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0A6A9><colcolor=#fff> 관등 | 좌평(左平)[1] ⮕ 아찬(阿飡)[2] |
직위 | 총관(摠官)[3] |
성씨 | 부여씨?[4] |
이름 | 충상(忠常) |
이칭 | 중상(仲常) |
국적 | 백제 ⮕ 신라 |
생몰년도 | ?~?년 |
1. 개요
중상(仲常)이라고도 불렸다. 삼국시대 백제 말기의 장군이자 정치가. 관직은 백제 최고관직인 좌평이다. 황산벌 전투에서 붙잡힌 후 신라에 귀부해서 공을 세운 것 덕분에 신라 사서들에 기록이 많이 남았었는지, 삼국사기에 나오는 백제 인물 중 왕들을 제외하곤 의외로 가장 기록이 많은 인물중 하나다. 열전까지 따로 작성한 계백보다 기록이 많다. 그래봤자 미미한 수준 (그만큼 백제사는 사료가 너무나 부족하다. 일본서기라도 없었다면 어쩔 뻔...)2. 백제 8명의 포로와 김품석 부부 시신 교환
648년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이때 옥문곡 전투에서 백제 장군 의직이 김유신에게 패하여 의직의 부하장수 8명이 김유신에게 포로로 붙잡혔다. 이에 신라는 백제에 사신을 보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우리의 군주(軍主) 품석과 그의 아내 김씨의 뼈가 너의 나라 옥중에 묻혀 있고, 지금 너희의 부장 여덟 명이 나에게 잡혀 있어 엎드려 살려달라고 하였다. 나는 여우나 표범도 죽을 때에는 고향으로 머리를 돌린다는 말을 생각하여 차마 죽이지 못하고 있다. 이제 그대가 죽은 두 사람의 뼈를 보내 산 여덟 사람과 바꿀 수 있는가?
이에 좌평 충상이 의자왕에게 아뢰었다.
신라인의 해골을 남겨 두어도 이로울 바가 없으니 보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만약 신라인이 약속을 지키지 않아 우리의 여덟 명을 보내지 않는다면 잘못이 저쪽에 있고, 곧음이 우리 쪽에 있으니 어찌 걱정할 바가 있겠습니까?
이에 김품석 부부의 뼈를 파내어 관에 넣어 신라에 보냈다. 이에 김유신은 “한 잎이 떨어진다고 하여 무성한 수풀이 줄어들지 않으며, 한 티끌이 쌓인다고 하여 큰 산이 보태지는 법이 아니다.”
3. 황산벌 전투
660년 음력 7월, 달솔인 계백, 상영 등과 함께 죽음을 각오한 오천 결사대를 이끌고 황산벌에 진을 치고 김유신과 전투를 벌였으나 결국 패하고 계백 등이 전사하자 충상, 상영은 20여명의 부하들과 함께 김유신에게 포로로 붙잡혔다가 이내 항복하였다. 곧이어 백제 멸망 직후 일길찬(7등)의 신라 관등을 받고 총관의 직책에 보임되었다.명확히 기록된 것은 아니지만 달솔인 계백이나 상영보다 관등이 높다는 점을 봐서는 황산벌 전투 백제 결사대의 최고 지휘관이 실제로, 혹은 적어도 명목상으로는 충상일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황산벌=계백'으로 일반에 알려진 걸 감안하면 의외의 부분.[5]
4. 백제 부흥군 토벌
뒤이어 아찬(6품)의 관직으로 승진되었다. 이는 신라 골품제에서 6두품으로서 오를 수 있는 최고위 관직으로, 항장 출신의 충상은 신라에서 6두품급으로 간주되었던 것으로 짐작된다.[6] 661년 음력 2월, 백제 남부에서 집결한 백제부흥군이 당군이 주둔 중인 백제의 옛 수도 사비성을 탈환하기 위해 공격해오자 나당동맹에 의해 당을 구원하기 위해 이찬 김품일, 잡찬 김문왕, 대아찬 김양도 등과 함께 신라군으로서 출전하였다. 이때 충상은 백제 고위관직 출신으로 길잡이 역할을 하기 위해 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백제군의 귀실복신이 신라군 진영이 정돈되지 않았음을 바라보고 갑자기 기습하여 신라군은 패하였고, 신라군이 전열을 가다듬고 두량윤성으로 나아가 한달 엿새동안 공격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반골양에서 백제부흥군과 재차 싸웠으나 또다시 패하고 말았다. 이때 병력손실은 적었으나 병기와 짐수레를 잃어버린 것이 매우 많았다고 한다. 이에 패전의 책임을 물어 벌하였다고 한다. 함께 벌받은 김품일, 김양도 등이 이때 벌을 받고 나중에 다시 복직하여 활약한 기록이 있으나 충상은 그 뒤에도 기록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쓸쓸한 말년을 보냈거나, 아니면 13년 전인 648년에 이미 백제의 최고 관위인 좌평에 있었음을 볼 때 그냥 고령으로 사망했을 수도 있다.5. 역사적 평가
의자왕 때부터 좌평의 관직에 올라 황산벌 전투라는 굵직한 전투에도 출전하였고 신라에 투항하여 아찬이라는 6두품 최고직에도 올랐으나 결국 백제부흥군 토벌에 실패하여 관직에서 물러난 파란만장한 인생을 산 인물인데 그나마 삼국사기에 여러번 등장하는 백제 인물임에도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1] 백제에서의 최종 관등.[2] 신라에서의 최종 관등.[3] 신라에서의 직위.[4] 부여충지나 부여충승과 같은 충(忠)자 돌림에 의자왕이 자신의 수많은 아들들에게 좌평(左平) 관등을 하사한 바 있어 백제 왕실의 일원일 가능성이 있다.[5] 제1차 요동정벌의 경우도 명목상의 최고 책임자는 이인임이었지만 야전 지휘관은 지용수와 이성계였다.[6] 따라서 신라에서 적국의 왕족이라고 미워한 게 아니었다면 왕족인 부여씨가 아니었거나 왕족이었다고 해도 방계 왕족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타 국가의 직계 왕족들은 꼬박꼬박 진골 대우를 해줬기 때문. 심지어 삼국도 아닌 아직 역사가 짧았던 발해의 경우도 고왕 대조영을 진골급으로 인정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