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18:00:13

노트북

노트북 컴퓨터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Notebook에 대한 내용은 공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제목이 노트북인 영화에 대한 내용은 노트북(영화)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컴퓨터의 종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서버 - 클라이언트
멀티유저 컴퓨터
슈퍼컴퓨터 · 미니컴퓨터 · 마이크로컴퓨터
형태 (타워형 · 랙마운트 · 블레이드 서버)
칩셋 및 OS 유형 (메인프레임 · x86·유닉스 서버)
개인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데스크탑 일체형 PC · HTPC · 게이밍 PC · 미니 PC · 스틱 PC · 넷탑
랩탑 포터블 컴퓨터 · 울트라북 · 게이밍 노트북 · 2in1 노트북 · 넷북
헨드헬드
모바일
1
스마트폰 · 태블릿 컴퓨터(태블릿 PC) · 핸드헬드 PC(UMPC · 핸드헬드 게이밍 PC) · PDA · 팜톱 컴퓨터 · 전자수첩 · 전자책 단말기
웨어러블 HMD · 스마트 워치 · 스마트 밴드 · 스마트 링
콘솔 게임기 거치형 콘솔 게임기 · 휴대용 콘솔 게임기 · 아케이드 게임기
이동통신기기(모바일)는 넓은 의미에서 랩탑, 웨어러블도 포함하지만 깔끔한 분류를 위해 손에 들어오는 것(핸드헬드)로만 한정함.
}}}}}}}}} ||


1. 개요2. 명칭3. 역사4. 가격5. 한국 시장 변천사6. 종류
6.1. 표준 노트북6.2. 초경량 노트북(울트라북)6.3. 크리에이터 노트북6.4. 게이밍 노트북6.5. 비즈니스용 노트북6.6.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6.6.1. 주요 제품
6.7. 러기드 노트북6.8. 2in1 노트북6.9. 팬리스 노트북6.10. 셀룰러 노트북6.11. 조립식 노트북6.12. 사장되거나 흡수된 제품군
7. 장점
7.1. 휴대할 수 있는 범용 컴퓨터7.2. 편의성7.3. 정전에 대비 가능
8. 단점
8.1. 업그레이드 불가8.2. 성능 제약8.3. 내구성8.4. 장시간 사용 시의 불편함8.5. 절전 모드 오류
9. 데스크톱 컴퓨터와의 차이점10. 재활용11. 군대에서12. 팁
12.1. 조언
12.1.1. 거치대
12.2. 구매할 때
13. 기타
13.1. 여담
14. 제조사/제품군15. 관련 문서
15.1. 관련 IT 기기15.2. 커뮤니티

1. 개요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또는 랩톱[1] 컴퓨터(Laptop computer)란 배터리디스플레이, 키보드 등을 갖추어 휴대하기 편리한 형태의 PC를 말한다.

2. 명칭

서양에서 소형의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를 가리키는 단어는 주로 '랩톱(Laptop)'으로, '무릎(Lap) 위에(Top) 올려둔다'는 의미에서 유래했다.[2] 이와 반대로 데스크톱(Desktop)은 '책상(Desk) 위에(Top) 올려둔다'는 뜻이다. 한국의 경우 '데스크톱'은 널리 사용되지만, '랩톱'은 잘 사용되지 않고 '노트북'이라는 단어가 쓰인다.

노트북 (컴퓨터)라는 단어는 일본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공책만큼이나 얇으며, 공책처럼 접었다 펼 수 있어서 이러한 마케팅 용어를 사용했다. 이 용어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 일본어 '노-토 파소콘(ノートパソコン)'과 같은 계통인데, '노-토 파소콘'은 마찬가지로 '노트(공책)'와 '파소콘(퍼스널 컴퓨터)'의 결합이다. 이 명칭의 기원은 세이코 엡손의 HX-20라는 노트북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최초의 노트북이라는 명칭을 이용한 랩톱 컴퓨터이다.

최초의 노트북이 일본에서 사용된 마케팅 용어이기 때문에 한국일본에만 통용되는 단어[3]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영어권에서도 컴퓨터에 대한 대화를 하고 있을 때는 맥락상 알아듣는다. 물론, 아무 맥락 없이 말하면 보통 공책을 떠올린다.[4] 혼동의 여지 없이 언급하려면 'Laptop'이라고 말하는 게 가장 확실하며, 이 단어가 생각나지 않으면 'Notebook Computer'라고 길게 말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노트북 제조업체는 영어권에서의 공식 명칭을 대부분 랩톱으로 표기하지만, 얇고 작고 가벼워서 공책 급으로 휴대성이 너무 편리한 제품군을 노트북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Apple이 대표적으로 과거 PowerBook 시절부터 MacBook 시리즈까지 제품명을 ~북(Book)으로 통일하고 있다. 한국 홈페이지에선 '노트북'이라고 표기했으나 확인 결과 영어 페이지에선 'laptop'이라고 표기가 되어 있다.

3. 역사

일반적인 컴퓨터 역사는 항목 참고, 일상에서 사용된 PC의 개략적인 역사는 항목 참고.

노트북의 역사는 197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휴대용 개인용 컴퓨터가 탄생한 것은 개인용 컴퓨터가 탄생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였다. 제록스 PARC 연구소의 앨런 케이는 1972년에 그의 박사 논문으로 'A Personal Computer for Children of All Ages'라는 논문을 발표했고, 여기서 '개인용 휴대 정보 조작기'(Personal, Portable Information Manipulator)이라는 개념과 프로토타입을 만들었다. 그는 이 기기에 다이나북(Dynabook)이라는 이름을 지었다. 다이나북의 어원은 다이나믹 미디어(Dynamic Media)를 갖춘 책(Book)이라는 의미이다. 비록 상업화되지는 않았지만, 현대의 휴대용 컴퓨터 개념은 이때 탄생했다.[5]

노트북 이전에도 최초의 휴대용 컴퓨터인 IBM 5100 같은 것이 나온 바 있으나, 무게가 22 kg[6]에 달했고 초창기의 노트북 모델은 상당히 크고 무거워 휴대성이 영 좋지 못했다. 개념 자체도 제대로 정립되어 있지 않았는데, 접이식 방식의 노트북이 정립된 것도 그렇게 오래되지 않은 일이다. 1980년대 나온 노트북 컴퓨터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Portal R2E CCMC는 오히려 키보드 달린 오실로스코프에 가까웠다.

또한 1980년대에는 현재의 노트북은 아니지만 휴대 가능한 컴퓨터가 제법 등장했는데, 대표적으로 Apple IIc 같은 기종이다. 3 kg대의 무게로 휴대 가능하나 모니터(화면)와 배터리는 없었다. 그 당시 8비트 PC는 대부분 TV를 모니터 대신으로 사용할 수 있었으므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AC 전원에 연결하고 모니터는 가정용 TV로 대신하는 셈.[7] 또한 8비트 PC와 전자계산기의 중간 정도 되는 휴대용 컴퓨터라는 물건 또한 이 시절에 등장했다. 좀 커다란 전자계산기 크기에 쿼티 키보드, 가로 40자에 세로로는 5행 정도 되는 작은 흑백 액정 등을 장착했다.[8]

노트북이 현대의 형태로 정립된 1990년대 초/중반 이후에도 12인치 노트북의 무게는 3 kg대였다.[9] 당시의 기술 수준으로 극단적인 휴대성을 추구한 모델인 도시바 리브레또 같은 모델이 있긴 했으나, 휴대성을 추구한 반작용으로 성능이 너무 시망이라서 대중화되지 못하고 극소수만 사용했다.

초창기 노트북의 휴대성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계륵이었는데, 당시 기술의 한계상 휴대성을 확보하려면 희생해야 하는 것이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성능이 좋은 부품은 덩치도 크고[10] 전력을 더 많이 잡아먹기 마련인데, 당연하게도 전력을 많이 잡아먹으면 배터리 사용시간이 그만큼 짧아지게 되고, 배터리 사용시간이 짧아지면 추가 배터리라든가 전용 어댑터를 휴대해야 하므로 휴대성이 나빠지게 되는 결과가 생겼던 것. 충분한 휴대성과 사용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작고 전력이 적게 들지만 성능이 낮은 부품을 사용해야 했으므로 성능 역시 좋지 못했다.
파일:external/www.oldcomputers.net/macportable.jpg
Macintosh Portable(1989)

무게가 7 kg에 달하는 제품에 게다가 가격도 정신나가서 망했다.[11] Apple에서도 PowerBook 100을 첫 노트북으로 여기는 등 사실상 흑역사화한 듯. 엄밀히 말하면 흑역사화가 아니라 당연한 것이다. Macintosh Portable은 '랩톱'이기는 하나 '노트북' 수준은 아니기 때문. Macintosh Portable을 '노트북'의 카테고리에 넣는 것에는 상당한 무리가 따르며, PowerBook 100이 첫 Apple 노트북인 것이 맞다. 랩톱의 일종이나 모든 랩톱이 노트북인 것은 아니다. 물론 요즘은 노트북 아닌 랩탑은 없지만 Macintosh Portable이 나온 시대는 그런 시대가 아니었다. 위의 사진을 보면 디스플레이를 들어올린 상태인데 그 뒷부분에 뭔가 큼직한 부분이 더 튀어나와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부분 안쪽에 본체 부품이 들어가는데, 요즘의 랩톱, 즉 노트북에서는 볼 수 없는 형태이지만, 초창기의 크고 무거운 랩톱에서는 일반적인 형태였다. 데스크톱 컴퓨터 사이즈를 줄이고 그 앞에 키보드를 붙인 후 접고 펼 수 있는 화면을 키보드 위에 붙인 형태이기 때문이다.
파일:external/media.engadget.com/thinkpad-701c-pml-800.jpg
IBM ThinkPad 701(1995).[12]

덕분에 이를 가지고 할 수 있던 것은 간단한 문서 작업과 웹 서핑, 저사양 2D 게임 정도가 고작이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정말 '컴퓨터'를 휴대해야 할 필요가 있는 일부 직업군 외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 물건이었다. 그래서 이때의 노트북은 이동이 잦은 비즈니스 유저를 대상으로 홍보 및 판매되었다. 이는 1990년대 말~2000년대 초반 성능 인플레이션이 벌어지기 전까지 유지되었다.

지금처럼 WiBroWi-Fi를 비롯한 대규모의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도 없던 시절이었으므로 인터넷 연결 역시도 상당히 제한되어 그 쓰임새 역시 매우 한정되었다. 참고로 저 위 두 제품은 Macintosh Portable이 1989년에 출시되어 인터넷 보급을 한참 앞섰으며 싱크패드 701은 1995년 출시로 인터넷의 태동기에 나온 물건이다. 무선 인터넷은 아직 꿈도 못 꾸던 시기. 당연히 Wi-Fi 기능 따위는 없었다. Wi-Fi가 탑재된 노트북이 아닌 규격 자체의 제정은 1997년에 처음 등장했으며 실질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시기는 2003년 펜티엄M CPU가 탑재된 인텔 센트리노 플랫폼의 성공 이후이다.

