지 해설가로 활약했던 레이 포시는 10월 13일, 16년간의 힘겨운 암투병 끝에 향년 74세의 일기로 타계했다.[23] 1980년 올스타 멤버 선정과 아메리칸리그 사이영 상을 받은 우완 투수. 참고로 두에인 카이퍼가 클리블랜드 시절 통산 첫 홈런을 스톤에게서 뺏어냈다.[24] 똑같이 초록-노랑 컬러링을 이용해 디자인된 현대 유니콘스 유니폼은 KBO 역대 가장 예쁜 유니폼 중 하나로 꼽혔다. 물론 원정에는 검정을 보조로 섞긴 했다.[25] 전 구단주로 1973년 메이저리그 아메리칸리그의 지명대타 도입을 이끌어낸 인물로 유명하다.[26] 뉴욕 양키스에서도 전성기를 보낸 후에 오클랜드로 돌아와 은퇴했다.[27] 리키 핸더슨은 많은 팀으로 이적한 저니맨이기도 했는데, 오클랜드에는 3번이나 돌아왔다.[최소타석] 1000타석 기준[최소타석] 1000타석 기준[최소타석] 1000타석 기준[31]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의 홈구장이었던 샤이브 파크의 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