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9:08:52

대한민국의 보수정당/3당 합당 ~ 한나라당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대한민국의 보수정당]]

1. 개요2. 역사3. 정당 목록4. 소속 정치인
4.1. 대통령4.2. 국회의원
4.2.1. 13대 국회4.2.2. 14대 국회
4.3. 당대표4.4. 민선 광역자치단체장
4.4.1. 부산광역시장4.4.2. 대구광역시장4.4.3. 인천광역시장4.4.4. 대전광역시장4.4.5. 울산광역시장4.4.6. 경기도지사4.4.7. 강원도지사4.4.8. 충청북도지사4.4.9. 충청남도지사4.4.10. 경상북도지사4.4.11. 경상남도지사
5. 역대 선거 결과
5.1. 대통령 선거5.2. 국회의원 선거5.3. 지방선거
5.3.1. 1991년5.3.2. 1회

1. 개요

1990년 1월 22일 3당 합당 발표 후 1997년 11월 21일 한나라당 창당까지의 시기이다. 이 시기에 민주당계 정당과 대립해온 주류 정당은 민자당계 정당으로 불리는 민주자유당과 당명이 변경된 신한국당이다.

2. 역사

주류 보수정당 위주로 이야기하면 제6공화국이 출범하고 노태우 정권 시절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창당되고 신한국당으로 당명을 바꿨던 시기이다. 노태우 정권 중후반부에서 문민정부 시기까지가 포함된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은 무려 200석에 달하는 거대 여당이라는 위상이 무색하게 149석을 얻는데 그치며 의석수가 대폭 줄었으나, 여전히 1당을 유지한 것은 물론 무소속 및 다른 당 의원들을 영입하면서 인위적 과반을 달성했다. 그 후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영삼 후보가 당선되면서 정권 연장에 성공했고, 역사바로세우기금융실명제 등을 통해 높은 지지율로 잠시 전성기를 누렸다.

하지만 성수대교 붕괴 사고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등 대형 사건들이 연달아 터지자 휘청거렸으며, 그 여파로 첫 지방자치제 실시와 함께 치러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패배하였다. 이에 문민정부전두환과 노태우를 구속시키고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계를 공천 탈락시키는 쇄신 공천을 단행한 것은 물론, 신한국당으로 명칭을 변경해 선거에 임했으나[1] 역시 과반 의석 확보에 실패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한국당은 지난 총선처럼 무소속, 타 정당 소속 의원 영입을 통해 인위적으로 과반을 넘기지만, 노동법 날치기 사태가 터지면서 양대 노조의 총파업과 국민적 반발에 부딪혔다. 끝내 1년 뒤 한보 사태와 함께 외환 위기가 터지면서 국정에 큰 타격을 입었고, 이는 제15대 대통령 선거의 패배로 이어졌다. 이런 가운데 신한국당은 문민정부 하에서 감사원장, 국무총리를 지냈던 이회창이 당권을 장악해 김영삼을 출당시키는 등 YS의 색채를 서서히 지우기 시작했고, 15대 대선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낮은 지지율로 고전하고 있던 통합민주당과 합당해 한나라당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한편 이 시기에는 통일국민당자유민주연합을 비롯해 제3지대 보수 진영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때라고 할 수 있다. 정주영이 이끄는 통일국민당은 대기업의 막강한 영향력과 더불어, 통일 정책이나 반값 아파트 같은 진보적인 공약과 더불어 민자당 공천 탈락자들을 대거 영입시켜 세력을 키운 덕분에 3김에 회의적인 일부 보수층과 중도, 부동층 유권자들의 지지로 14대 총선에서 원내교섭단체의 자리에 올랐고, 같은 해 정주영이 '경제 대통령'을 내걸고 대선에 출마했으나 초원복집 사건의 역풍을 맞고 패배, 이후 현대그룹의 세무조사와 함께 도마 위에 오르면서 1995년 해산되었다.

