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1 16:24:37

내셔널 라크로스 리그

파일:NLL 로고.pn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명칭 영문: National Lacrosse League
국문: 내셔널 라크로스 리그
종목 라크로스
설립 1986년 3월 13일 ([age(1986-03-13)]주년)
리그 창설 1987 시즌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8개 구단) | 파일:캐나다 국기.svg (6개 구단)
사무국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커미셔너 브렛 프루드(Brett Frood)(2022년~ )
최근 우승 구단 파일:버팔로 밴디츠 로고.png 버팔로 밴디츠 (2025년, 7회)
최다 우승 구단
중계 파일:ESPN 로고.svg | 파일:TSN 로고.svg
링크 파일:NLL 로고.png 공식 홈페이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규칙3. 선수 구성4. 리그 구성
4.1. 참가 구단
5. 리그 확장과 연고이전
5.1. 연고 이전 및 명칭 변경
6. 수상(授賞)7. 역대 NLL 챔피언십 우승 구단

1. 개요

실내 경기장에서 행하는 박스 라크로스(Box Lacrosse)의 북미 프로 리그.

2. 규칙

미식축구처럼 쿼터당 15분, 4쿼터로 치러지며 1쿼터-2쿼터 사이와 3쿼터-4쿼터 사이에는 2분의 휴식, 하프타임에는 16분의 휴식시간이 주어진다. 동점인 경우에는, 아이스하키처럼 결승골을 넣는 쪽이 승리하는 서든데스 오버타임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 외에도 골 혼(Goal Horn), 페널티, 파워플레이 등 아이스하키와 비슷한 면이 많은데, 싸움 역시 아이스하키처럼 허용되어 있으며, 5분의 메이저 페널티(Major Penalty)를 부과한다.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하는 면에서는 농구와 유사해서, 30초의 샷클락 제도가 있다. 로스터는 골텐더 2명, 러너 17명으로 총 19명을 등록시킬 수 있다.

3. 선수 구성

1명의 골텐더(골리), 3명의 공격수, 3명의 트랜지션 그리고 3명의 수비수 총 1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골텐더는 아이스하키와 비슷한 장비를 착용하고 있으며, 말그대로 골대를 지키는 역할이다. 공격수는 상대 진영에서만 활동할 수 있고, 반대로 수비수는 아군 진영에서만 활동할 수 있다. 트랜지션은 전구역에서 활동할 수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크로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크로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크로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리그 구성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파일:NLL 로고.png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서부 컨퍼런스 동부 컨퍼런스
파일:캘거리 러프넥스 로고.png 파일:콜로라도 매머드 로고.png 파일:올버니 파이어울브즈 로고.png 파일:버팔로 밴디츠 로고.png
파일:라스베이거스 데저트 독스 로고.webp 파일:팬서시티 라크로스 클럽 로고.jpg 파일:조지아 스웜 로고.png 파일:핼리팩스 썬더버즈 로고.png
파일:샌디에이고 실즈 로고.png 파일:서스캐처원 러시 로고.png 파일:뉴욕 립타이드 로고.png 파일:필라델피아 윙스 로고.png
파일:밴쿠버 워리어스 로고.png 파일:로체스터 나이트호크스 로고.png 파일:토론토 락 로고.png
}}}}}}}}} ||

4.1. 참가 구단

National Lacrosse League
<rowcolor=#ffffff> 구단 국가 연고지 홈구장 수용인원 창단 참가
올버니 파이어울브즈 미국 뉴욕주 올버니 MVP 아레나 14,236 1987[1] 2021
버팔로 밴디츠 뉴욕주 버팔로 키뱅크 센터 19,070 1991 1992
조지아 스웜 조지아주 덜루스 가스 사우스 아레나 11,355 2004[2] 2015
핼리팩스 썬더버즈 캐나다 노바스코샤주 핼리팩스 스코샤뱅크 센터 10,595 1995[3] 2019
오타와 블랙베어스 온타리오주 오타와 캐네디언 타이어 센터 6,995 2018[4] 2025
필라델피아 윙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웰스 파고 센터 19,543 2017 2018
로체스터 나이트호크스 뉴욕주 로체스터 블루 크로스 아레나 10,664 2019[5] 2019
토론토 락 캐나다 온타리오주 해밀턴 퍼스트온타리오 센터 17,383 1998[6] 1999
캘거리 러프넥스 앨버타주 캘거리 스코샤뱅크 새들돔 19,289 2001 2002
콜로라도 매머드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 볼 아레나 17,809 1987[7] 2003
라스베이거스 데저트독스 네바다주 파라다이스 리즈 패밀리 포럼 12,000 2021 2022
샌디에이고 실즈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페창가 아레나 12,920 2017 2018
서스캐처원 러시 캐나다 서스캐처원주 새스커툰 사스크텔 센터 15,200 2005[8] 2015
밴쿠버 워리어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로저스 아레나 18,910 2000[9] 2013

5. 리그 확장과 연고이전


1987년부터 2020년까지의 창단 및 해체, 연고 이전의 타임 라인. 현재는 팬서시티 라크로스 클럽라스베이거스 데저트독스까지 리그에 추가로 참가했다.

