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6 01:51:02

마리오 카트 월드


<colbgcolor=#000> [[마리오 카트 시리즈|
파일:mariokart-logo.png

마리오 카트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규 시리즈 ▼
파일:smklogo.gif
코스
파일:MK64_logo.png
코스 · OST
파일:MarioKart-SuperCircuitUSA.png
코스
파일:MKDD_logo.png
코스 · 배틀
파일:Mario_Kart_DS_KOR_Logo.png
코스 · 미션 런 · 캐릭터 및 카트
파일:Mario_Kart_Wii_KOR_logo.png
코스 · OST · 캐릭터 및 머신
파일:Mario_Kart_7_KOR_logo.png
코스
파일:MK8_Logo.png   파일:MK8DX_Logo.png
코스 · DLC · 관련 문서
파일:MKT_Logo.png
코스 · 관련 문서
파일:Mario_Kart_World_KOR_logo.png
▼ 외전 시리즈 ▼
파일:Mario_Kart_Live_HS_KOR_logo.png 파일:MKAGP-logo-red.png
코스 · 대한민국
시리즈 관련 문서
캐릭터 · 커스터마이징 · 코스 (둘러보기 · 배치 문제) · 아이템 (바나나 · 등껍질 · 가시돌이등껍질) · 배틀 · 음악 · 패미컴 그랑프리 (I · II)
마리오 시리즈
}}}}}}}}} ||
<colcolor=#fff>
마리오 카트 월드
マリオカートワールド
Mario Kart World
파일:mario_kart_world.jpg
개발 / 유통
닌텐도
플랫폼
Nintendo Switch 2
ESD
닌텐도 e숍
장르
오픈 월드, 레이싱, 액션
플레이 인원수
1~4명(오프라인)
2~24명(온라인 추정)
발매일
파일:세계 지도.svg 2025년 6월 5일[1]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 전체 이용가
용량
23.4GB[2]
판매량
-장
한국어 지원
지원 예정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한국)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미국)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일본)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특징
3.1. 캐릭터3.2. 커스터마이징3.3. 코스3.4. 모드
3.4.1. 그랑프리3.4.2. 서바이벌3.4.3. 타임 어택3.4.4. VS3.4.5. 배틀3.4.6. 프리 런
3.5. 아이템
4. 평가5. 기타6. 둘러보기

1. 개요

Nintendo Switch 2로 발매되는 마리오 카트 시리즈의 9번째 작품이자[3] 11년만에 나오는 시리즈 신작이다. 그리고 시리즈 최초의 오픈 월드 작품이기도 하다.

2. 발매 전 정보

2025년 1월 16일 Nintendo Switch 2의 티저 영상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영상 1분 40초부터) 수많은 마리오 시리즈 캐릭터들이 '마리오 브라더스 서킷'이라는 매우 넓은 서킷을 주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025년 4월 2일 닌텐도 스위치 2 다이렉트에서 트레일러가 공개되었으며, 이후 동년 동월 17일에 본작의 다이렉트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다.

홈페이지에서 공개된 가격은 부가세 포함 기준 다운로드 버전이 89,800원, 패키지 버전은 98,000원이다. 또한 2025년 한정 생산으로 마리오 카트 월드의 다운로드 버전이 번들로 포함된 스위치 2 에디션이 함께 발매된다. 가격은 688,000원.
한국 시각 기준 2025년 4월 3일 23시부터 다음날 새벽 3시까지 진행된 닌텐도 트리하우스 라이브에서 그랑프리의 버섯 컵, 프리 런, 그리고 서바이벌의 아이스 랠리의 플레이를 생중계로 시연했다.
마찬가지로 한국 시각 기준 2025년 4월 4일 23시부터 다음날 새벽 2시까지 진행된 닌텐도 트리하우스 라이브에서 서바이벌의 황금 랠리, 그랑프리의 스타 컵의 플레이를 생중계했다. 이와 더불어 스위치 2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인 게임 챗 기능과 프리 런 플레이를 짧게 시연하기도 했다.
2025년 4월 17일 22시부터 약 15분간 진행된 마리오 카트 월드 다이렉트에서 본작의 코스, 캐릭터, 모드, 아이템, 새로운 액션 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방송 종료 후 해외 공식 홈페이지가 업데이트되었다.

