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6 20:43:17

현경자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대구 수성구 갑)
제14대
박철언[1]
제14대
현경자
[2]
제15대
박철언
파일:hgj.jpg

玄慶子
1947년 3월 8일[3] ~ ([age(1947-03-08)]세)

1. 개요2. 생애3. 선거 이력4.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연주(延州)[4]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현정화 1988 서울 올림픽 탁구 금메달리스트는 4촌 여동생이다. 박철언체육청소년부 장관과 혼인하여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다.

2. 생애

1947년 3월 8일 경상북도 고령군에서 아버지 현진택(玄鎭宅, 1919.11.26~2007)[5]과 어머니 창녕 조씨 조귀증(曺貴增, 1922.12.20~?) 사이에서 4남 2녀 중 차녀로 태어났다. 이후 경상남도 부산시(현 부산광역시)로 이주하여 성장하였다. 경남여자고등학교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1994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역사교육학 석사 학위[6]를 취득하였다.

남편 박철언의 국회의원직 상실(뇌물수수죄)로 치러진 1994년 재보궐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대구직할시 수성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5년 12월 4일 오전 3시 45분 경 서울 강남구 논현동 자택에 화재가 발생하였으며, 박철언은 당시 어머니 간호를 위해 대구에 있어 사고를 면했다. 집 안에는 본인을 포함해 아들과 가사도우미 등 3명이 있었는데[7] 곧바로 대피해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아들은 연기를 들이마셔 병원에 이송되었으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다.#

3.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소속 정당 선거구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94 8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대구 수성 갑

35,440 (55.77%) 당선 (1위) 초선[8][9]

4. 둘러보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일제강점기~1996)_White.svg 대구광역시 제14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동 갑 동 을 서 갑 서 을
유수호 김복동 서훈 정호용 강재섭
수성 갑 수성 을 달서 갑
김해석 김용태 현경자 윤영탁 김한규
달서 을
최재욱
선거 결과
* 동 을 박준규 사퇴 (1993.6.30.)
* 수성 갑 박철언 의원직 상실 (1994.6.28.)
}}}
전국구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경기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B5B40,#1B5B40><tablebgcolor=#1B5B40,#1B5B40>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B5B40,#1B5B40><tablebgcolor=#1B5B40,#1B5B4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부자 강창희 김범명 김복동 김용환
김정남 김종필 김진영 류종수 문창모
박구일 박규식 박제상 박준병 배명국
양순직 유수호 이긍규 이상두 이용준
이종근 이학원 정상천 정태영 조부영
조순환 조일현 최재욱 한영수 함석재
현경자 }}}
}}}}}}



[1] 뇌물수수죄로 의원직 상실[2] 1994년 재보궐선거.[3] 음력 2월 16일.[4] 판관공파 28세 병(柄) 항렬이나 항렬자를 쓰지 않았다. 다만 막내 남동생이 현병윤(玄柄潤)으로 항렬자를 사용했다.[5] 족보명 현진택(玄鎭澤). 1964년 4월 30일 동아일보 기사에 셋째 여동생 현진자(玄鎭子)의 사인을 두고 매제 유병배(兪炳培)의 집안과 갈등을 빚던 가족사가 소개된 적이 있었다.[6] 석사 학위 논문 : 高麗時代 奴婢의 實態와 그 性格(고려시대 노비의 실태와 그 성격).[7] 새벽 시간대이다 보니 수면 중에 이를 알아차렸을 가능성이 크다.[8] 전임자 박철언 의원직 상실(슬롯머신 사건)[9] 상술하였듯 박철언 의원이 그녀의 남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