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10:18:32

마리오 카트 DS/캐릭터 및 카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92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마리오 카트 DS
<colbgcolor=#000>[[마리오 카트 시리즈|
파일:mariokart-logo.png

마리오 카트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mklogo.gif
코스
파일:MK64_logo.png
코스 · OST
파일:MKA-logo-jpn.png
파일:MarioKart-SuperCircuitUSA.png

코스
파일:MKDD_logo.png
코스 · 배틀
파일:MKDS_logo.png
코스 · 미션 런 · 캐릭터 및 카트
파일:MKWii_logo.png
코스 · OST · 캐릭터 및 머신
파일:MK7_logo.png
코스
파일:MK8_Logo.png 파일:MK8DX_Logo.png
코스 · DLC · 관련 문서
파일:MKT_Logo.png
코스 · 관련 문서
파일:MKL_logo.png파일:MKAGP-logo-red.png
코스 · 대한민국
Nintendo Switch 2의 마리오 카트 신작
시리즈 관련 문서
캐릭터 · 커스터마이징 · 코스 (둘러보기 · 배치 문제) · 아이템 (바나나 · 등껍질 · 가시돌이등껍질) · 배틀 · 음악 · 패미컴 그랑프리 (I · II)
마리오 시리즈
}}}}}}}}}||

1. 개요2. 경량급
2.1. 피치2.2. 요시2.3. 키노피오2.4. 와르르2.5. 헤이호
3. 중량급
3.1. 마리오3.2. 루이지3.3. 데이지3.4. 와루이지
4. 무제한급
4.1. 쿠파4.2. 동키콩4.3. 와리오4.4. HVC-012
5. 총평6. 여담

1. 개요

마리오 카트 DS에 등장하는 캐릭터와 카트의 일람.
마리오 카트 DS 플레이어블 캐릭터
파일:mariokartds000842415.jpg
쿠파 와루이지 와리오 동키콩 HVC-012
요시 피치공주 마리오 루이지 데이지공주 키노피오 와르르
※: 히든 캐릭터
아라따 박사: 취소된 캐릭터
헤이호: 체험용 캐릭터

전작보다 캐릭터의 수가 20명에서 12명으로 감소하였지만, 패밀리 컴퓨터 로봇과 헤이호가 새롭게 참전하였다. 패밀리 컴퓨터 로봇은 코드명인 HVC-012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북미판은 이름이 R.O.B로 검은색 컬러이다. 헤이호는 게임 카드가 없는 다운로드 플레이어 전용 캐릭터이다. 카트도 스탠더드카트로 고정.[1]

또한 카트의 경우에는 다른 마리오 카트 시리즈와는 다르게 캐릭터별로 고유의 카트를 3개씩 보유하고 있다. 캐릭터는 카트의 능력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2], 각 캐릭터의 메인 카트는 고유 능력치 분배를 가지고 있다.

각 그랑프리의 4개의 컵에서 금트로피를 획득하면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와 카트의 수가 늘어나는데 각 그랑프리당 해금되는 캐릭터와 카트는 다음과 같다.
<rowcolor=#ffffff> 그랑프리 해금 캐릭터 및 카트, 그랑프리
처음부터 사용 가능[3] <colbgcolor=#ffffff> 각 캐릭터의 스탠더드카트 8개,
노블레스, 에그원, 버돌호, B대시,
진공청소기, 폭군호, 정글카고, 불스고
50cc 니트로 4개 컵 우승 와르르,
와르차, 스탠더드WA
50cc 레트로 4개 컵 우승 데이지,
파워플라워, 스탠더드DS
100cc 니트로 4개 컵 우승 1캐릭터 당 카트 3개
라이트스텝PE, 쿠쿰버, 사륜요람, 와르탱크,
별똥별, 슬릭카, 라이트스텝DS, 트라이크[B]
허리케인, 와일드라이프, 고추잠자리호
100cc 레트로 4개 컵 우승 와루이지,
골드맨티스, 스탠다드WL, 트라이크[B]
150cc 니트로 or 레트로 4개 컵 우승[A] 1캐릭터 당 카트 7개[7]
HVC-BLS, HVC-LEGS
150cc 전 컵 우승 150cc 미러
150cc 미러 니트로 or 레트로 4개 컵 우승[A] HVC-012
150cc 미러 전 컵 우승 모든 카트[9]

여담으로 해금 캐릭터 중 와르르와 데이지는 해금하고 싶은 순서대로 해금할 수 있는데, 만약 와르르나 데이지 중 한 명만 해금하거나 혹은 모두 해금하지 않고 100cc를 클리어하면 와루이지가 아닌 와르르나 데이지가 먼저 해금된다. 즉, 해금 순서는 와르르or데이지→와루이지→HVC-012 순인 셈.

카트의 스탯은 다음과 같으며, 캐릭터 자체는 무게 스탯에만 관여한다.
인게임에서 표시되지 않는 숨겨진 성능으로 미니터보 외에도 오프로드가 있는데, 오프로드 스탯이 클수록 비포장 도로에 진입했을 때의 속도 감소율이 적어진다. 오프로드에도 종류가 있는데 루이지 맨션이나 SFC 초코 아일랜드 2의 반드시 지나야 하는 진흙 구간은 속도가 크게 줄어들지 않으며, 트랙 외부의 오프로드[14]에서는 속도가 크게 줄어든다. 캐릭터의 오프로드 스탯과 카트의 오프로드 스탯은 별도이며, 캐릭터가 카트에 비해 오프로드 스탯에 관여하는 정도가 크다. 캐릭터는 무게가 가벼울수록 오프로드 스탯이 커지고, 카트의 오프로드 스탯은 카트 주인[15] 에 따라 결정되며, 대체로 미니터보 스탯이 클수록 오프로드 스탯이 커진다.

그리고 카트는 다음과 같이 크게 3개로 나뉜다. 높은 무게와 스피드로 승부하는 무제한급 캐릭터의 카트인 파워형, 우월한 가속력과 핸들링[16], 드리프트[17]로 승부하는 경량급 캐릭터의 카트인 안정형, 그리고 저 2가지를 적절히 섞은 중량급 캐릭터의 카트인 밸런스형. 그러나 무게는 캐릭터를 교체함으로 달라진다. 예를 들어 와르탱크에 쿠파를 태워 파워형의 몸통박치기를 무시하고 안정형을 날려버리며 우월한 가속력과 드리프트를 보일 수 있다.

