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9:31:58

신소오강호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0131><tablebgcolor=#010131><tablecolor=#ffc224> 김용 소설이 원작인 2차 창작물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2px"
원작 소설 저자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김용(金庸)
작품 목록
드라마
<colbgcolor=#EEEEEE,#666666><colcolor=black,white> 1970년대 사조영웅전 (1976) · 신조협려 (1976) · 의천도룡기 (1978)
설산비호 (1978)
1980년대 사조영웅전 (1983) · 신조협려 (1983) · 신조협려 (1984) · 의천도룡기 (1984) · 의천도룡기 (1986) · 사조영웅전 (1988)
천룡팔부 (1982) · 소오강호 (1984) · 녹정기 (1984 - 홍콩) · 녹정기 (1984 - 대만) · 소오강호 (1985) · 설산비호 (1985)
1990년대 의천도룡기 (1994) · 사조영웅전 (1994) · 신조협려 (1995) · 신조협려 (1998 - 싱가포르) · 신조협려 (1998 - 대만)
천룡팔부 (1990) · 설산비호 (1991) · 소오강호 (1996) · 천룡팔부 (1997) · 녹정기 (1998) · 설산비호 (1999)
2000년대 의천도룡기 (2001) · 사조영웅전 (2003) · 의천도룡기 (2003) · 신조협려 (2006) · 사조영웅전 (2008) · 의천도룡기 (2009)
소오강호 (2000) · 소보와 강희 (2001) · 소오강호 (2001) · 천룡팔부 (2003) · 설산비호 (2007) · 녹정기 (2008) · 서검은구록 (2009)
2010년대 신조협려 (2014) · 사조영웅전 (2017) · 의천도룡기 (2019)
천룡팔부 (2013) · 소오강호 (2013) · 녹정기 (2014) · 신소오강호 (2018)
2020년대 사조영웅전2024 (2024) · 김용무협세계: 신조협려 (2026)
녹정기 (2020) · 천룡팔부 (2021) · 비호외전 (2022)
영화
1950년대 사조영웅전 (1958)
1960년대 신조협려 (1960) · 의천도룡기 (1963) · 의천도룡기 (1965)
설산비호 (1964)
1970년대 사조영웅전 (1977) · 사조영웅전: 속집 (1978) · 의천도룡기: 대결국 (1978)
천룡팔부 (1977) · 소오강호 (1978) · 설산비호 (1978)
1980년대 사조영웅전: 제3집 (1981) · 의천도룡기 (1981) · 신조협려 (1982) · 양과와 소용녀 (1982) · 마전도룡 (1984)
비호외전 (1980) · 신천룡팔부 (1982) · 녹정기 (1983) · 신비호외전 (1984)
1990년대 의천도룡기: 마교교주 (1993)
소오강호 (1990) · 동방불패 (1992) · 녹정기 시리즈 (1992) · 동방불패2 (1993) · 정패위소보지봉지구녀 (1993) · 비호외전 (1993) · 동사서독 (1994) · 신천룡팔부: 천산동모 (1994)
2010년대 무림타이치- 장삼풍 (2018)
몽회녹정기 (2011)
2020년대 의천도룡기: 구양신공 (2022) · 의천도룡기: 성화웅풍 (2022) · 사조영웅전 : 협지대자 (2024)
설산비호: 8인의 악인 (2022) · 천룡팔부: 교봉전 (2023)
2차 창작 관련 문서
전체 사조영웅전 · 신조협려 · 의천도룡기 (드라마)
녹정기 · 설산비호외전 · 소오강호 (드라마 / 영화) · 천룡팔부
관련 둘러보기 틀
}}}}}}}}} ||
텐센트 비디오·유쿠 드라마
신소오강호 (2018)
新笑傲江湖
New Smiling Proud Wanderer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신소오강호) 메인 이미지.jpg
<colbgcolor=#C03328,#8E2423><colcolor=#E0DC9D> 별칭 소오강호 2018
笑傲江湖 2018
장르 시대극[1], 무협물, 가상역사물
공개 기간 2018년 2월 26일 ~ 2018년
방송 횟수 37부작[2]
제작 광선전매(光线传媒)
채널
[[중국|]][[틀:국기|]][[틀:국기|]] 텐센트 비디오·유쿠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아시아앤