자민련의 경우에는 민주계와의 반목으로 탈당한 다수의 공화계와 민정계 일부, 통일국민당의 후신인 신민당이 참여한 정당인 만큼 충청 지역주의를 핵심으로 삼았다.[2] 김종필은 '핫바지론', '원조보수론'을 통해 강원도와 수도권 보수층의 지지를 얻어냈고, 1회 지선에서 충청도와 강원도, 그리고 대구 일부에 의석을 확보하면서 마찬가지로 녹색 돌풍이 일었다. 이러한 흐름은 15대 총선에서도 이어지며 무려 50석을 얻어냈고, 새정치국민회의 다음으로 제3당에 올랐다. 이후 문민정부의 지지율 하락 속에서 국민회의와 함께 DJP연합을 결성, 훗날 국민의 정부에서 연립여당의 지위를 얻기에 이른다.

3. 정당 목록

3.1.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로고.svg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이 보수대연합을 하면서 3당 합당으로 만들어진 정당이다. 서로 이질적인 성향의 정파와 계파가 연합해서 만들어진 정당이라는 점에서 최초의 우파 빅텐트 정당으로 본다. 한나라당계 정당의 뿌리이자 민자당계 정당의 시초다. 노태우 정부김영삼 정부여당이었다. 해당 항목 참조.

3.2.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당기.svg
김영삼상도동계가 민자당을 장악한 이후 민주자유당에서 당명을 개정한 중도보수 성향의 정당. 해당 항목 참조.

3.3.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로고.svg
1995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했던 정당으로, 1995년 민주자유당에서 민주계가 당권을 차지하자 김종필 당시 의원을 중심으로 공화계와 일부 민정계가 탈당하여 창당한 정당이자 3당 합당 이후 처음으로 나온 3당. 15대 총선에서 충청권을 석권하고 경기, 대구, 강원 지역에서 선전해 총합 50석을 차지했고[3],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DJP연합을 통해 정권교체, 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과 함께 연립 정부를 구성한 바 있다.[4] 하지만 16대 총선에서 교섭단체 조건[5]을 충족하지 못한 뒤 하락세를 타다가 17대 총선에서 탄핵 역풍을 맞고 겨우 4석에 그치게 된다. 결국 대부분의 당원은 2005년 심대평 충남지사가 창당한 중부권 신당 국민중심당으로, 마지막까지 당을 지키던 김학원 대표와 당원들은 2006년 자진 해산 뒤 한나라당으로 일괄 합류했다. 충청권 보수정당의 강렬한 전성기를 상징하는 동시에 지역정당의 한계 역시 보였고, 이러한 특성 탓에 2000년대 이후엔 지역정당의 대명사로 불리고 있다.

3.4.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로고.svg

1992년, 당시 현대그룹의 총수인 정주영이 창당한 중도보수 성향의 정당. 약칭은 국민당이었다. 사실상 최초의 제3지대 중도보수 정당으로 여겨진다. 해당 항목 참조.

창당 한달만인 1992년 3월 제14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지역구 24명, 전국구 7명 등 31명의 당선자를 내면서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며 당시 정치권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겨줬다. 또 현대그룹의 대대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당원 천만 명을 달성하였으며 이러한 장점을 바탕으로 제14대 대통령 선거에 정주영은 통일국민당 후보로 출마하였다. 그러나 투표 결과 400만도 안되는 16.3%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김영삼, 김대중에 이어 3위에 그쳤다.

정주영은 1993년 2월 국회의원직을 사퇴하고 자신이 제공하였던 통일국민당 당사마저 폐쇄한 후 광화문 현대빌딩 앞에 헌정사상 최초로 천막당사를 차렸다. 이후 소속 국회의원들이 잇따라 탈당하여 민주자유당에 입당함으로서 통일국민당은 군소정당으로 전락하였다. 잔류파는 1994년 박찬종의 신정치개혁당과 합당하여 신민당을 창당하였다가 1995년 6월 1일에 김종필자유민주연합에 흡수되어 소멸되었다.

