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42:54

다이쇼기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유사한 이름의 다른 종류의 쇼기}}}에 대한 내용은 [[타이쇼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타이쇼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타이쇼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유사한 이름의 다른 종류의 쇼기: }}}[[타이쇼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타이쇼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타이쇼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행마3. 승격4. 말의 배치5. 사자의 특수 룰
5.1. 선사자(先獅子)5.2. 사자의 발(獅子同士の取り合い)
6. 관련 문서

1. 개요

大将棋.

쇼기와 비슷하지만 그보다 규모가 확장된 쇼기이다.

쇼기와 마찬가지로 다른 장기류 게임들과 가장 큰 차이점은 체스처럼 말이 승격한다는 점에 있다.

15x15칸의 판에서 진행되며, 장기와는 달리 체스처럼 점이 아닌 칸 안에 말을 둔다.

승격, 말의 움직임, 점이 아닌 칸에 말을 두는 것 등 장기보다는 체스에 더 가까운 모습을 띄고 있다.

장기나 체스와는 달리 두 대국자의 말의 색이 같으며, 오각형의 모습을 하고 있어 향하고 있는 방향으로 서로의 말을 구분한다.

자신이 먹은 상대방의 말을 사용할 시에는 자신의 차례일 때 판에 말을 올려놓는데, 이때 자신의 말을 움직일 수 없으며 자신의 차례는 끝이 난다. 추쇼기 이상으로 넘어가면 사자(獅子)라는 기물이 있는데 이 기물은 자신의 주변에 있는 적의 기물을 이동 없이 잡을 수 있다. 이렇게 잡아도 한 수로 간주되어 자신의 차례는 끝이 난다.[1]

2. 행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이쇼기/기물 및 행마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이쇼기/기물 및 행마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이쇼기/기물 및 행마법#|]][[다이쇼기/기물 및 행마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왕장(또는 옥장), 분왕, 사자, 봉황, 기린, 취상, 용왕, 용마, 비차, 각행, 수행, 횡행, 금장, 은장, 동장, 철장, 석장, 맹표, 맹호, 향차, 반차, 계마, 악랑, 진저, 묘닌, 맹우, 비룡, 중인, 보병 등 총 29가지에 달하는 기물이 있으며 각각의 움직임은 미리 정해져 있다.

3. 승격

4. 말의 배치

이런 형태가 되도록 놓는다.

파일:attachment/배치도(다이쇼기).jpg

딱 봐도 알겠지만 1:1 쇼기인데도 불구하고 쇼기말의 수가 엄청나게 많다.

5. 사자의 특수 룰

사자는 다이쇼기의 꽃과 같은 말인지라 순식간에 반상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몇 가지의 특례가 붙어 있다. 이 특수 규칙은 기린이 승격한 사자에도 적용되며, 츄쇼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5.1. 선사자(先獅子)

또한 여기에 또다른 규칙이 있는데, 선사자라도 사자로는 사자를 죽일 수 있다. 이 이유는 또다른 규칙은 사자는 사자를 범위안이라면 아래의 ‘사자의 발’에 해당하는 경우가 아닌 한 무조건 죽일 수 있다는 규칙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에 또다른 규칙이 하나 더 붙어 있는데, 사자를 죽인 사자는 죽일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든다면, A의 각응이 B의 사자를 죽였다고 가정할 때 다음 수로 B는 A의 사자를 죽일 수 없다. 하지만 여기도 사자가 사자를 죽이는 것은 문제가 없으므로, A의 사자가 B의 사자를 죽인 직후에 B의 사자로 A의 사자를 죽일 경우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파랑↓
↑검정↑

5.2. 사자의 발(獅子同士の取り合い)

↓파랑↓
↑검정↑

6. 관련 문서



[1] 사자는 체스의 킹을 한 턴에 2번 움직이는 것과 같은 움직임을 가진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즉, 주변에 있는 적 기물을 움직임 없이 잡는 것이 아니라, 주변의 기물을 잡은 다음 원래 자리로 돌아오는 셈이다.[2] 왕, 분왕, 사자는 승격 불가.[3] 뒤집힌 면에는 승격된 말의 명칭이 표기되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