3. 특징

3.1. 캐릭터

마리오 카트 월드 캐릭터
파일:MKWorld_icon_mario.webp 파일:MKWorld_icon_luigi.webp 파일:MKWorld_icon_peach.webp 파일:MKWorld_icon_daisy.webp 파일:MKWorld_icon_yoshi.webp
마리오 루이지 피치공주 데이지공주 요시
파일:MKWorld_icon_toad.webp 파일:MKWorld_icon_koopatroopa.webp 파일:MKWorld_icon_bowser.webp 파일:MKWorld_icon_wario.webp 파일:MKWorld_icon_waluigi.webp
키노피오 엉금엉금 쿠파 와리오 와루이지
파일:MKWorld_icon_Rosalina.png 파일:MKWorld_icon_pauline.webp 파일:MKWorld_icon_babymario.webp 파일:MKWorld_icon_babyluigi.webp 파일:MKWorld_icon_Babypeach.png
로젤리나 폴린 베이비마리오 베이비루이지 베이비피치
파일:MKWorld_icon_Babydaisy.png 파일:MKWorld_icon_lakitu.webp 파일:MKWorld_icon_Toadette.png 파일:MKWorld_icon_bowserjr.webp 파일:MKWorld_icon_babyrosalina.webp
베이비데이지 김수한무 키노피코 쿠파주니어 베이비로젤리나
파일:MKWorld_icon_birdo.webp 파일:MKWorld_icon_kingboo.webp 파일:MKWorld_icon_shyguy.webp 파일:MKWorld_icon_donkeykong.webp -
캐서린 킹부끄 헤이호 동키콩 톳텐
- - - - -
꽃충이 마귀 굼바 쪼르뚜
- - - - -
와르르 가봉 펄럭무당무당 스우푸
- - - - -
딱끔 선인 펭귄[8] 게님[9] 눈사람[10]
- - - - -
젖소[11] 피시본 안부끄 리프튼 날꽃
- - - - -
돈꺼비 뻐끔플라워 뽀꾸뽀꾸 콕콘도르 몬테
- -
치코 해머브러스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원더와 유사하게, 캐릭터 디자인이 전체적으로 고전 마리오 시리즈의 아트워크 혹은 마리오 카트 64, 마리오 카트 DS의 일러스트 디자인을 연상케 하는 클래식 카툰 풍 디자인에 가까워졌으며 이전보다 과장된 애니메이션 표현을 사용한다. 동키콩의 경우 아예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의 디자인을 버리고 동키콩 바난자에서 갱신된 디자인을 사용한다.

또한 피치, 데이지처럼 바이크 및 ATV 탑승시 바이크 슈트를 입던 캐릭터들이 이제 해당 기종에 타도 치마를 그대로 입는다. 앞서 언급된 의상 변경 시스템 때문으로 치마를 그대로 입는 것으로 보이나 이후 트리하우스의 시연 영상에서는 피치가 바이크 슈트를 입고 나온 버전이 나오다보니 최종 발매버전에서는 바이크에 한해서는 기본폼이 바뀌는 것이거나 그냥 바이크 슈트 코스튬이 별도로 생기는건지는 정식발매 전까지는 불명.

캐릭터 로스터가 늘면서 기존에 등장하지 않았던 새로운 캐릭터들이 대거 추가되었다. 팔이 없다는 이유로 슈퍼 마리오 카트와 그 이후 작품에서 계속 레이서로 참전하지 못했던 굼바가 드디어 레이서로 참전하고, 리프튼/펭귄 같은 NPC 캐릭터나 젖소/눈사람 같은 코스 장애물 캐릭터, 심지어 피시본/뽀꾸뽀꾸 같은 수중 몬스터들도 참전한다.

관중 캐릭터로 기존의 키노피오, 요시, 헤이호, 몬테 등에 더해 메가브러스가 새로 등장한다.