노트북의 역사는 LCD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한다. CRT를 탑재했다면 포터블 컴퓨터가 되기 때문이다. 전자계산기 같은 반사형 LCD에서 TV 같은 투과형 LCD로의 전환, 패시브 매트릭스(PM)에서 액티브 매트릭스(AM) 전환으로 인한 해상도 및 화면크기 향상 그리고 흑백LCD(2색>4색>16색)에서 컬러LCD(하이칼라>트루칼라)로의 계조 향상, 램프 > CCFL > LED백라이트로의 기술발전 등의 과정을 거치며 노트북은 넓어지고 얇아진다. 1982년 그리드 컴퍼스의 작은 LCD, 1990년 매킨토시 PowerBook 100의 확장된 LCD 크기에 따라 노트북 컴퓨터의 모양이 다듬어졌다.

또한 노트북의 역사는 이차 전지와도 궤를 같이 한다. 초기에는 납축전지로 구동한 매우 무거운 제품도 있었고, 니켈전지(니켈 카드뮴, 니켈 수소)로 구동한 적절히 무거운 제품도 있었다. 이후 리튬이온전지(18650)로 구동하며 더 가볍고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출시되었다. 시점은 다소 모호하나 적어도 인텔 센트리노 시기에는 피처폰/디카 발전에 편승하여 같이 발전한 리튬이온전지가 널리 쓰였다. 18650 전지는 18mm x 65mm의 원통형 전지이므로 두께 2cm (상판과 합쳐 3cm) 이하로 줄이기 불가능했고, 얇은 노트북은 배터리를 뒤쪽으로 빼서 둥근 힌지부에 넣는 디자인 양식이 퍼지시도 했다. 2006년 맥북(흰둥이) 시점부터는 파우치형 리튬이온전지(리튬 폴리머) 전지가 쓰였으며, 교체형 배터리가 아닌 내장형 배터리가 되었다. 파우치형 배터리는 얇게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노트북 디자인에 영향을 많이 줬는데, 맥북에어처럼 얇고 넓은(넷북보다 넓은) 노트북이 나오며 파우치형 배터리는 노트북의 필수사항이 된다. 확실히 이 시점부터 ODD가 빠지고 두께는 얇아졌다.

다시 2003년 인텔 센트리노로 돌아와서, 이 시절의 노트북은 대부분 내장형 또는 별도의 저가형 GPU를 사용했는데[13], 그래서 게임에서 그래픽 설정을 올리기만 하면 프레임이 바닥을 쳤다. 이 당시 CPU의 내장 그래픽이 그저 화면 만큼은 띄워주는 수준으로 빈약한 편이라서 2D 게임은 돌릴 수 있어도 3D 게임은 내장 그래픽으로는 꿈도 꿀 수 없었다.[14]

그러나 컴퓨터의 성능이 전반적으로 크게 발전한 2000년대에 들어서는 내장 그래픽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HD급 고화질 영상 시청, 고사양 3D 게임도 무리없이 소화하는 등 웬만한 데스크톱 컴퓨터와 최소한 비교는 가능한 성능을 갖추게 되었고, 전국적으로 무선 인터넷 망이 보급되면서 활용도 역시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1 kg 정도의 초경량에 준수한 성능을 지닌 제품이 다수 출시되는 등 휴대성 역시 큰 발전을 이룸으로써 다용도의 휴대용 워크스테이션으로도 활용이 가능해졌다.

물론 모든 노트북이 고사양으로 나오는 것은 아니고, 배터리 사용시간과 액정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성능을 적당하게 타협한 모델이 나온다. 성능을 타협하지 않는다면 배터리 사용시간을 포기하게 된다. 혹은 휴대성이나 가격을 포기하거나. 휴대성이야 노트북의 근간에 가까운 만큼 성능을 위해 휴대성을 포기하는 모델은 극히 드물고, 대체적으로는 높은 성능의 모델은 가격 대 성능비를 포기하게 된다.

노트북도 어디까지나 '배터리'를 사용하는 기기이니만큼, 대부분의 모델은 전력소모 문제 덕분에 일반적인 데스크톱에 비해서 성능이 다소 낮아진 대신 전력소모량을 상당히 줄인 노트북 전용 칩셋을 사용한다.[15] 때문에 전력소모량은 일반적인 데스크톱에 비하면 낮은 편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전이라는 돌발상황이 발생했을 때, 예비전원이 없는 데스크톱과는 달리 노트북은 배터리가 일종의 무정전 전원 장치 역할을 하므로 강제종료가 되지 않아 불의의 상황에도 안전하게 하던 작업을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000년 이전만 해도 노트북 성능이 데스크톱에 크게 뒤떨어졌지만, 2010년 이후로는 전반적인 컴퓨터 성능의 향상으로 노트북 역시도 상대적으로 엄청난 성능 향상을 이루었으며, 고사양의 3D 게임도 무리없이 소화하는 등 일반적인 용도로는 전혀 무리가 없을 수준까지 이르렀다. 무게와 두께 등 공간 활용성 또한 FDD와 ODD의 쇠퇴, SSD의 등장으로 상당히 좋아져 2000년 이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이다. 때문에 휴대성을 겸한 공간 확보나 전력 절약, 케이블 문제 해결 등을 위해 고성능 노트북을 데스크톱 대용으로 활용하는 경우도 늘어났다. 또 이때부터 Wi-Fi의 대중화로 기본으로 달려나오던 이더넷 단지가 제거돼서 나오고, 이더넷 케이블을 사용하려면 이더넷 어댑터를 별도로 연결하는 식으로 하였다. 2020년대에 들어서는 코로나19 사태로 개인 소비가 증가함과 동시에, 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으로 데스크탑의 가격이 폭등하면서 상대적으로 노트북의 가성비가 좋아지게 되며[16] 노트북의 분기당 판매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

이후 USB PD가 제정되면서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보조 배터리를 공유해서 쓸 수 있게 되었다.

2023년 기준 MacBook Air, 갤럭시 북3 울트라, LG 그램, ThinkPad, ASUS 젠북 같은 1.3kg 미만 경량 고성능 노트북은 저가형 데스크탑 컴퓨터의 성능과 맞먹는다.

4. 가격

가격∝(성능/무게)n×기타 요소

노트북의 가격 형성은 데스크톱에 비해 매우 특이하고도 기형적인 형태를 띤다. 대체로 식에서 지수 n을 유념할 것. 이는 일정한 가격대에서 무게와 성능은 비례하되, 비슷한 무게에서 성능이 좋거나 비슷한 성능에서 무게가 작은 경우 가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뜻이다. 단, 모니터 크기에 따라 기본 무게는 다르므로 같은 인치에서 비교해야지 다르다면 각각 따로 비교해야 맞다. 동일한 사양(성능)과 동일한 패널 크기의 노트북이라면 가볍고 얇아질수록 비싸진다. 즉 가벼우면 가벼울수록 가성비가 극심하게 떨어진다. 심하면 같은 브랜드, 유사한 성능에 무게만 1kg 차이나는데 가격은 두 배 이상 차이나는 경우도 있다. 노트북을 경량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기술의 투입이 필요하기 때문. 이는 바꿔 말하면 휴대성을 '약간만' 포기해도 더 저렴한 가격에 더 성능 좋은 노트북을 살 수 있다는 뜻이다.

다만, 위에도 썼듯이 패널 크기에 따른 가격차는 위의 성능가볍고 얇은지의 영역보다는 영향이 별로 없고 딱히 비례하지도 않는다. 일반적으로 15.6"가 가장 보편적이기 때문에 작은 14"인치나 큰 17.3" 모델에 비해 가성비가 가장 좋다. 따라서 보통 패널이 작으면 무게를 줄일 수 있으니 휴대성을 강화할 수 있고, 패널이 크면 조금 더 무게가 나가지만 그만큼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화면 활용이 좋으므로 활용용도에 따라 고르면 좋다. 또한 15.6"부터는 더 커져도 가성비가 크게 상승하지는 않는다. 일단 그 정도까지가 무난하게 휴대할 수 있는 크기의 마지노선이라 볼 수 있으며, 웬만한 기술력이나 설계난이도로도 15.6"나 그 이상이나 비슷하기도 하고, LCD가 일정 이상 커지면 그때부터는 LCD의 가격상승이 노트북의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15.6"를 넘어서는 대형 노트북은 일반적인 휴대용은 그다지 많지 않고 애초에 초고성능이나 특수 유저를 목표로 한 고급 노트북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기도 하다. 당연한 얘기지만 그런 노트북은 일반 노트북에 비해 가격이 매우 비싸다.

마이크로아키텍처 이후 프로세서의 공정의 미세화로 인해 같은 가격의 데스크톱과 노트북은 CPU 성능의 차이가 크지 않은 상황이다. 데스크톱은 모니터와 OS를 별도 구매해야 하고 노트북의 휴대성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을 생각하면 노트북이 데스크톱보다 가성비가 떨어진다는 말은 옛말이 되어가는 듯하다. 그래픽 카드는 소형화가 부족한 실정이기에 노트북의 그래픽 성능은 다소 부족하였으나 이것도 점점 격차를 좁혀가고 있으며 실제로 NVIDIAMaxwell 아키텍처에 들어서는 차이가 많이 좁혀진 편. 물론 여전히 데스크톱과 노트북 간의 스펙 차이는 있지만, 일반 사용자의 용도로서는 약간의 고성능 노트북으로도 충분해졌다는 이야기다.

같은 이유로 노트북의 가성비는 조립 PC와는 많이 다르다. 가격이 싸다고 그게 전부는 아니다. 노트북은 무게와 두께도 스펙의 일부다. 같은 부품을 로고만 바꿔 파는 경우가 흔한 대기업 PC와 달리 노트북은 메인보드부터 제조사별로 다 다르다. 그로 인해 하드웨어 설계, 바이오스 설계 등에서 큰 차이가 나게 된다. 예를 들어 중국제 싸구려 노트북과 ThinkPad에 리눅스를 설치할 경우 TP는 구 버전도 잘 되지만 중국제는 커널패닉 등 각종 오류 발생이 높게 나온다. 또한 발열 관리도 많이 차이가 나는데 좋은 프로세서가 장착해놓고도 발열을 잡지 못해서 쓰로틀링과 재부팅이 빈번히 일어나 제 성능을 뽑아내지 못하는 중국제 노트북이 많다. 분해해보면 조립의 완성도를 제대로 느낄 수 있는데, 어떻게 조립했나 싶은 수준의 노트북이 있는가 하면, VAIO나 TP 등 견고함이 느껴지는 노트북도 있다.

