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13:31:04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

파일:moh8b6n47xg81.png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시리즈

[ 펼치기 · 접기 ]


파일:xenoX.png
스토리 | 등장인물(동료) | 시스템 | 지역
설정(흰고래 · BLADE · 지구종 범이민 계획)
디피니티브 에디션
← 제노블레이드 시리즈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
ゼノブレイドクロス
Xenoblade Chronicles X
파일:SI_WiiU_XenobladeChroniclesX_image1600w.jpg
개발 모노리스 소프트
유통 닌텐도
플랫폼 Wii U
장르 오픈 월드 RPG
발매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5년 4월 29일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5년 12월 4일
파일:호주 국기.svg 2015년 12월 5일
디렉터 타카하시 테츠야(총괄)
코지마 코우
아티스트 타나카 쿠니히코, 야나세 타카유키, 무기타니 코이치(CHOCO)
스즈키 야스시, 카자마 라이타, 츠카모토 요코
코조 타카시, 카타가이 후미히로, RARE Engine
마츠모토 히데유키, 주식회사 쿠사나기
시나리오 타카하시 테츠야, 타케다 유이치로, 효도 카즈호
OST 사와노 히로유키
관련 링크 공식 홈페이지, 영문위키
1. 개요2. 게임플레이3. 공개 정보4. 스토리5. 등장인물6. 시스템7. 지역8. 설정9. 평가10. DLC11. 디피니티브 에디션12. 제작진13. 기타

1. 개요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시리즈의 2번째 작품.

==# 트레일러 #==
소개영상(일본)
공식 트레일러(영국)

2. 게임플레이

3. 공개 정보

PV와 E3 2014에서 공개된 플레이어블 데모로 미루어 추측한 사항들

스토리
서기 2054년 7월 지구는 이문명체간(보라색과 회색)의 싸움에 말려든다. 세력은 최소 3세력. 통합정부는 이 싸움을 피해 이주를 발동한다. 대부분의 배는 중력권 탈출 도중 대부분 격추당하고 극소수만이 생존. 살아남은 세력은 2년간 도피했으나 추격부대에게 발각된다. 한 명의 영웅에 의해 격퇴에 성공했으나 군은 대부분 전멸하고 비행능력을 잃은 함선은 미지의 행성에 추락한다.

E3 이후 공개된 내용

4. 스토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스토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스토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스토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동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동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동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동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시스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시스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시스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시스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지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지역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지역#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지역#|]]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설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설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평가

파일:ign_logo.png파일:IGN 레드 화이트 로고.png
IGN 선정 10대 Wii U 게임[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IGN 'The 10 Best Wii U Games That Are Not on Switch'
<colcolor=#fff><colbgcolor=#000> 1위 젤다의 전설 바람의 지휘봉 HD
2위 슈퍼 마리오 메이커
3위 닌텐도 랜드
4위 젤다의 전설 황혼의 공주 HD
5위 요시 울리 월드
6위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X[이식]
7위 패미컴 리믹스 1+2
8위 스플래툰
9위 터치! 커비 슈퍼 레인보우
10위 Affordable Space Adventures

[A] 2022년 기준 다른 닌텐도 게임기에 이식 안 된 게임들만 순위에 있습니다.[이식] 닌텐도 스위치로 이식됨
}}}}}}}}}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https://www.metacritic.com/game/wii-u/xenoblade-chronicles-x|
84
]]


[[https://www.metacritic.com/game/wii-u/xenoblade-chronicles-x/user-reviews|
8.6
]]
기준일:
2025-03-16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 평론가 평점
84 / 100
평론가 추천도
87%
유저 평점
XX / 100


발매 전부터 큰 반향을 일으켰고 발매 직전 수차례의 닌텐도 다이렉트를 통해 공들여 게임을 소개하여 기대감을 높였으나 일본에서의 첫 주 판매량이 5만장에 그치는 등 흥행 성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총 집계된 판매량은 91만장.

해본 사람들 사이에서는 긍정적인 입소문을 타며 좋은 평가를 받았던 전작과 달리 발매 직전 나온 패미통 크로스 리뷰에서부터 썩 좋은 말을 듣지 못했고 실제로 게임을 구매한 유저 사이에서도 극과 극을 오가는 반응이 나왔다. 전작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의 강렬한 스토리 위주 전개에 감명을 받아 마찬가지로 같은 걸 기대했다가 짧은 메인 스토리나 아바타 주인공 등의 요소에 크게 실망한다거나 사와노의 독특한 음악이 거슬린다든지, 작은 폰트나 UI의 각종 편의기능 부재 등으로 불편함을 호소하여 나쁜 평가를 내리는 사람들도 있다.