정주영은 1993년 2월 국회의원직을 사퇴하고 자신이 제공하였던 통일국민당 당사마저 폐쇄한 후 광화문 현대빌딩 앞에 헌정사상 최초로 천막당사를 차렸다. 이후 소속 국회의원들이 잇따라 탈당하여 민주자유당에 입당함으로서 통일국민당은 군소정당으로 전락하였다. 잔류파는 1994년 박찬종의 신정치개혁당과 합당하여 신민당을 창당하였다가 1995년 6월 1일에 김종필자유민주연합에 흡수되어 소멸되었다.

3.5. 신정치개혁당

파일:신정치개혁당 로고.svg
1992년 2월 25일 꼬마 민주당에서 분당한 박찬종이 창당한 사실상 최초의 1인 중심 정당. 약칭은 신정당. 해당 항목 참조.

3.6. 새한국당

파일:새한국당 로고.svg
1992년 11월 18일 민정계의 유력한 대통령 후보였던 이종찬이 자신을 지지하는 김현욱, 박철언, 이영일, 김용환, 장경우 등과 함께 민주자유당을 탈당하여 창당한 당이다. 충격적이게도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의 당이라는 민주당과 합당했는데 일부는 새정치국민회의까지 따라가고 일부는 한나라당 창당에 동참하였다. 해당 항목 참조.

3.7. 신민당(1994년)

파일:신민당(1994년) 로고.svg
정당사에 유례없이 족적을 안 남긴 정당 중 하나.. 자민련에 흡수되며 사라졌다. 해당 항목 참조.

3.8. 국민신당(1997년)

파일:국민신당 로고.svg
제15대 대통령 선거 당시 신한국당 대통령 경선 후보에서 2위로 탈락한 이인제 당시 경기도지사가 창당한 대선용 신당. 이만섭 전 국회의장이 한 때 몸담았던 곳이기도 하다. 대선에 이인제 지사가 출마하기 위해 만든 1인 중심의 정당이나, 원유철의원이 한 때 몸담기도 하였다. 대선에서 3위로 떨어지고, 뒤이은 지방선거에서의 대참패로 당의 구성원들이 민주당, 자민련, 한나라당으로 흩어지며 사라진 1인중심의 중도 정당이다. 피닉제 전설의 시작이 된 정당이기도 하다. 해당 항목 참조.

3.9. 무정파전국연합

파일:무정파전국연합 로고.svg

3.10. 통합민주당(1995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통합민주당(1995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통합민주당(1995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1995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 새한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새한당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새한당#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새한당#|]][[새한당#|]]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소속 정치인

4.1. 대통령

대한민국 대통령
파일:대한민국 대통령 문장.svg
이름 임기 선출 방법 정당
취임일 퇴임일
7 파일:Kim_Young-sam_presidential_portrait.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김영삼
(1927 ~ 2015)
14 1993.02.25 1998.02.25 1992년 대선
직선 41.96%
민주자유당 (1993 ~ 1995)
신한국당 (1955 ~ 1997)
무소속 (1997 ~ 1998)