단순히 게이밍 노트북을 기준으로 가성비를 판단하기엔 맥북에어처럼 스펙이 크게 낮은데도 불구하고 비싼 노트북이 수두룩하게 많다. 즉, 용도에 따라 스펙이 제일 중요한게 아니라는 것이다. 맥북에어[17]나 울트라북의 경우, 성능이 낮은 CPU를 쓰지만 대신 전력소모량이 굉장히 낮으므로 배터리 성능이 매우 좋다는 장점이 생긴다. 어차피 인터넷 및 간단한 용도론 충분하며 오히려 배터리 성능만큼은 게이밍 노트북으론 구현이 안된다. 덤으로 빌드 퀄리티까지 염두에 둔다면 게이밍 노트북 따위랑 비교하기 부끄러운 수준이다. 게이밍 노트북 항목에서도 설명하고 있지만 가성비를 위해 사용된 재질이나 구성이 무척 구리기 때문이다.[18] 고로 단순히 CPU+GPU 스펙과 가성비만 따지기엔 용도가 다른 노트북이 많다.

5. 한국 시장 변천사

한국의 경우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PC 시장에서 노트북 컴퓨터의 비중은 매우 작았다. 성능은 확실히 데스크톱 컴퓨터에 밀리면서, 휴대용이라지만 생각보다 크고 무겁고, 배터리도 얼마 못갈 뿐더러, 초기 구매 비용도 상당히 비싼데다가, 수리나 유지 보수, 업그레이드도 매우 어렵다는 점이 큰 문제로 작용했기 때문이다.[19] 데스크톱의 경우 정부 차원의 지원도 많이 받고 조립식 PC의 등장으로 이미 가격이 급격하게 내려갔으나, 이와 대조적으로 노트북은 여전히 대다수가 사서 쓰기에는 비싸다는 인식이 강했다.

그러나 2007년 정도를 기점으로 일반 PC 메이커의 주력 상품이 데스크톱에서 노트북으로 옮겨갔고, 실제로 PC 자체의 판매량도 노트북이 데스크톱을 앞서기 시작했다. 노트북의 성능과 내구성이 데스크톱과 차이가 없어진데다 가격도 저렴한 초저가형 노트북 등이 등장하면서 보급률이 급격하게 올라갔기 때문이다. 1인 가구가 증가하는 등 사회적 영향도 한몫 했다. 거추장스러운 데스크톱 컴퓨터보다는,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노트북 컴퓨터 구매를 선호했기 때문이다.[20]

2007년 이전에는 UMPC라는 제품군도 있었지만 사장되었고 2008년에도 MID라는 제품군이 새로 등장하였지만 넷북, 태블릿 컴퓨터 등에 밀려서 사장되었다. 2012년 이후에는 넷북 또한 성능에서는 울트라 씬 노트북이나 울트라북에, 휴대성에서는 iPad 등의 태블릿 컴퓨터에 밀려 거의 사장되었다. 울트라 씬 노트북은 울트라북에 사실상 흡수되었다.

2011년 여름부터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2013년 중반을 기점으로 대중화되면서 노트북을 비롯한 컴퓨터의 사용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 PC 사용 목적의 대부분이었던 웹서핑과 캐주얼 게임의 지분은 스마트폰으로 많이 넘어갔다. 피시방도 스마트폰이 생김으로써 고객을 어느 정도 뺏겼다. 스마트폰이 생기기 전에는 외출해서 뭔가 검색하거나, 이메일을 확인하려면 컴퓨터를 쓸 수밖에 없으니 피시방에 들를 수밖에 없었지만, 스마트폰이 보급됨으로써 단순 검색, 이메일 확인, 메신저 사용, 웹서핑 같은 건 스마트폰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다.

PC 사용의 이유를 묻자면 휴대용 x86, Windows, 키보드를 사용한 문서 작성 때문이라 할 정도. 또한 고사양 게임의 경우 노트북으로 그 성능을 맞추기에는 상대적으로 큰 비용이 드므로 데스크톱 컴퓨터가 주로 담당하는 게 현실. 디스플레이도 서피스 프로같은 태블릿 컴퓨터화면비율해상도가 더 나아서 키보드 빼면 완전히 뒤로 밀릴 처지가 되어가고 있다.

허나 태블릿 컴퓨터가 결국 노트북 시장을 잠식하리라던 호사가 및 몇몇 전문가의 예상과는 달리, 2018년 시점에서도 노트북 시장은 여전히 건재한 반면 태블릿 시장의 성장은 정체되었다. 태블릿PC 시장, 날개 없는 추락[21] 사실 이는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인데, 아무리 가벼워 휴대성이 좋고 화면이 크고 해도 결국 본격적인 작업엔 키보드가 있어야 한다. 당장 워드 작업을 한다고 생각해도 터치 패널로 하기는 힘들다. 하물며 엑셀이나 파워포인트 등 다른 작업은 더더욱 말할 필요가 없다. 필기 인식 기술은 대단한 수준까지 발전했지만, 그래봤자 키보드 타자 속도를 절대 못 이긴다. 조금만 생각해 봐도 알 수 있지만 같은 내용의 글을 종이으로 쓰는 속도와 키보드로 치는 속도 중 어느 쪽이 더 빠른지 생각해 봐도 당연하다. 독수리타법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결국 휴대용 기기 중 각종 사무 작업을 한다면 시인성이나 성능, 작업속도에서 노트북이 훨씬 우월하고 가벼운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쓰기엔 비록 화면이 더 작긴하지만 휴대성이 월등히 좋은 스마트폰으로 어느정도 충분하다 여기는 유저층이 많아 정작 태블릿 PC는 이도저도 아닌 샌드위치가 된 상황. 때문에 태블릿에도 탈착식 키보드가 달리고, 동시에 노트북의 경량화는 더욱 가속화되는 등 일종의 수렴진화가 일어나고 있다. 아예 둘의 장점을 합친 2in1 노트북도 떠오르고 있다. 즉, 앞으로도 노트북 시장은 건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투인원 노트북의 경우 Windows 10의 태블릿 모드에 최적화된 프로그램이 거의 없다시피 하며, 접어서 사용해야 하기에 액정이 단단해짐에서 오는 무게 경량화 문제 등에서 오는 고질적인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태블릿은 인터넷 강의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수요가 줄어들지언정, 고정적인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존재할 예정이다. 이를 반영하였는지 2019년 이후에 나오는 투인원 노트북은 360도 돌아가는 힌지와, 터치기능을 주력으로 내세운다.

노트북은 노트북대로 가만히 있지만은 않는 것이, 태블릿에 대항하기 위해 이전보다도 훨씬 더 경량화에 집중하고 있다. 2014~5년 즈음, 울트라북이 대세가 되면서 경량 노트북에서 모터달린 것이 제외되기 시작했다. USB 메모리를 위시한 플래시 메모리의 발달로 데스크톱 쪽에서도 사양길에 접어들어 가는 ODD는 진작 빠지는 추세이고, HDD대신 SSD가 들어가면서 메인보드에는 반도체만 남기 시작했다. 정 필요하면 USB 포트에다 외장형으로 달면 되니까... 심지어 저전력 모델에서는 팬마저도 빠지고 있다.[22] 노트북의 메인보드는 스마트폰 크기가 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교체형 모듈(RAM)을 마더보드에 납땜하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그리고 노트북과 데스크톱의 큰 차이 중의 하나로 조립식 컴퓨터의 비중이 상당한 데스크톱과는 달리 노트북은 대기업제든 중소기업제든 완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단 노트북은 데스크톱과는 달리 사실상 일체형에 가깝게 나오기 때문에 개인 사용자가 뜯어서 부품을 갈아끼운다는 것 자체가 어렵다.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데스크톱처럼 부품의 규격의 호환성이 높지가 않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이상 비싼 노트북만 날려먹기 딱 좋다. 데스크톱의 경우 메인보드 등의 웬만한 부품은 독자 규격이 아닌 이상 조립 PC에서 쓰는 것과 같은 범용 부품을 많이 쓰지만,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 메인보드부터가 독자 설계이고 그래픽카드 등의 다른 부품도 그 메인보드 하나에만 들어가도록 딱 맞춰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같은 이유로 데스크톱 컴퓨터와 달리 업그레이드 역시 매우 어렵다. 물론 이 역시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전문가가 아닌 이상 제조사에서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경우에 한해 등의 일부 부품의 용량을 늘리는 경우 정도가 한계.

결과적으로 2013년 이후의 노트북 시장은 크게 다음 5개 제품군으로 나뉘어진 상태다. 표준 노트북을 제외한 나머지 제품군이 모두 고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초경량 노트북은 두께와 무게를 위해, 비즈니스용 노트북도 견고함과 기타 편의성 그리고 거기에 휴대성까지 갖추기 위해 표준 노트북에 비해서 더 건실하게 설계가 되어있으며, 게이밍 노트북과 모바일 워크스테이션은 부품 성능 자체가 좋은 편이라서 가격이 올라갈 수밖에 없고, 자연히 제조사 측에서도 고급으로 마케팅하게 되기 때문. 물론 한성컴퓨터의 제품처럼 게이밍 노트북 중에도 가성비를 강조하는 것이 있지만, 그래도 표준 노트북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비싸다.

2018년 기준에는 인텔의 규격이자 마케팅 용어인 울트라북 역시 잘 쓰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초경량 노트북으로 대체하여 서술한다.

2020년 기준, 세계 시장 점유율은 Lenovo가 1위, HP가 2위, Dell이 3위, Apple이 4위, ACER가 5위, ASUS가 6위다. 다만 한국 시장은 초경량 노트북의 선호와 A/S의 문제로 인해 삼성전자가 1위, LG전자가 2위, Lenovo가 3위, ASUS가 4위, Apple이 5위, HP가 6위로 세계 시장 점유율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한민국 노트북 시장에서 넷북 제품군과 한성컴퓨터[23] 브랜드가 기여한 바는 크다. 이전까지만 해도 노트북의 가격은 매우 비쌌으나, 이 두 제품군의 압도적인 체감 가성비[24]에 대한민국 노트북 시장에서 제품의 가격은 서서히 내려왔다.

6. 종류

각 분류에 해당하는 각 제조사의 라인업이 별도의 명칭을 가진 경우 각 분류 아래쪽에 기재한다.

※ 주의할 점: 다음의 분류는 부품의 성능과 신뢰성에 의한 분류이며, 제품이 대상으로 하는 소비자와는 무관하다.

||<tablewidth=1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cc,#383b40><tablecolor=#000,#fff> || 저신뢰 || - || 고신뢰 ||
저성능 표준 (초경량) 비즈니스 노트북 러기드 노트북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 크리에이터 노트북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5><tablewidth=1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cc,#383b40><tablecolor=#000,#fff> 폼 팩터[25] ||
팜톱 경량형 일반형 분리형 2 in 1 회전형 2 in 1(180°/360°)
<rowcolor=#fff> 터치형(터치북)
/스타일러스형
듀얼 스크린형[범위]
/폴더블형[27]
모듈형 보호 케이스형 데스크북
||<-2><tablewidth=1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cc,#383b40><tablecolor=#000,#fff> 기타 노트북 구분 기준 ||
화면 크기[28] 키보드 배열[29]
재질[30] 색상
제조사 출시일
디자인 무게
운영 체제 가격
액티브 쿨링 여부[31] 이동통신[32]
전원 공급 방식[33] 명령어 집합[34]


2024년 기준 노트북의 크기는 대개 화면 크기를 기준으로 하는데 11.6인치, 12.4인치, 13.3인치, 14인치, 15.6인치, 16인치(16:10 비율), 17인치, 17.3인치, 18인치(16:10 비율) 등이 있다. 가장 대중적인 화면 크기는 14인치, 15.6인치, 16인치(16:10 비율) 3종이다.