<colbgcolor=#C03328,#8E2423><colcolor=#E0DC9D> 연출 진천(金琛)
극본
멍환(孟欢)[3], 황훼이이(黄慧怡), 리야페이(李亚飞), 류양(刘洋), 츠하이(迟海), 왕차오(王潮)
원작 김용 저,
소설 《소오강호(笑傲江湖)
출연
딩관선(丁冠森), 쉐하오징(薛昊婧), 딩위시(丁禹兮), 류지아통(刘珈彤), 천쉰(陈汛), 장쯔신(姜梓新), 리하오한(李昊翰), 장쭤쥔(姜卓君), 쩡하오(郑昊), 왕칭쑹(王劲松) 등
타이틀곡
오프닝 / 엔딩
창해일성소(沧海一声笑) - S.E.N.S.(神思者)[4]
ㅤㅤㅤㅤㅤㅤ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
스트리밍
[[왓챠|
WATCHA
]]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폭력성, 선정성, 언어, 모방위험)
1. 개요2. 공개 정보
2.1. 예고편2.2. 오프닝2.3. 포스터
3. 등장인물
3.1. 주인공3.2. 기타 인물
4. 평가

[clearfix]

1. 개요

2018년에 공개한 텐센트 비디오·유쿠드라마.

홍콩의 소설가 김용이 쓴 소설 《소오강호》를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주인공 영호충이 누명을 쓰고 문파로부터 축출당한 후 우여곡절과 방황 끝에 임영영이라는 연인을 만나고 무공 최강자로 거듭나는 이야기, 그리고 정파의 탈을 썼지만 음흉하고 저열한 음모가 횡행하는 무림의 모습을 다루고 있다. 영함 주연(领衔主演)은 영호충 역의 딩관선(丁冠森)과 임영영 역의 쉐하오징(薛昊婧), 동방불패 역의 딩위시(丁禹兮), 남봉황 역의 류지아통(刘珈彤)이고, 그 밖에 임평지 역의 천쉰(陈汛), 악영산 역의 장쯔신(姜梓新), 악불군 역의 리하오한(李昊翰), 의림 역의 장쭤쥔(姜卓君)이 출연했으며, 좌냉선 역의 쩡하오(郑昊)와 풍청양 역의 왕칭쑹(王劲松)은 특별출연이다.

시간적 배경은 CE 15세기에서 16세기 사이의 명나라이며, 공간적 배경은 명나라중원, 강남이다.

오프닝과 엔딩 음악은 영화 〈소오강호 1990〉의 OST인 '창해일성소(沧海一声笑)'이다.

2. 공개 정보

2.1. 예고편

<nopad>
공식 예고편

2.2. 오프닝

<nopad>
공식 오프닝 영상

2.3. 포스터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신소오강호) 공식 포스터.jpg
공식 포스터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캐릭터 포스터(영호충-동방불패-임평지).jpg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캐릭터 포스터(영호충-임영영).jpg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캐릭터 포스터(동방불패-남봉황).jpg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캐릭터 포스터(임평지-악영산).jpg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캐릭터 포스터(의림-전백광).jpg
공식 캐릭터 포스터

3.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3.1. 주인공

영호충|令狐冲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영호충2.jpg
딩관선(丁冠森)
이 드라마의 남자 주인공. 화산파의 대사형. 항산파의 장문인.

