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가 있는 변형 체스의 기물 | |||||
아마존 | 챈슬러 | 아치비숍 | 페르즈 | 알필 | 켄타우로스 |
제브라 | 다바바 | 지라프 | 와지르 | 캐논 | 나이트라이더 |
만 | 그래스호퍼 | 캐멀 | 윌드비스트 | 드래곤 킹 | 드래곤 호스 |
그 외 기물 | |||||
일반 기물 |
1. 개요
fairy chess piece변형 체스에만 나오는 체스 기물이다.
2. 종류
가로로 m칸, 세로로 n칸 (가로로 n칸, 세로로 m칸도 포함) 뛰어넘어 갈 수 있는 기물을 리퍼(Leaper)라고 한다.[1]직선으로 2칸 이동 후 그 방향의 사선 방향으로 1칸 이동하는 캐멀(camel), 직선으로 1칸 이동 후 그 방향의 사선 방향으로 2칸 이동하는 제브라(Zebra), 직선으로 3칸 이동 후 그 방향의 사선 방향으로 1칸 이동하는 지라프(Giraffe), 직선으로 3칸 이동하는 쓰리리퍼(Threeleaper), 직선으로 2칸 이동하는 다바바(Dabbaba), 직선으로 1칸 이동하는 와지르(Wazir), 사선으로 3칸 이동하는 트리퍼(Tripper), 사선으로 2칸 이동하는 알필(Alfil), 사선으로 1칸 이동하는 페르즈(Ferz)가 있다.
0칸 리퍼인 제로(Zero)도 있는데, 리퍼를 0칸 움직이는 것으로 사실상 한 수 쉴 수 있다.
또 나이트라이더(Knightrider)는 막히지만 않는다면 해당 방향으로 나이트의 행마법을 무한정 반복할 수 있다.
여러 리퍼의 행마를 합치면 더 강한 기물을 만들 수 있는데 와지르와 알필을 합치면 나이트와 거의 같은 가치를 가진다.[2]
쇼기나 샹치의 기물을 변형 체스에 가져와 그 기물의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다바바와 페르즈를 합친 기물은 츄쇼기의 기린을 가져와 키린(Kirin)이라고 부른다. 다만 대부분 쇼기에 있는 기물은 뜻을 번역한 영어명이 이미 알려져 있는 기물과 겹치지 않는다면 뜻을 번역해서 표기하는 편이다.[3] 샹치에는 없고 장기에만 있는 기물인(샹치와 장기에서 행마가 다른) 포는 한국식으로 Po라고 불리기보다는 Korean Cannon으로 불리는 일이 많다. 샹치의 포는 그냥 캐논(Cannon)이나 중국어 발음인 파오(Pao)라고 부른다.
와지르와 페르즈를 합쳐 킹과 같은 행마를 하는 기물을 만(Mann)이라고 하는데 약 4점의 가치를 갖는다. 만은 메이저 피스에 해당한다.
기린이나 비숍, 페르즈, 캐멀 같은 기물은 특정한 색의 칸으로만 갈 수 있다. 이러한 기물들을 컬러바운드(colorbound)된 기물이라고 부른다.
그 외 더 많은 기물들을 알아보고 싶다면 영문 위키백과 문서 참조.
3. 다른 기물의 행마를 변형시킨 기물
3.1. 킹/퀸 계열
- 만(Mann): 킹과 동일한 행마를 하나, 해당 기물은 일반 기물로 취급되어 체크 또는 자살수 금지나 캐슬링 등의 특수 규칙이 적용되지 않으며, 이 기물이 남아 있어도 킹이 체크메이트를 당하면 그 즉시 패배로 이어진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그래스호퍼(Grasshopper): 퀸과 동일한 행마를 하나, 해당 기물은 장기의 포처럼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만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1점 퀸(1-point Queen): 일반 퀸과 같은 기물이나[4], 차이점이라면 이 퀸은 폰의 승격으로만 만들어지는 퀸이며 잡았을때 9점대신 1점을 주는 퀸이다. 주로 점수제 게임, 특히 4인 체스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기물이다. 기물을 나타낼땐 기본 퀸 아이콘 중앙에 작게 '1'을 써넣는 식으로한다.
3.2. 룩 계열
- 와지르(Wazir): 전후좌우로 한 칸만 이동한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다바바(Dabbaba): 전후좌우로 두 칸만 이동한다.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다바바라이더(Dabbabarider): 다바바의 행마를 한 방향으로 몇 번이든 반복한다. 즉, 홀수 칸 떨어진 기물을 무시하고 짝수 칸만큼 직선 이동한다. 이동 형태가 점 형태이며, 1/4밖에 못 밟는다는 건 여전하기에 일반적으로 비숍보다 약하다.