다만 의외의 캐릭터들이 다수 추가된 것과 달리 체험판 기준으로 삭제된 캐릭터도 많은데, 아래의 목록은 첫 등장한 마리오 카트 시리즈 작품별[12]로 묶은 월드의 체험판에서 삭제된 캐릭터 목록이다. 닌텐도의 타 IP 캐릭터는 이텔릭체로 작성하였다.[13]체험판 기준이므로 정식 버전에서 등장할 수 있으며, 정식 버전의 초기 버전에서도 결국 등장하지 않았어도 8 / 디럭스, 투어처럼 업데이트를 통해 등장할 가능성도 있는 반면에, 시리즈 넘버링을 리부트하면서 마리오 시리즈 캐릭터만으로 집중하여 닌텐도의 타 IP 캐릭터는 아예 배제될 가능성도 있다.[27] 캐릭터의 여러 의상의 코스튬 추가 확인된 만큼, 메탈마리오, 너구리마리오, 골드마리오, 핑크골드피치, 고양이피치, 키노피치, 다른 브러스들은 변신 베리에이션이라 마리오, 피치, 키노피코, 해머브러스의 코스튬으로 추가될 가능성도 있다. 물론, 개성이 없어서 아예 배제되어 왔던 펄럭펄럭은 이번 작에서도 배제될 수도 있고, 핑크골드피치는 혹평이 많았기에 이번 작에서 아예 삭제됐을 가능성도 있다. 뻐끔왕, 좀비쿠파, 쿠파 7인조, 킹폭탄 또는 앞서 언급한 브러스들은 '마귀' 아이템 사용을 통한 해금 캐릭터로 등장할 여지도 있다.

3.2. 커스터마이징

첫 공개 영상에 등장한 머신은 전부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머신들이다. 두 번째 공개 영상에서는 마리오 카트 8의 펄럭무당무당버기가 재등장하며, 마리오 카트 Wii의 마하바이크 또는 마리오 카트 8의 마하 GP와 유사한 외형의 머신도 등장한다. 머신 종류는 종래와 같이 카트, 바이크, ATV가 있고 스노모빌 형태의 머신도 등장한다.[28]

첫 공개 영상에서 마리오가 타고 있는 카트는 본작의 스탠더드카트이며, 랠리와 같은 장거리 오프로드 주행 차량에서 볼 법한 서스펜션이 장착되어 있다.

마리오 카트 7부터 있었던 머신 커스터마이징이 사라지고 마리오 카트 Wii와 그 이전작들처럼 수수하게 완성된 머신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회귀했다. 이 과정에서 글라이더 또한 머신에 내장된 날개로 완전히 대체하면서 자취를 감췄다.

레이스 과정이나 자유 주행에서 새로운 캐릭터[29] 및 코스튬[30]을 해금하고 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추가된다.
코스튬 선택을 위한 메뉴는 따로 없으며, 캐릭터 선택창에서는 별개의 캐릭터처럼 아예 분리되어 있다.

3.3. 코스

파일:mkw_맵.png
마리오 카트 월드라는 제목처럼, 본작의 가장 큰 특징은 모든 코스가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거대한 오픈 월드를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역대 마리오 시리즈 최초로 오픈 월드 시스템을 적용한 작품이 되었다. 이 때문에 그랑프리 모드에서도 하나의 코스를 완주한 후 다음 코스까지 직접 이동하게 되었으며, 프리 런 모드에서는 마치 오픈 월드 RPG 게임을 탐험하듯 월드를 탐색할 수 있다.

이미 마리오 카트 8 디럭스/부스터 코스 패스에서 Tour의 도시 맵을 필두로 랩에 따라 시시각각으로 주행 경로가 변하게 만든 바 있는데, 이런 오픈월드 컨셉은 그것의 연장선이라 볼 수 있다.

SFC 마리오 서킷처럼 하나의 장소에서 여러 개의 코스가 혼합되어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시리즈 최초의 컨셉.

시간대와 기상 상황이 변하는 기믹이 추가되었다. 레이스 중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낮과 밤이 변하며, 우천이 발생하는등 기후변화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현재 공개된 코스 개수는 29개이며, 숨겨진 무지개 로드[38]를 포함하면 총 30개의 코스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3.4. 모드

3.4.1. 그랑프리

파일:마카월드 그랑프리.png
グランプリ / Grand Prix

24명의 캐릭터가 참가하는 총 4라운드의 레이스이다. 1라운드만 출발선 앞 그리드에서 스탠딩 스타트로 시작하고, 2라운드부터는 직전 라운드 스타트 라인에서 롤링 스타트로 시작한다. 1라운드는 다른 모드와 같은 바퀴수를 돌고, 나머지 라운드는 코스끼리 연결된 기나긴 경로를 따라 2구간을 주행한 뒤 다음 코스 도착 후 한 바퀴만 돈다. 트리하우스 시연 영상에 의하면 기존처럼 3랩 레이스를 할 수 있게 설정할 수 있다고 한다.

전작들과 달리 이번 작에서는 니트로 코스[39]와 레트로 코스[40]가 구분되지 않고 각 컵에 섞여 수록된다. 또한 레트로 코스에 기종명도 적혀 있지 않다.[41]

코스 간 연결 경로를 주행할 때는 마리오 시리즈의 여러 BGM의 편곡이 재생된다.

