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21:47:09

부여융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제후왕 및 후작
우현왕 좌현왕 불사후 면중후
부여기 부여곤지 부여례 목간나
도한왕 아착왕 매로왕 불사후
저근 부여고 부여력 부여고
매라왕 벽중왕 불중후
사법명 찬수류 해예곤
섭정 비정통
전지왕 섭정 찬탈 비정통 비정통
부여훈해 부여설례 진이왕 부여태
부흥운동 대방군왕 (멸망이후)
제32대 국왕 대방군왕 대방군왕
풍왕 부여융 부여경
문헌 상 언급
음태귀수왕 덕좌왕 호왕 진왕
추존
태조 도모왕
}}}}}}}}}


부여융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백제의 왕자
[[틀:백제의 왕자/아신왕 ~ 의자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006666;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AB2D, #4CCB3B 20%, #4CCB3B 80%, #3DAB2D);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순타태자 · 부여사아 · 성왕
국왕 · 태자
왕자 : 온조왕 ~ 진사왕 · 아신왕 ~ 의자왕
? 아들인지 논란이 있는 경우
※ 확실하게 부자관계가 아님이 증명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온조왕 다루왕 근초고왕 침류왕
부여다루 부여기루 부여구수 부여아신
<rowcolor=#fbe673> 아신왕 문주왕 무령왕
부여전지 부여삼근 순타태자 부여명농
<rowcolor=#fbe673> 성왕 위덕왕 혜왕
부여창 임성태자 아좌태자 부여선
<rowcolor=#fbe673> 무왕 의자왕
부여의자 부여융 부여효
}}}}}}}}}

구 백제 영토 통치자
부여융 | 扶餘隆
파일:의자왕과 부여융의 가묘.jpg
부여 왕릉원에 설치된 부여융 가묘.
출생 음력 615년
사망 음력 682년 (향년 67세)
백제 작위 왕태자(王太子)[1]
당 작위 대방군왕(帶方郡王)[2][3]
당 품계 광록대부(光祿大夫)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4]
당 직위 행태상경(行太常卿) - 사지절 웅진도독(使持節 熊津都督)[5]
성씨 부여(扶餘)
이름 융(隆)[6]
융(隆)
능묘 북망산(北邙山)[7], 부여 왕릉원[8]
부모 부왕 의자왕(義慈王)
모후 은고부인[9]
조부모 조부 무왕
조모 선화공주
웅진도독
재임 기간
음력 665년 ~ 676년 (11년)
구 백제 영토
지배 기간
음력 677년 ~ 682년 (5년)

1. 개요2. 생애
2.1. 초기2.2. 모국의 멸망과 굴욕적인 항복2.3. 당나라 장수가 되어 백제부흥운동을 탄압하다2.4. 당나라 웅진도독부 도독이 되다2.5. 고국땅을 떠나 당나라에서 여생을 보내다
3. 후일담과 평가4. 가족 관계5. 대중매체에서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의자왕장남. 백제의 태자였으며, 당나라의 귀족, 장수이자 웅진도독부의 도독이었다.

당나라 장수로서 백제부흥운동을 탄압한 인물이 부여융이었다. 그 상황에서 부흥운동을 이끈 사람은 다름 아닌 친동생 부여풍.

부여융 묘지명에서는
어린 나이에 비범한 모습이 드러났고 일찍부터 아름다운 자태가 빼어났으니 기세가 삼한(三韓)을 덮었고 명성은 양맥(兩貊)에 널리 퍼졌다. 효로써 성품을 이루었고 신중함으로써 몸을 일으켰다
라고 기록했다.#

2. 생애

2.1. 초기

부여융의 묘지명에 따르면 부여융은 615년의자왕의 아들로 태어났다. 셋째 아들이라는 기록이 남아있는데 그가 대성팔족 중 하나인 사택씨를 모계로 두고 있기 때문에 초창기에 태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 추정된다.

부여융은 30살이 되는 644년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한편 《구당서》에는 647년인 정관 11년 12월에 백제 태자 융이 조공했다[10]는 언급이 있다.

2.2. 모국의 멸망과 굴욕적인 항복

분명 부여융이 644년 태자가 됐는데 이상하게도 백제 멸망 당시의 기록에는 태자가 '부여효'로 바뀌어 있고 부여융은 그냥 왕자라고만 쓰여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아무래도 655년 정월에 일어났던 의자왕의 친위 쿠데타의 결과로 보인다. 부여효는 부여융의 배다른 형제로 추측되는데, 백제 말기에 전횡을 일삼았다는 군대부인이 의자왕의 친위 쿠데타를 도와 권세를 잡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대부인 소생인 부여효가 부여융을 몰아내고 태자위를 빼앗아갔다는 설이 유력하다. 한편 이 군대부인이 은고부인이라는 설도 있으나 확실하지 못하다.