영호충 역의 딩관선(丁冠森)은 1993년생 배우이다. 연기는 그럭저럭 하는데, 도저히 주인공의 얼굴이 아니다. 딱히 못생겼다기보다는 얼굴에 개성이 너무 없다. 그래서 무표정한 모습으로 독고구검을 휘두르는 순간 멋있게 보인 적도 있다. 단 한 번, 영중칙과 대결할 때. 실제 나이에 비해 10년은 어리게 보이지만, 그것이 별로 장점으로 느껴지지 않는다. 특히 영호충처럼 온갖 마음고생을 하며 술을 줄기차게 먹어대야 하는 역이라면 더욱 더. 그리고 비명을 지르는 연기를 정말 못한다. (드라마 내에서는 본인 목소리이다.) 아플 거라는 생각이 전혀 안 든다. 마지막에 절벽에서 떨어지는 비장한 장면에서도 "느아아아~~~"란 가녀린 비명소리 때문에 분위기가 깨진다.
임영영|任盈盈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임영영2.jpg
쉐하오징(薛昊婧)
이 드라마의 여자 주인공. 일월신교의 성고(聖姑). 교주 임아행의 딸.

임영영 역의 쉐하오징(薛昊婧)은 1994년생 배우이다. 출연 당시 24살로 딩관선보다 한 살 어리다. "임영영"의 신비함이 전혀 안 느껴진다. 면사포는 3화만에 벗었다. 대체로 무난하게 소화해냈다. 아쉬운 것은, 임영영은 무난해서는 안 되는 역이다. 엄청나게 무섭고, 대단히 신비하고, 매우 사랑스러우며, 영호충을 위해 모든 것을 버릴 수 있는 그런 역할인데... 그런 느낌이 너무 약하다. 드라마 설정도 그렇고.
동방불패|东方不败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동방불패2.jpg
딩위시(丁禹兮)
이 드라마의 서브 남자 주인공. 일월신교의 광명우사.

동방불패 역의 딩위시(丁禹兮)는 1995년생 배우이다. 소오강호 2018의 진주인공이라고 여겨진다. [5] 매우 많이 등장하고, 임아행에게 절대 충성한다. 심지어 임아행을 죽이려 하는 상문천을 죽이고 임아행을 구해준다. 온갖 버젼의 소오강호를 다 봤지만, 상문천이 임아행을 배신하거나, 동방불패가 임아행을 구해주는 소오강호는 처음이다. 게다가, 영호충과 친구가 된다. 영호충이 동방불패의 목숨을 구해주기까지 한다. 여성화되어 영호충과 이성적인 마음으로 가까워진 동방불패는 있었어도, 남자대 남자로 영호충과 친구가 된 동방불패는 2018년판이 유일할 것이다. 끝까지 남성으로 나온다. 규화보전, 벽사검법을 다 익혔으니 어느 쪽으로든 거세를 한 게 확실한데, 티는 안 난다. 남봉황과의 결혼을 거부하는 장면이 한 번 나온다. 그리고 싸움을 못한다. 동방불패라는 이름이 아깝다. 아무리 봐도 절대 강자가 아니다. 여러 번 적에게 진다. 이길 때에도 간신히 이긴다.
남봉황|苗人凤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남봉황2.jpg
류지아통(刘珈彤)
이 드라마의 서브 여자 주인공. 운남의 오독교(五毒敎) 교주.

남봉황 역의 류지아통(刘珈彤)는 1987년생 배우이다. 동방불패와 더불어, 소오강호 2018의 진히로인이다. 동방불패로부터 구함을 받고, 그리고 그를 사랑하게 되어 결혼까지 한다, 그러나 묘족의 결혼식을 올리는 자리에서 동방불패는 결혼을 거부한다.[6] 하지만 남봉황은 계속 동방불패를 남편으로 생각하고 흑목애에 들어간다. 오독교의 세력을 인정 받아, 일월신교의 장로가 되기도 한다. 드라마 초반에 자신이 수십 년간 키우던 뱀이 영호충에 의해 죽임을 당하자, [7] 영호충을 원수로 여기고 반드시 죽이겠다는 맹세를 한다. 하지만... 그 맹세는 흐지부지된다. 드라마 전체를 본다면, 작품의 진 주인공은 동방불패보다는 남봉황이라고 봐야 할지도 모른다.