마리오 카트 8에 200cc가 추가되었으나 본작에서는 사라진 것으로 보이며, 미러 또한 사라진 것으로 보이지만, 미러 모드는 마리오 카트 8 디럭스를 제외하고는 숨겨진 모드였기 때문에, 이번 작의 200cc와 미러 존재 여부는 출시될 때까지 기다려야 할 것이다.

한국어 명칭이 알려지지 않은 코스는 일본어 명칭을 기준으로 코스명을 번역하였다.
1코스 2코스 3코스 4코스
버섯 컵
월드의 남서부
마리오브라더스 서킷[42] 트로피 시티[A] 칙칙폭폭 코스터 DK 우주 센터[44]
플라워 컵
월드의 서부
DS 썬썬 사막 3DS 헤이호 카니발 N64 와리오 스타디움 DS 킬러 해적선
Wii 쿵쿵 사막과 결합
스타 컵
월드의 북동부
DS DK 스노우 마운틴 로젤리나 천문대 NS1/Tour 아이스크림 빌딩 3DS 와리오 침몰선
SFC 바닐라 호수 1과 결합
등껍질 컵
월드의 중앙남부
SFC 엉금엉금 비치 리버사이드 사파리 트로피 시티[A] 피치 스타디움[A]
SFC 엉금엉금 비치 1~2의 혼합
바나나 컵 GC 피치 비치 솔티 타운 GC 디노디노 정글 물음표 신전
리프 컵 뽀꾸뽀꾸 폭포 종유 로드[47] 유령의 시네마 뼈다귀 트위스터[48]
SFC 유령의 늪 1~3의 혼합
번개 컵 Wii 음매음매 컨트리 N64 초코 마운틴 Wii 키노피오 팩토리 쿠파 성
SFC 초코 아일랜드 2와 결합 N64 빅 도넛과 결합
스페셜 컵 도토리나무 로드[49] SFC 마리오 서킷 피치 스타디움[A] 무지개 로드[51]
SFC 마리오 서킷 1~3의 혼합[52][맵][미니맵]

3.4.2. 서바이벌

サバイバル / Knockout Tour

랠리 규칙의 새로운 주행 모드로, 6개의 코스를 잇는 경로를 따라 논스톱으로 광활한 월드맵을 가로지르며 달린다. 주행 경로는 코스 사이에 연결된 경로 위주로 편성되고 코스 상에서는 경로의 일부만 거쳐가는 식이며, 마지막 코스만 정식 경로를 완전히 주행한다. 24명으로 시작해서 매 코스에 도착할 때마다 체크 포인트가 있어서 최하위권의 4명씩이 탈락되며, 상위권으로 체크포인트를 통과한 인원만 코스를 이어서 주행하는 방식이다. 랠리의 마지막 코스는 4명이 경주하게 된다.

배경음악은 경로를 구성하는 6개 코스의 BGM이 구간마다 순서대로 재생된다.

3.4.3. 타임 어택

3.4.4. VS

기존처럼 트랙을 하나 선택해 레이스를 즐길 수도 있지만, 두 개의 트랙을 선택한 후 연결해서 하나의 코스로 주행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그랑프리나 서바이벌 모드에서 달릴 수 없는 루트로도 코스를 연결해 레이스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레이스 인원이 24인으로 늘어나면서 최대 4개의 팀으로 나눠서 팀전을 플레이할 수 있게 되었다.

3.4.5. 배틀

'풍선 배틀'과 '코인을 모아라' 두 개의 규칙으로 대전할 수 있다. 스테이지는 그랑프리 코스 또는 코스 간 연결 경로를 배틀 환경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한 코스와 배틀 모드 전용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마리오 카트 월드 다이렉트에서 직접적(볼드 처리), BGM으로 간접적으로 알려진 코스(이탤릭체)[61]를 작성했다.

3.4.6. 프리 런

フリーラン / Free Roam

오프로드를 포함하여 플레이어가 원하는 곳 어디든 주행할 수 있는 자유 주행 모드. 메인 메뉴에서 (+) 버튼을 눌러 바로 시작할 수 있다. 멀티플레이 매칭 대기 중에도 프리 런을 할 수 있다.

