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 | NC 다이노스 2025 시즌 투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군 | ||
3 라일리 · 12 로건 · 18 신민혁 · 21 김시훈 · 26 최성영 · 32 김재열 · 41 류진욱 · 45 이용찬 · 46 손주환 · 54 김진호 · 55 한재승 · 57 전사민 · 61 배재환 | |||
2군 | |||
11 김태경 · 13 임정호 · 15 김태현 · 17 김영규 · 19 김휘건 · 20 목지훈 · 28 임상현 · 43 신영우 · 47 전루건 · 48 최우석 · 50 소이현 · 51 이재학 · 56 원종해 · 58 서의태 · 63 김민규 · 67 박주현 · 95 김태훈 · 96 홍재문 · 97 이세민 · 100 강태경 · 102 김녹원 · 104 김민균 · 106 김준원 · 107 김진우 · 110 노재원 · 111 박동수 · 114 박지한 · 115 서동욱 · 121 이준혁 · 123 임지민 · 124 임형원 · 131 최윤혁 · 132 홍유원 · 133 정주영 | |||
최종 편집: 2025년 4월 20일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NC 다이노스 등번호 63번 | ||||
김태경 (2024.7.16.~2024.8.2.) | → | 김민규 (2024.8.3.~) | → | 현역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FFF> NC 다이노스 No.63 | |
김민규 金珉揆 | Kim Mingyu | |
출생 | 2001년 9월 7일 ([age(2001-09-07)]세) |
광주광역시 | |
국적 |
|
학력 | 서석초 - 진흥중 - 광주동성고 - 경성대 |
신체 | 183cm, 84kg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우사우타 |
프로 입단 | 2024년 육성선수 (NC) |
소속팀 | NC 다이노스 (2024~) |
연봉 | 2024 / 3,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
1. 개요
NC 다이노스 소속 우완 투수.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광주동성고 시절 사이드암으로 2학년 때부터 모습을 보였고, 3학년 시절에는 38⅔이닝 3승 2패 37삼진 ERA 3.26으로 활약하였으나 지명을 받지 못해 경성대로 진학하였다. |
대학 기록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투구수 | 피안타 | 4사구 | 탈삼진 | 자책점 |
2020 | 경성대 | 36 | 2 | 0 | 0 | 0 | 3.00 | 625 | 45 | 15 | 39 | 12 |
2021 | 10⅓ | 0 | 0 | 0 | 0 | 5.23 | 191 | 16 | 8 | 9 | 6 | |
2022 | 44⅓ | 2 | 2 | 0 | 0 | 2.63 | 738 | 47 | 22 | 36 | 13 | |
2023 | 46⅔ | 1 | 4 | 0 | 0 | 4.05 | 727 | 40 | 18 | 51 | 21 |
경성대 입학 후에는 1학년 시절부터 이름이 많이 알려질 정도로 좋은 활약을 하였으나, 2학년 시절 갑작스럽게 실력이 하락하며 부진하였다. 3학년 시절 다시 페이스를 바로 잡고 활약했지만 4학년 때는 다시 밋밋해졌다. 그 여파 때문인지 2024 신인드래프트에서 지명되지 않았고, 이후 NC 다이노스에 육성선수로 입단하였다.
2.2. NC 다이노스
|
2.2.1. 2024 시즌
프로 데뷔전은 2024년 3월 27일 퓨처스리그 상동 롯데전으로, 결과는 1이닝 1피안타 1탈삼진 무실점이며 프로무대 첫 등판에서 데뷔 첫 홀드를 챙겼다.이후 꾸준히 등판해 1이닝 내외를 소화하고 있으며 2024년 4월 13일 퓨처스 두산전에선 선발로 등판하기도 했다. 결과는 2⅔이닝 3피안타 3볼넷 1사구 3K 1실점.
7월 31일 정식선수로 전환되었다. 강인권 감독이 최근 눈여겨 보고 있는 선수 중 한 명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조만간 1군 무대에도 등판할 것으로 보인다.