3.2. 기타 인물

임평지|林平之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임평지2.jpg
천쉰(陈汛)
복주의 복위표국(福威標局) 총표두 임진남의 아들. 화산파의 제자. 악영산의 사제이면서 남편이 되는 사람.

임평지 역을 맡은 천쉰(陈汛)은 1993년생 배우이다. 이 드라마에서는 '무난한 임평지'. 대체로 나쁘지 않다. 나중에도 눈이 멀지 않는다!!! 사실 목고봉이 극 초반에 죽는다. (...라고 생각되지만 살아 있다. 무협에서 절벽에서 떨어지고 시체 확인 안 하면, 100% 살아있는 거다. 다만, 나중에는 평범한 상인으로 살아간다. 죽는 거나 별반 다름 없는 결과...)
악영산|岳灵珊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악영산.jpg
장쯔신(姜梓新)
화산파의 장문인 악불군영중칙 슬하의 외동딸. 임평지의 아내. 영호충의 사매.

악영산 역을 맡은 장쯔신(姜梓新)은 1996년생 배우이다. 영호충과 임평지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이 별로 안 보인다. 영호충은 처음부터 그냥 대사형, 나중에도 그냥 대사형인 것 같다.
의림|仪琳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의림2.jpg
장쭤쥔(姜卓君)
항산파의 제자. 불계화상과 아파파의 딸.

의림 역을 맡은 장쭤쥔(姜卓君)은 1995년생 배우이다. 임영영 역의 쉐하오징보다 한 살 어리고, 악영산 역의 장쯔신보다 한 살 많은데, 겉모습만 본다면 두 사람보다 훨씬 어려 보인다. 하지만 심하게 선한 이미지라서 의림 역 말고는 다른 배역을 맡기에는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전백광|田伯光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전백광.jpg
지동란(季东燃)
이 드라마 속 세계관에서 악명이 자자한 색마. 불계화상의림의 제자. 스승 의림을 쫓아서 항산파에 들어간다.

전백광 역을 맡은 지동란(季东燃)은 1985년생 배우이다. 의림을 사부로 맞은 것은 영호충의 야바위성 내기에 의한 것인데, 의외로 처음부터 의림사부를 순순히 받아들인다. 나중에는 진심으로 의림을 좋아하게 되는데...그러나 좋아하는 것으로 끝난다. 의림은 과연 의림이다. 오로지 불심뿐이다. 영호충이 의림에게 다가왔다면 또 혹시 모를까? 중간에 오른손목을 다쳐 더 이상 칼을 못 드는 것으로 나오는데, 이상하게 후반부에 가면 잘 싸우고 있다.
악불군|岳不群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악불군.jpg
리하오한(李昊翰)[8]
화산파의 장문인. 통합된 오악파(五岳派)의 장문인이 되는 사람. 영중칙의 남편, 악영산의 아버지, 임평지의 장인.

악불군 역을 맡은 리하오한(李昊翰)는 1974년생 배우이다. 역대 악불군보다 더 군자스럽고 더 인간적으로 보인다. "위군자" 라는 설정으로 본다면 주변인들을 잘 속인 거라고도 할 수 있지만, 오악파를 손에 넣은 후에, 악영산에 이어 영중칙까지 떠나자 가족을 그리워하는 인간적인 모습이 나와서 다소 애틋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망가지는 모습이,금기의 무술을 익혀서 망가지는 게 아니라, 가족을 잃은 외로움에 망가지는 듯 한다.
영중칙|宁中则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영중칙.jpg
차오옌(曹艳)
화산파의 장문 부인. 화산파의 고수. 화산파 장문인 악불군의 아내, 악영산의 어머니, 임평지의 장모.