배경음악은 본작의 타이틀 테마 또는 마리오 시리즈의 여러 BGM의 편곡이 재생된다.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의 허수아비처럼 맵에 있는 P스위치를 밟으면 각종 챌린지에 도전할 수 있다. 또한, 요시즈(Yoshi's)라는 패스트푸드점에서 각 지역에 어울리는 '대시푸드'를 얻을 수 있다. 대시푸드의 기본 효과는 대시버섯과 똑같은 가속이며, 사용중인 캐릭터에 대해 요리의 테마와 일치하는 코스튬이 있는 경우 해당 코스튬을 획득한다.[62] 얻은 코스튬은 캐릭터 선택창에서 고를 수 있게 된다.

월드맵 곳곳에서 P스위치 블루코인, 게이트 통과, ?패널, 특별한 코인 모으기 등 여러가지 미션을 즐길 수 있다. 마리오 카트 DS 시절의 미션 런이 20년 만에 부활한 셈.

3.5. 아이템

이전작으로부터 계승된 아이템과 새로 추가된 아이템은 아래와 같다. 아이템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마리오 카트 시리즈/아이템 문서 참고.
파일:MKWorld_Coin.webp 파일:MKWorld_Banana.webp 파일:MKWorld_Triple_Banana.webp 파일:MKWorld_Green_Shell.webp 파일:MKWorld_Triple_Green_Shell.webp
파일:MKWorld_Red_Shell.webp 파일:MKWorld_Triple_Red_Shell.webp 파일:MKWorld_Spiny_Shell.webp 파일:MKWorld_Dash_Mushroom.webp 파일:MKWorld_Triple_Mushroom.webp
파일:MKWorld_Golden_Mushroom.webp 파일:MKWorld_Star.webp 파일:MKWorld_Thunder.webp 파일:MKWorld_Feather.webp 파일:MKWorld_Boo.webp
파일:MKWorld_Bob_Omb.webp 파일:MKWorld_Bullet_Bill.webp 파일:MKWorld_Blooper.webp 파일:MKWorld_Mega_Mushroom.webp 파일:MKWorld_Fire_Flower.webp
파일:MKWorld_Super_Horn.webp 파일:MKWorld_Boomaerang_Flower.webp

새로 추가된 아이템은 아래와 같다.
아이템 효과
파일:MKWorld_Ice_Flower.webp 파이어플라워처럼 아이스볼을 전방에 던지는 아이템. 아이스볼에 맞으면 카트가 일정 시간 얼어붙는다.
아이스플라워[T]
アイスフラワー
Ice Flower
파일:MKWorld_Golden_Shell.webp 사용하면 가시돌이등껍질처럼 코스를 따라 이동하고 이동 경로에 코인이 나타난다. 여기서 카트가 부딫혀도 깨지지 않고 일정 거리를 가야 등껍질이 깨지며, 주위에 코인들이 생성된다.
골드등껍질
ゴールデンこうら
Coin Shell
파일:MKWorld_Kamek.webp 사용하면 마귀가 앞으로 날아가며 마법을 사용해 앞서가는 플레이어들의 주변에 장애물이나 적을 대량으로 소환해 주행을 방해한다. 플레이어가 마귀의 마법에 맞으면 잠시 동안 다른 캐릭터의 모습으로 강제로 변신하게 되기도 한다. 새로운 캐릭터의 모습으로 변신하게 되면 그 캐릭터를 해금할 수도 있다.
마귀
カメック
Kamek
파일:MKWorld_Coin_Box.webp 일정 시간 동안 ?박스를 계속 두드리면서 지속적으로 코인을 획득하고, 주변에 많은 양의 코인을 흩뿌린다.
?블록
ハテナブロック
Coin Box
파일:MKWorld_Hammer.webp 해머브러스가 던지는 해머를 전방에 투척해 공격한다. 던진 해머는 짧은 시간동안 바닥에 남아 상대방의 주행을 방해하기도 한다.
해머[T]
ハンマー
Hammer
대시푸드
ダッシュフード
?
아이템 박스가 아닌 노란색 음식 봉투를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하면 버섯처럼 가속하면서 캐릭터의 코스튬이 바뀐다. 이렇게 바뀐 코스튬은 해금되어 캐릭터를 선택할 때 고를 수 있게 된다. 레귤러 캐릭터 한정인듯 하며, 음매음매 같은 엑스트라 출신 캐릭터들은 아무 변화 없이 가속 효과만 받는다. 대시 푸드는 샌드위치, 햄버거, 타코야끼 등 여러 종류가 있는 듯 하며, 지역에 따라 다른 대시 푸드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한 대시 푸드에 따라 캐릭터가 어떻게 변신하는지도 다르다. 다양한 지역의 코스를 달리며, 또는 '요시즈'(ヨッシーズ/?)라고 불리는 가게에서 다양한 대시 푸드를 획득해 보자.