캐릭터마다 3개의 메인 카트를 소유하는데, 스탠더드카트[18]를 기준으로, 무게와 아이템은 낮지만, 다른 모든 스탯이 높아지는 스피드형 카트[19]와 무게와 아이템은 높지만, 다른 모든 스탯이 낮아지는 아이템형 카트[20]로 분류된다. 마리오 카트 DS에서는 대체로 스피드형 카트, 스네이킹 및 아이템 방어 실력이 부족하면, 스탠더드카트가 추천되는 편이다.

위의 분류 외에도 핸들링이 드리프트보다 높은 카트[21], 드리프트가 핸들링보다 높은 카트[22], 드리프트와 핸들링이 비슷한 카트[23]로도 분류할 수 있다.

2. 경량급

경량급의 안정형 카트는 높은 드리프트와 가속, 핸들링이나 드리프트 등으로 승부한다. 높은 가속과 핸들링 등으로 위기에서 쉽게 빠져나오며 높은 드리프트 등으로 인해 코너를 빠르게 돌파하는게 가능하지만, 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서 정면 승부나 일직선 코스에선 밀리는 감이 강하고 카트와 캐릭터들이 대체로 다 가벼워서 몸싸움에서 밀린다. 단 카트 전체 해금 후 무제한급 캐릭터를 태우면 안정형 카트의 높은 가속, 미니터보, 핸들링으로 유연한 플레이를 하면서 동시에 육박전이 가능하다.[24]

2.1. 피치

프로필 이미지
파일:MKDS_Peach.png
캐릭터 무게 카트 능력치 평균[D]
23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46 72 55(32) 48 97 66 53

피치의 카트는 모든 캐릭터 중 가장 드리프트가 뛰어나지만, 오히려 이 때문에 사용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28] 게다가 안정형 카트 치고는 핸들링과 미니터보가 낮은 편.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180px-Royalemodel.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41 69 67(44) 45 94 100 42
두 번째 사용자[2nd]
요시, 키노피오


안정형 카트 중 무게가 가장 무거운 반면, 가속, 핸들링, 미니 터보는 안정형 카트 치고 낮은 편. 매우 높은 드리프트와 아이템을 자랑하지만, 스피드와 핸들링이 약간 낮아서 직선주로에서는 약한 편이다.
이미지
파일:StandardKartPC.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47 73 55(32) 48 97 66 55

스탠더드카트의 피치 버전으로 피치의 카트가 그렇듯 드리프트는 매우 높지만, 스피드와 핸들링이 여전히 약간 낮은 편이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LightTripper.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51 75 43(20) 51 100 33 62
두 번째 사용자[2nd]
데이지, 와르르

전체 카트 중 드리프트가 가장 높다.무려 100퍼센트. 하지만 다른 방면에서는 애매하고, 드리프트가 너무 높아서 필요 이상으로 휘어 오히려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다른 피치의 카트도 마찬가지.

2.2. 요시

프로필 이미지
파일:MKDS_Yoshi.png
캐릭터 무게 카트 능력치 평균[D]
20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54 90 48(28) 84 39 66 80

요시의 카트는 전반적으로 와르르보다 스피드가 빠르고 가속, 핸들링, 드리프트, 미니터보는 약간 낮아 와르르 다음으로 스네이킹을 하기에 가장 적합하다는 특징이 있다. 대신 드리프트가 낮고, 카트의 무게가 최하급이라 육박전에 약하다. 와르르와 루이지 중간 급 캐릭터인데, 가속, 핸들링, 미니터보는 최고 수준을 가진 와르르에 근접하면서 스피드는 와르르보다 확실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보면 편하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EggOne.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59 91 34(14) 89 41 33 93
두 번째 사용자[2nd]
데이지, HVC-012

모티브는 요시의 알, 사실상 가장 많이 쓰이는 카트. 이 알 모양의 카트는 안정형임에도 불구하고 최고 속도가 나쁘지 않고, 가속과 핸들링도 매우 좋다. 별똥별과 더불어 무게가 카트 중 가장 가벼워서 몸싸움에 약하지만,[43] 무게에 반비례한 오프로드, 핸들링과 어느정도의 플레이 센스로 충분히 피할 수 있다. 쿠파나 동키콩, HVC-012 같은 무거운 캐릭터를 태운다면 약했던 몸싸움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150cc를 절반 클리어하면, 중량급의 데이지가 에그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되지만, 데이지는 중량급 치고 가벼워서 여전히 경량급 수준의 무게이다. 미러를 절반 클리어하면, 에그원에 HVC-012를 태울 수 있다.
이미지
파일:StandardKartYS.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55 90 52(32) 84 39 66 82

스탠더드카트 요시 버전으로, 에그원에서 무게와 아이템이 늘고 다른 스탯이 줄어든 카트. 역시 우월한 가속과 핸들링이 특징. 에그원보다 더 높은 아이템 스탯 덕에 그랑프리나 VS 모드에서는 에그원보다 효율이 좋아지기도 한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960px-Cucumber.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49 88 58(38) 80 37 100 64
두 번째 사용자[2nd]
와르르, 루이지

레이싱 카[49] 형태의 카트. 무게가 안정형 치고 좋고, 아이템도 좋은 편이지만 약간 낮은 스피드와 드리프트가 단점이 된다. 미니 터보가 낮은 건 아니지만, 아이템 스탯이 100인 카트답게 스네이킹하기에는 부족한 미니 터보 스탯이다.