4.2. 국회의원

4.2.1. 13대 국회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3990>
파일:민주자유당 심볼.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3990><tablebgcolor=#00399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강보성 강삼재 강성모 강신옥 강우혁
강재섭 고세진 구자춘 권달수 권오석
권해옥 김근수 김기배 김길홍 김남
김덕룡 김동규 김동인 김두윤 김문기
김문원 김병용 김봉조 김성룡 김영구
김영삼 김용채 김용태 김용환 김우석
김운환 김윤환 김인기 김인영 김일동
김일윤 김장숙 김재광 김재순 김정수
김제태 김종곤 김종기 김종필 김종호
김중권 김중위 김진영 김진재 김태호
김한규 김현욱 김홍만 나웅배 나창주
남재희 노인환 노흥준 도영심 류돈우
류승규 문정수 문준식 문희갑 박경수
박관용 박승재 박용만 박우병 박재홍
박정수 박종률 박준규 박준병 박철언
박충순 박태권 박태준 박희태 백남치
백찬기 서상목 [ruby(서정화, ruby=서울 용산)] [ruby(서정화, ruby=인천 중·동)] 서청원
석준규 송두호 신경식 신상식 신상우
신영국 신영순 신오철 신재기 신진수
신철균 신하철 심명보 심완구 심정구
안병규 안영기 안찬희 양경자 오경의
오용운 오유방 옥만호 유기수 유기준
유기천 유수호 유승번 유학성 유한열
윤길중 윤성한 윤재기 이강희 이광노
이긍규 이기빈 이대엽 이도선 이동진
이민섭 이병용 이병희 이상득 이상하
이상회 이성호 이승윤 이영문 이웅희
이원조 이윤자 이응선 이인구 이인제
이자헌 이재황 이정무 이종근 이종찬
이진우 이춘구 이치호 이태섭 이택석
이한동 이해구 이행구 임무웅 임인규
장경우 장영철 전용원 정동성 정동윤
정동호 정석모 정순덕 정시봉 정일영
정재문 정정훈 정종택 정해남 조경목
조남욱 조만후 조부영 조영장 지연태
채문식 최각규 최기선 최무룡 최상진
최운지 최재욱 최형우 한승수 함종한
허재홍 홍세기 홍희표 황낙주 황대봉
황명수 황병우 황병태 황윤기 황철수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22b14c><tablebgcolor=#22b14c>
파일:통일국민당 심볼.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22b14c><tablebgcolor=#22b14c>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김광일 김길곤 박병선 박진구 이돈만
이상옥 이찬구 정몽준 정상구 조윤형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50099><tablebgcolor=#050099>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50099><tablebgcolor=#050099>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김득수 김봉욱 박찬종 송현섭 정웅 }}}
민주자유당 · 민주당 · 통일국민당 · 신정치개혁당 · 무소속
}}}}}}

4.2.2. 14대 국회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3990><tablebgcolor=#003990>
파일:신한국당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3990><tablebgcolor=#00399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서정화 이세기 노승우 김영구 이순재
백남치 박명환 박주천 박범진 김기배
나웅배 서청원 김덕룡 김중위 김형오
정재문 김정수 강경식 최형우 허재홍
유흥수 신상우 김운환 박종웅 김진재
송두호 강재섭 김해석 김용태 윤영탁
김한규 서정화 심정구 조진형 이승윤
조영장 남재두 송천영 이재환 김인영
남평우 이호정 오세응 손학규 김영광
정주일 이성호 이자헌 정창현 박명근
이택석 정영훈 이한동 안찬희 이영문
이웅희 이해구 김두섭 최돈웅 김효영
이민섭 박경수 김기수 박우병 정재철
이용삼 이춘구 신경식 김종호 민태구
송광호 성무용 이상재 황명수 박희부
오장섭 송영진 양창식 황인성 김길홍
박세직 금진호 박헌기 김윤환 류돈우
김찬우 이상득 황윤기 이영창 장영철
반형식 김종하 황낙주 차화준 차수명
김호일 강삼재 하순봉 정순덕 김기도
김영일 정필근 신재기 신상식 나오연
김채겸 김봉조 박희태 노인환 이강두
권해옥 현경대 양정규 변정일 권익현
이만섭 안무혁 강선영 정시채 강용식
김영진 서상목 윤태균 곽영달 이명박
이환의 강인섭 김동근 이현수 노인도
박근호 유성환 이재명 정옥순 김찬두
김사성 이연석 이수담 김정숙 김현배
박승웅 진경탁 허세욱 최영한 이건영
정장현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9D68><tablebgcolor=#009D68>
파일:민주당(1991년) 흰색 심볼.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9D68><tablebgcolor=#009D6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수림 이철 유인태 임춘원 박계동
김종완 김원웅 원혜영 제정구 이규택
최욱철 정기호 김원기 홍영기 황의성
홍기훈 박석무 이기택 강창성 김옥천
이동근 국종남 강희찬 박일 박은태
장기욱 김말룡 양문희 이장희 최병욱
장정곤 김유진 서호석 장광근 박명서
한원석 김용덕 정양숙 고홍길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B5B40><tablebgcolor=#1B5B40>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B5B40><tablebgcolor=#1B5B4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부자 강창희 김범명 김복동 김용환
김정남 김종필 김진영 류종수 문창모
박구일 박규식 박제상 박준병 배명국
양순직 유수호 이긍규 이상두 이용준
이종근 이학원 정상천 정태영 조부영
조순환 조일현 최재욱 한영수 함석재
현경자 }}}
}}}}}}