영중칙 역을 맡은 차오옌(曹艳)은 1983년생 배우이다. 원작과 그대로의 영중칙이다. 수많은 소오강호 드라마가 만들어졌어도 영중칙의 성격은 별로 변하지 않는다.
임아행|任我行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임아행.jpg
왕지아닝(王佳宁)
임영영의 아버지. 일월신교의 교주.
좌냉선|左冷禅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좌냉선.jpg
쩡하오(郑昊)
숭산파의 장문인. 오악검파의 맹주.

좌냉선 역을 맡은 배우 쩡하오(郑昊)는 1976년생 배우로, 특별출연이다.
풍청양|风清扬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풍청양.jpg
왕칭쑹(王劲松)[9]
화산파 검종(劍宗) 출신의 은거 고수. 영호충에게 독고구검을 전수한다.

풍청양 역을 맡은 왕칭쑹(王劲松)은 1967년생 배우로, 특별출연이다.
향문천|向问天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상문천.jpg
진카이지에(金楷杰)
일월신교의 광명우사. 영호충의 의형.

상문천 역을 맡은 진카이지에(金楷杰)는 1983년생 배우이다. 지금까지 이런 상문천은 없었다. 자기가 살기 위해서 임아행을 죽이려 하다가 임아행에게 충성을 다하는 동방불패에 의해서 실패하고 죽어가는 상문천이라니... 게다가, 임아행을 죽이려고 했던 이유는 더 황당하다. 원작의 상문천은 영호충과 더불어 소오강호에서 가장 멋있는 캐릭터 중 하나다.
여창해|余沧海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여창해.jpg
코하타 류(木幡龙)[10]
청성파의 장문인. 벽사검법을 빼앗고 익히기 위해서 필사의 노력을 하는 인물.

여창해 역을 맡은 코하타 류(木幡龙)는 1976년생 배우이다. 이 드라마에서는 준주연 급에 해당될 정도로 비중이 높아졌다. 원작에서 여창해의 청성파는 오악검파에 비해서 서열이 낮은 편인데, 여기서는 거의 동급으로 인정해주는 분위기다.
양연정|杨莲婷
<nopad> 파일:소오강호 드라마 2018 양련정(양연정).jpg
저우루이쥔(周睿君)
일월신교의 인물. 동방불패와는 누이, 오라버니 하는 사이이다.

양연정 역을 맡은 저우루이쥔(周睿君)는 1991년생 배우이다. 이 드라마에서는 원작과 다르게 성별이 바뀌고 이름의 마지막 글자 정이 '亭'에서 '婷'으로 바뀌었다, 동방불패와는 애인 사이인지, 오빠-여동생 사이인지 미궁이었지만 친했다. 그런데 출생의 비밀이 있어서 임아행의 딸로 정체가 드러난다. 임영영의 이복 여동생이다. 그리고 그 뿐만 아니라 극 초반의 중심이었던 '복면인'은 양연정이었다. 아버지 임아행을 지하감옥에 가두고, 동방불패보다 더 잘 싸우는 인물이다. 이 설정만으로도 소오강호 2018은 엄청난 작품이 되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전개가 복면인의 정체가 드러나는 순간이, 많은 시청자들이 2018 신소오강호를 포기하는 시점이기도 한다.

4. 평가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2.5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6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px><tablebgcolor=#fff,#191919><bgcolor=#275c9d><tablebordercolor=#275c9d> 파일:MyDramaList_logo.png ||
별점 7.6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032541><tablebordercolor=#032541><tablebgcolor=#fff,#191919><:> 파일:TMDB 로고.svg ||
점수 76%


원작인 《소오강호》의 등장인물과 스토리 플롯의 일부만 따라갈 뿐 굉장히 큰 부분에서 변화를 줬다. 대표적으로 동방불패남봉황을 주연급으로 격상해서 러브 스토리를 추가하고 임아행과의 관계를 바꾸며, 임영영을 조기에 등장시켜서 원작에서 영호충이 겪은 이야기의 상당 부분을 덜어냈다든지 하는 큰 변화가 있다. 그런 이유로 드라마 제목도 '소오강호(笑傲江湖)'라고 한 글자가 더 붙었다. 하지만 이러한 이유 때문에 원작 팬들과 현지 중국 팬들로터 심하게 불평불만을 듣게 됐다.