- 스리리퍼(Threeleaper): 전후좌우로 세 칸만 이동한다.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다. 체스판의 1/9만 밟을 수 있다. 가치는 알필과 비슷하다.
- 포리퍼(Fourleaper): 전후좌우로 네 칸만 이동한다.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다. 체스판의 1/16만 밟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폰보다도 가치가 낮다.
- 캐논(Cannon): 샹치의 포(砲 / 炮)와 행마법이 완벽히 동일하며 평상시에는 룩과 동일하게 이동하나, 기물을 잡을 때는 무조건 다른 기물을 전후좌우로 뛰어넘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3.3. 비숍 계열
- 페르즈(Ferz): 대각선으로 한 칸만 이동한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알필(Alfil): 대각선으로 두 칸만 이동한다.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알필라이더(Alfilrider): 알필의 행마를 한 방향으로 몇 번이든 반복한다. 즉, 홀수 칸 떨어진 기물을 무시하고 짝수 칸만큼 대각선 이동한다. 이동 형태가 점 형태이며, 1/8밖에 못 밟는다는 건 여전하기에 일반적으로 비숍보다 약하다.
- 트리퍼(Tripper): 대각선으로 세 칸만 이동한다.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다. 체스판의 1/18만 밟을 수 있다. 때문에 폰보다도 가치가 낮은 기물이다.
- 커뮤터(Commuter): 대각선으로 네 칸만 이동한다.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다. 체스판의 1/32만 밟을 수 있다. 폰보다도 가치가 낮은 트리퍼보다도 가치가 낮다.
3.4. 나이트 계열
- 나이트라이더(Knightrider): 나이트의 행마를 한 방향으로 반복하는 기물로, 한 번 진행한 방향으로는 막히지 않는 한 몇 번이라도 반복해서 갈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캐멀(Camel): 나이트의 행마를 변형한 기물로, 네 방향 중 두 칸 이동 후 나아간 방향의 대각선 한 칸 이동한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캐멀라이더(Camelrider): 캐멀의 행마를 한 방향으로 반복하는 기물로, 한 번 진행한 방향으로는 막히지 않는 한 몇 번이라도 반복해서 갈 수 있다. 여덟 방향으로 장거리 운용이 가능하지만, 컬러바운드가 되어 있고 이동 경로가 점 형태라서 대다수의 다른 장거리 기물들보다는 약하다.
- 제브라(Zebra): 나이트의 행마를 변형한 기물로, 네 방향 중 한 방향으로 한 칸 이동 후 나아간 방향의 대각선 두 칸 이동한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제브라라이더(Zebrarider): 제브라의 행마를 한 방향으로 반복하는 기물로, 한 번 진행한 방향으로는 막히지 않는 한 몇 번이라도 반복해서 갈 수 있다.
- 지라프(Giraffe): 나이트의 행마를 변형한 기물로, 네 방향 중 한 방향으로 세 칸 이동 후 나아간 방향의 대각선 한 칸 이동한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지라프라이더(Girafferider): 지라프의 행마를 한 방향으로 반복하는 기물로, 한 번 진행한 방향으로는 막히지 않는 한 몇 번이라도 반복해서 갈 수 있다.
- 비행기(Plane): 나이트의 행마를 두 번 어느 방향으로든 이동한다. 출발지로 돌아오는 것(한턴 쉼)은 불가능하다. 막힌 곳만 없다면 한번에 둘 수 있는 칸은 32칸 중에 하나를 골라야 한다. 콜릿션 체스에서만 등장한다.
3.5. 폰 계열[5]
- 베롤리나 폰(Berolina pawn): 원래 폰에서 이동과 공격 범위가 뒤바뀐 기물이다. 즉, 일반 이동 시 대각선으로 1칸 (또는 첫 이동이라면 2칸) 전진하고 공격 시 세로로 1칸 전진해서 공격한다.
- 베롤리나 플러스(Berolina Plus): 베롤리나 폰의 행마에서 양옆으로 1칸 이동이 추가된 기물이다.
- 스튜어드(Steward): 폰을 4방향으로 만든 기물이다. 즉, 일반 이동 시 와지르처럼 이동하고 공격 시 페르즈처럼 이동한다.
- 베롤리나 스튜어드(Berolina Steward): 베롤리나 폰을 스튜어드처럼 만든 기물이다. 즉, 일반 이동 시 페르즈처럼 이동하고 공격 시 와지르처럼 이동한다.
