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2025년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라일리 톰슨/선수 경력/2025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라일리 톰슨/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라일리 톰슨/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025년 활약상: }}}[[라일리 톰슨/선수 경력/2025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라일리 톰슨/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라일리 톰슨/선수 경력/2025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NC 다이노스 2026 시즌 투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3 라일리 · 11 김태경 · 12 로건 · 13 임정호 · 15 김태현 · 17 김영규 · 18 신민혁 · 19 임지민 · 20 목지훈 · 22 김녹원 · 26 최성영 · 28 임상현 · 29 하준영 · 32 김재열 · 40 이준혁 · 41 류진욱 · 43 신영우 · 45 이용찬 · 46 손주환 · 47 전루건 · 48 최우석 · 50 소이현 · 51 이재학 · 54 김진호 · 56 원종해 · 57 전사민 · 59 구창모 · 61 배재환 · 63 김민규 · 64 조민석 · 95 김태훈 · 96 홍재문 · 97 이세민 · 100 강태경 · 106 김준원 · 110 노재원 · 111 박동수 · 114 박지한 · 121 정구범 · 131 최윤혁 · 133 정주영 · # 서동욱 · # 김요엘 · # 최요한 · # 정튼튼 · # 윤성환 · # 윤서현 · # 손민서 | ||
| 최종 편집: 2025년 10월 20일 |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응원단 |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 NC 다이노스 등번호 3번 | ||||
| 김수윤 (2022~2024) | → | 라일리 (2025~) | → | 현역 |
|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fff> NC 다이노스 No.3 | |
| 라일리 톰슨 Riley Thompson | |
| 본명 | 벤자민 라일리 톰슨 Benjamin Riley Thompson |
| 출생 | 1996년 7월 9일 ([age(1996-07-09)]세) |
| 인디애나 주 에반스빌 | |
| 국적 | |
| 학력 | 루이빌 크리스찬 아카데미 - 루이빌 대학교 |
| 신체 | 193cm | 95kg | 330mm[1] |
| 포지션 | 선발 투수 |
| 투타 | 우투좌타 |
| 프로 입단 | 2018년 드래프트 11라운드 (전체 338번, CHC) |
| 소속팀 | NC 다이노스 (2025~) |
| 계약 | 1yr / $900,000[2] |
| 연봉 | 2025 / $520,000 |
| 가족 | 부모님 |
| 배우자 제시 마리 톰슨, 아들 브룩스 | |
| MBTI | ENFP |
| SNS | |
1. 개요
NC 다이노스 소속 우완 투수.2. 선수 경력
2.1. 시카고 컵스 산하 마이너
2018년 시카고 컵스에 11라운드로 지명받으며 프로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마이너리그에서 5시즌 동안 108경기(82 선발) 19승 25패 평균자책점 4.68을 기록했다.2.2. NC 다이노스
2024년 12월 1일 NC 다이노스와 총액 9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 등록명은 라일리.[3] 임선남 NC 다이노스 단장은 "라일리 선수는 시카고 컵스의 유망주 출신으로 마운드 위에서 강한 승부욕과 탈삼진 능력을 갖춘 선수이다. 강력한 직구와 커브를 바탕으로 타자를 압도할 수 있는 파워 피처이며, 마이너리그에서 365이닝 동안 353개의 삼진을 기록할 만큼 탈삼진 능력이 우수한 투수이다. 2025 시즌 NC의 마운드에서 큰 역할을 기대한다"라고 말했다.라일리는 "NC 다이노스와 함께할 수 있어 영광스럽게 생각한다. 잘 준비해 2025 시즌 팬들과 함께 많은 승리의 순간을 함께하고 싶다. 팀의 승리를 위해 플레이하고 경기장 안팎으로 좋은 팀 동료가 되는 것이 목표이다. 창원의 팬 분들과 승리의 순간을 함께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메이저 리그에서 뛴 경력이 없다는 점이 KBO 팬들의 흥미를 끌었는데, 임선남 단장은 "경험만 놓고 본다면 (카일) 하트도 메이저리그 경험은 없다시피 한 선수였다. 그건 큰 이슈가 아니라고 봤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차지한 하트도 2020년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단 4경기에 등판, 평균자책점 15.55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2.2.1. 2025 시즌
| 2025 KBO 리그 다승 1위 |
| 5월 18일 울산 키움전, 8이닝 노히트 노런을 달성한 라일리 |
참고하십시오. |
3. 플레이 스타일
| |
| 153km/h 포심 패스트볼 |
| |
| 너클커브 |
영입 전, 제구력을 나타내는 지표에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기에 KBO 리그 ABS존에 얼마나 빠르게 적응할 지, 그리고 검증되지 않은 체력[4]이 관건이 될 것이라는 평이 있었다. 또한 좌타자에게는 강한 너클커브가 우타자를 상대로는 전혀 위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우타자를 상대할 확실한 구종을 추가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었다.