2.3. 키노피오

프로필 이미지
파일:MKDS_Toad.png
캐릭터 무게 카트 능력치 평균[D]
17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38 85 48(31) 65 67 66 66

키노피오의 카트는 요시의 카트에서 스피드, 가속, 핸들링, 미니 터보를 조금씩 다운그레이드 시킨 대신 드리프트를 업그레이드 시켜 밸런스를 맞춘 느낌이라고 보면 된다. 때문에 요시의 하위호환 느낌이 강하지만, 곡선이나 급커브가 많은 코스에선 오히려 더 뛰어난 성능을 보이기도 한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489px-Mushmellow.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43 87 34(17) 69 69 33 77
두 번째 사용자[2nd]
와르르, 요시

버섯 모양 카트. 핸들링과 드리프트가 모두 괜찮지만, 무게와 아이템이 낮고, 스피드와 가속, 미니 터보 모두 에그원보다 약간 낮아서 상대적으로 덜 쓰인다. 그래도 나쁘지 않은 편. 여담으로 디자인 인기는 괜찮은 편이라 후속 시리즈들에서 카트가 재등장하게 된다.
이미지
파일:StandardKartTD.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39 85 49(32) 65 67 66 68

스탠더드카트의 키노피오 버전. 버돌호에 비해서 무게와 아이템이 증가한 카트. 버돌호처럼 높은 가속과 적절한 핸들링, 드리프트가 특징이지만, 스피드가 좀 낮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180px-4WheelCradle.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33 83 61(44) 61 64 100 53
두 번째 사용자[2nd]
마리오, 피치

스피드가 낮지만 다른 성능이 전체적으로 높아졌다. 카트의 덩치가 키노피오에 비해서 상당히 큰 편이어서 무게에서 경쟁력이 제법 되는편. 중량급 캐릭터를 태우면 무거운 캐릭터들도 밀어버릴 수 있다.

2.4. 와르르

프로필 이미지
파일:MKDS_Dry_Bones.png
캐릭터 무게 카트 능력치 평균[D]
14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30 99 45(31) 96 47 66 86

와르르의 카트는 요시의 카트마저 능가하는 최강의 가속과 핸들링을 지녔으며 미니터보 지속시간도 단독 1위이다. 단 그 대신 스피드가 가장 낮고, 와르르 본인의 무게가 캐릭터들 중 가장 가볍기 때문에 육박전에서 다소 불리한 편이다. 여러모로 쿠파와는 완전히 반대 특성의 캐릭터.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180px-Banisher.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25 97 49(35) 91 45 100 68
두 번째 사용자[2nd]
마리오, 요시

뼈 모양 카트. 가속과 핸들링과 아이템이 매우 높고, 드리프트도 적지 않지만, 최고속력이 가장 낮아서 생각보다 자주 쓰이지 않는다. 아이템 스탯이 100인 카트답게 미니 터보는 와르르의 카트 중 가장 낮고 스네이킹이 불가능하다.
이미지
파일:StandardKartDB.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31 99 46(32) 96 47 66 89

스탠더드카트 와르르 버전으로, 역시 가속과 핸들링이 높지만, 스피드가 낮다. 사고 회복력이 매우 좋고 아이템과 무게 또한 적절하기 때문에 그랑프리와 VS모드에서 자주 쓰인다. 타임어택에서는 버섯 1개를 더 주는 것 때문에 사람에 따라 와르탱크보다 스탠더드WA가 선호되기도 한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250px-DryBomber.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34 100 40(26) 100 49 33 100
두 번째 사용자[2nd]
피치, 키노피오

말 그대로 탱크 모양 카트[72]로, 전체 카트 중 가속, 핸들링, 미니터보가 가장 좋다. 이러한 장점들은 낮은 스피드, 무게, 아이템 등 다른 단점들은 때우고도 남는다. 페이스가 무너져도 회복이 빠르고 미니 터보가 길어서[73] 스네이킹에 가장 활용되는 카트 중 하나이므로 초보나 고수 모두 즐겨 쓰는 카트. 와르탱크도 가벼운 편이지만, 카트 자체의 무게가 에그원의 2배 정도되는 편인데, 덕분에 요시+에그원보다 와르르+와르탱크가 더 무겁다. 다만, 스네이킹이 목적이 아니라면 스피드면에서 에그원이나 진공청소기를 쓰는 것이 더 좋을 수 있다. 150cc 절반 클리어 시에는 피치가 와르탱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본작 올 클리어 전까지는 피치를 태우는 것이 와르르의 최대 단점인 가장 가벼운 무게를 극복하는 그나마 나은 방안이다.

2.5. 헤이호

프로필 이미지
파일:MKDS_Shy_Guy_Artwork.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55 90 52(32) 84 39 66 82

다운로드 플레이 시, 마리오 카트 DS 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는 참가자들은 해당 캐릭터로 자동 선택되는 다운로드 플레이 전용 캐릭터로, 일반 플레이어는 치트를 쓰지 않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캐릭터이다.
헤이호의 무게는 요시와 같고, 헤이호의 카트는 스탠더드카트 1개로 요시의 스탠더드카트와 스탯을 공유한다.

3. 중량급

중량급의 밸런스형 카트는 파워형과 안정형의 장점을 섞어, 스피드, 핸들링 등 흠잡을 곳이 거의 없으나, 딱히 두드러지는 장점도 보이지 않는다.
안정형 카트와 마찬가지로 무거운 캐릭터를 태우면 육박전에서도 꿀리지 않아 몸싸움 부분에서 빈약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다.

3.1. 마리오

프로필 이미지
파일:MKDS_Mario.png
캐릭터 무게 카트 능력치 평균[D]
32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63 72 61(29) 56 57 66 60

마리오의 카트는 주인공의 카트라 그런지 밸런스가 적당하고 스탯이 잘 분배된 편이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640px-BDasher.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58 69 73(41) 52 55 100 48
두 번째 사용자[2nd]
데이지, 와루이지

흠잡을 데가 없는 스탯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카트. 스피드, 핸들링 등이 꿀리지 않으면서도 아이템이 풀이라 상당히 매력적이다. 무게도 나쁘지 않은편. 마리오 카트 7, 8, 투어에서도 등장하여 마리오 카트 시리즈에서 스켈레톤, 스탠더드카트 다음으로 많이 등장한 카트이다.[84] 마리오 카트 Wii에서는 뉴 B대시라는 이름의 카트가 등장하는데, 색조합만 B대시와 비슷하고, 마리오 카트 8의 터보원과 비슷하게 생겼다. 마리오 카트 투어에서는 뉴 B대시가 B대시Mk.2 이름으로 바뀌어 등장한다.[85]
이미지
파일:StandardKartMR.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64 72 64(32) 56 57 66 62

스탠더드카트 마리오 버전. B대시보다 무게가 가벼워 스피드와 가속이 좋다. 대신 아이템 스탯도 낮아졌다. 수치가 매우 균형적이여서 무난하게 사용하기에 좋은 편이다. 타임어택용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 편인데, 스탯 자제가 와르탱크와 같이 가속도와 핸들링의 수치가 극단적으로 높지 않아 극단적인 성능을 내긴 어렵기 때문이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960px-Shooting_Star.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67 74 46(14) 60 59 33 70
두 번째 사용자[2nd]
키노피오, 와리오

말 그대로 별똥별 모양 카트로, 스피드형 카트답게 다른 마리오의 카트에 비해 스피드, 가속 등이 높고, 무게와 아이템 스탯이 낮다. 마리오의 카트 중에서 유일하게 스네이킹이 가능하지만, 그 대가인지 순수 카트의 무게 기준으로는 에그원과 더불어 전체 카트 중 가장 가볍다. 또한, 진공청소기보다 드리프트가 더 좋다는 것 정도 빼고는 진공청소기의 하위호환이다.