6.1. 표준 노트북

파일:42447777-90aa-4f88-99c5-0551bed01a2c.webp
삼성전자 갤럭시 북

표준 노트북은 다른 말로는 범용(凡用) 노트북이라고도 한다. 기능적인 면에서 특별한 부가 기능은 제공하지 않지만, 범용적으로 쓰기 좋은 적당한 크기와 규격을 지닌 노트북이다. 가격대가 저렴한 편이며, 일반적으로 사무용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마감과 디스플레이 품질을 희생하여 가격 접근성을 높인다. 노트북을 단순한 사무작업 수준의 용도로만 사용하는 사람들이 실속 있는 제품을 찾는 경우가 해당 범주의 수요층이다.

무게는 대개 1.5 ~ 2.0kg 사이로 초경량 노트북처럼 가볍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게이밍 노트북처럼 가지고 다니기 부담스러울 정도는 아니다.

15.6인치 이상의 모델이 넘버 패드가 포함된 키보드가 탑재되어 있으나, 2015년 이후로는 베젤이 극단적으로 얇아지고 16인치(16:10) 크기가 보편화되면서 넘버 패드가 빠지는 경우도 많다.

6.2. 초경량 노트북(울트라북)

파일:LG Gram 17 2020.jpg
LG 그램
파일:IMG_1076.jpg
ASUS Zenbook S16

휴대성에 특화된 노트북 컴퓨터. 1.5kg 이하의 무게로서 이동이 많은 비즈니스맨이나 대학생들을 주 수요층으로 한다. 무게와 배터리 타임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된 제품군이기 때문에 주로 저전력 프로세서와 내장 그래픽을 탑재해 성능에는 제한이 있는 편. 간단한 문서작업이나 인터넷 서핑, 영화 감상 등에 적합하다. 화면 크기는 14인치가 주류이다.

배터리 기술의 발전과 신소재의 개발로 인해 1kg 이하의 노트북도 많이 출시되는 추세이며, 특히 한국의 경우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특성상 이러한 초경량 노트북에 대한 수요가 많다. 이 때문인지 한국 제조사들은 북미나 중국, 대만의 다른 노트북 제조사들에 비해 무게 감량과 마케팅에 더욱 신경을 쓰는 편이다. 한국에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삼성전자 갤럭시 북 이온이나 LG 그램의 경우 무게 감량을 위해 마그네슘 합금을 주로 이용하는데, 사실 느낌이 플라스틱과 거의 흡사해 가격대에 비해 고급스러운 느낌은 적은 편. 강성도 약하기 때문에 해외 리뷰어들은 리드를 이리 저리 휘어보면서 가벼움의 반대 급부로 빌드 퀄리티는 좋지 않다는 평을 하곤 한다. 무게를 적당히 희생하더라도 제품의 단단한 느낌을 원한다면 알루미늄이나 카본파이버 등을 이용해 1.2~1.5kg 대의 무게를 가지는 해외 제조사의 노트북을 알아보는 편이 좋다.

이전까지는 인텔이 제시한 규격인 울트라북으로 대표되었지만, 2018년 현재 초경량 노트북이 일반화된 지금에서는 마케팅용어에 가까웠던 인텔의 규격은 사실상 의미가 없어졌고, 제조사들도 독자적으로 초경량 노트북을 꾸준히 출시하고 있지만 딱히 인텔의 울트라북 인증 여부를 더 이상 표기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초경량 노트북 제품군을 인증 여부와는 관계없이 지금까지 불러왔던 것처럼 울트라북이라고 칭하기도하고, 영어권 국가에서는 Ultra Portable Laptop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전까지 사용되었던 "울트라북" 이라는 규격과, 이에 속하는 노트북에 대해 알아보려면 울트라북 문서로.

가끔 인터넷 등지에 초경량 노트북을 게임용으로 홍보하는 글이 있는데 이는 자명히 과장광고이다. 내장 그래픽의 상향평준화로 일정 수준의 플레이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나, 200만원대 고급 울트라북의 성능은 100만원대 저가형 게이밍 노트북과 비교해도 열위에 있다. 초경량 노트북의 가격이 비싼 이유는 성능이 아닌 초경량화 덕에 크게 향상된 휴대성이다.

아래 목록은 위와 같이 최신 동향에 따라 주요 제조사들의 초경량 노트북 제품군을 인텔의 인증과는 관계없이 나열한 것이다.

6.3. 크리에이터 노트북

파일:dell-xps-16-9640-long-term-review-3-months-v0-hq6yekp86q7d1.webp
Dell XPS 16
파일:IMG_1074.png
Apple MacBook Pro

디자인, 영상 편집, 작곡, 코딩 등 생산성 작업을 위해 디자인되는 고사양 노트북이다. 일반적으로 3K 이상의 해상도, DCI-P3 100%, HDR 지원 등 고품질의 디스플레이 옵션과 고전력 고성능 CPU, RTX 급의 외장 GPU[36], 고성능 포트,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며 가격대가 높은 편이다. 따라 일반 소비자용으로 판매되는 제품군 중 브랜드의 플래그쉽 제품들이 포진되어 있는 범주이며, 자연스럽게 고급 마감과 양질의 외관 디자인을 수반한다.

게이밍 노트북과 같이 45W급 전후의 고전력 CPU와 NVIDIA Geforce RTX 등 고성능 외장 그래픽 프로세서를 탑재하지만, 이동성을 고려한 중량 및 배터리타임과 소음 등을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TDP가 80-150W대로 설계되는 게이밍 노트북 대비 45W-80W 정도로 낮고, 쓰로틀링 플랜도 공격적으로 설계되는 편이다.[37]

중량은 일반적으로 1kg 후반대에서 2kg 초반대에 분포한다.

6.4. 게이밍 노트북

파일:Rog zehyrus G16 2024.jpg
ASUS ROG Zephyrus G16 202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게이밍 노트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5. 비즈니스용 노트북

파일:x13gen2.webp
Lenovo ThinkPad X13 Gen 2

디스플레이 크기는 12인치에서 17인치로 매우 다양하며, 사무용[41]으로 기업 등지에서의 사용을 위해 여러 보안 기능과 내구성(밀스펙) 등에 중점을 두어 만들어진 노트북이다. 단순 스펙보다 내구성, 신뢰도, 연결성 등의 스펙시트에서 보이지 않지만 실제론 중요한 것들에 투자를 많이 했기 때문에 스펙 대비 가격이 비싸다. 디스플레이가 대부분 안티 글레어 처리를 해서 빛이나 조명이 반사되지 않아 오래 봐도 눈이 피로하지 않다. 울트라북의 대중화 이후 비즈니스 울트라북 컨셉으로 ULV CPU를 사용하는 제품이 현재는 주류다.[42] 일반적으로 인텔 vPro[43] 인증을 받고 나온다. 노트북 팜레스트 위의 인텔 스티커에 조그만하게 vPro라고 쓰여 있는 노트북은 100% 비즈니스용 노트북이나 모바일 워크스테이션이라고 보면 된다. 하지만 그래픽 업무에는 특화되어있지 않아서 그래픽 카드는 보통 인텔 내장그래픽이나 다중 모니터 출력과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엔비디아의 NVS 시리즈가 사용된다. NVS 시리즈 단종 후에는 엔비디아AMD의 엔트리 ~ 메인스트림급 그래픽 카드가 사용된다. WWAN 카드를 탑재하여 LTE를 지원하는 모델 들이 많은 것도 특징이다.

이 분류의 노트북은 디자인이 보통 투박했었으나, 2019년 들어서 컨슈머 라인업 못지 않은 디자인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같은 사양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일반 소비자용 노트북 대비 다소 비싸기 때문에 일반 소비자들이나 가격 대 성능비만을 중요시하는 컴덕후들은 이건 다른 거랑 사양도 비슷한데 왜 이렇게 비싸지? 가성비가 너무 안 좋은데? 하는 의문을 들게 하나, 상기했듯이 비즈니스용 노트북은 보통 미군 군용 규격인 MIL-STD-810G 테스트를 완료해서 나오는 등 설계부터 일반 노트북과 달리 내구성과 신뢰성에 중점을 두고 지문인식 장치와 TPM, 스마트 카드 리더 등 업무에 필요한 기타 여러 장치도 포함되어 있다.[44][45] 노트북이 고장나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인 침수 사고도 어느정도 대비한 설계가 되어 있어 사후대처를 잘 한다면 다른 종류의 노트북에 비해 문제없이 살아날 확률이 높은 편.[46]

내부를 살펴보면, 컨슈머 라인보다 프레임이 훨씬 두껍게 들어가고, 볼트 등 부자재와 설계에서 내구도를 많이 고려하여 설계되어있다. 1.4kg의 경량이지만 2톤짜리 팰리세이드로 여러번 밟고 지나가도 내부가 전혀 손상이 없는 걸 볼수 있다. 게다가 추가 포트를 제공하는 도킹스테이션도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윈도우 프로버전이 들어가는데다가 여러 보안관련 프로그램이 기본탑재되어 비쌀 수밖에 없다.

6.6.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파일:HP_ZBook_Fury_16_G10.jpg
HP ZBook Fury 16 G10

노트북의 형태를 한 워크스테이션. 액정의 크기는 대체로 15~17인치 수준이며, 전문적 디자인 및 3D 모델링 및 렌더링, CAD, 수치해석 등의 각종 업무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성능 노트북으로, 장착된 그래픽 프로세서는 일반적인 NVIDIA GeForceAMD Radeon이 아닌 nVIDIA QuadroAMD Radeon Pro 등 전문적 그래픽에 쓰이는 기술인 OpenGL 가속과 GPGPU 성능을 강화한 고성능 제품이 장착되어 있다. 액정 자체도 넓은 시야각과 높은 색 재현율을 구현하는 액정이 장착되어 있다. 일부 노트북은 팜레스트 부분에 색감보정센서가 내장된 경우까지 있다.

통상적인 경우 노트북의 액정은 호환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어 채널당 10bit의 색 심도를 가지는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모바일 워크스테이션은 정밀도가 생명이기 때문에 선택사양으로 해상도와 색재현율이 높은 고급 디스플레이와 캘리브레이터를 제공한다.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의 경우 대부분 ISV 인증시 상대좌표 UI 설정에 의해 HiDPI 상태에서 UI가 커져도 깨지지 않기 때문에 고해상도로 출고되어도 문제가 생기지 않기 때문. 이를 통해 고해상도에서 정확한 이미징 작업이나 도면 작업이 가능해진다.