임선남 NC 단장은 라일리 톰슨에 대해 비록 빅리그 경험은 없고 제구도 불안한 투수지만, 드류 루친스키와 비슷한 느낌이 있어서 영입했다고 밝혔다. 제구력은 공인구의 변화로 개선되는 경우도 있고[5], 하이 패스트볼을 잘 구사하기 때문에 ABS와 조합하면 충분히 위력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는 투수라고 평가했다.# KBO 리그 입성 당시 NC 스카우트들은 라일리가 미국 공인구보다 다소 크기가 작은 KBO 리그 공인구를 사용하면 존이 밑으로 형성될 것이라 예측했는데, 이것이 적중한 것이다.[6]
시즌 극초반에는 예상대로 압도적인 구속과 구위를 뽐냈으나 제구가 흩날리면서 혼자 자멸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러나 공인구에 적응을 마친 시점부터는 이닝 소화력이 확실히 개선되면서 왼손 투수 로건 앨런보다 더 확실한 NC의 에이스 투수로 거듭나고 있다.[7] 구속이 주무기인 커브와 종슬라이더가 낮은 스트라이크존에 자주 걸쳐 들어가는가 하면, 포크볼의 비율도 늘려 던지기 시작하는 등 2025 시즌부터 하향 조정을 적용한 ABS의 덕을 크게 보고 있다. 특히 WHIP[8]와 피안타율에서 리그 상위급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탈삼진 개수가 많은 편인데 현재 팀 역대 9이닝당 탈삼진 개수 1위를 기록중이다.[9]
다만 투구수 80구 전후로 직구 구속이 140km/h대 후반까지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구속에 비해 피홈런이 다소 많은 편이다.
게다가 후반기 들어서는 로건과 함께 이닝 소화력이 떨어진 모습을 자주 보여주며 안 그래도 매우 빈약한 팀의 선발진을 더 처참하게 만들고 있으며 불펜진 혹사 또한 지속시키고 있다. 전술했던 체력 검증 문제가 확연히 부정적인 쪽으로 증명되는 중이다. 그래도 어지간한 팀의 토종 선발만도 못 한 수준으로 처참하게 무너진 로건과는 달리 심하게 망가지지는 않고 어느정도 1선발로서의 모습을 계속 보여주면서 기어이 다승 공동 1위를 차지하는 데에 성공했다.
또한 피홈런이 꽤 많은 포크볼러 특성 상 홈런 친화구장인 엔팍에서는 통산 ERA가 4.71이지만, 원정에서는 2.45로 홈보다는 원정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10][11]
4. 연도별 성적
4.1. MiLB
| 역대 성적 | |||||||||||||||
| <rowcolor=#fff> 연도 | 레벨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 2018 | A (Short) | 유진 에메랄즈 | 9 | 25.1 | 0 | 2 | 2.84 | 24 | 1 | 12 | 25 | 10 | 8 | 1.30 | |
| 2019 | A (Full) | 사우스밴드 컵스 | 21 | 94 | 8 | 6 | 3.06 | 85 | 9 | 33 | 87 | 45 | 32 | 1.23 | |
| 2020 | 미출장 | ||||||||||||||
| 2021 | |||||||||||||||
| 2022 | AA | 테네시 스모키즈 | 19 | 57 | 2 | 5 | 4.42 | 47 | 8 | 34 | 64 | 30 | 28 | 1.39 | |
| 2023 | AAA | 아이오와 컵스 | 25 | 81.1 | 3 | 8 | 5.64 | 77 | 15 | 57 | 78 | 51 | 51 | 1.61 | |
| 2024 | 34 | 107.1 | 6 | 4 | 5.95 | 124 | 15 | 48 | 99 | 77 | 71 | 1.60 | |||
| MiLB 통산 (5시즌) | 108 | 365 | 19 | 25 | 4.68 | 357 | 48 | 184 | 353 | 213 | 190 | 1.45 | |||
5. 여담
5.1. 야구 관련
- NC 다이노스에서 2013년 창단 첫 외국인 선수로 영입했던 찰리 쉬렉 이후 12년 만에 메이저 리그 경험 없이 마이너 리그 경험만 있는 외국인 투수이다.
- 2025년 4월 10일 수원 kt전에서 탈삼진 14개를 기록하며 KBO 리그 역대 외국인 투수 한 경기 최다 탈삼진 타이 기록이자 NC 투수 한 경기 최다 탈삼진 기록을 동시에 달성하며 구단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이후 한 달이 조금 지난 2025년 5월 17일 한화 이글스 코디 폰세가 한 경기 18K를 기록하며 리그 최다 기록은 가져가지 못했다. 이후 2025년 6월 11일 고척 키움전에서 15탈삼진을 잡아내며 본인이 세운 구단 기록을 재차 경신했다.
