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15:13:01

베네딕트 안톤 아우프슈나이터



<colbgcolor=#000><colcolor=#fff> 베네딕트 안톤 아우프슈나이터
Benedict Anton Aufschnaiter
파일:Benedict_Anton_Aufschnaiter.jpg
세례 1665년 2월 21일
신성 로마 제국 티롤 후백국 키츠뷔엘
매장 1742년 1월 24일 (향년 77세)
신성 로마 제국 파사우 주교령 파사우
종교 가톨릭
가족 아내, 아들[1]

1. 개요2. 생애3. 주요 작품4. 외부 링크

1. 개요

오스트리아의 바로크 시대 작곡가이자 궁정악장(카펠마이스터), 음악 이론가.

2. 생애

젊은 시절의 그는 에서 다년간 머무르며 음악 교육을 받았는데, 궁정 오르가니스트 가문이었던 에브너(Ebner) 가문의 일원으로부터 배웠다고 한다.[2] 이 기간 동안 황실은 아니지만 최소한 궁정과 가깝고 또 관련되어 있는 예배당에서 지휘자(혹은 음악 감독)로 활동하였으며, 또한 아우구스티누스의 규칙을 따르는 Chorherren(수도회 형제)들의 축제에서 연주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오스트리아의 수도원에서도 연주를 가졌음을 알 수 있다.

1705년 1월 16일에 파사우의 주교이자 추기경이었던 요한 폰 필립 람베르크는 그를 카펠마이스터로 임명한다.[3] 이후 그는 궁정에 머무르되 1724~1725년 이후의 어느 시점부터는 합창 지휘자 역할을 겸하였고, 1738년 이전의 어느 시점에 안톤 프란츠 포풀로룸(Anton Franz Populorum, 1707-1757)이라는 작곡가에게 카펠마이스터 직위를 넘겨주게 되었다.

당시로부터 백여 년이 지난 1835년의 '실링 음악백과'에 '훌륭하고 또 인기 있는 교회음악 작곡가였다(ein ausgezeichneter, auch sehr beliebter Kirchencomponist)'라고 쓰여있는 등, 카펠마이스터로서 수많은 작품들을 각지에서 출판하며 상당히 명망 높은 작곡가로 자리매김했을 것으로 보인다.

3. 주요 작품

현재 남아있는 그의 작품은 총 300여 곡이다.

괄호 안은 출판된 지역과 연도이다.

4. 외부 링크

이 링크에서 그의 곡들을 들어볼 수 있다.
[1] 두 차례 결혼했는데, 두 번째 결혼생활에서 아들을 얻었다고 전한다.[2] 그는 당대 유명한 오르가니스트이자 작곡가였던 볼프강 에브너의 아들인 요하네스 에브너를 스스로의 음악적 모범으로 언급한 바가 있는데, 이를 미루어 보면 아우프슈나이터는 그의 제자였을 가능성이 크다.[3] 그의 전임자가 바로 게오르크 무파트였다.[4] 전술했던 파사우의 주교에게 헌정된 미사곡이다.[5] 크리스마스를 위한 트리오 소나타이다.[6] 해당 저서에서 아우프슈나이터는 자신의 음악적 귀감 혹은 모범이 된 인물들로 자코모 카리시미, 오를란도 디 라소, 요한 카스파르 케를, 아담 굼펠츠하이머를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