- 서전트(Sergeant): 일반 이동과 공격을 막론하고 직진과 양쪽 대각선, 도합 세 가지의 방향 가운데 한쪽을 선택하여 1칸 전진할 수 있다. 다이쇼기의 철장과 행마법이 동일한데, 철장과는 달리 첫 수 한정으로 폰처럼 2칸 전진 역시 가능하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메이저 기물이다.
- 솔저(Soldier): 장기의 졸, 병과 동일한 이동을 한다. 즉, 가로 및 앞으로 한 칸 이동할 수 있다. Chess.com에서는 쇼기의 보병처럼 앞으로 한 칸만 이동하고 첫 수에 한해 두 칸까지 이동하며,[6] Sideway Pawn 설정 시 양 옆으로도 이동한다.
- 애로우 폰(Arrow Pawn): 애로우 폰 체스(Arrow Pawn Chess)에서 등장. 가로 또는 세로로 한 칸 또는 두 칸 이동할 수 있으며,[7] 기물을 잡을 때는 네 방향 대각선으로 한 칸 움직인다. 승격과 앙파상은 없다. 즉, 다이쇼기의 맹우(猛牛)처럼 이동하고 묘인(猫人) 또는 페르즈(Ferz)처럼 잡는다.
4. 다른 기물의 행마를 조합한 기물
4.1. 일반 체스 기물들만을 조합한 기물
- 켄타우로스(Centaur): 킹과 나이트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아마존(Amazon): 퀸과 나이트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챈슬러(Chancellor): 룩과 나이트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아치비숍(Archbishop): 비숍과 나이트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머신건(Machine-gun): 킹과 폰. 킹과 행마법이 같지만 첫 턴만 정면전진에 한해서 2칸 전진 가능하다. 콜릿션 체스에만 등장한다.
4.2. 변형 체스 기물을 조합한 기물
- 드래곤 킹(Dragon King): 룩과 페르즈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드래곤 호스(Dragon Horse): 비숍과 와지르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켄타우로스라이더(Centaurrider): 킹과 나이트라이더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다.
- 아마존라이더(Amazonrider): 퀸과 나이트라이더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다.
- 챈슬러라이더(Chancellorrider): 룩과 나이트라이더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다.
- 아치비숍라이더(Archbishoprider): 비숍과 나이트라이더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다.
- 알리바바(Alibaba): 다바바와 알필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다. 여덟 방향 중 한 곳으로 두 칸 이동하며,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다. 체스판의 1/4밖에 밟지 못한다.
- 알리바바라이더(Alibabarider): 알리바바의 행마를 한 방향으로 몇 번이든 반복한다. 즉, 홀수 칸 떨어진 기물을 무시하고 짝수 칸만큼 직선 또는 대각선으로 이동한다. 이동 형태가 점 형태이며, 1/4밖에 못 밟는다는 건 여전하기에 일반적으로 비숍보다 약하다.
- 위저드(Wizard): 오메가 체스에서 등장. 페르즈와 캐멀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다. 캐멀과 같이 넓은 이동 반경을 가지면서도 필요에 따라 페르즈의 행마를 할 수 있어 운용이 쉽지만, 컬러바운드가 되어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슈퍼캐멀(Supercamel): 캐멀과 스리리퍼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으며, 캐멀의 단점인 컬러바운드를 해소한 기물이다. 메이저 피스이다.
- 윌드비스트(Wildebeest): 나이트와 캐멀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윌드비스트라이더(Wildebeestrider): 나이트라이더와 캐멀라이더의 행마를 합친 것과 같다.
- 챔피언(champions): 오메가 체스에서 등장. 와지르와 알리바바를 합친 것처럼 이동한다. 즉, 여덟 방향으로 두 칸 움직이며 가로세로로 한 칸 움직일 수 있다. 두 칸 움직일 때는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다.
5. 그 외
- 금장(Gold General): 쇼기의 금장과 동일하게 전후좌우 앞쪽 대각선까지 여섯 방향으로 한 칸씩 움직일 수 있다. 메이저 피스이다.
- 은장(Silver General): 쇼기의 은장과 동일하게 대각선 네 방향과 전진, 다섯 방향으로 한 칸씩 움직일 수 있다. 메이저 피스이다.
- 석장(Stone General): 대각선 앞 방향으로만 한 칸씩 움직일 수 있다. 전진만 가능한 페르즈라고 봐도 된다. Chess.com에서는 이것이 폰의 변형으로 취급되어 프로모션 및 처음 시작 위치에서 두 칸 전진이 가능하며(단, 두 칸 전진하면서 기물을 잡는 것은 불가능), 앙파상으로 잡는 것도 가능하다.