원작 저자 김용은 소설 《소오강호》 제1권의 신 서문에서 '(김용 자신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나 드라마 중에서 어떤 것이 잘 만들었다고 생각하느냐'는 한 독자의 질문에, '영화나 드라마로 각색하면서 독자마다 성격이 다르므로 같은 내용이라도 받아들이는 게 달라서 (제작진이 이해한 입장에서) 어느 정도는 바꿀 수 있겠지만, 완전히 바꾼 것은 가장 나쁘고 독선적이며 원작자와 수많은 독자를 무시한 것이다'라고 언급한 적이 있다. 이 드라마의 제작진들은 이런 점을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원작 독자들이 '원작 파괴'라는 느낌을 받을 정도로 바꿨기 때문에 처음부터 독자들에게는 크나큰 괴리감과 거부감으로 다가온 것이다.

그렇다면 원작 파괴였음에도 세세한 포인트를 잘 살려서 독보적인 2차 창작물을 만들었는가? 그런 것도 아니다. 서극이 연출하고 허관걸영호충 역을 연기한 영화 〈소오강호 1990〉나 웡징이 연출하고 주성치위소보 역을 연기한 영화 〈녹정기 시리즈[11]는 어떠한가. 이들 작품은 영화라는 매체의 분량 제한이라는 한계 때문에 원작 파괴에 가까운 변화를 줬음에도 흡인력 높은 스토리 플롯과 뛰어난 연기력 및 연출력으로 호평을 들었다. 그 뿐만 아니라 이 작품들은 '재미있다'. 그에 반해 이 드라마는 중구난방이다. 완전히 뜯어고쳤기 때문에 원작의 스토리 플롯에 오롯이 의존하는 건 처음부터 불가능했고 제작진이 사전이 깊이 고민해서 그나마 볼 만한 작품이라도 만들었어야 하는데 전혀 그러지를 못했다. 과감한 도전이기는 했으나 그 시도가 성공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던 것이다.
팬들이 불만을 갖는 부분이 몇 가지가 있다. 대표적으로 '지지 않는다(不敗)'는 표현을 이름에 담고 있는 동방불패(東方不敗)는 무림 최강자가 아니다. 작중 묘사에 따르면 10전 6승 4패에 불과하다. 이 정도 수준이면 허명(虛名)에 지나지 않음에도 어느 누구도 문제제기를 하지 않는다. 원작에서는 그 정도로 약함 모습을 보이지 않았음에도 심지어 '동방패(東方敗)'라고 조롱조로 이름이 바꿔서 부를 정도로 민감성이 높은 태도를 보이기까지 한다. 그 밖에 '군자검(君子劍)'이라는 별호를 달고 있는 악불군이 실은 '가짜 군자(僞君子)'였다는 걸 해당 세계관에 있는 사람들은 쉽사리 간파해버린다. 하지만 이 드라마에서는 악불군의 위선성이 상당히 밋밋해져 버렸다. 그리고 영호충이 사과애(思過崖) 동굴의 비밀과 독고구검을 익히게 된 과정을 악불군에게 전부 털어놓은 장면은 일반인 기준으로 보더라도 상식 밖이라고 말할 정도로 영호충의 경계심은 터무니 없으며 그 전개의 설득력도 많이 떨어진다. 심지어 영호충의 의형이자 임아행의 심복 상문천임아행을 죽이려고까지 하며, 그걸 막는 것은 동방불패(?)이다. 조천추, 노두자를 비롯한 마교 세력도 나중에 영호충과 임영영에게 반기를 든다.

