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14:33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가정용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로고 블랙.png파일:스트리트 파이터 로고 화이트.png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본편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colbgcolor=#eee,#000>
파일:sf1 아이콘.svg파일:sf1 아이콘 블랙.png
파일:sf2 아이콘.svg파일:sf2 아이콘 블랙.png
파일:sf0 아이콘.svg파일:sf0 아이콘 블랙.png
파일:sf4 아이콘.svg파일:sf4 아이콘 블랙.png
파일:sf6 아이콘.png파일:sf6 아이콘 블랙.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작품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min-width: 70px"
<colbgcolor=#eee,#000><colcolor=#000,#fff>합본II 터보 · II 대쉬 플러스 · SFC1 · SFC2 · III 더블 임팩트 · 애니버서리 · ZeroFG · 25th · 30th · CFC1 · CFC2
외전작
파일:sfex 아이콘.svg파일:sfex 아이콘 블랙.png 시리즈:
스트리트 파이터 EX · EX2 · EX3
더 무비 · 리얼 배틀 온 필름
모바일:
SF4 아레나
기타
게임
관련 시리즈 : 파이널 파이트 · 사립 저스티스 학원
자사 크로스오버 : VS. 시리즈(XvSF · MvSF · MvC1 · MvC2 · MvC3 · MvCI · CvS1 · CvS2 · TvsC · SFxTK) · PF · CFG · SFxMM
타사 크로스오버 : SvC MotM · SvC Chaos · SSB4 · SSBU
미디어
믹스
영상물:
실사 · 춘리의 전설 · 전설의 귀환 · 2 극장판 · TV판 · 가두쟁패전 · 거리의 무법자 · 초급학교패왕
만화:
힘내라 사쿠라 · 류 파이널 · 스트리트 화이터 III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colbgcolor=#eee,#000>플레이어블 캐릭터만 처음 등장한 시리즈 부분에 나열됨 · 그 외는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등장인물 문서 참조
파일:sf1 아이콘.svg파일:sf1 아이콘 블랙.png
·
파일:sf2 아이콘.svg파일:sf2 아이콘 블랙.png
가일 · 달심 · 블랑카 · E.혼다 · 장기에프 · 춘리 / M.바이슨 · 발로그 · 사가트 · 베가 / 디제이 · 캐미 · 페이롱 · T.호크 / 고우키 · 진 고우키 / 세뇌당한 켄
파일:sf0 아이콘.svg파일:sf0 아이콘 블랙.png
아돈 · 버디 · 가이 · 소돔 · 찰리 내쉬 · 로즈 · / · 롤렌토 · 사쿠라 / 코디 · R.미카 · 카린 · 율리 · 유니 /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 이글 · 마키 / 잉그리드
파일:sfex 아이콘.svg파일:sfex 아이콘 블랙.png
독트린 다크 · 스컬로 매니아 · 크래커 잭 · 풀룸 플루나 · 호쿠토 · 다란 마이스터 · 블레어 데임 · 앨런 스나이더 · 카이리 / 가루다 · 사이클로이드 베타/감마 · 피의 봉인을 푼 호쿠토 / 샤론 · 하야테 · 나나세 · 섀도우 가이스트 / 볼케이노 롯소 · 에어리어 · 베가 2 / 에이스
알렉스 · · · · 이부키 · 엘레나 · 더들리 · 오로 · 네크로 · / 휴고 · 유리안 / 마코토 · Q · 트웰브 · 레미
파일:sf4 아이콘.svg파일:sf4 아이콘 블랙.png
크림슨 바이퍼 · 루퍼스 · 엘 포르테 · 아벨 · 세스 · 고우켄 / 하칸 · 한주리 / 광기의 오니 / 포이즌 · 디카프리
네칼리 · 라시드 · 라라 · F.A.N.G / 콜린 · 에드 · 아비게일 · 메나트 · 제쿠 / 팔케 · G / 카게나루모노 · 루시아 / 아키라 · 루크 · 일레븐
파일:sf6 아이콘.png파일:sf6 아이콘 블랙.png
제이미 · 마농 · 킴벌리 · 마리사 · 릴리 · JP / A.K.I. / 테리 (콜라보) · 마이 (콜라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min-width: 70px"
<colbgcolor=#eee,#000><colcolor=#000,#fff>관련 문서기술 · 성우 · 월드 투어 · 풍림화산류 (고우테츠 · 살의의 파동) · 사이코 파워 · 무신류 · 샤돌루 · 매드 기어 · 딤프스 · 아리카 · e스포츠(CPT · SFL)
고유 시스템슈퍼콤보 2~ · 오리지널 콤보 · 세이빙 어택 4 · 울트라콤보 4 · V 시스템 5 · 드라이브 시스템 6 · 모던 컨트롤 6
기술표2 시리즈 · 제로 (제로 2 · 제로 3) · 3 시리즈 · 4 시리즈 · 5 시리즈 · 6 시리즈 }}}}}}}}}