그래픽카드는 모바일 쿼드로 그래픽카드 또는 모바일 파이어프로 그래픽카드가 장착되나, 실제로는 ISV 인증으로 인해 모바일 쿼드로가 장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워크스테이션 그래픽카드는 일반적으로 온보드 그래픽이 아닌 별도의 PCIe (MXM) 슬롯에 연결되는 형식으로 조립되므로 차후 더 고사양의 그래픽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동일한 성능에서도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되어 있어 가격이 일반적인 교체형 모바일 그레픽카드보다 다소 비싸나 데스크톱을 상회하는 고성능을 보여주며 디스플레이의 LUT 와 직접 연결되어 최단시간내에 전송되므로 반응속도도 통상의 DVI 연결을 사용하는 데스크톱보다 빠르다.

메모리의 경우 DDR3까지는 모바일용 제온 CPU가 없었기 때문에 ECC 메모리가 적용되지 않았지만[47] DDR4부터는 스카이레이크 들어 모바일 제온 프로세서가 생김에 따라 ECC 규격이 드디어 생겼으므로 만약 현재 사용 중인 모바일 워크스테이션이 제온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제품이라면, DDR4 SODIMM 규격의 ECC 메모리를 장착가능하다.

먼저 서술한 비즈니스 노트북과 비슷하게 기본적으로 확장 IO를 위한 독을 사용할 수 있고, 이미 노트북 자체만으로 잡다한 여러 입출력 단자들과 추가적인 내부 슬롯(2.5", M.2)들이 있어 확장성이 훌륭하다. 냉각팬은 대부분 2개 이상 장착되며 높은 공기흐름의 양과 정압을 사용해 빠른 속도로 열을 후면으로 방출한다.

전원의 경우 보통 게이밍 노트북의 경우는 사양이 높지만 배터리 런타임이 그렇게 길지 않은데, 모바일 워크스테이션의 경우 배터리 런타임이 게이밍 노트북에 비해 압도적으로[48] 긴 런타임을 가진다. 단순히 배터리 용량이 다른 노트북들에 비해 비슷하거나 작다고 무시하면 안되는 것이, 통상적인 노트북의 경우 어댑터 연결이 되지 않으면 노트북 셀의 방전률 제한으로 인해 전기 공급 부족으로 성능 제한이 발생하나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제품은 고율방전 셀을 사용하여 전력 제한 없이 최대한의 성능으로 작동할 수 있다. 물론 그만큼 배터리를 고속으로 소비하나 보통 배터리를 여러 팩 가지고 다니므로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은 편이다. 전원 어댑터도 통상 90W 정도의 어댑터가 아닌 170W~300W 사이의 어댑터를 사용하여 쿼드코어 프로세서와 그래픽카드에 필요한 많은 전력을 공급하며 고율방전셀을 사용하는 만큼 저전력 모드로 두면 충전속도도 통상의 노트북에 비해 4배 이상 빠른 속도로 충전된다. 다만 그만큼 무게가 최소 2kg 후반대로 무겁다.

일반인들이 접할 기회조차 별로 없는 러기드 노트북 같은 특수한 제품군을 제외하면 가장 비싼 노트북들이 바로 모바일 워크스테이션이다. 비슷한 성능의 게이밍 노트북보다도 훨씬 비싼 경우가 부지기수다. 카탈로그 스펙뿐 아니라 나사 하나까지 고품질 부품으로 되어 있으며, 내구성, 안정성, 신뢰성 등에까지 신경을 썼기 때문. 주 수요층은 고도의 전문직 엔지니어인 경우가 많으므로 가격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6.6.1. 주요 제품

6.7. 러기드 노트북

파일:external/news.cnet.com/DellLatitudeXFR_610x533.jpg
Dell Latitude XF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러기드 노트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8. 2in1 노트북

파일:flex 5.jpg
Lenovo Flex 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in1 노트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9. 팬리스 노트북

파일:IMG_3797.jpg
Apple MacBook Air 15(M2, 2023년)

공랭 쿨러가 들어가지 않는 노트북이다. 해당 폼팩터는 팬을 포기함으로써 노트북 케이스의 전도만으로 열을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고전력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없고 쓰로틀링 플랜도 공격적으로 설계해야 하는 등 성능상에서 제약을 취하는 대신, 팬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 두꺼운 두께, 분진 흡착의 문제를 해결하므로써 관리 용이성, 사용환경 제약 탈피를 유도하는 설계를 가진다. 정숙하고 가벼우며, 저전력 설계를 차용한 지점에서 배터리타임에서도 이득이 있기 때문에, 빠르고 지속적인 컴퓨팅 성능을 요구하는 작업보다는 일상 사용에서 장점이 극대화된다.

기존 AMD A 시리즈, 인텔 아톰 시리즈, 인텔 코어 M 시리즈 등 x86 계열 저전력 APU나 SoC들이 성능 면에서 상당히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그렇게 2019년 12형 MacBook의 단종을 끝으로 해당 폼팩터는 사장되다시피 하였으나, 2020년 Apple M1이 15W급 저전력 설계로 최신 세대 인텔 i9 HK 55W급 프로세서를 성능으로 제패하고, 이를 팬리스 설계의 MacBook Air에 탑재하면서 다시금 시장에서 유의미한 입지를 가지는 폼팩터가 되었다. 다만 해당 폼팩터의 부활 자체가 전적으로 Apple M 시리즈 칩의 작품이고, 인텔이나 AMD에서는 아직 Apple M 시리즈에 대응하는 SoC 제품군을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57] 팬리스 노트북에서 MacBook Air 외의 경쟁 제품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다.

6.10. 셀룰러 노트북

SIM을 장착해 이동통신(WCDMA, LTE, 5G 등)을 지원한다. 비용이 추가적으로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으나[58] 근처에 쓸 수 있는 Wi-Fi가 없어 쩔쩔매거나, 휴대폰 핫스팟을 일일이 켜는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은근히 선택지가 좁다. Windows on ARM[59]을 제외하면 별도로 모뎀칩을 탑재해야 하므로 같은 사양 대비 비싸지고, 배터리 소모도 상대적으로 빠르다. 결정적으로 전파인증의 벽이 있기 때문에 노트북 제조사들이 주력 상품에 이동통신 기능을 넣기는 매우 부담스러운 것도 하나의 요인이다.

그래도 통신회사 입장에서는 쏠쏠한 수익을 내기 때문에 휴대폰 매장에서 노트북을 파는 모습이 보이곤 한다.

주로 비즈니스용 노트북에 이동이 잦은 유저들을 위해 추가 옵션으로 모뎀칩이 있는 경우가 많다. ThinkPad의 경우 모뎀 옵션을 빼더라도 SIM 슬롯, 모뎀을 넣을 공간과 배선은 마련되어 있는 모델이 많아서 유저가 따로 부품을 구해다 셀룰러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60]

6.11. 조립식 노트북

2004년 즈음에 인텔이 시도한 것으로 조립식 데스크톱처럼 개인이 조립, 정비,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는 노트북이다. 조립에 필요한 부품은 인텔 모바일 보드(mobile board), 노트북용 CPU와 RAM, LCD(스크린), LCD 브래킷, A 플레이트, B 플레이트, C 플레이트, D 플레이트, 키보드, 배터리, AC 어댑터 등으로 구성된다. 조립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A 플레이트와 B 플레이트에 LCD, LCD 브래킷을 장착한다. A 플레이트는 LCD 뒤에 장착되고 B 플레이트는 LCD를 고정하고 베젤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C 플레이트에 키보드를 장착한다. 터치 패드는 C 플레이트에 기본적으로 달려있다. 다음으로 D 플레이트에 인텔 모바일 보드, CPU, RAM 등을 장착한다. 인텔 모바일 보드는 메인보드, 쿨러 역할을 하는 써멀 모듈(thermal module), 전원 커넥터와 랜 포트 등이 달린 확장 보드(expansion board) A, I/O 쉴드 역할을 하는 I/O 베젤, 케이블로 구성되어있다. 사용자는 메인보드에 CPU와 램을 조립하고 나머지 인텔 모바일 보드의 부품, HDD, ODD 등을 D 플레이트에 장착한다. 마지막으로 배터리와 AC 어댑터를 연결한다. 즉, A, B, C, D 플레이트 순서대로 조립하면 된다.

인텔의 조립식 노트북은 정비성과 커스터마이징이 상당히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었다. 먼저, AS 기한이 데스크톱 제품과 같은 3년으로 기성 제품보다 길었다. 플레이트를 분리해 LCD, LCD 백라이트나 다른 내부 부품을 쉽게 수리하거나 업그레이드할 수 있었다. 보안에 민감한 사용자는 지문 인식 터치 패드가 장착된 C 플레이트를 구매해 노트북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었다. 또한 A 플레이트를 다른 색깔이나 무늬가 있는 A 플레이트로 교체할 수 있었다. PC 판매자는 기업이나 단체, 개인의 로고를 A 플레이트에 새겨서 판매할 수 있었다. 인텔은 여러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커먼 빌딩 블록(CBB, Common Building Blocks)이라는 통일된 규격을 만들어 정비성과 커스터마이징을 더욱 강화하려고 노력했다.

조립식 노트북은 PC 매니아들에게 상당히 매력적인 제품이었으나 기성 제품보다 부족한 부분도 있었다. 먼저, 디자인이 상당히 투박했고 그럴 수밖에 없었다. 기성 제품은 유니바디 디자인으로 얇고 현대적인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었으나 조립식 노트북은 정비성과 통일된 규격이 중요했기 때문에 나사가 겉으로 드러나고 각졌으며 두꺼운 디자인이었다. 또한 노트북용 CPU는 같은 성능의 데스크톱 CPU보다 비쌌으며 기성 제품과 조립식 노트북의 가격 차이가 크지 않았다. 또한 GPU가 교체 불가능하다는 단점도 있었다. 위와 같은 단점으로 인해, 인텔의 조립식 노트북은 시장에서 실패했고 2010년 즈음에 완전히 사라졌다.

그런데 2021년에 인텔의 조립식 노트북과 유사한 형태의 Framework 노트북이 등장했다.기글하드웨어 기사

6.12. 사장되거나 흡수된 제품군

6.12.1. 팜톱 컴퓨터

파일:libretto_20.jpg
도시바 Libretto

컴퓨터 업계에서 여러 차례 보급을 시도했으나 HP LX 시리즈 및 도시바 리브레또 외에는 시장에서 성공한 제품을 찾아보기 힘들다. 2005년경 Microsoft가 오리가미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UMPC라는 개념을 제창하여 밀어주었다. 당시 삼성 Q1을 비롯한 UMPC들이 나왔지만 너무도 비싼 가격과 2~3시간에 불과한 짧은 배터리 시간, 그리고 부족한 실용성으로 인해 사라졌다. 화면은 매우 작지만 Windows XP[61] 자체가 태블릿에서는 부적합했고[62] 화면이 작다는 것은 곧 생산성이 떨어지고 불편하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리고 장난감으로 굴리기에는 성능도 구린데 너무 비쌌다. Q1의 경우 당시 100만 원. 소니 UX의 경우 200만 원. 심지어 대용량 배터리는 또 몇 만 원씩 받고 별매였으며 포트 리플리케이터도 고가에 별도로 팔았다. 당연히 대차게 말아먹었다. 2008년경 UMPC 개념의 인기가 사그라들 때쯤 인텔이 밀었던 MID가 있었지만 곧 스마트폰 시장이 확 커버리고 iPad를 필두로 한 태블릿 컴퓨터들까지 나와버리자 이 역시 망해버렸다.