3.2. 루이지

프로필 이미지
파일:MKDS_Luigi.png
캐릭터 무게 카트 능력치 평균[D]
32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71 74 62(30) 73 32 66 73

루이지의 카트는 마리오의 카트에서 스피드, 핸들링, 가속과 미니터보를 업그레이드 시키고 드리프트를 다운그레이드 시킨 듯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쉽게 말하면, 드리프트가 더 낮고, 캐릭터의 무게가 같은 것 빼고는 마리오의 카트의 상위 호환이라고 보면 된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640px-Poltergust4000model.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75 76 49(17) 77 33 33 85
두 번째 사용자[2nd]
요시, 와루이지

모티브는 루이지 맨션에서 루이지가 사용한 청소기 유령싹싹.[97] 스피드형 카트로, 스피드, 가속, 핸들링이 높기 때문에 코스를 빠르게 돌파하며, 초보자가 많이 애용하는 카트.[98] 대신 드리프트와 아이템이 낮다. 스네이킹이 가능한 카트들 중에서 두 번째로 빠른 카트이다.
이미지
파일:StandardKartLG.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72 74 64(32) 73 32 66 75

스탠더드카트 루이지 버전. 진공청소기에 비해 아이템과 무게가 대폭 늘어난 카트. 드리프트가 조금 낮아졌지만 핸들링과 아이템으로 커버 한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Streamlinermodel.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66 71 73(41) 69 30 100 59
두 번째 사용자[2nd]
와르르, HVC-012

다른 루이지의 카트에 비해 크기가 상당히 커졌다. 진공청소기나 스탠더드LI에 비해 스피드와 가속이 약간 낮아졌으나, 낮은 드리프트는 여전하다. 그러나 아이템이 풀이기 때문에, 낮은 드리프트를 아이템으로 매꿀 수 있다. 다른 스탯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 진공청소기에 비해 꽤나 무거워서 육박전에서도 밀리지 않는다.[104] 아이템형 카트 중에서 B대시, 트라이크와 더불어 스탯이 가장 적절하게 배분되었고, B대시, 트라이크보다 가속, 미니터보, 핸들링이 더 좋아 가장 좋은 평가를 받는 아이템형 카트이다. [105]

3.3. 데이지

프로필 이미지
파일:MKDS_Daisy.png
캐릭터 무게 카트 능력치 평균[D]
26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63 64 55(29) 40 87 66 46

데이지의 카트는 피치의 카트에서 스피드 조금 업그레이드 시키고 가속, 핸들링, 드리프트를 다운그레이드 시킨 듯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중량급 치곤 몸싸움의 메리트인 무게도 그다지 높지 않아 모든 성능이 많이 애매하다. 그래서 사용률이 저조한 편. 기왕 써먹겠다면 매우 높은 드리프트를 어떻게든 살리는 게 관건. 스피드는 마리오의 카트와 같고, 드리프트가 피치 카트보다 낮지만, 피치 카트의 드리프트가 너무 높아서 불편하다는 걸 생각하면, 오히려 체감 드리프트 조작감은 데이지가 더 좋은 편이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640px-PowerFlowermodel.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58 61 61(35) 36 84 100 37
두 번째 사용자[2nd]
피치, 동키콩

피치의 카트와 같이 매우 높은 아이템과 드리프트를 자랑하며. 스피드, 가속, 무게가 준수한 편. 핸들링이 좋은 편은 아니지만 드리프트가 높기 때문에 곡선 코스에서 강점을 발휘한다. 미니터보 지속시간은 짧다. 핸들링이 안 좋은 만큼, 반응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어 기동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즉 어떠한 스펙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최약체 카트.
이미지
파일:StandardKartDS.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64 64 58(32) 40 87 66 50

스탠더드카트 데이지 버전. 파워플라워보다는 스피드, 핸들링, 드리프트가 한 층 높아졌다. 아이템, 핸들링도 나쁜 수준은 아니다. 드리프트로 인해 카트가 상당히 휠 수 있으므로 주의.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LightDancer.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67 66 46(20) 43 90 33 53
두 번째 사용자[2nd]
마리오, 쿠파

다른 데이지의 카트에 비해 아이템과 무게를 대폭 줄이고 스피드와 가속을 높인 카트로, 페이스를 빠르게 회복 가능하며, 가능하면 곡선 코스에서 적당히 운용하는 걸 추천한다.

3.4. 와루이지

프로필 이미지
파일:MKDS_Waluigi.png
캐릭터 무게 카트 능력치 평균[D]
35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71 62 67(32) 56 57 66 53

와루이지의 카트는 핸들링과 드리프트가 마리오의 카트와 같아서 마리오와 비슷한 느낌이 강하다.[120] 스피드는 마리오의 카트보다 높아서 루이지의 카트와 같은 대신에 가속과 미니터보가 마리오의 카트보다 낮아졌다.[121]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468px-GoldMantis.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75 65 64(29) 60 59 33 62
두 번째 사용자[2nd]
마리오, 동키콩

굴삭기 형태의 카트로, 스피드가 빠르며, 스탯이 매우 안정적인 카트. 스피드형 카트 특성 상 아이템이 낮지만, 다른 스은 흠잡을 곳이 전혀 없다. 묵직해 보이는 외견과 달리, B대시보다도 가벼우므로(...) 들이박는 플레이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 차량은 GBC 버전으로 나온 모바일 골프의 설명서 아트워크에 나온 스파이크가 타는 굴삭기를 모티브로 한걸로 보인다.
이미지
파일:StandardKartWL.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72 63 67(32) 56 57 66 55

스탠더드카트 와루이지 버전. 골드맨티스에 비해 아이템을 포함해서 적절하게 스탯이 분배됐다. 스피드, 가속, 핸들링이 조금 낮아졌으니 기동성에 주의.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180px-Zipper.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66 59 70(35) 52 55 100 42
두 번째 사용자[2nd]
키노피오, 와리오