4.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2025-06-05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mario-kart-world/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mario-kart-world/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25-06-05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 평론가 평점
tbd / 100
평론가 추천도
tbd%
유저 평점
tbd / 100


5. 기타

6. 둘러보기

파일:Mario_logo.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margin:0 0 -5px"
{{{#!folding [ 시리즈 ]
{{{#!wiki style="margin: -5px -5px 0px">
주요 시리즈
파일:슈퍼 마리오 시리즈 로고 세로형.svg 파일:mariokart-logo.png 파일:smp-t.png 파일:마리오 vs. 동키콩 2024 로고.png
파일:MARIOSPORTS 로고.png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798px-Mario_Golf_Series_Logo.png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800px-Mario_Tennis_series_logo.png 파일:마리오와 소닉 로고 한국.png
파일:슈퍼 마리오 RPG 2023 로고.png 파일:페이퍼 마리오.png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310px-Mario_%26_Luigi_Series_Logo3.png 파일:Mario_+_Rabbids_Logo.png
* 타사 게임 프랜차이즈 크로스오버
마리오 패밀리 주연 시리즈
<colbgcolor=#73bb2b> 파일:요시 시리즈 로고.png <colbgcolor=#FFE400> 파일:와리오랜드 로고.png <colbgcolor=#008000> 파일:Luigi's_Mansion_logo.png <colbgcolor=#FFE400> 파일:메이드 인 와리오 로고.svg
틀:2D 마리오 시리즈 · 틀:3D 마리오 시리즈 · 와리오 시리즈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게임 ]
{{{#!wiki style="margin:-5px 0"
<colbgcolor=#CE0000><colcolor=#fff> 개별 작품 마리오브라더스 · 마리오와 와리오 · 와리오의 숲 · 마리오 클래시 · Waluigi's Toenail Clipping Party(서비스 종료) · 슈퍼 마리오 볼 · 슈퍼 프린세스 피치 · 전진! 키노피오대장! · 프린세스 피치 Showtime!
레킹 크루 VS. 레킹 크루 · 레킹 크루 · 레킹 크루 '98
닥터마리오 · VS. 닥터마리오 · BS판 · 64 · &세균박멸 · 잠깐 · 닥터루이지 · 역전! 특효약 · 월드(서비스 종료)
피크로스 마리오의 피크로스 · 마리오의 슈퍼 피크로스 · 피크로스 2 · 피크로스 NP
창작 게임 재봉: 아이 앰 어 티처 슈퍼 마리오의 스웨터 · 마리오 패밀리
드로잉·편집: 마리오 페인트 · 마리오의 포토피
마리오 아티스트: 페인트 스튜디오 · 탤런트 스튜디오 · 커뮤니케이션 키트 · 폴리곤 스튜디오
어플리케이션
닌텐도 DSi 전자계산기/시계 패미컴 마리오 타입 · 함께 포토 슈퍼 마리오
크로스오버
Wario Blast · 테트리스 & 닥터마리오 · UNDAKE30 사메가메 대작전 마리오 버전 · 게임보이 갤러리 시리즈 · 닥터마리오 & 패널로퐁 · NINTENDO 퍼즐 컬렉션 · NBA 스트리트 V3: 마리오로 덩크 · Dance Dance Revolution with MARIO · SSX On Tour with 마리오 · 역만 DS · 이타다키 스트리트 DS/Wii · 퍼즐앤드래곤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에디션 · 스카이랜더스 슈퍼차저스 · 마인크래프트 슈퍼 마리오 매시 업 팩
라이선싱 마리오브라더스 스페셜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스페셜 · 마리오 이즈 미싱 · 마리오의 타임머신 · 호텔 마리오 · 마리오의 게임 갤러리