2022년 현재는 팜톱이라는 이름은 사실상 사라지고 UMPC라는 이름만 남았으며, 핸드헬드 게이밍 PC라는 새로운 장르로 발전해 GPD POCKET 시리즈 등이 명맥을 잇고 있다. GPD WIN 시리즈나 Steam Deck 등은 범용 컴퓨터라기보다는 노트북과 휴대용 게임기의 중간 정도를 표방하는 제품이다. CPU 아키텍처의 발전으로 예전의 UMPC/MID 등보다 훨씬 우수한 제품군이 되었지만 스마트폰 및 태블릿 컴퓨터와 일반적인 노트북 사이에 껴 시장의 주류로 떠오르지는 못하고 있다. 핸드헬드 게이밍 PC 문서 참조.

6.12.2. 넷북

파일:ASUS E510KA-BQ110WS.webp
ASUS E510KA-BQ110WS

LCD 크기는 작은 편(8.9~10.1인치)에 성능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문서 편집이나 웹서핑, 동영상 감상 정도만 가능하다. 그나마도 Full HD급 동영상 재생은 거의 불가능하고, HD급 동영상도 재생에 어려운 경우가 많다. 사실 인터넷 서핑마저 경우에 따라 버거울 수 있다. 일반적인 LCD 해상도는 1024x600. 부피 및 가격 삭감을 위해 ODD는 없다. 이러한 약점을 뛰어난 휴대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상쇄, 저가형 노트북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미니노트북의 일종이지만 거의 동의어. 2012년 이후에는 성능에서는 울트라 씬 노트북이나 울트라북에, 휴대성에서는 iPad등의 태블릿 컴퓨터에 밀려 거의 사장되었다.

다만 넷북용 CPU인 N시리즈는 사장되지 않고 2013년부터 오히려 인텔이 밀어주는 편이며 네이밍도 아톰에서 셀러론/펜티엄으로 올라갔으나 아키텍처는 여전히 아톰의 것을 쓰기 때문에 셀러론/펜티엄만 보고 샀다가 낭패당한 소비자들이 상당히 많은 편. 사실 넷북은 명칭과 카테고리만 명분상 사라졌을 뿐이지 실질적으론 넷북의 제한만 풀렸고 넷북 자체는 20만원짜리 컴퓨터 20만원짜리 컨버터블 PC나 미니 노트북과 거기서 하판을 뗀 10만원짜리 태블릿 PC 등의 형태로 여전히 살아있다고 보는 게 적절하다.[63] 다만 이쪽도 슬슬 프로세서의 한계에 도달하고 있었으며 코로나 특수로 잠깐 연명했다 다시 인기가 떨어지는 추세다. 애초에 코로나 이전부터 같은 가격, 프로세서에 훨씬 퍼포먼스도 뛰어나고 OS 특성상 관리에 용이한 크롬북이 나오면서 사장세였다. 그러나 크롬북 역시 넷북 계열 컴퓨터로 볼 수 있으며, 아톰 계열 프로세서도 한계가 있다지만 기술의 발전으로 성능 향상은 지속되고 있기에 넷북에서 이어지는 소형 노트북의 명맥은 걔속 이어져오고 있다.

6.12.3. 울트라 씬 노트북

파일:external/www.blogcdn.com/asus-u-ux-series-cebit-rm-eng.jpg
ASUS UX 시리즈

LCD 크기는 11.6~12.1인치 정도이고 초저전력(Ultra Low Voltave: ULV) CPU를 사용한 미니 노트북을 통칭하는 단어. 일반적인 LCD 해상도는 1366×768에 넷북보다는 약간 크고 무겁지만 두께가 얇으며 성능이 조금 더 좋은 편이다. 넷북과 마찬가지로 ODD 같은 보조기억장치는 없기 때문에 이 등급까지는 대체적으로 서브 노트북으로 분류한다. 불과 2~3년 전만 해도 12.1인치 노트북에 ODD가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었는데, 2010년 이후에야 슬림화 경쟁 때문에 빠지게 된 듯. 일반적으로 무게는 1 kg 초-중반에 머물러 있다. CPU의 성능이 발전하고 노트북 제조업체의 고급제품 마케팅 전략에 따라 서서히 울트라북에 흡수되는 추세다. 다나와의 분류 기준에서도 빠졌다.

현재 펜티엄 듀얼코어나 셀러론을 사용하는 '미니 노트북'이 울트라씬을 부분적으로 계승하고 있다.

6.12.4. 데스크노트

파일:asus-nx90-notebook-800x666.jpg
▲ ASUS NX90

2000년대 중후반에 잠깐 존재했던 분류군. 이름 그대로 데스크탑 대용 제품군으로, 휴대성에 집중한 위 제품들과는 반대로 휴대성은 사실상 포기하고 일체형이라는 편리함과 책상 공간 활용성 등에만 집중한 대형 노트북이다. 화면 크기는 최소 17 인치, 보통은 18~20 인치 급이며 덩치가 크므로 성능과 확장성도 일반 노트북보다 좋았다. 아예 데스크탑용 3.5" 슬롯을 단 제품도 있었다. 사실상 일체형 PC의 다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대놓고 휴대성을 포기했으므로, 고성능 스피커를 본체가 아닌 화면 양쪽에 장착한 위의 NX90처럼 은근히 다양한 디자인이 시도되었으며, 배터리는 아예 안 달려 있거나 정전 시 데이터만 날아가지 않게 해 주는 수준이었다.

문제는 제조사 입장에서든 소비자 입장에서든 휴대성을 아예 포기할 거면 굳이 노트북 형태여야 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노트북이라는 폼팩터 특성상 메인보드를 포함한 본체 위에 키보드가 있으므로 본체를 일정 이상 두껍게 할 수 없어 발열과 성능 측면에서 제약이 있는 반면, 화면이 커지면 본체도 그에 따라 쓸데없이 넓어지기만 하므로 정작 책상 공간 활용이라는 장점은 희석되어 버린다. 게다가 키보드가 본체에 고정돼 있어 불편한 것은 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에서 가장 큰 부피와 면적을 차지하는 본체를 키보드 아래가 아닌 화면 뒤에 위치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합리적인데... 그게 바로 일체형 PC다.[64] 현재는 시장에서 일체형 PC와 표준형 노트북으로 나뉘어 사라진 상태이다. 실질적으로 과거 데스크노트의 수요는 일체형 PC 쪽으로 흡수되었다.

다만 데스크노트라는 명칭만 사라졌을 뿐 사실상 데스크노트 취급받는 제품은 여전히 많다. 바로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계열이나 17 인치급 대형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들로, 일체형 PC는 수요 등의 문제로 고성능 제품이 거의 없어서 '간편함 + 고성능'을 만족하는 제품은 여전히 게이밍 노트북 말고는 선택지가 거의 없는 실정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무게도 무게거니와 그래픽카드소비 전력이 워낙 크다보니 배터리 모드로는 제 성능의 반도 안 나오므로 제대로 쓰려면 반드시 전원을 연결하고 한 곳에 거치시켜 써야 하는데, 이런 측면에서 데스크노트의 친척이나 방계 후손 쯤 된다고 볼 수 있다.[65] 차이가 있다면 게이밍 노트북은 그래도 노트북이라는 본질까지 잊은 건 아니므로 문서 작업만 할 경우 최소 2~3 시간 정도는 쓸 수 있는 수준의 배터리를 달고 있다는 것과, 아무리 커도 18 인치 이상의 제품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66]

가끔 게이밍 노트북 제조사에서 기술력 과시용으로 20인치 이상의 디스플레이 및 데스크톱용 CPU에 멀티 GPU를 탑재한 노트북을 만들기도 하는데, 이러한 제품들은 생긴 것만 노트북이지 사실상 휴대가 불가능에 가깝다는 점에서 데스크노트의 진정한 후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체형 PC의 수요층과 겹쳤던 과거의 데스크노트와 달리 이들은 초고성능 게이밍 노트북이나 게이밍 PC의 수요층과 겹치므로 포지션은 아예 다르며, 기술력 과시용이라는 특성상 실용성 부족과 높은 가격으로 인해 판매량은 미미하기에 존재감은 거의 없다. ACER Predator 21X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7. 장점

7.1. 휴대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데스크탑 대비 낮은 성능과 떨어지는 가성비 등 수많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노트북을 구매하는 이유의 사실상 90% 이상이라 볼 수 있으며 그만큼 가장 큰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휴대해서 이동 가능하다는 장점은 데스크탑은 결코 갖지 못하는 것이며, 데스크탑 중 가장 단순한 형태이자 가벼운 편인 일체형 PC미니 PC라도 휴대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개발보드(라즈베리 파이 등)나 스틱 PC는 휴대 가능할 뿐 바로 사용이 불가한 단점이 있다.

반대로 더 휴대성이 좋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이 있으나 이들은 너무 작은 화면, 부족한 성능, 인터페이스의 한계, 운영체제의 기능적 한계 등이 명확하므로 생산성 있는 작업을 하기가 어렵다. 즉 PC의 기능을 온전히 누리면서도 휴대가 가능한 것은 노트북 및 그 변종들 뿐이다. 실제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보급화가 10년은 더 이루어진 2020년대에도 여전히 노트북은 도태되지 않고 시장의 커다란 축을 유지하고 있다. 오죽하면 태블릿을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노트북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상당히 많을 정도다.

게다가 보조컴으로서의 역할도 있다.

7.2. 편의성

게이밍 노트북 문서에도 서술된 내용으로, 설령 휴대가 잦지 않아도 공간 절약 및 구성과 세팅의 편의성으로 노트북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딱히 대단한 성능이나 개인의 취향에 따른 커스터마이징을 중시하지 않는다면 노트북 구매는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상기한 장점으로 인해 때문에 좁은 방에서 자취를 하며 이사가 잦은 청년층은 아예 처음부터 데스크탑을 구매하지 않고 노트북에 프린터만 사서 쓰는 경우가 꽤 많다. 적당히 게임을 즐기거나 고사양이 필요한 경우라도 게이밍 노트북으로 웬만큼 해결 가능하다.

7.3. 정전에 대비 가능

배터리를 기반으로 운용되기에 갑작스런 정전의 위협에도 어느 정도 대응이 가능하다. 물론 배터리 용량을 고려해야 한다.