파일:external/www.emuparadise.me/ssf2ar1.png
1. 개요
1.1. 그래픽1.2. 사운드1.3. 특이사항

1. 개요


파일:external/www.fightersgeneration.com/ssf2f.jpg
[1]
1994년 슈퍼 패미컴/슈퍼 닌텐도, 메가 드라이브/세가 제네시스로 이식됐고 슈퍼 패미컴/슈퍼 닌텐도판은 전세계 기준 200만장 판매라는 기록을 남겼다. 용량은 슈퍼 패미컴/슈퍼 닌텐도판이 32메가, 메가 드라이브/세가 제네시스판 소프트가 40메가 비트로 대쉬/대쉬 터보 시절과 마찬가지로 메가 드라이브/세가 제네시스판 쪽이 용량이 약간 크다. [2]

두 기종판 모두 각각 현대/삼성에서 정식발매 하였으며 현대는 북미,유럽판을, 삼성은 일본판을 들여왔다.

1.1. 그래픽

하드웨어의 한계가 있으니만큼 프레임 및 기본기 삭제 등은 양쪽이 거의 동일한 수준이지만 전작과 마찬가지로 한 화면에서 최대 256색까지를 표현할 수 있는 슈퍼 패미컴/슈퍼 닌텐도 쪽이 64색이라는 한계가 있는 메가 드라이브/세가 제네시스에 비해 동시발색 능력이 뛰어나 그래픽이 좋다. 다만 슈퍼 패미컴판도 원본인 CPS2판에 비해 다소 색감이 칙칙한 느낌이 있다.

메가 드라이브판은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 색상수가 슈퍼 패미컴판보다 적어 원색 위주로 표현된 탓에 거친 느낌이 드는 점은 어떻게 할 수가 없었다. 특히 켄 스테이지의 배, T호크 스테이지의 하늘 그라데이션, 캐미 스테이지의 오로라 그래픽을 보면 슈퍼 패미컴판보다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 눈에 띈다. 그리고 류 와 켄 의 근접중펀치 모션이 잘린 슈퍼패미콤 판과 달리 살아 있다. 프레임 삭제에서 유일하게 차이가 나는 부분.

HP 바의 디자인 도 입체적으로 튀어나온 테가 둘러진 느낌의 아케이드 버전 디자인을 MD 판은 그대로 가져왔지만 SFC 판은 기존 이식판의 리소스를 재활용한 것인지 아케이드와 디자인이 다르므로 화면 디자인 전체적으로 보면 MD 판이 더 아케이드 판 디자인에 가깝다.

그리고 소소한 부분이지만, 대 CPU전 최종보스 베가가 1라운드 시작 전 벗어던지는 망토의 색깔이 메가 드라이브판은 CPS2판과 달리 갈색고동색 계통이다. 슈퍼 패미컴판은 CPS2에 가까운 어두운 파랑 계열로 제대로 표현되었는데 유독 메가 드라이브판이 전작인 대쉬 플러스도 그렇고 베가의 망토 색깔이 완전히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 64색의 한계 때문에 배경에서 사용한 갈색계열 색을 돌려써서 색 사용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색상 뿐만이 아니라 일부 스테이지는 배경 레이어에서도 차이가 나며 여러가지로 그래픽적 측면에서는 MD 는 SFC 에 상대가 되지 못한다. 적어도 그래픽에 있어서는 슈퍼 패미컴판이 우위인 것은 사실.

1.2. 사운드

메가 드라이브판의 경우 사운드 측면에서는 그야말로 끔찍한 수준. 음성 샘플링 및 음악이 도저히 구제가 안되는 음질이다. 8비트 수준의 음원인데 전작인 대쉬 플러스랑 비교해보면 천지 차이. 가래가 끓는 느낌이라 표현하면 적절할 듯. 다만 타격음이나 효과음은 메가 드라이브슈퍼 패미컴보다는 좀 무거워서 아케이드판에 그나마 좀 가까웠다. 대쉬 플러스 시절엔 제법 준수한 사운드를 들려줬던 것에 비하면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특유의 사운드 스타일과 메가 드라이브의 사운드 성향이 맞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결론적으로는 용량 부족 때문에 샘플링 음원을 거의 쓰지 못하고 PSG를 많이 써서 그렇다.