4.3. 당대표

파일:민주자유당 심볼.svg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총재 및 대표 파일:민주자유당 심볼2.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총재
<rowcolor=#003990,#0070bb> 제1·2대
노태우
제3·4대
김영삼
대표최고위원 및 대표위원
<rowcolor=#003990,#0070bb> 초대
김영삼
제2대
김종필
제3대
이춘구
제4대
김윤환
}}}}}}}}}}}}}}}

파일:신한국당 로고.svg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총재 및 대표위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총재
<rowcolor=#003990> 초대
김영삼
제2대
이회창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표위원
<rowcolor=#003990> 초대
김윤환
제2대
이홍구
제3대
이회창
<rowcolor=#003990> 권한대행
이만섭
제4대
이회창
제5대
이한동
}}}}}}}}}}}}}}}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아이콘.svg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총재 및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총재
<rowcolor=#289020> 제1·2대
김종필
권한대행
김복동
제3대
박태준
권한대행·제4대
이한동
<rowcolor=#289020> 제5대
김종필
권한대행
이인제
비대위
조부영
대표최고위원
<rowcolor=#289020> 제6·7대
김학원
}}}}}}}}}}}}}}}

파일:통일국민당 심볼.svg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총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정주영
대행
박영록
제2대
김동길
}}}}}}}}}}}}}}}

파일:신정치개혁당 로고 흰색.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박찬종
}}}}}}}}}}}}}}}

파일:새한국당 심볼.svg 파일:새한국당 글자.svg 총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이종찬
}}}}}}}}}}}}}}}

파일:신민당(1994년) 심볼.svg파일:신민당(1994년)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박찬종·김동길
권한대행
한영수
제2대
김복동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이만섭
}}}}}}}}}}}}}}}

파일:통합민주당 1995년 로고.svg 총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김원기
장을병
제2대
이기택
제3대
조순
}}}}}}}}}}}}}}}

4.4. 민선 광역자치단체장

4.4.1. 부산광역시장

횟수 대수 이름 임기 정당
1회 30대 문정수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민주자유당 (1995 ~ 1995)
신한국당 (1995 ~ 1997)
한나라당 (1997 ~ 1998)

4.4.2. 대구광역시장

횟수 대수 이름 임기 정당
1회 28대 문희갑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무소속 (1995 ~ 1997)
한나라당 (1997 ~ 1998)

4.4.3. 인천광역시장

횟수 대수 이름 임기 정당
1회 9대 최기선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민주자유당 (1995 ~ 1995)
신한국당 (1995 ~ 1997)
자유민주연합 (1997 ~ 1998)

4.4.4. 대전광역시장

횟수 대수 이름 임기 정당
1회 6대 홍선기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자유민주연합 (1995 ~ 1998)

4.4.5. 울산광역시장

대수 이름 임기 정당
초대 심완구 1997년 7월 15일 ~ 1998년 6월 30일 신한국당 (1997 ~ 1997)
한나라당 (1997 ~ 1998)