660년 나당연합군의 공격을 받고 웅진강 입구의 전투에서 당군에게, 황산벌 전투에서 신라군에게 패배해 수도 사비성 포위전이 눈앞에 다가오자 의자왕은 태자 부여효와 함께 사비성을 탈출하여 북쪽의 요충지인 웅진성으로 피난했다. 부여융은 일단 사비성에 남아있었지만 동생 부여태가 의자왕이 없는 틈을 타 멋대로 백제왕 행세를 하자 의자왕의 손자인 부여문사와 논의 끝에 사비성에 이대로 남아있으면 안 되겠다 싶어 측근들을 데리고 밧줄을 타며 사비성을 탈출했다. 부여태는 탈출하는 이들을 보고도 어쩔 수 없어 막지 못했다.

결국 부여태가 지키는 사비성, 의자왕과 태자 부여효가 들어간 웅진성이 차례로 나당연합군에 함락당해 부여융도 의자왕과 함께 항복했다.[11] 이후 항복 의식에서 신라의 태자 김법민(훗날의 문무왕)이 뱉은 침을 맞는 수모를 겪었는데, 문무왕이 이런 행동을 한 직후 "네 놈의 아비 때문에 대야성에서 내 누이무참하게 죽었다. 오늘 너의 목숨은 나의 손에 달려 있다."라고 말한 걸 보면 분명 과거의 일에 대한 복수의 의미를 담은 것이라 할 수 있다.

2.3. 당나라 장수가 되어 백제부흥운동을 탄압하다

백제 멸망 이후 부여융은 백제 백성 1만여 명과 함께 으로 압송되었다가 당나라의 회유에 넘어가 당고종의 신하로 활동하게 된다. 660년 사농경 관직을 받고 한동안 당나라에서 머무르며 일했다.

한편 멸망한 구 백제 지역에서는 백제부흥운동이 일어나고, 왜국에 가 있어서 백제 멸망 당시 당나라로 끌려가지 않은 왕자 부여풍을 백제 땅으로 데려와 왕으로 세웠다. 당나라는 부여풍을 능가하는 정통성을 가진 부여융을 이용하기로 했고 백제부흥군을 진압할 당군 사령관으로 부여융을 임명한다. 662년 당나라 수군을 이끌고 구 백제 강역으로 돌아와 당나라 장수 유인궤와 함께 주류성을 근거지로 하는 백제부흥군의 수장이자 자신의 동생인 풍왕 부여풍을 공격했다. 결국 백제부흥군은 백강 전투에서의 결정적인 패배와 내분으로 무너졌다.

2.4. 당나라 웅진도독부 도독이 되다

백강 전투를 비롯, 백제부흥군을 절멸시키는데 결정적인 공을 세운 부여융은 664년 당나라에 의해 웅진도독부 도위에 임명되었고 665년에 유인궤의 뒤를 이어 웅진도독부 도독으로 임명되었다. 이로서 부여융은 구도 사비성 부근에 대한 지배권을 부여받았다. 당나라는 이전 당나라군의 직접 통치가 백제 유민들의 큰 반발을 가져왔던 것을 반면교사로 삼아 이번에는 구 백제의 태자였던 부여융을 꼭두각시로 내세워 백제 유민들의 반감을 줄이면서 옛 백제 지역을 통치하려 했다. 이후 부여융은 670년 나당전쟁 발발 전까지 사비성 인근 옛 백제 수도권 지역을 직접 통치했다.

향후 신라까지 집어삼킬 야욕을 가지고 있었던 당나라는 665년에 취리산 회맹을 주재하여, 웅진 도독 부여융과 과거 융에게 침까지 뱉으며 모욕을 주었던 신라 문무왕을 같은 자리에 앉혔다. 여기서 두 사람은 명목상 대등한 위치에서 더 이상 싸우지 않고 화해할 것을 맹세했다.(취리산 회맹) 당나라는 취리산 회맹을 통해 신라에게는 이미 멸망한 백제가 멀쩡한 신라와 동격임을 강요하여 옛 백제 영역으로 침투하지 말라는 경고를 했다.