- 랜스(Lance): 쇼기의 향차와 동일하게 몇 칸이든 오직 전진만이 가능하다.
- 봉황(Phoenix): 츄쇼기나 다이쇼기의 봉황과 동일하게 전후좌우로 한 칸 이동하거나 대각선으로 두 칸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다른 기물을 뛰어넘을 수 있다.
- 사자(Lion): 츄쇼기나 다이쇼기의 사자(獅子)와 마찬가지로 두 칸 이내로 떨어진 곳이면 어느 곳이든 갈 수 있다. 쇼기 계열 외의 변형 체스의 경우 Metamachy, Terachess, Scirocco에서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한 칸 움직였다고 해서 한 턴에 두 번 움직일 수 없다. 이 기물이 한 개만 있더라도 자신의 킹을 포함한 어떠한 기물의 도움도 받지 않고 혼자서 킹을 체크메이트 할 수 있다. 변형 체스에 나오면 켄타우로스(6점)보다 활동반경이 넓어서 무조건 켄타우로스보다 가치가 높으므로 대략 9점 정도 된다.[8] 콩고에서는 이 이름을 가진 기물이 킹 대신 등장하나, 츄쇼기/다이쇼기의 사자 행마가 아닌 킹의 행마를 하며, 상대의 사자를 잡을 때 퀸의 행마를 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샹치의 궁처럼 궁성을 떠날 수 없다.
- 그리폰(Gryphon): 전후좌우 대각선으로 한 칸 이동한 뒤 45도 꺾은 방향으로 몇 칸이든 직선으로 움직일 수 있다. 물론 대각선으로 한 칸 움직인 후 그 자리에 착지할 수도 있다.
- 제로(Zero): 가로세로 0칸 떨어진 곳으로 움직인다. 즉 이 기물은 움직일 수 없지만, 이 기물이 존재할 경우 한 수 쉼을 할 수 있다.
- 덕(Duck): 오리 체스(Duck Chess)에서만 나오는 기물. 이 기물은 체스판 어디든 비어 있는 곳을 마음대로 아무 제약 없이 갈 수 있다. 타이쇼기의 자재천왕과 동일한 행마법을 가지고 있으며, 얼핏 보면 그 어떤 제약도 없는 무적으로 보이지만, 자재천왕과는 달리, 다른 기물에 잡히지 않는 대신 다른 기물을 잡을 수도 없다. 즉 일종의 방해 기물인 셈이다. 또한 흑백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기물이라서 양 플레이어 모두 이 기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점을 응용하여 상술된 제로와 더불어 한 수 쉼을 할 수도 있다.
- 바보(Fool): 오메가 체스에서 등장. 첫 수에서는 절대 행마할 수 없는 기묘한 기물이다. 왜냐 하면, 상대방이 가장 나중에 움직인 기물과 똑같은 행마법을 가진, 다시 말하자면 남의 기물을 따라하는 기물[9]이기 때문이다. 이 기물 자체의 가치는 아예 없으나, 메이저 피스를 봉쇄하는 역할이 이 기물의 중요한 용도이다.
- 카멜레온(Chalemeon): 울티마 체스에서 등장. 자신이 가장 마지막으로 잡은 기물과 똑같은 행마법을 가진 기물이다. 역시 첫 수에서는 행마할 수 없는 기물이며 다른 기물을 잡을 때까지 계속 같은 행마를 하며, 기물을 잡으면 행마법이 바뀐다.
[1] 나이트처럼 다른 기물을 뛰어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른 기물에 의해 막혀 있어도 이동할 수 있다.[2] 츄쇼기의 봉황을 번역하여 피닉스(Phoenix)로 불린다.[3] 츄쇼기의 사자를 변형 체스에 가져와도 Lion으로 적는 식이다.[4] 즉, 행마법과 잡는법도 퀸과 완벽히 동일하다.[5] 폰 계열의 변형 체스 기물들은 승격이 불가능하거나, 특정 기물로만 승격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6] 단, 두 칸 이동하면서 기물을 넘거나 잡지는 못한다.[7] 단, 다른 기물을 뛰어넘지는 못한다.[8] 다이쇼기에서도 사자는 퀸과 동일한 기물인 분왕과 같은 가치를 지닌다. 다만 퀸과는 달리 사자는 한 수에 최대 두 칸이 한계이므로 체스판이 커질수록 약해진다.[9] moves like opponent's last m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