8. 단점

8.1. 업그레이드 불가

노트북 컴퓨터는 거의 대부분의 부품이 기판에 납땜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부품은 무선통신 모뎀, RAM, SSD가 전부다. 이마저도 RAM을 온보드에 납땜하여 장착해 교체가 불가능한 제품들도 다수 있고, 모뎀도 케바케인데다 보통은 거의 업그레이드 할 일이 없으니 거의 확실하게 교체가 가능한 부품은 사실상 SSD가 끝이라고 보아도 된다.

납땜되어 있는 것을 교체하려면 섭씨 250도 이상으로 가열해서 칩을 떼내고 납불을 다시 심고 열을 가해서 붙히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게 여러 장비[68]와 이를 숙련할 수 있는 상당한 기술이 필요하고 교체할 부품을 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시도해보는 것 조차 불가능하다.

과거에는 소켓형 CPU[69]나 GPU를 사용하여 교체가 가능은 한 제품들도 있었으나[70], 현재는 그마저도 없어졌기에 노트북은 사실상 스마트폰과 비슷하게 생각해야 한다. 한 번 사면 딱 그 사양 그대로 계속 쓰다가, 길면 3~4년 후에 아예 새 제품을 사는 식으로 말이다.

윈도우 노트북도 저 정도고, AppleApple Silicon을 채용한 노트북은 더 심하다. 이 경우에는 RAM은 아예 AP 패키지 내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심지어 SSD조차도 메인보드에 납땜이 되어 있어 증설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구입 전 신중하게 골라야 한다.

어찌어찌 교체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제품이더라도 교체 난이도도 데스크탑에 비해선 상당히 높다. 제조사나 제품마다도 방법이 다르고 번거로운 분해 및 재조립 과정에서 노트북의 손상가능성도 더 높기 때문. 당연하지만 자가수리나 부품교체 목적으로 열었다가 뭐가 잘못되면 사용자 유책으로 취급되기에 보증기간 내더라도 무료 A/S가 안 된다.[71][72]

또한 요즘은 뜸해졌지만 이베이나 중고장터 등에서 돌아다니는 노트북 중 ES/QS[73] 버전 CPU가 달린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8.2. 성능 제약

시간이 지나며 CPU와 GPU의 성능은 계속해서 올라갔으나, 문제는 제조사들이 하나같이 전성비 향상에 한계가 있자 전기를 더 먹여서 성능을 끌어올리는 방법까지 병행하고 있기에 제한된 배터리를 지니는 노트북은 필연적으로 성능에 제한이 걸릴 수밖에 없다.

현재 노트북의 배터리는 항공기 반입 용량 제한 때문에 100Wh 미만으로 탑재하는 것이 사실상 강제되며, 실제로는 무게와 부피 문제로 인해 그보다 적은 용량을 탑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현용 CPU와 GPU는 제대로 로드를 걸면 수백와트 이상을 우습게 퍼먹는데, 이러면 배터리 99.9Wh를 꽉 채워서 탑재한 노트북이라 하더라도 불과 몇십분만에 배터리가 방전되어 버린다. 따라서 제 아무리 성능 좋은 부품을 탑재한 노트북이라고 해도 그 성능은 전원을 연결했을 때에만 발휘되며, 배터리 사용 시에는 성능이 크게 제한된다.

그런데 전원을 연결하고 쓸 것을 상정한다 하더라도 매우 좁은 공간에 부품을 빡빡하게 채워야 하는 노트북 폼팩터 자체의 한계 상 일정 이상의 발열을 감당할 수가 없다. 그리고 설령 발열 감당이 된다고 하더라도 노트북 전원 어댑터를 컴퓨터용 파워서플라이만큼 무겁고 거대하게 만들 수는 없는 노릇이니 소모전력 자체에도 한계가 있다. 때문에 제아무리 고성능 CPU와 GPU를 탑재했다 하더라도 일단 '노트북용' 딱지가 붙으면 아무리 플래그십 라인 부품이라고 하더라도 최대 전력소모량에 제한이 걸려버린다. 초고가의 게이밍 노트북이라도 같은 이름의 CPU와 GPU를 탑재한 데스크탑보다 성능이 한참 떨어진다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특히 막대한 양의 전기를 퍼먹는 고성능 GPU를 탑재한 고급 게이밍 노트북은 이러한 성능 제약으로 인해 같은 금액을 데스크탑에 투자했을 때에 비해 가성비가 매우 크게 떨어진다. 상기한 이유로 인해 소모전력 제한이, 특히 GPU에 빡빡하게 걸려있기 때문이다. 예시로 데스크탑용 RTX 4090은 게이밍 시 약 400W 내외의 전력을 먹지만, 노트북에 탑재되는 RTX 4090은 약 150~120W 수준으로 TGP 제한이 걸려서 데스크탑용 GPU의 60% 정도의 성능만 나온다. 때문에 랩탑용 RTX 4090의 성능이 데스크탑용 RTX 4070 Ti나 4070 Super보다 떨어질 정도라 가성비가 몹시 떨어진다.[74]

데스크탑용과 랩탑용 사이의 소모전력 격차가 상대적으로 적은 엔트리-메인스트림(Nvidia 기준 OO50, OO60) 라인 GPU는 그래도 상황이 좀 낫지만, 고성능 GPU로 갈수록 데스크탑과의 성능 격차가 몹시 커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이차전지의 안정성과 무게, 부피 대비 용량의 발전이 매우 더디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한순간에 이차전지의 효율이 급속도로 뛰어오르지 않는 이상 고쳐질 날은 요원하다.

8.3. 내구성

노트북은 들고 움직일 수 있는 장비인지라 그 과정에서 충격을 받는 일이 잦고, 심하면 떨어뜨리는 일도 생길 수 있다. 그런데 복잡한 전자기기이다보니 아무리 밀스펙 인증을 받았더라도 내구성 자체에 한계가 있다. 특히 낙하 충격으로 인한 디스플레이와 힌지, 메인보드 파손 사례가 잦은데, 이러면 꼼짝없이 고객과실로 엄청난 수리비를 물어야 한다.

또한 요즘 전자기기가 다 그렇지만 5년 정도가 되면 슬슬 수명이 다해 맛이 가기 시작하는데, 이 정도 연식이 됐으면 잔존 가치가 수리비를 밑돌게 된다. 결국 때가 되면 미련없이 처분하는 것이 낫다. 메인보드를 부품 단위로 고칠 수 있는 실력 좋은 사설 수리점에 맡겨서 수리하더라도, 전체적인 노후화는 어쩔 수 없기 때문에 결국 다른 곳에서 잔고장이 계속 터지게 된다.

이 경우를 대비한 '러기드 노트북'이 있지만, 무게와 부피가 어마어마하며 디자인도 매우 투박하고 가격도 동급 일반 노트북에 비해 훨씬 비싸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그냥 데스크탑을 사는 게 나은 경우가 많다. 이런 러기드북은 공사 현장, 기계실, 사막, 야외 등 특수한 환경에 직업적인 목적으로 가는 사람들이 선택하는 전문용 노트북이라 할 수 있다.

8.4. 장시간 사용 시의 불편함

아무래도 데스크탑이나 일체형에 비하여 화면이 작다보니 거북목의 위험성이 매우 높고, 휴대폰처럼 배터리 기반으로 구동되는 방식이다보니 장시간 사용하면 배터리가 방전되어 전용 어댑터를 꽂아서 데스크탑처럼 사용해야만 한다.[75]

게다가 배터리에서 열이 발생하므로 방열을 위한 거치대도 필요하다.

또한 기본적으로 업무용으로 만들어진 모델이 대다수이다 보니 별도로 (무선) 마우스를 따로 구비해두지 않는다면 온라인 게임을 구동할 때 조작감 때문에 상당히 불편해질 수 있다. 특히 서든어택, 스페셜포스2 같은 FPS 게임을 노트북으로 플레이 한다면 조작감 문제가 상당히 크다. 터치 스크린을 채택한 노트북도 있기는 하지만 역시 마우스와는 사용자 경험이 다르다는 것은 어쩔 수 없다.

8.5. 절전 모드 오류

Windows 노트북 제품군에만 해당된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9. 데스크톱 컴퓨터와의 차이점

노트북은 기본적인 구조가 일체형 바디이기 때문에, 고장난 부품을 일반인이 선택적으로 교체하는 것은 어렵다. 데스크톱이야 메인이 되는 CPU와 메인보드만 멀쩡하면 부품교체로 고장을 해결할 수 있지만 노트북은 거의 온보드 형식이라 고장이 발생하면 대부분 보드를 통째로 갈아야 한다. 제조사의 보증기간이 끝난 상황이면 보드 교체 비용으로 노트북 한 대를 뽑을 지경인지라... A/S 비용은 데스크톱보다 훨씬 많이 드는 편이다. 아니, 사실상 고장난 시기에 출시된 신형 모델을 사는 게 더 낫다.

노트북 사용 시 가장 흔하게 일어나는 사고가 키보드에 커피 등 음료를 쏟는 경우인데, 데스크톱의 경우는 10만원을 훌쩍 넘어가는 고급 기계식이나 무접점 키보드를 쓰는 것이 아닌 이상 1~2만원으로 키보드만 사서 직접 바꾸면 된다. 그러나 노트북은 경우에 따라 메인보드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서 웬만한 노트북은 키보드와 보드 사이를 최대한 막아놓긴 하지만 그렇다고 아예 안 들어가는 것은 아니며 설령 키보드만 고장났다 해도 데스크톱처럼 표준화된 키보드가 아니기 때문에 수리센터에 방문, 적지 않은 비용을 들여 바꿔야 한다.

또, 발열과 발열로 인한 냉납 현상에 굉장히 취약하다. 보통 데스크톱은 공기가 통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하판과 키보드 한 쪽에 구멍을 내는 것이 전부인 중저가형 노트북들은 기본 설계부터 썩 좋지 않고, 먼지 등이 쉽게 끼어 그 쿨링 성능이 더 나빠지기도 한다. 고가의 게이밍 노트북은 비교적 강력한 쿨러를 복수로 달아 사정이 좀 나은 편이다. 스탠드형 쿨러를 사용하거나, 하다못해 힌지 근처에 물체를 괴어 공간을 확보해 주면 훨씬 쾌적해진다. 노트북에 전력을 공급해주는 어댑터 역시 발열이 있고, 때때로 위험해질 수도 있다. 특히 노트북용 쿨러는 청소가 어려운 특유의 디자인으로 인해 먼지 등에 더 취약하여 2~3년만에 쿨러의 먼지축적으로 사용이 불편할 정도로 소음이 커진다. 이러다가 결국 쿨러가 멈춰버리는데 이러면 조만간 본체가 사망한다.[76] 이러면 쿨러를 교체해야 하는데 역시 비용이 만만치 않다.[77] 이런 문제 때문에 노트북용 쿨링 패드가 나온 것인데 이러한 쿨러 고장 시기를 크게 늦춰준다.