아이템이 대폭 상향되었고, 스피드, 가속, 핸들링, 드리프트를 조금씩 줄였다. 스탯이 매우 높고 적절하게 분배됐다. 하지만 무게는 그렇게 높지 않으니[130] 무제한급 캐릭터와는 무리하게 1v1은 하지 말자. 여담으로, 시리즈 최초의 3륜 머신이다.[131]

4. 무제한급

높은 무게와 스피드 등으로 상대한다. 직선과 완만한 커브의 코스를 빠르게 돌파하며 상대 카트들과의 육박전에서 강력한 위력을 발휘한다. 다만 낮은 가속력과 핸들링 등으로 인해 한 번 페이스가 무너지면 회복하기 힘들고, 드리프트가 낮은 경우엔 코너 지역을 빠르게 통과하기 힘들다. 어쩔 수 없이 속도가 줄어드는 상황이나, 어떻게 해도 상대편의 공격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 종종 일어난다는 걸 생각하면 이 점은 치명적으로 다가온다. 무제한급의 파워형 카트는 스탠더드카트와 HVC-012의 카트를 제외하면 엔진 소리가 매우 무겁다는 특징이 있다.

4.1. 쿠파

프로필 이미지
파일:MKDS_Bowser.png
캐릭터 무게 카트 능력치 평균[D]
50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95 30 87(37) 28 67 66 37

쿠파의 카트는 최강급의 무게와 스피드를 지녀 힘싸움에서 가장 강력한 파워를 발휘하지만[136], 가속과 핸들링이 최악이라는 단점 또한 지니고 있다. 파워형 캐릭터들 중에서도 스탯이 가장 극단적으로 배분된 케이스. 대신 올 클리어 이후에 무제한급 최대 몸무게인 쿠파를 다른 경량형 카트에 태워 무게를 늘리는 방식으로, 캐릭터는 취급이 좋은 편.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640px-Tyrant.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90 25 100(50) 25 64 100 26
두 번째 사용자[2nd]
와루이지, 와리오

모티브는 쿠파의 팔. 매우 높은 스피드와 아이템, 그리고 카트 중 최강의 무게[140]을 자랑한다. 덕분에 주인인 쿠파 혹은 무게가 같은 HVC-012가 폭군호를 타면 유일한 무게 100% 조합을 자랑한다. 다만 최악의 핸들링과 가속 때문에 한번 밀리기 시작하면 회복하기 힘들며, 아이템이나 드리프트로 때우기엔 너무 심각한 수준이다. 미니터보 지속시간도 모든 카트 중 가장 짧아 스네이킹은 꿈도 못 꾼다. 다만 무게와 스피드, 아이템등의 스탯이 우월한지라 못쓸것도 없다. 핸들링이 워낙 최악이지만 그나마 드리프트가 커버해 줄 수는 있다.

이렇게 잠재력이 낮은 카트지만, 그 무게만큼은 어디 가지 않아서 쿠파에 폭군호를 낀 뒤 작정하고 훼방을 놓으면 이렇게 된다.
이미지
파일:StandardKartBW.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96 30 82(32) 28 67 66 34

스탠더드카트 쿠파 버전. 폭군호에서 무게와 아이템 스탯을 줄여 밸런스를 맞춘 카트. 여전히 스피드는 최강급이며, 딸리는 가속과 핸들링을 아이템에서 보충할 수는 있지만 한 번 실수하면 회복이 힘들다는건 여전하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180px-Hurricanemodel.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100 34 79(29) 32 69 33 38
두 번째 사용자[2nd]
HVC-012, 동키콩

모티브는 쿠파피에로. 비행기 형태의 카트로, 최대의 스피드를 자랑한다. 드리프트도 높은편이고 무게도 아이템이 낮은 카트 중에서는 좋은편이라 의외로 많은 플레이어들이 사용하지만, 가속이 낮아 회복이 느리고 아이템이 바닥수준이란 점은 꽤나 큰 단점이다. 스네이킹 때문에 빛을 보지 못한 비운의 카트. 스네이킹이 없었다면 타임어택에서 자주 쓰였을 것이다.

4.2. 동키콩

프로필 이미지
파일:MKDS_Donkey_Kong.png
캐릭터 무게 카트 능력치 평균[D]
41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79 47 75(34) 34 77 66 40

동키콩의 카트는 높은 스피드와 다소 높은 드리프트를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베타 버전까지는 그랜트 커크호프의 목소리를 사용했으나 마리오 카트 시리즈도 정식 버전부터 성우가 나가사코 타카시로 변경되었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180px-RambiRider.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74 44 88(47) 31 74 100 33
두 번째 사용자[2nd]
쿠파, 데이지

모티브는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에 등장한 코뿔소 람비. 이 코뿔소 형태의 카트는 무식한 무게와 아이템, 그리고 스피드로 적을 공격한다. 아이템 수치가 풀인 덕분에 아무리 적어도 버섯정도는 자주 나오고, 버섯을 사용하면서 받아버리면 받힌 카트는 백이면 백 엄청난 타격을 입으며, 난간 없는 구역에선 100% 추락이다. 쿠파의 폭군호와 더불어 무게 면에서는 상당히 흉악한 카트지만 낮은 핸들링과 가속 덕분에 코너에선 매우 약해진다. 준수한 수준의 수치인 드리프트를 잘 활용해야 한다.
이미지
파일:StandardKartDK.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80 47 73(32) 34 77 66 41

스탠더드카트의 동키콩 버전. 동키콩의 카트가 그렇듯 빠른 스피드와 준수한 드리프트 덕분에 빠른 돌파에 중점이 맞춰져 있다. 무게는 정글카고보다 낮지만 스피드나 드리프트는 더 높으며, 아이템 또한 적절하다. 그러나 드리프트가 높은 카트들은 사용 난이도가 매우 높은 편인데다가 대체로 가속력이 낮아 사고 회복력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별로 좋다고는 볼 수 없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571px-Wildlife.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84 50 64(23) 37 79 33 47
두 번째 사용자[2nd]
루이지, 피치

이 지프 형태의 카트는 드리프트와 가속, 높은 스피드 덕분에 빠른 돌파에 중점이 맞춰져 있다. 무게가 낮은 편에 속하긴 하지만 높은 드리프트로 인해 쉽게 미니터보를 뽑아낼 수 있어 무게의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다만 미니터보가 없으면 바로 손쉬운 먹잇감으로 전락하게 된다.