2.5. 고국땅을 떠나 당나라에서 여생을 보내다

허나 670년 나당전쟁이 개전되면서 신라군은 웅진도독부에 대대적인 공격을 가했고[12] 부여융은 결국 672년 바다 건너 당으로 도망가야 했다.[13]

676년 나당전쟁이 끝난 후 웅진도독부는 백제와 아무 상관도 없는 고구려의 옛 땅인 요동 지역의 건안성으로 옮기게 되었다. 당은 여기에다가 과거 백제에서 압송해온 유민들을 모아 백제유민 자치구를 만들게 된다. 그리고 682년 6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부여융이 죽을 때 중국 낙양에서 사망해 북망산에 묻히고 사후에 당나라 조정으로부터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을 추증받았다.

3. 후일담과 평가

의자왕과 그의 자손들이 당나라에 끌려가 비참한 삶을 살아갔을 것이라는 세간의 인식과 달리 부여융은 당나라의 장수이자 웅진도독을 역임하며 최고위 귀족으로서 남부럽지 않은 삶을 살았다.[14]

한편 부여융의 자손들은 웅진도독부를 대조영이 멸망시켰고 당나라는 이 도독부를 부활시킨 바 없기에, 명목상의 백제왕 작위만 어쩌다 받은 듯하다. 최근(?) 밝혀진 부여융의 손녀 부여태비의 생애를 통해 부여융의 자손들이 당나라에서 누린 권세와 영예를 엿볼 수 있다.

여담으로 부여 서씨 측에서는 부여융이 당 황제로부터 서씨를 사성받은 후 내려온 것이 그들 가문이라고 자처하지만, 발견된 부여융 묘지명에는 사성받았다는 기록이 전혀 없다.[15] 부여태비의 기록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부여융의 가문은 당나라에서 이어졌다.[16]

총평을 하자면 망국의 비애를 겪은 백제 태자 출신으로 나름 기구한 인생을 살았다고 볼 수 있지만, 적극적으로 당나라에 협조해 친동생 부여풍이 이끄는 백제부흥운동을 자신이 토벌하기도 했으니 참으로 아이러니한 인생이다.[17]

나당전쟁이 터지자 부여융의 친당 노선에 반발해 도리어 신라에 편입되어 '백금서당'처럼 신라군으로서 활동하는 경우도 있었으므로, 적지 않은 백제인들이 오히려 당나라 장수가 되어 돌아온 옛 태자에 반발하는 경우가 많았던 듯하다. 그리고 덕분에 백제는 유민들이 단합해도 모자랄 상황에서 당군, 부흥군, 신라군[18]으로 나뉘어 서로 싸우다 궤멸당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후백제의 시조 견훤이 부여융의 9대손이라 하는데 신빙성은 낮다. 견훤의 조상 계보는 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는 토룡(지렁이)설, 신라 진흥왕설도 있다. 후삼국 계보 자체가 좋아 보이는 건 다 가져다붙이는 수준이라 외지인인 견훤이 백제 유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꾸며낸 계보일 가능성이 크다.

충청남도 부여군은 사비시대 백제 왕가 묘역인 부여 왕릉원 능산리 고분군 한켠에 부여융의 가묘를 만들었다. 백제의 굴식돌방무덤 양식으로 묘를 조성하고, 무령왕릉 지석을 참고해 백제의 장례방식으로 묘지신에게 땅을 구입한다는 의미로 매지권, 그리고 중국 북망산에서 출토된 부여융의 묘지석 복제품과 부여융묘 자리의 흙을 관과 함께 부여융묘에 매설하였다. 부여융이 죽고 1300년이나 지난 뒤에야 겨우 고국의 능원에 돌아온 셈이다.