마리오 시리즈의 모든 게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CE0000><colcolor=#fff> 미분류 게임 일람 · 등장인물 · 기술 · 아이템 · 변신 · 지형 및 오브젝트(블록)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백과 · 지상 BGM(슈퍼 마리오브라더스) · 검은 닌텐도
장소 버섯 왕국 · 피치 성 · 요시 아일랜드 · 쿠파 성 · 별똥별 천문대 · 스페셜 월드
기념 행사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25주년 · 루이지의 해 · 30주년 · 35주년 (創造) · 마리오 데이
영상물: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피치 공주 구출 대작전! · Super Mario Bros. Super Show! · The Adventures of Super Mario Bros. 3 · 슈퍼 마리오 월드 영상물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1993년 영화)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2023년 영화)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2(영화)
기타: 슈퍼 마리오 군 · 레고 슈퍼 마리오
마리오브라더스 · Mario's Cement Factory · Mario's Bombs Away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1987) · Mario The Juggler · 슈퍼 마리오브라더스(2020)
관련 인물 미야모토 시게루 · 테즈카 타카시 · 코이즈미 요시아키 · 콘도 코지 · 요코타 마히토 · 찰스 마티네이 · 토타카 카즈미 · 코타베 요이치 · 케빈 아프가니
유저 콘텐츠
슈퍼 마리오 위키 · 팬 게임 · 막장 마리오 · 전자동 마리오 · 나무위키 마리오 시리즈 프로젝트(완료)
틀:닌텐도 주요 게임 · 동키콩 시리즈
}}}}}}}}}}}} ||
[1] Nintendo Switch 2와 동시 발매[2] 서드파티 제외 역대 닌텐도 게임 사상 최고 용량이다. 종전의 기록은 22.7GB의 Wii U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 단, 제노블레이드 크로스의 패키지판은 로딩 단축을 위해 하드 디스크에 추가로 10.49GB의 데이터를 다운로드받는 옵션이 존재했던 관계로 이것까지 합산하면 제노블레이드쪽이 더 용량이 많다.[3] 모바일 게임 마리오 카트 투어는 본가로 취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4] 순서를 지켜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다가 신호가 떨어지면 가속하며 레이스를 시작하는 방식이다.[5] 레트로 그랑프리가 생긴 마리오 카트 DS부터 마리오 카트 8 디럭스까지는 후속작에서 4개 이상의 직전작 코스를 레트로화하였다. Nintendo Switch 2에서도 마리오 카트 8 디럭스를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두 작품의 작품성을 서로 차별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할 수 있다.[6] 그 외에도 레이스 참가 인원을 24명으로 늘린 만큼 카트와 충돌 시 발생하는 가속 보너스를 활용하는 타개 전략을 막기 위한 조치도 없지는 않다.[7] 순위가 낮을수록 좋은 아이템이 나온다는 것을 이용하여 일부러 순위를 낮게 한 뒤, 좋은 아이템으로 막판에 역전하는 전략.[8] GBA 스노우 랜드에서 나오는 장애물 캐릭터[9] 마리오브라더스Tour 로스앤젤레스 랩에서 나오는 게 모습의 장애물 캐릭터[10] DS DK 스노우 마운틴에서 나오는 장애물 캐릭터[11] N64 음매음매 목장, Wii 음매음매 컨트리 등에서 나오는 젖소 모습의 가축형 장애물 캐릭터[12]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그랑프리 시리즈 제외[13] 동키콩 시리즈, 요시 시리즈 등의 스핀오프 캐릭터는 마리오 시리즈의 캐릭터로 작성하였다.[14] 투어, 8 디럭스/부스터 코스 패스에서 재등장[15] Wii, 투어, 8 디럭스/부스터 코스 패스에서 재등장[16] 8(DLC) / 디럭스, 투어에서 등장.[17] 8 디럭스/부스터 코스 패스에서 재등장[18] 아케이드 그랑프리, 라이브: 홈 서킷을 제외한 Wii 이후의 전 시리즈 개근.