4.3. 와리오

프로필 이미지
파일:MKDS_Wario.png
캐릭터 무게 카트 능력치 평균[D]
44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87 50 78(34) 48 47 66 46

와리오의 카트는 높은 스피드를 빼면 파워형치곤 능력치가 극단적이지 않고 비교적 균형있게 배분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Brute.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92 53 67(23) 51 49 33 53
두 번째 사용자[2nd]
쿠파, 와루이지

와리오의 자가용인 '와리오 카'의 카트 버전으로, 상당히 높은 스피드와 적절하게 분배된 스탯을 지녔으나 아이템이나 무게가 스탠더드WR이나 고추잠자리호에 비하면 상당히 밀리는 감이 적지 않으며, 특히 무게로 밀어붙이는 플레이가 거의 불가능해진다. 스탯이 딱 HVC-BLS의 하위호환 카트이다.
이미지
파일:StandardKartWR.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88 50 76(32) 48 47 66 48

스탠더드카트의 와리오 버전. 높은 스피드와 적절하게 분배된 스탯 덕분에 코너가 많거나 길이 험한 곳에서도 빠르게 돌파가 가능하다. 하지만 고추잠자리호에 비하면 무게가 꽤나 밀린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603px-Dragonfly.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82 46 91(47) 45 45 100 37
두 번째 사용자[2nd]
HVC-012, 루이지

이 트랙터 모양 카트는 전반적으로 높은 스탯을 가졌고, 높은 무게와 스피드, 아이템 등으로 육박전에서도 밀리지 않아 수많은 플레이어들이 사용하는 카트. 다만 덩치가 커서 클로즈업 됐을때 시야를 가리는 느낌이 좀 있다. 딱히 두드러지는 단점이 없기에 생각보다 많이 사용되는 카트. 얘도 마찬가지로 난간 없는 구역에서 버섯과 함께 들이박으면 상대는 100% 추락이다.

4.4. HVC-012

프로필 이미지
파일:MKDS_ROB.png
캐릭터 무게 카트 능력치 평균[D]
50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95 52 82(32) 65 27 66 66

HVC-012의 카트는 쿠파와 동급 수준인 최강급의 스피드를 지니고 있으며, 무제한급 중 최고의 가속과 핸들링, 미니터보를 가졌다. 대신 드리프트 수치가 가장 낮다. HVC-012는 카트 자체의 무게만 보면 무제한급 중에선 가벼운 축에 속하지만, 주인의 몸무게가 쿠파와 동급이라 기본 조합으로는 전반적으로 무겁다. 또한 와르르 같은 경량급 캐릭터가 HVC-012의 카트를 쓰면 빠른 스피드와 함께 오프로드가 높아져 더욱 더 유연하게 달릴 수도 있다. HVC-012 본인의 카트가 좋은 것은 물론, 본인이 다른 캐릭터의 카트를 탔을 땐, 어느 카트를 타든 육박전이 가능하고, 쿠파보다 덩치가 작아 시야 확보에서 우위가 있다.

여담으로, 해금 순서 때문에 HVC-012의 카트는 루이지, 와리오, 동키콩, 쿠파가 HVC-012보다 먼저 사용하게 된다. 대신, 다른 캐릭터들이 처음엔 자기 카트 2개만 쓸 수 있는 반면에, HVC-012는 처음부터 본인 카트 3개 + 타 캐릭터 카트 4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960px-ROBBLSmodel.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100 55 75(25) 69 28 33 77
두 번째 사용자[2nd]
루이지, 와리오

모티브는 패미컴 로봇의 게임 Stack Up에 필요한 주변기기. 최강의 스피드를 지녔으며 가속, 핸들, 미니터보 또한 파워형 카트 중 가장 높은 준수한 스펙의 카트. 스피드에 모든 것을 쏟아부어 성능이 안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건 착각이다. 아이템과 드리프트가 낮다고는 하지만 시리즈의 특성상 드리프트의 수치가 오히려 이점으로 작용할 때가 많다. 미니터보 성능이 경량급인 피치 카트보다 좋은 것은 물론 버돌호와 동급으로 파워형 카트 중 유일하게 스네이킹이 가능한 카트다.
이미지
파일:StandardKartRB.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96 53 82(32) 65 27 66 68

스탠더드카트의 HVC 버전으로, 다른 HVC의 카트와 마찬가지로 딱히 흠잡을데는 없다. 드리프트가 좀 낮다는 점이 흠이긴하지만 이 카트도 컨트롤 실력이 있다면 스네이킹이 가능하다. 넓은 트랙에서 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미지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404px-ROBLGSmodel.png
스피드 가속 무게[W] 핸들링 드리프트 아이템 미니터보[M]
90 48 88(38) 61 25 100 53
두 번째 사용자[2nd]
동키콩, 쿠파

모든 카트를 통틀어서 가장 낮은 수치의 드리프트를 가지고 있다. 스네이킹 할 땐 드리프트가 낮을수록 좋긴한데 이건 너무 낮아서 오히려 난감할 때가 많다. 다만 직선이 많거나 길이 넓은 트랙에선 아주 날아다니는 카트. 여담으로, 카트의 전고가 높은 것도 모자라 다리가 달려 있는 듯한 괴랄한 디자인 때문인지 스타킹 카트라는 별명이 있는데 때문에 이 카트에 쿠파나 동키콩 같이 덩치가 큰 캐릭터를 태우면 모양새가 매우 이상해진다. 여담으로, 마리오 카트 시리즈 최초의 이륜 머신이자 동시에 시리즈 유일의 이륜 카트이다. [179]

5. 총평

그랑프리, VS는 가속과 핸들링이 중요하여 와르르의 와르탱크, 요시의 에그원이 추천된다. 스네이킹이 가능한 마리오 카트 DS의 시스템 특성상 때문에 역대 시리즈 중 미니 터보 성능이 가장 중요한데, 와르탱크, 에그원 모두 미니터보가 매우 우수하여 타임어택에서 고수들도 많이 사용한다. 타임어택에서는 가속보단 스피드가 중요하기에 스피드와 미니터보 모두 우수한 HVC-012의 HVC-BLS, 루이지의 진공청소기도 많이 사용된다.