파일:NLL 연고지 역사.png

작은 시장 규모 탓에 안정적인 수입 창출이 어렵다보니, 짧은 역사에도 연고 이전 및 창단과 재창단이 빈번했다. 1991년부터 도입된 디비전/컨퍼런스 제도가 2023년을 끝으로 폐지되고 2024 시즌부터 단일리그로 운영되고 있다.

5.1. 연고 이전 및 명칭 변경

6. 수상(授賞)

7. 역대 NLL 챔피언십 우승 구단

역대 NLL 챔피언십 우승 구단 목록
<rowcolor=#ffffff> 연도 우승 준우승 스코어(단판제) 시리즈
1998 舊 필라델피아 윙스 볼티모어 썬더 2-0
1999 토론토 락 舊 로체스터 나이트호크스 13-10
2000 14-13
2001 舊 필라델피아 윙스 토론토 락 9-8
2002 토론토 락 올버니 어택 13-12
2003 舊 로체스터 나이트호크스 8-6
2004 캘거리 러프넥스 버팔로 밴디츠 14-11
2005 토론토 락 애리조나 스팅 13-11
2006 콜로라도 매머드 버팔로 밴디츠 16-9
2007 舊 로체스터 나이트호크스 13-11
2008 버팔로 밴디츠 포틀랜드 럼버잭스 14-13
2009 캘거리 러프넥스 뉴욕 타이탄스 12-10
2010 워싱턴 스텔스 토론토 락 15-11
2011 토론토 락 워싱턴 스텔스 8-7
2012 舊 로체스터 나이트호크스 에드먼턴 러시 9-6
2013 워싱턴 스텔스 13-10
2014 캘거리 러프넥스 2-1[14]
2015 에드먼턴 러시 토론토 락 2-0[15]
2016 서스캐처원 러시 버팔로 밴디츠 2-0[16]
2017 조지아 스웜 서스캐처원 러시 2-0[17]
2018 서스캐처원 러시 舊 로체스터 나이트호크스 2-1[18]
2019 캘거리 러프넥스 버팔로 밴디츠 2-0[19]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한 리그 취소
2021
2022 콜로라도 매머드 버팔로 밴디츠 2-1[20]
2023 버팔로 밴디츠 콜로라도 매머드 2-1[21]

[1] 전신인 (舊)필라델피아 윙스 창단 기준. 現 필라델피아 윙스는 2017년에 재창단했다.[2] 전신인 미네소타 스웜 창단 기준. 미네소타 스웜 역시 2002년 몬트리올 익스프레스를 전신으로 하고 있다.[3] 전신인 로체스터 나이트호크스 창단 기준. 現 로체스터 나이트호크스는 2019년에 재창단했다.[4] 전신인 뉴욕 립타이드 기준이며, 2025년 연고지 이전 및 리브랜딩하였다.[5] 재창단[6] 온타리오 레이더스로 창단하여, 1999년부터 토론토 락으로 리그 참가.[7] 볼티모어 썬더 창단 기준.[8] 에드먼턴 러시 창단 기준.[9] 올버니 어택 창단 기준.[10] 2017년 재창단.[11] 구단명만 변경했을 뿐 연고 이전은 하지 않았다.[12] 2019년에 별개로 재창단.[13] 워싱턴 D.C.가 아니라 워싱턴주이다.[14] 1경기 캘거리 10-7 승리, 2경기 로체스터 16-10 승리, 시리즈 스코어 동률로 인한 10분 연장 게임에서 3-2로 로체스터 승리하면서 우승.[15] 에드먼턴이 1,2차전 각각 15-9, 11-10으로 우승.[16] 서스캐처원이 1,2차전 각각 11-9, 11-10으로 우승.[17] 조지아가 1차전 18-14, 2차전은 오버타임 끝에 15-14로 우승.[18] 1차전 서스캐처원 16-9 승리, 2차전 로체스터 13-8 승리, 3차전 서스캐처원 15-10 승리.[19] 캘거리가 1,2차전 각각 10-7, 14-13(OT)으로 우승.[20] 1차전 버팔로 15-14 승리, 2차전 콜로라도 11-8 승리, 3차전 콜로라도 10-8 승리.[21] 1차전 버팔로 13-12 승리, 2차전 콜로라도 16-10 승리, 3차전 버팔로 13-4 승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