NC 투수 한 경기 최다 탈삼진 TOP 5(2025년 6월 11일 경기종료 기준) <rowcolor=#00275a> 순위 선수 탈삼진 달성 일자 영상 1 라일리 톰슨 <rowcolor=#000,#fff> 15K 2025년 6월 11일 # 2 14K 2025년 4월 10일 # 3 에릭 해커 13K 2013년 9월 27일 # 구창모 2019년 7월 11일 # 웨스 파슨스 2021년 9월 19일 # 드류 루친스키 2022년 5월 1일 #
- KBO 첫 시즌부터 각종 팀내 기록을 갈아치우며 리그에 연착륙하면서 NC 다이노스에서 네 시즌을 보냈던 장수 외국인 투수 드류 루친스키를 소환하는 기사가 자주 뜨고 있다.[12] 종합하면 NC의 스카우팅이 적중했다는 평이다.[13] 강속구를 뿌리면서 탈삼진 능력은 유지하되 9이닝 당 볼넷은 현격히 줄어들었는데, 위력적인 구위로 상대를 압도하면서 점점 안정적인 피칭 내용을 이어가고 있다.
- 투구하기 전 포크볼을 낀 다음 사인을 보고, 글러브 안에서 구종을 고쳐잡는데 이 역시 루친스키를 떠올리게 하는 루틴이다. 이상훈은 "라일리의 포크볼 구사율이 높지 않지만 가장 적게 던지기 때문에 손이 기억하게끔 투구 전에 이런 그립을 잡는 것 같다"고 언급하였다.[14]
- 등판 전 심판들에게 90도로 인사하는 '한국식 인사'를 하기도 한다. 라일리는 심판들에게 인사하는 이유에 대해 "언제 시작을 했는지 잘 기억이 안 난다. 매 경기 인사하려 한다. 눈이 마주치면 존중의 의미로 인사한다. 문화적으로 존중을 하려다 보니 자연스럽게 나오는 행동"이라며 "미국에서도 인사하거나 안부를 묻는 문화가 있다. 한국에서는 어떻게 하나 관찰했고, 한국식으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영입 당시 NC 팬들은 주무기 너클커브를 갖춘 우완 파이어볼러이며, 제구력이 물음표였던 라일리를 두고 팀 동료 신영우와 비교하곤 했다.
- KBO에 온 지 반 시즌밖에 지나지 않았음에도 최정 상대로만 2개의 KBO 최초 기록[15]을 허용했다. 재미있는 점은 기록을 허용한 두 경기에서 각각 6이닝 2실점, 6.1이닝 2실점으로 호투했다는 것.
5.2. 야구 외
- 기혼자이며, 아들이 있다.
- 어렸을 때 부산에서 온 교환학생과 함께 생활한 적이 있고, 한국의 문화와 나라에 큰 매력을 느끼게 되었다고 한다.#
- KBO 리그 첫 시즌부터 한국 생활에 만족을 표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한국 음식은 김치로, 매일 먹고 있으며 매운맛에 자신있어서 정말 매운 김치가 있다면 도전해보고 싶다는 소감을 밝혔다.# 엔튜브에서 김치 미식회 콘텐츠를 촬영하기도 했다.
- 한국어를 상당히 빨리 배운 듯하다. 엔튜브에 올라온 김치미식회 영상에서 한국어로 적힌 김치 이름들을 꽤나 능숙하게 읽고 발음도 외국인치고 정확한 모습.
- 2025 시즌 키움 히어로즈의 외국인 투수인 케니 로젠버그와 생일이 7월 9일로 같다.