[19] 투어, 8 디럭스/부스터 코스 패스에서 재등장[20] 8 / 디럭스, 투어에서 재등장[21] 투어에서 재등장[22] 투어에서 재등장[23] 투어에서 재등장[24] 투어에서 재등장[25] 투어에서 재등장[26] 8 디럭스/부스터 코스 패스에서 재등장[27] 더 나아가 동키콩 시리즈 또는 요시 시리즈 등과 같은 스핀오프 전용 캐릭터로 여겨지는 디디콩, 펑키콩, 딕시콩, 포치도 배제될 가능성도 있다.[28] 마리오 카트 투어에서 비슷한 형태의 카트가 등장한 바 있다.[29] 수정구슬 아이템에 피격되어 캐릭터가 변했을 경우에 해금. 다른 획득법도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아직은 공개되지 않음.[30] 음식 아이템을 사용하여 코스튬이 바뀌었을 경우에 해금.[SFC] 슈퍼 마리오 카트 에서 최초로 등장한 기본 카트[DS] 마리오 카트 DS 에서 최초로 등장[Wii] 마리오 카트 Wii에서 최초로 등장[3DS] 마리오 카트 7에서 최초로 등장[3DS] [WiiU] 마리오 카트 8에서 최초로 등장[Wii] [38] 영상 4분 39초 경 맵 화면 오른쪽 하단에 무지개 로드 아이콘이 보인다. 이후 4월 17일 다이렉트 영상에서 암시하는 대로라면 모든 컵에서 우승해야 해금되는 것 같다.[39] 기존 버섯, 플라워, 스타, 스페셜 컵[40] 기존 등껍질, 바나나, 리프, 번개 컵[41] 기종명이 누락된 것은 마리오 카트 DS에서 레트로 배틀 스테이지가 기종명이 누락된 채로 수록되었던 이후 처음이며, 레이스 코스에서 기종명이 누락된 것은 시리즈 최초이다.[42] 마리오 카트 시리즈 중에서 첫번째 코스가 경기장/초원이 아닌 최초의 코스다. 배경을 보면 확실히 미국 서부 느낌의 사막이고 경기장이라기엔 관중석도 별로 없으며 오프로드 느낌이 더 난다.[A] 동일한 지역이 2개의 컵에서 등장하며, 3DS 우후 아일랜드 1~2, Tour의 도시 코스, 뻐끔 신전 1~3, N64 바싹바싹 사막 1~2처럼 컵 별로 주행 경로가 다르다. 다만, 코스명에 숫자가 빠지게 된다.[44] 고전 게임 동키콩의 구조물을 닮은 듯한 코스 배치가 특징인 포인트 투 포인트 코스이며 도입부에서 부터 동키콩의 형상을 한 거대로봇이 있는것이 특징. 구간은 총 6개이며 그랑프리 시 이동 구간 2개가 더 붙어 8개가 된다.[A] [A] [47] ショーニューロード/Dandelion Depths[48] ホネホネツイスター/Dry Bones Burnout[49] どんぐりツリーハウス/Acorn Heights[A] [51] 영상 4분 39초 경 맵 화면 오른쪽 하단에 무지개 로드 아이콘이 보인다. 위쪽에 피치 스타디움, 왼쪽에 트로피 시티, 오른쪽에 리버사이드 사파리, 아래쪽에 엉금엉금 비치가 있는 십자 모양 경로의 교차점에 무지개 로드의 아이콘이 위치한다.[52] 맵 상의 아이콘에 SFC 마리오 서킷 1(좌측), 2(하단), 3(우측)이 함께 나와있다. 미니맵과 공개된 플레이 화면에서도 1-2-3으로 이어지는 녹색 연결도로를 확인할 수 있다.[맵] 파일:마카월드 마리오서킷.png[미니맵] 파일:마카월드 마리오서킷 맵.png[신규] 아이콘이 본작에서 처음 사용된 컵 및 랠리[56]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Wii, U아이스플라워[신규] [58] 슈퍼 마리오 Wii 2 갤럭시 어드벤처 투게더의 구름플라워[신규] [60]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의 체력 UP 하트[61] BGM만 사용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62] 예를 들어 피치가 스시를 먹으면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에서 입었던 유카타 의상으로 바뀐다.[T] 마리오 카트 투어에서 등장[T] [65] 크기가 커지지만 상대를 납작하게 만들 수 없으며, 전용 브금도 나오지 않는다.[66] 상대를 밟아 납작하게 만들 수 있으며, 사용 캐릭터 목소리가 굵어지고 전용 브금이 흘러나온다.[67] 해당 이미지의 주인공은 해당 작품에 등장하는 젖소 캐릭터 오티스와 쥐 캐릭터 핍이며, 바이크를 타는 이미지는 영화의 공식 포스터다. 직접적인 마리오 카트 월드 내용은 없지만 'favorite playable character'라는 언급을 한 것은 누가봐도 마리오 카트 월드 관련임을 짐작 가능하다. 댓글도 대다수가 젖소 관련 농담일 정도.[68] 해외에서는 Bagging 이라고 부르는, 일부러 뒷 순위로 가서 얻은 강력한 아이템으로 레이스 후반에 치고 올라오는 극단적인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