슈퍼 패미컴의 사운드 계통인 소니 SPC700 칩은 격투게임과 같은 강하고 거친 사운드 연출에는 취약한 편이라는 인상이 강한데 하드웨어 성능이 충분히 뽑혀나오는 시기였던 1994년작인 본작은 물론이고 기기 끝물에 나온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2에서도 결국 이 문제는 극복하지 못했다. 그래도 BGM은 기존의 스파2/터보, 그리고 스파 제로 2에 비하면은 훨씬 괜찮은 편이다. FM 음원은 역시 신디사이저의 명가 야마하!! 추가로 타격음이 CPS2판에 비해 훨씬 가볍고 틱틱거리는 인상을 주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슈퍼패미콤의 음원칩인 SPC 자체가 원래 아케이드 특유의 타격음을 재생하기에는 태생적으로 맞지 않으며 현악기쪽에 특화되어있기 때문이다. 특이점으로 일본판 BGM과 북미판 BGM이 다른데, 전체적으로 북미판의 사운드 품질이 우수하다.

사운드 면에서는 슈퍼 패미컴 쪽은 왠지 라운드를 카운트해주는 부분의 음성이 잘려있고 매 라운드마다 BGM이 이어지지 않고 새로 시작되지만, 메가 드라이브판은 음성이 들어가있고 BGM 또한 CPS2판처럼 1~2라운드가 그대로 이어진다. 게다가 SFC판은 이전 이식작들과 마찬가지로 아케이드판과 음성 느낌이 꽤 다른데 이번에는 음성 재생 속도가 빨라서 이질감이 있다. 세간의 평가는 단순히 음질 자체는 슈퍼 패미컴 판이 낫지만, 아케이드 감각 면에서는 미세하게 메가 드라이브판을 더 우위로 쳐주는 편이다. 어느쪽이건 CPS2를 커버하기엔 성능이 많이 달렸다.

1.3. 특이사항

오프닝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슈퍼 패미컴/슈퍼 닌텐도판은 류가 파동권을 발사하기 전에 팔을 모으는 부분이 삭제되어 동작이 끊어져 나오고 메가 드파이브/세가 제네시스판은 동작 삭제없이 아케이드랑 똑같이 나온다. 비교 영상 아무래도 용량에 여유가 좀더 있어서 모션을 자르지 않아도 되었던 모양. 엔딩 역시 차이가 있는데 메가 드파이브/세가 제네시스판은 아케이드판 엔딩이 그대로 나오지만 슈퍼 패미컴/슈퍼 닌텐도판은 용량 문제로 엔딩 일부 장면이 삭제되거나 스트리트 파이터 2/슈퍼 패미컴판 처럼 게임 내 그래픽을 재활용한 연출로 간소화된 부분이 있다. 엔딩 비교

토너먼트 배틀은 양쪽 기종 다 대전 모드중 하나로 들어가 있는데 아케이드판에서 우승했을때 나오던 캐릭터별 승리 데모는 빠졌다.

그외에도 슈패버전을 강룡처럼 개조한 버전도 있다.

슈퍼 패미컴/슈퍼 닌텐도판과 메가 드라이브/세가 제네시스판 모두 (메이커 비공인) 온라인 게임 서비스였던 XBAND 지원 게임 중 하나였다. 유튜브를 보면 지금도 그때의 대전 영상이 존재한다.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X 아케이드판 출시 이후에 출시된 이식작이라 속도 선택기능이 없던 아케이드판과 달리, 가정용 이식작들은 최대 터보 3단계까지 속도를 조절할 수 있었다.

1.3.1. 버추얼 콘솔

2007년에 슈퍼 패미컴/슈퍼 닌텐도판이, 2011년에 메가 드라이브/세가 제네시스판이 Wii 버추얼 콘솔로 발매되었다. 메가 드라이브/세가 제네시스판 한정으로 Wi-Fi 대전이 가능했으나 2014년 5월에 Wii 게임 전체의 Wi-Fi 서비스가 종료된 터라 현재는 플레이 불가능하다.

슈퍼 패미컴/슈퍼 닌텐도판은 이후 2014년에 Wii U, 2016년에 New 닌텐도 3DS 버추얼 콘솔로 발매되었다.


[1] 슈퍼패미컴 북미판 패키지로, 현대전자에서 정발한 버전이 이 북미,유럽판이다.[2] 전작도 슈퍼 패미컴/슈퍼 닌텐도스트리트 파이터 2 터보는 20메가, 메가 드라이즈/세가 제네시스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 플러스는 24메가였다. 살짝 밀리는 하드웨어 성능을 용량으로 커버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