결론적으로 사용하기 좋은 강캐는 와르르, 요시, 루이지, HVC-012이며, 그 중에서도 그랑프리, VS에선 요시와 와르르가, 타임어택에선 루이지와 HVC-012가 좀 더 강세를 띄는 편이다. 특이하게도 다른 시리즈와 다르게 초보자와 고수 모두 추천되는 캐릭터의 폭이 거의 같다.

반면 사용하기 힘든 약캐는 피치, 데이지, 동키콩, 쿠파 등이 있다. 넷 다 너무 지나치게 드리프트가 팍팍 꺾이는 바람에 연속으로 드리프트를 실행하는 '스네이킹'을 사용하기가 힘들고 미니터보도 상당히 낮아 스네이킹을 시도하면 오히려 속도가 더 느려진다.[180]

아이템형 카트는 미니터보 스탯이 높은 것이 없어서 스네이킹이 불가능하거나 효과가 적어서 비교적 밸런스를 갖춘 것이 요구된다. 와르르의 와르차나 요시의 쿠쿰버보다는 마리오의 B대시, 와루이지의 트라이크가 더 좋고, B대시나 트라이크보다도 루이지의 슬릭카가 더 좋다고 볼 수 있다.

해금 순서 관점에서 각 그랑프리별 추천 조합
상술했듯이 그랑프리 올 클리어 이후에는 모든 캐릭터로 모든 카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캐릭터의 메인 카트 간에는 불균형이 심하지만, 캐릭터 자체는 무게 스탯에만 관여하기 때문에, 기존에 취급이 좋지 않았던 캐릭터로 스피드, 가속, 미니터보, 핸들링 스탯이 좋은 카트로 같은 조작감 그대로 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랑프리나 VS에서 쿠파나 HVC-012가 에그원이나 와르탱크를 타면 몸싸움 단점이 해결되고, 타임 어택에서 와르르가 HVC-012 대신에 HVC-BLS를 타면 낮은 오프로드 단점이 어느 정도 해결된다. 본작의 해금 요소는 해금 조건이 모두 컵을 우승(금 트로피)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 1개 이상의 랭크를 획득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으며, 이를 노리고 싶으면, 50cc부터 미러까지 모두 우승한 후에 하고 싶은 캐릭터로 다시 도전하는 것이 퍼펙트 클리어(★ 3개 랭크) 도전에 피로감이 덜 든다.