무술 장면 묘사도 어색했다. 원작 소설인 《소오강호》에서는 규화보전, 벽사검법, 독고구검, 흡성대법 등 다양한 무술이 등장하고, 각 무술마다 고유 특성이 있다. 가령 독고구검은 아예 방어의 초식이 없는 철저하게 공격적인 무술이고, 규화보전벽사검법은 음기가 너무 강해서 남자가 이 무공을 익히려면 스스로 거세를 해야 한다. 하지만 이 드라마에서는 각 무술 간의 특이점이 드러나지 않는다. 독고구검을 익힌 영호충규화보전을 익힌 동방불패가 검술 방식이 똑같다. 규화보전벽사검법는 으레 독침을 써왔다. 그 자체로 '음기가 강하다'는 특징에 대한 설명이 된다. 심지어 독고구검을 쓰는 영호충이 죽어라 방어만 하고 있다든지 검을 양손으로 잡고 크게 휘둘러 마치 도(刀)처럼 쓰는 장면도 나온다. 또한 이 드라마에서 최강의 무술 초식이 '오른발 앞차기'이다. 칼을 들고 열심히 싸우다가, 오른발로 한 방 뻥 차면 상대가 각혈을 하며 사망한다. 칼에 죽은 경우도 사실 베인 것에 가까운데, 치명상을 입은 듯이 픽 쓰러져 죽는다. BGM도 비장감과는 거리가 먼 음악을 택하기도 한다.

과감한 변화를 시도했지만, 그 시도가 성공하려면 무엇보다 작가와 감독의 역량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 드라마의 묘사는 엉성하고 밋밋한 느낌 뿐이다. 즉, 이 드라마 작가들과 연출자의 능력 부족이 엿보이는 부분이다.

다만 극 초반만 극복하면 중반 이후부터는 밀도 높게 스토리 플롯을 구성했던 원작 소설을 그대로 따라가는 부분이 있어서, 원작을 모르는 시청자들에게는 킬링타임용으로는 볼 수 있는 작품이다.


[1] 중국식 표현으로는 '고장극(古装剧)'으로 불린다.[2] 회당 45분 분량[3] 총괄 작가(总编剧)[4] 연주곡[5] 얼굴도 잘 생겼다. 역대 동방불패들이 여자이거나, 아니면 원작을 따라 변태아저씨거나 그랬는데, 참 특이한 설정이다. 내용뿐만 아니라, 얼굴로도 절대 주인공급이다.[6] 한편 동방불패는 이 때 이미 규화보전을 익힌 상태였다.[7] 죽이는 과정이 《사조영웅전》에서 곽정이 뱀을 죽이는 장면과 비슷하다. 덧붙여, 다른 무협지의 많은 부분을 차용했다.[8] 리하오한은 2021년에 방영한 드라마 〈천룡팔부 2021〉에서 현자 역을 맡은 배우다.[9] 왕진쑹은 2017년에 방영된 드라마 〈대군사 사마의〉에서 순욱 역을 맡은 배우로 유명하다.[10] 코하타 류는 2010년에 개봉한 영화 〈정무풍운(한국 번역명: '정무문: 1 대 100의 전설')〉에서 치카라이시 타케시(力石猛) 대령 역을 맡은 배우이다.[11] 김용은 앞서 언급했듯이 '원작을 완전히 바꾸는 것'에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지만, 한편 영화 〈녹정기 시리즈〉에 출연한 주성치에 대해서 '위소보 역과 잘 어울린다고 칭찬했다'는 해당 영화 감독 웡징의 전언이 알려지기도 했다. 적어도 원작 파괴를 하려고 했으면 최소한 보기에 괜찮은 작품이라도 만들었어야 했다는 소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0
, 9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