4.4.6. 경기도지사

횟수 대수 이름 임기 정당
1회 29대 이인제 1995년 7월 1일 ~ 1997년 9월 18일 민주자유당 (1995 ~ 1995)
신한국당 (1995 ~ 1997)

4.4.7. 강원도지사

횟수 대수 이름 임기 정당
1회 31대 최각규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자유민주연합 (1995 ~ 1996)
신한국당 (1996 ~ 1997)
한나라당 (1997 ~ 1998)

4.4.8. 충청북도지사

횟수 대수 이름 임기 정당
1회 29대 주병덕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자유민주연합 (1995 ~ 1997)
한나라당 (1997 ~ 1998)

4.4.9. 충청남도지사

횟수 대수 이름 임기 정당
1회 32대 심대평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자유민주연합 (1995 ~ 1998)

4.4.10. 경상북도지사

횟수 대수 이름 임기 정당
1회 26대 이의근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민주자유당 (1995 ~ 1995)
신한국당 (1995 ~ 1997)
한나라당 (1997 ~ 1998)

4.4.11. 경상남도지사

횟수 대수 이름 임기 정당
1회 29대 김혁규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 민주자유당 (1995 ~ 1995)
신한국당 (1995 ~ 1997)
한나라당 (1997 ~ 1998)

5. 역대 선거 결과

5.1. 대통령 선거

후보자 연도 대수 정당 득표수 득표율 결과
김영삼 1992년 14대 민주자유당 9,977,332표 41.96% 당선
정주영 통일국민당 3,880,067표 16.31% 3위
박찬종 신정치개혁당 1,516,047표 6.37% 4위

5.2. 국회의원 선거

연도 국회 정당 지역구 전국구 총합 결과
1992년 14대 민주자유당 116 / 237 33 / 62 149 / 299 제1당
통일국민당 24 / 237 7 / 62 31 / 299 제3당
신정치개혁당 1 / 237 0 / 62 1 / 299 제4당
1996년 15대 신한국당 121 / 253 18 / 46 139 / 299 제1당
자유민주연합 41 / 253 9 / 46 50 / 299 제3당
통합민주당(1995년) 9 / 253 6 / 46 15 / 299 제4당

5.3. 지방선거

5.3.1. 1991년

연도 정당 광역의회의원 기초의회의원
1991년 민주자유당 564 / 866 2142 / 4303

5.3.2. 1회

연도 횟수 정당 광역자치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의회의원 기초의회의원
1995년 1회 민주자유당 5 / 15 69 / 230 335 / 970 -
자유민주연합 4 / 15 24 / 230 94 / 875

[1] 물론 신한국당에 남은 민정계 인사들도 많다.[2] 이를 기점으로 자민련은 충청권을 기반으로 하는 보수정당 계보의 원류가 되었으며, 2006년 한나라당에 흡수합당될 때까지 충청권 지역정당의 중심을 지켰다.[3] 3당합당 이후 제3지대 정당이 세운 기록 중 가장 많은 의석이다. 2위는 20대 총선의 국민의당이 기록한 38석이다.[4] 1998년 2월 25일부터 2001년 9월 3일까지 3년 6개월간 지속되었다.[5] 교섭단체가 되려면 20석이 필요한데 자민련이 16대 총선에서 얻은 의석 수는 15대 총선에서 1/3 토막난 17석이었다. 이러한 몰락에는 복합적인 요소가 있는데, 자민련과 국민회의가 각각 주장했던 내각제 개헌과 총선 1인 2표제가 서로의 반대에 무산됨에 따라 연합공천이 진행되지 않았고, 국민의 정부를 반대하던 TK에선 연립여당인 자민련 대신 한나라당 지지로 선회해 수도권과 TK 지역을 모두 잃고 만다. 여기에 당시만 해도 유력 대권주자였던 이인제를 중심으로 민주당에서 적극적인 충청권 공략 정책을 펼치며 (자민련 입장에선) 팀킬을 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