6. 여담


[1] 헤이호가 정식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승격된 건 마리오 카트 7부터이다.[2] 다만 같은 카트에 어떤 캐릭터가 탔는가에 따라 '무게'는 달라진다.[3] 캐릭터는 위의 테이블 참조[B] 트라이크는 100cc 전 컵을 우승해야 해금된다.[B] [A] 니트로 그랑프리를 먼저 우승해도 되고, 레트로 그랑프리를 먼저 우승해도 된다.[7] 스탠더드카트를 제외한 다른 캐릭터의 카트 4종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A] [9] 아무 캐릭터나 골라도 36종의 카트를 전부 사용할 수 있게 된다.[10] 올 클리어 이후에는 모든 캐릭터가 모든 카트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무게가 낮은 카트라도 쿠파나 HVC-012를 태우면 중간 이상의 무게로 늘어나며 가속력도 그대로라 무제한급의 단점인 재기불능도 상쇄 가능하다. 또한, 파워형 카트에 경량급 캐릭터를 태워서 스피드와 오프로드를 모두 갖추는 것도 가능하다.[11] 물론 타는 캐릭터의 무게에 따라 총 무게는 달라질 수 있다.[12] 다만 코스 난이도에 따라 최고속력이나 핸들링 등의 다른 성능 요인도 어느 정도 작용하므로 미니터보가 최고인 와르탱크가 무조건적으로 최고의 카트라는 것은 아니다.[13] 평균적으로 와르르 > 요시(헤이호) > 루이지 > HVC-012=키노피오 > 마리오 > 와루이지=피치 > 와리오=데이지 > 동키콩 > 쿠파의 카트 순서(내림차순)로 미니터보 지속 능력이 좋다.[14] 여기서 또 라이트형 오프로드, 노멀형 오프로드, 헤비형 오프로드로 구분되다.[15] 와르르 > 요시(헤이호) > 루이지 > HVC-012=키노피오 > 마리오 > 와루이지=피치 > 와리오=데이지 > 동키콩 > 쿠파의 카트 순서(내림차순)로 오프로트 스탯이 큰데, 오프로드 스탯은 감속율을 결정하기 때문에 오프로드 스탯이 같아도 스피드 스탯 때문에 HVC-012의 카트가 키노피오의 카트보다 오프로드에서 조금 더 빠르고, 와루이지의 카트가 피치의 카트보다 오프로드에서 조금 더 빠르고, 와리오의 카트가 데이지의 카트보다 오프로드에서 조금 더 빠르다고 볼 수 있다. 대신 오프로드에서 벗어난 후 최고 속도까지의 복귀는 키노피오, 피치, 데이지 쪽이 더 빠르다. 각 캐릭터의 3개의 메인 카트 간에는 오프로드 스탯이 같다.[16] 피치의 핸들링은 예외.[17] 요시의 드리프트는 예외.[18] 아이템 스탯 66. 타임어택에서 대시버섯이 2개 주어지는 카트.[19] 아이템 스탯 33. 타임어택에서 대시버섯이 1개만 주어지는 카트.[20] 아이템 스탯 100. 타임어택에서 버섯이 3개 주어지는 카트.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미니 터보 스탯이 많이 낮아져서 부스트된 속도를 유지하면서 스네이킹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21] 와르르, 요시, 헤이호, 루이지, HVC-012의 카트. 이들은 가속이나 미니터보가 매우 좋거나 최고속력 대비 좋은 편에 속하기도 한다.[22] 피치, 데이지, 동키콩, 쿠파의 카트.[23] 키노피오, 마리오, 와루이지, 와리오의 카트.[24] 특히 몸무게가 제일 무거운 쿠파와 HVC-012는 제일 가벼운 에그원에 타도 무게가 60% 이상 나간다.[D]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W] 괄호 안은 캐릭터 무게를 뺀 카트 자체의 무게를 나타낸다.[M] 제일 미니터보 수치가 높은 와르탱크를 기준으로 백분율 환산하여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28] 드리프트 수치가 너무 높으면 카트가 매우 쉽게 꺾여 삽질을 아주 많이 하게 된다.[W] [M] [2nd] 한 캐릭터 당 7개 카트를 사용할 때[W] [M] [W] [M] [2nd] [D] [W] [M] [W] [M] [2nd] [43] 특히 무게가 가장 무거운 쿠파의 폭군호와 부딪힌다면 말 그대로 튕겨져나간다.[W] [M] [W] [M] [2nd] [49] 실제 레이싱인 포뮬러 1의 카트와 유사한 외형을 지녔다.[D] [W] [M] [W] [M] [2nd] [W] [M] [W] [M] [2nd] [D] [W] [M] [W] [M] [2nd] [W] [M] [W] [M] [2nd] [72] 생긴거로 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때 독일군이 가지고 있던 페르디난트 구축전차를 모티브로 삼은 듯하다.[73] 모든 카트 중 가장 길고, 가장 짧은 카트인 폭군호와 비교하면 약 4배 길다.[W] [M] [76] 타 체급의 사기 캐릭터보다는 덜 쓰이는데, 아이템을 제외한 전체적인 스탯이 요시와 HVC-012 사이이고, 요시는 경량급 치고 좋은 스피드에 가속, 스피드, 미니터보는 최고 수준을 가진 와르르와 별 차이가 없고, HVC-012는 최고 스피드이면서도 드리프트를 제외한 스탯은 중량급 수준을 가지고 있어서 루이지는 이 두 캐릭터 사이에 어중간한 스탯을 가진 캐릭터로 취급되는 면이 있다.[77] 마리오 카트 본가 시리즈에서 유일하게 피치와 무게 등급이 다르다. 등급별로 캐릭터를 4개씩 배치하다가 캐릭터 이미지상 데이지를 더 무겁게 설정한 듯하다. 대신, 피치랑 무게 차이가 별로 안 나고, 평균적으로 피치 카트를 데이지 카트보다 살짝 무겁게 하여 밸런스를 맞춘 듯하다. 사실 등급별 4개씩 분류하면서도 피치와 데이지를 같은 등급에 분류가 가능했는데, 무게를 Wii처럼 '피치=데이지<요시' 로 설정했으면 경량급(와르르, 키노피오, 피치, 데이지), 중량급(요시, 마리오, 루이지, 와루이지)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외전작인 마리오 카트 아케이드 그랑프리 디럭스에서는 데이지(무제한급)가 피치(초경량급)보다 훨씬 무거웠다.[D] [W] [M] [W] [M] [2nd] [84] 스탠더드카트는 시리즈마다 외형이 달라지는 것을 고려하면 스켈레톤 다음으로 등장 횟수가 많다.[85] 일본에서는 Wii와 투어 둘 다 B대시Mk.2였으며, 미국에서는 Wii에서 스프린터였다가 투어에서 B대시Mk.2로 바꼈다.[W] [M] [W] [M] [2nd] [D] [W] [M] [W] [M] [2nd] [97] 마리오 카트 DS 한국어판은 루이지 맨션 시리즈의 한국판이 최초 발매되기 전에 발매되어서 그런지 2019년에 출시된 마리오 카트 투어에 와서야 카트 이름이 유령싹싹으로 바뀌었다.[98] 고수 유저도 많이 사용하는 편에 속한다.[W] [M] [W] [M] [2nd] [104] 쿠쿰버와 마찬가지로 실제 레이싱에 쓰이는 카트와 유사한 외형이다.[105] 쿠쿰버나 와르차가 미니터보, 핸들링, 가속이 더 높지만, 애초에 아이템형 카트 중에서 스네이킹이 되는 것이 없으니 차라리 스피드, 무게가 더 나가는 슬릭카가 더 많이 쓰인다.[D] [W] [M] [W] [M] [2nd] [W] [M] [W] [M] [2nd] [D] [W] [M] [120] 와루이지가 밸런스형 카트를 가진 데에는 스핀오프로만 등장하다보니 존재감과 개성이 부족하다는 와루이지의 특징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121] 마리오의 카트나 와루이지의 카트나 스네이킹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워서 스피드가 좀 더 높은 와루이지의 카트가 마리오의 카트보다 좀 더 상위호환에 있다고 보는 유저들이 많다.[W] [M] [2nd] [W] [M] [W] [M] [2nd] [130] 쿠파, 동키콩, 와리오와 비교하면 확실히 낮다.[131] 이후, 마리오 카트 8에서 트라이스피더(3륜 카트), 쿠파트라이크(3륜 바이크)가 추가되었다. 바이크로 보는 사람도 간혹 있지만, 핸들바로 조향하는 바이크랑 다르게 엄연히 스티어링휠로 조향하는 카트이다.[132] 음성은 마리오 카트 더블 대시!!킹부끄의 음성을 약간 기계음으로 변조시켜 사용했다.[D] [W] [M] [136] 그러나 아이템이 난무하는 실전에서 이로 인해 득을 볼 수 있는 상황은 흔하지 않다.[W] [M] [2nd] [140] 그냥 박아도 안정형은 옆으로 엄청나게 밀려나며 버섯 대시로 돌진하면 같은 무제한급 중량이 아닌 이상 전부 다 가뿐히 날릴 수 있다. 가장 가벼운 캐릭터인 와르르를 태워도 무게 스탯 64를 가지며, 이는 쿠파/HVC-012+에그원/별똥별 조합과 동급이다.[W] [M] [W] [M] [2nd] [D] [W] [M] [W] [M] [2nd] [W] [M] [W] [M] [2nd] [D] [W] [M] [W] [M] [2nd] [W] [M] [W] [M] [2nd] [D] [W] [M] [W] [M] [2nd] [W] [M] [W] [M] [2nd] [179] 바로 다음작 마리오 카트 Wii에서 이륜 바이크가 등장한다.[180] 애초에 스네이킹을 사용하지 못한다고 해도 드리프트가 꺾이는 정도가 심각해서 드리프트를 끊으면 감속이 안 돼서 제대로 조작하는 게 거의 불가능하다.[C] 니트로 대신 레트로를 먼저 선택해도 된다.[C] [183] 캐릭터 수 12명, 카트 수 36개[184] 10가지의 캐릭터 무게 스탯(마리오=루이지, 쿠파=HVC-012), 카트 수 36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