8월 3일 1군에 콜업되었다. 등번호는 노시훈이 방출된 뒤 결번이었던 63번을 사용한다.[1]
8월 7일 사직 롯데전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6회말 6:14로 크게 뒤진 상황에서 추격조로 등판해 1피안타 무실점으로 호투했다.
이후 8월 10일 잠실 LG전에선 ⅔이닝 1피안타 무실점, 8월 15일 홈 SSG전에서도 1이닝 1피안타 무실점으로 8월 세 경기에서 좋은 투구를 했다.
8월 21일 이용준의 콜업으로 말소되었다가 확대엔트리가 시행중인 9월 1일 재차 콜업되었다.
9월 3일 홈 키움전에서 1이닝 2피안타 2볼넷을 허용하며 3자책으로 무너졌고, 9월 6일 홈 KT전에선 1이닝 1K 퍼펙트로 호투했다. 9월 14일 홈 LG전에선 ⅓이닝 1볼넷 허용으로 승계주자를 남기고 마운드에서 내려왔는데, 후속 투수가 실점하지 않으면서 자책점은 없었다.
9월 19일 말소되었다. 이후 9월 25일 퓨처스 상무전에 등판해 2이닝 2피안타 2볼넷 1K 1실점했다.
2.2.2. 2025 시즌
3월 23일 기아전에서 시즌 첫 등판을 가졌다. 1이닝을 안타를 허용하긴 했지만 삼진 1개와 함께 무실점으로 막아냈으며, 시즌 1호 홀드이자 데뷔 첫 홀드를 기록했다.3월 27일, 목지훈이 4회까지 4실점한 가운데, 5회말에 등판해 2루타를 맞았고, 류지혁의 희생번트 이후, 보크를 범해 실점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후 이닝은 깔끔하게 정리해 1이닝 1피안타 1실점만을 기록했다.
그러나, 3월 28일 창원 LG전에 7회초 등판해 안타를 맞고 진루타로 주자가 2루로 나간 뒤, 문보경을 고의4구로 내보낸 뒤 재차 안타를 맞아 역전을 허용했다. 이후 한재승이 등판했고, 김현수를 삼진으로 돌려세웠지만, 오지환에게 안타를 맞아 자기 주자의 실점을 보탠 뒤, 2루 주자의 홈 보살을 시켜 겨우 이닝을 마무리했다. 0.1이닝 2피안타 2자책점.
4월 5일, 5회말 1사 1루 상황에 등판했고 카디네스를 볼넷으로 출루시키며 강판되고 말았다. 이후 실점이 되긴 했지만, 라일리의 주자가 홈에 도착했고, 남은 아웃카운트는 최성영이 정리해 평균자책점은 변하지 않았다.
4월 9일, 전사민이 2사 이후 볼넷과 홈런으로 4:1까지 경기가 벌어진 상황에 등판해 남은 아웃카운트를 모조리 정리했다.
결국 등판하기 어려운 모양이 되며 4월 17일부로 배재환과 교대로 2군행을 통보받았다.
3. 플레이 스타일
|
투심 패스트볼[2] |
|
체인지업[3] |
포심과 투심 패스트볼, 슬라이더와 체인지업을 구사하는 사이드암 투수이다.
4. 연도별 성적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ERA- | sWAR |
2024 | NC | 7 | 0 | 0 | 0 | 0 | 6⅓ | 5.68 | 8 | 0 | 3 | 0 | 2 | 1.74 | 117.60 | -0.07 |
KBO 통산 (1시즌) | 7 | 0 | 0 | 0 | 0 | 6⅓ | 5.68 | 8 | 0 | 3 | 0 | 2 | 1.74 | 117.60 | -0.07 |
5. 여담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김민규의 이전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C 다이노스 등번호 113번 | ||||
노재원 (2023) | → | 김민규 (2024~2024.8.2.) | → | 김태경 (2024.8.3.~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