4. 가족 관계

5. 대중매체에서

삼국시대 말기를 다룬 사극에서 몇 번 등장했는데, 대부분 백제 왕실 내에서 그나마 사리분별력이 있는 인물로 묘사되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명성왕
비류국
비류왕
덕좌왕
장남
13대
근초고왕
12대
계왕
14대
근구수왕
섭정
훈해왕
찬탈
설례왕
부여신제
19대
구이신왕
부여주
순타태자
26대
성왕
(?)
부여법사
28대
혜왕
(?)
아좌태자
29대
법왕
30대
무왕
부여교기
32대
풍왕
부여선광
부여문사 부여문선 부여덕장
부여사
부여창성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부녀,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1] 의자왕 재위 3년에 봉해졌으나 재위 20년 차에 폐태자 된 것으로 추정. 그러나 최종적으로 부여융의 신병을 접수한 당나라측의 기록에는 그러한 내용이나 부여융을 대신해 태자가 된 걸로 추정되는 부여효에 관한 기록이 일절 등장하지 않는다.[2] 대방군은 한사군 중 하나로서 백제의 주적 중 하나였다. 그러나 대방군이 멸망한 뒤에는 백제왕이 중국에 책봉을 받을 때마다 명목상 대방군공의 작위 또한 세습에 가깝게 이어받았고, 이 때문에 부여융 또한 이 작위에 봉해졌다.[3] 비슷하게 연남생은 당으로부터 변국공(卞國公) 작위를 받았는데 '변국'은 바로 변한(弁韓)을 이른다. 삼한 문서에서 설명되어 있듯 삼국시대 후반기쯤 가면 마한, 진한, 변한이 한반도 남부의 한(韓)족 소국 집합체들이 아니라 고구려, 백제, 신라 등 삼국에 각각 대입하는 것으로 의미가 변해 있었기 때문이다.[4] 사후 추증. 더불어 시호도 추증됐으나 묘지석에서 보이질 않는다.[5] 당나라의 도독직에는 세가지 분류가 있는데 사지절 도독, 지절 도독, 가절 도독이 있다. 부여융은 웅진의 사지절 도독인셈. 웅진도독은 당연히 웅진도독부의 장관이다. 당은 기미책의 일환으로 현지 유력자를 바지사장인 도독으로 앉힌 뒤 당나라 사람을 차관으로 앉히고, 실권을 행사하게 했다.[6] 당회요(唐會要)에서는 당현종 이융기의 이름과 같아서 피휘되었기 때문에 숭(崇)으로 기록되어 있다.[7] 중국 허난성 뤄양시에 소재하였다. 다만 근대 이후 혼란기 와중에 잦은 도굴로 인해 구체적인 매장 장소를 확인할 수 없다.[8] 부여융이 묻힌 곳으로 추정되는 곳에서 흙을 퍼온 뒤 유해귀국 시켜서 만든 가묘이다.[9] '대부인(大夫人)'이라고도 하며, 《일본서기》에는 '하시카시'라는 훈이 달려있다. 21대 개로왕 대에 등장하는 '모니부인(慕尼夫人)'에게도 '무니 하시카시'라는 훈이 달린 걸로 봐서 '하시카시'는 대부인의 이름 같은 고유명사가 아니라 '부인(夫人)'을 가리키는 일반명사임을 알 수 있다.[10] 百濟王遣其太子隆來朝[11] 그런데 현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인 신원사(사찰)(新元寺)의 부속암자인 고왕암(古王庵)의 '융피굴'에 태자 부여융이 도망쳐 숨어있었다가 잡혔다는 전설이 내려온다.[12] 동시에 요동 방면으로 설오유가 지휘하는 신라군 + 고연무의 고구려 부흥군 연합군의 공격이 있었는데, 이는 웅진도독부(옛 백제 지역)에 주공을 하면서 당나라의 시선을 한반도 남부와 북부로 분산시키는 일종의 별동대였다.[13] 웅진도독부가 신라군에 패퇴한 시점은 기록의 모호성으로 672년설과 676년설이 있다.[14] 다만 의자왕 본인은 화병으로 추정되는 병으로 인해 간지 얼마 안 되어 바로 사망한다.[15] 부여 서씨가 진짜 부여융의 후손이라면 부여융의 후손 중 누군가가 당나라로 끌려가지 않기 위해 숨어지내면서 왕성인 부여씨를 서씨로 개성했던 것을 후에 후손들이 사성을 받은 것이라고 윤색했을 경우가 훨씬 개연성있다.[16] 이와는 별개로 백제의 부여씨와 대성팔족들이 신라의 눈을 피해 개성(改姓)했음이 유력시되고 있다.[17] 백제(百濟) 멸망후(滅亡後) 부여융(扶餘隆)의 행적(行蹟)과 활동(活動)에 대한 재고찰[18] 충상, 상영, 자간 등이 신라에 붙은 백제 구 대신에 해당한다.[19] 부여문사라는 설도 있지만 부여문사의 경우 일반적으로 《삼국사기》에 따라 부여효의 아들로 본다.[20] 당현종 대의 관리인 길온(吉溫)의 어머니라고 한다.[21] 법민이 아예 칼을 빼서 죽이려는 모습까지 보였으나, 부왕인 김춘추(무열왕)가 제지하여 목숨을 건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