타카하시 테츠야 총감독은 인터넷상의 이런 소감들을 전해듣고는, 대부분 상정범위 내의 예상했던 평가라면서, 본작은 대작 게임이 아니기 때문에 어쩔수 없었다는 식의 언급을 했다. 특히 처음 기획단계에서 제작 도중까지는 전작처럼 제대로 된 주인공과 스토리가 존재하는[3] 게임이었지만 한정된 예산과 기한으로는 컷씬 등을 제작하는 스토리 위주의 제작 비용이 너무나도 비쌌기에 이런 방식의 접근을 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본작을 기획하면서 다시 스토리 위주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2를 제작하기 시작하였고, 탐색 오픈 월드 위주의 게임도 다시 제작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메인스토리의 아쉬운 끝맺음이나 게임의 볼륨이 너무 크다보니 기본적으로 스루메[4] 게임이다보니 요즘 게임 트렌드와 다소 동떨어진 것은 부정할 수 없으나 근본적으로 잘 만들어진 게임임은 확실하다. 전작의 숫자만 많은 사이드 퀘스트와 달리 이번작에서는 다채로운 등장인물들이 펼치는 군상극을 풍부한 컷씬과 음성으로 즐길 수 있으며 사와노의 음악도 기본적으로는 좋은데다가 취향을 좀 타는 음악들(NLA의 테마나 보컬이 들어간 전투음악 등)도 듣다보면 어느새 중독되는 것이 밈으로 정착될 정도이다. 글씨가 작은 것은 PC MMORPG를 하는 느낌이라 생각하면 크게 문제는 없다. 이외에도 대폭 강화된 월드 탐험 요소는 오픈 월드 RPG 게임들 중에서도 찾아 보기 힘들 정도로 유니크한 플레이 경험을 제공한다.[5]

10. DLC

게임의 하드 디스크 인스톨 기능은 없지만 대신 데이터를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로딩 고속화 데이터 팩을 데이원부터 다운로드 가능하다.[6] 어디까지나 선택사항이었고, 각 데이터는 기본(지형) / 에네미 / 플레이어 / 돌 데이터의 4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될 필드 데이터가 로딩 단축 효과가 가장 크며 각 데이터 팩의 용량은 전부 합치면 10기가바이트 상당에 설치시 여유공간은 15기가바이트 정도가 필요하다.

2015년 5월 8일 유료 DLC의 배포가 개시되었다.(가격은 세금제외)

DLC 자체는 선택사항이지만 DLC가 없으면 게임을 100% 클리어 할 수 없다.

해외판에는 모든 DLC가 처음부터 게임에 포함되어 있다.

현재는 Wii U의 네트워크 서비스와 닌텐도 e숍 운영이 종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루트로는 일본판 DLC를 구입할 수 없다.

11. 디피니티브 에디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 디피니티브 에디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 디피니티브 에디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크로스 디피니티브 에디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5년 3월 20일에 발매된 본작의 Nintendo Switch 리마스터 이식작.

12. 제작진

13. 기타



[1] 작은 크기의 울타리 정도만 겨우 뛰어 넘어 갈 수 있을 정도로 정말 작게 점프하기 때문에 왜 구현했을까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쓸모가 없었다.[2] 심지어 시리즈 중 유일하게 낙뎀이 없다.[3] 설정 단계에서는 남자주인공과 미국대통령, 대통령의 딸 같은 설정이 존재했다.[4] 마른 오징어처럼 오랫동안 씹어야 맛이 나온다는 의미[5] 파이널 판타지 XV의 리드 게임 디자이너인 완 해즈머의 감탄의 반응(완 해즈머의 블로그)[6] 해외판 물리 패키지 디스크도 이 기능을 판매했다. 단, 게임의 일부 용량을 하드에 까는 용도의 패키지였던지라 DL판을 구입했다면 설치할 필요가 없었다.[7] 그래서인지 전작과는 달리 영음 더빙에 영국계 성우들보다는 미국계 성우들이 많이 참여하였다. 다른 넘버링 타이틀은 모두 영국계 성우가 더빙하기 때문에 영국식 영어를 들을 수 있다.[8] DE 발매 이전에 해외 닌텐도 공식 트위터 계정에서는 이를 마케팅 삼아서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영상과 함께 기괴한 기합성을 담은 트윗이 올라오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