- KBO 리그에서 활약했던 외국인 선수들 중 요나단 페라자, 제러드 영, 토마스 파노니, 댄 스트레일리와 친분이 있다. 이 중 시카고 컵스 마이너 팀에서 함께 뛰었던 요나단 페라자는 라일리가 NC 계약 소식을 알린 SNS 게시물에 댓글을 달기도 했다. 루벤 카디네스와는 2015 MLB 신인드래프트 37라운드에서 나란히 지명받은 뒤 지명을 거부하고 대학에 진학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561> | KBO 리그 외국인 선수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
| | | | | | |
|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315288> | NC 다이노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3 | 2014 | 2015 | ||
| 아담(2) 찰리 해커 | 찰리 해커 테임즈 웨버 | 찰리(2) 스튜어트(3) 해커 테임즈 | |||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 스튜어트 해커 테임즈 | 해커 스크럭스 맨쉽 | 베렛 스크럭스 왕웨이중 | 루친스키 버틀러(2) 프리드릭(3) 베탄코트(2) 스몰린스키(3) | 루친스키 라이트 알테어 | |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 루친스키 알테어 파슨스 | 루친스키 파슨스(2) 더모디(3) 마티니 | 페디 와이드너(2) 태너(3) 마틴 | 하트 카스타노(2) 요키시(3) 데이비슨 | 데이비슨 라일리 로건 | |
| 2026 | |||||
|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 ||||
| 라일리 톰슨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보유 기록 | |||||||||||||||||||||||||||||||||||||||||||||||||||||||||||||||||||||||||||||||||||||||||||||
| 구단 단일 시즌 최다 탈삼진 | 216K[16] | |||||||||||||||||||||||||||||||||||||||||||||||||||||||||||||||||||||||||||||||||||||||||||||
| 구단 한 경기 최다 탈삼진 | 15K[17][18] | |||||||||||||||||||||||||||||||||||||||||||||||||||||||||||||||||||||||||||||||||||||||||||||
[1] 팀 동료 김태현이 라일리를 부를 때 '삼백삼십'이라 부른다고 한다. #[2] 계약금 $130,000 / 연봉 $520,000 / 옵션 $250,000[3] 특이하게 외국인 선수 등록명은 성을 사용하는게 일반적이고 그게 아니라면 퍼스트 네임을 쓰는 것이 보통이나, 미들 네임을 등록명으로 사용한다.[4] 커리어 동안 100이닝 이상 소화한 적이 없었는데 2024 시즌 처음으로 그 이상을 던졌다.[5] 실제로 KBO 리그에서 쓰이는 공인구는 메이저리그의 공인구보다 실밥의 솔기가 더 도드라지고 점성도 좋기 때문에, 변화구가 더 잘 들어간다는 특징이 있다. 그렇기에 외국인 투수가 KBO 리그에서 구위, 구속, 제구력 모두에서 향상되는 경우가 많다.[6] 이러한 분석에 대해 라일리는 "더블A, 트리플A, 메이저리그 등 어느 무대에서 뛰든 공인구 크기는 다 달랐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선발 투수 기회를 꾸준하게 얻으면서 자신감을 갖게 됐다. 그 부분이 좋은 결과로 이어졌다"며 공인구보다 자신감이 연착륙의 원동력이라고 강조했다.#[7] NC 측에서도 원래는 로건을 1선발, 라일리를 2선발로 구상하고 있었으나, 폼이 늦게 올라온 로건에 비해 라일리가 더 안정적으로 에이스 투수로 정착하면서 후반기에는 라일리가 1선발로 로테이션이 조정되었다.[8] 이닝당 출루 허용률[9] 역대급 에이스였던 페디와 하트의 페이스보다 탈삼진만큼은 좋은편이다.[10] 엔팍은 문학과 라팍에 비해 덜 부각되어서 그렇지 외야가 각진 편이고, 이로 인해 좌중간과 우중간이 다소 짧은 편이라 홈런이 나오기 쉬운 구장 중 하나이다.[11] 울산구장 경기에서는 8회까지 노히트를 달성했을 정도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12] "투수코치는 갸우뚱했다" 전율의 15K 외인, 알고 보니 스카우트의 승리…마이너 4점대 투수에게 '루친스키'를 봤다니 [MD잠실] 보장 6억 외인이 15K 구단 신기록, 'ML 0경기+트리플A ERA 5점대' 원석이 보석 됐다…NC 또 외인 대박 터졌다[13] 이호준 NC 감독은 "미국에 있을 때는 볼넷이 많았다. 처음에 데리고 올 때 (박찬훈) 국제업무팀장이 그 이야기를 하더라. 드류 루친스키와 같은 유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미국에서는 볼이 날리지만 볼(KBO리그 공인구)이 작아지면서 (탄착군이) 밑으로 형성될 거라고 정확하게 이야기했다"고 털어놓았다. 임선남 NC 단장은 "과거에 루친스키가 그랬다. 루친스키도 한국에 오기 전에 제구가 높았고 불안해 보였는데, 한국에 와서는 굉장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않았나. 그런데 미국에 다시 돌아가서는 똑같은 모습이었다. 사실 일반화를 할 수는 없지만 라일리 역시도 루친스키처럼 공인구의 변화로 좋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선수라고 생각한다" 라고 힘주어 말했다.[14] 영상의 1:17:00 이후 해당 내용.[15] KBO 최초 500홈런, KBO 우타자 최초 2300안타[16] 종전 기록은 에릭 페디가 2023 시즌에 기록한 209K.[17] 2025년 6월 11일 고척 키움전 기록.[18] 종전 기록은 본인이 2025년 4월 10일 수원 KT전에 기록한 14K. 본인을 제외한 종전 기록은 해커가 2013년 9월 27일 마산 한화전, 구창모가 2019년 7월 11일 사직 롯데전, 파슨스가 2021년 9월 19일 창원 KT전, 루친스키가 2022년 5월 1일 창원 한화전에 기록한 13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