분해 및 청소도 데스크톱에 비해 어렵다. 노트북은 부품이 작고 집약적이라 분해 시 케이블이나 기판, 나사 등이 손상되기 쉽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분해 조립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전문적으로 수리업을 하는 컴퓨터수리기사도 노트북을 분해할 때는 항상 조심한다.[78] 초보자라면 차라리 돈을 주고 서비스센터에 맡기는 게 낫고 숙련된 사용자라도 조심하자. 까딱 잘못하면 당신도 컴갤빌런의 반열에 끼게 될 수도 있다. 실제로 유튜버 허수아비가 노트북을 뜯다가 실수로 부숴먹어서 돈을 물어준일도 있었다.

일부 저가형 제품의 경우 힌지가 약해 자주 열고닫다 보면 힌지 또는 그 주변이 부서지기도 한다.

10. 재활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선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군대에서

미군중국군의 경우 장군 부터 병까지 모든 군인이 전부 노트북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중국군은 미군에 비해서 조금 엄한 편이다. 반정부 목적으로는 당연히 노트북 사용이 통제되지만 그 외에는 자유롭게 노트북 사용을 허가한다. 중국군에서는 구타 및 가혹행위를 적극적으로 신고하여 깨끗하고 밝은 중국군이 되고자 국방부에서 노트북 사용을 적극적으로 허용한다.[79]

사실 한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들의 경우에도 자신이 사관학교에 입학하여 사관생도가 되면, 일과시간이 지난 뒤 개인정비시간에 노트북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오로지 공부 목적으로만 이용되어야 하며 게임 같은 것은 절대로 할 수 없다. 대한민국 국방부 인트라넷의 통제를 받기 때문이다. 그리고 노트북은 사관생도의 개인 소유물이 아니라 엄연히 사관학교의 공공기물이라 졸업하고 나서 장교로 임관하게 되면 당연히 반납해야 한다.

초급 간부의 경우 임관하고 본격적으로 자대 배치를 받고 나서 일과 시간이 지난 뒤 관사로 돌아온다면 당연히 민간인처럼 개인 노트북 이용이 가능하다. 인강을 듣거나 게임을 해도 좋고[80] 야동을 봐도 된다. 일과 외 시간에 하는 건 자기 사생활이니까 딱히 터치 하지는 않는다. 다만 자신이 BOQ/BEQ 등 군부대 내부의 간부 숙소에서 거주한다면 노트북 이용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반입이 어렵다던가, 인터넷선이 설치가 안되는 등.

그러나 2020년부터 군 내 휴대폰 사용이 본격적으로 허용되면서 노트북 수요는 급속도로 줄어들었다. 노트북으로 할 수 있는 일을 휴대폰이 갈음할 수 있으니. 물론 휴대폰으로 할 수 없는 일들은 여전히 컴퓨터가 해야 되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노트북을 쓰는 경우도 아직까지는 있긴 하다. 즉 상호보완관계다.

보안상의 이유로 군 내에서 업무용으로 사용되는 노트북은 모두 Wi-Fi가 제거되어 있다.[81]

12.

12.1. 조언

12.1.1. 거치대

파일:Laptopcomputer_Stand.jpg

노트북 거치대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주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된다: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노트북 거치대를 올바르게 사용하면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신체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12.2. 구매할 때

2020년대에 들어 노트북 컴퓨터의 평균 사양이 크게 올라가면서, 생산적인 업무엔 반드시 데스크톱이 필요하다는 것은 이제 옛말이 되었다. MacBook Pro는 이미 영상 편집용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많을 만큼 준 워크스테이션화 되었고, 게이밍 노트북 또한 스펙이 향상되어 NVIDIA나 AMD도 노트북에 들어가는 GPU를 신경써서 만들고 있다. 특히 웹서핑, 동영상 감상, 간단한 문서 작업 등을 주로 하고, 여기에 추가로 공간 활용을 추구하는 사람이라면 이젠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데스크톱을 사용하기보단 노트북을 메인 PC로 쓰는 경우가 더 많다. 이러한 노트북을 구매하려고 할 때 따져봐야 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13. 기타

13.1. 여담

14. 제조사/제품군

ABC순 정렬

15. 관련 문서

15.1. 관련 IT 기기

15.2. 커뮤니티


[1] 미국식 영어로는 '랩탑'[2] Lap은 정확하게는 넓적다리의 앞쪽 부분, 즉 앉았을 때 위로 바라보는 부분을 의미한다.[3] 실제로 동양권. 특히 한국, 일본, 인도 등지에서 가장 활발히 사용되긴 한다.[4] 반면 한국에서는 그냥 '노트북'이라고 하면 랩탑 컴퓨터로 알아듣는 게 대부분이며, 공책은 외래어로 노트라고 한다. 한편, Note는 영어로 동사로 필기하다 혹은 명사로 그 필기한 내용을 의미한다.[5] 참고로 도시바 랩톱의 상표 이름이기도 하다. 상표의 어원도 여기서 왔다. 최초의 도시바 랩톱은 랩톱 여명기인 1985년에 탄생했다. 추가하면 도시바 문서에도 있지만 도시바는 PC사업을 포기하면서 해당 사업을 샤프전자에 넘겼는데, 샤프는 노트북 PC사업부문을 분사하여 별도의 법인으로 만들었고, 이 법인 이름이 바로 다이나북이다. 이제 다이나북은 노트북 판매 및 제조 기업 명칭이 된 것.[6] Mobile보다는 Portable[7] 8비트 PC 시절에는 본체와 보조기억장치, 키보드가 일체형인 제품이 대다수라서 이 제품을 좀 작고 가볍게 만들면 휴대용이 된다. 물론 별도의 휴대용 모니터가 있긴 있었다. 컬러 액정은 매우 비쌌으나 휴대용 전자계산기 등에 사용하는 도트 매트릭스 흑백 액정은 있었기 때문에 이것을 디스플레이로 만든 것. 참고로 1990년대 들어 노트북이라고 불릴만한 물건이 나왔을 당시에도 초창기 물건은 이런식의 흑백 액정이였다.[8] IBM PC 호환기종 이전의, 회사마다 아키텍쳐가 제각각인 시절이라 호환성을 생각하지 않던 시절이라서 이 정도 크기로 그럭 저럭 BASIC 언어 굴리는 기계도 엄연히 PC는 PC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런 휴대용 컴퓨터에 프린터, 보조기억장치 등을 외장으로 부착할 수 있었다. ##[9] 현재 이 정도 크기면 0.9~1.5 kg 정도. 울트라북 같은 모델은 1 kg 초반대도 나오며 LG 울트라북 그램은 말 그대로 그램 단위까지 무게가 가벼워졌다.[10] 그래픽 카드의 경우가 대표적으로, 대부분의 부품이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인 현재에도 대형화되고 있는 부품이다.[11] 애초에 이 시기는 랩탑 컴퓨터의 태동기로서 무겁고 비싸다는 것은 매킨토시 포터블에만 해당되는 얘기는 아니었다. 물론 Macitosh Portable이 그 중 가장 비싼 제품으로 여겨졌으나 타사 제품도 그리 싸지는 않았으며, 무게는 대동소이했다.[12] 이 제품이 유명하기는 하나 당시의 씽크패드를 대표하는 제품은 아니었다. 이보다 크고 무거운 씽크패드가 씽크패드의 주력 제품이었음은 물론이다.[13] 고성능 GPU도 장착한 노트북도 존재했으나 고성능인 만큼 배터리 타임이 짧았고 3D 작업 등, 전문적인 작업에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졌기에 가격이 상당히 비싸서 단순 게이밍용으로 구매하기가 어려웠다.[14] 특히 인텔 HD 그래픽스 이전의 GMA 내장 그래픽이 성능이 매우 좋지 않았다. 그래서 생긴 별명이 그래픽 감속기, 바탕 화면 표시기이다. GMA 시절에는 Windows Aero를 켜기만 해도 병목 현상이 걸려서 인텔 내장 그래픽을 사용한 노트북은 Vista 이상 Windows 버전간의 궁합이 최악이라는 소리가 나오기도 했었다.[15] 인텔 기준으로 노트북용 CPU는 동세대의 1단계 아래급의 데스크톱용 CPU와 성능이 비슷하다. 비율로 따지면 노트북용 i5 ≒ 데스크톱용 i3.[16] 그래픽 카드가 탑재된 완성형 본체나 노트북이 조립 컴퓨터를 맞추기 위한 그래픽 카드 하나보다도 싼 사태 까지 발생했다.[17] 단, 실리콘맥은 전력 소모량이 엄청 낮으면서도 정작 성능도 높은 편이라 많은 회사가 ARM기반 노트북을 개발하게된 계기가 되었다.[18] 심지어 수백만원 및 수천만원짜리 게이밍 노트북도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다.[19] 이런 문제 때문에 이 당시 노트북 컴퓨터의 중고가는 동시대 데스크탑 컴퓨터의 중고가보다 싸다.[20] 재미있게도 여기서 일본과 다른 특징을 보인다. 일본의 경우 노트북이 PC시장을 대부분 점유하면서 데스크탑 자체가 몰락해버렸지만, 한국의 경우 PC방 이라는 특유의 게임문화 때문에 고사양게임은 PC방에서 주로 플레이하고, 저사양 게임 혹은 워드작성은 노트북으로 하는 식으로 분야가 나뉘어진 상태다.[21] 여기엔 한 가지 이유가 더 있다. 태블릿은 노트북이나 스마트폰과는 달리 사용처가 상당히 한정되어 있고, 따라서 저 둘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능이 덜 중요하며 파손도 잘 안 된다. 때문에 소비자가 태블릿을 새로 사지를 않는 것.[22] 하지만 이 때문에 노트북의 발열문제가 굉장히 심각해지고 있다. 단순히 인터넷을 켜고 30분정도만 사용해도 키보드가 발열되어 뜨거워질정도다. 그나마 공랭쿨러를 장착한 제품은 상황이 좀 나은편이지만 쿨러가 없는 제품은 정말 심각하다.[23] 대표적으로 인민에어 시리즈[24] 실제로 세부 스펙과 완성도를 따져보면 순수한 면에서 가성비가 좋은 제품은 아니다. 다만 어쨌든 다른 제품군의 가격 대비 더욱 저렴한 값으로 구매할 수 있다는 점은 무시할 수 없다.[25] 아래 표에서 색이 어두운 것일수록 일반적으로 더 무거운 몸체를 가진다.[범위] 넓은 의미의 듀얼 스크린형은 X1 Carbon 2세대의 어댑티드 키보드, MacBook Pro의 Touch Bar, Razer Blade 초기형의 Switchable UI, ASUS Zenbook 일부 제품군의 ScreenPad 2.0와 같은 소형 보조 디스플레이도 포함한다. 좁은 의미(데스크탑의 듀얼 모니터와 같은 개념)의 듀얼 스크린형은 ScreenPad Plus를 탑재한 ASUS의 젠북 듀오, 젠북 프로 듀오, 제피러스 듀오와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Lenovo의 요가북 C930 정도.[27] 갤럭시 폴드폴더블폰과 비슷한 형태의 노트북을 의미한다. Lenovo에서 생산한 적이 있다.[28] 주로 인치 단위를 사용한다.[29] 풀키, 텐키리스 또는 특수(독자) 배열 등.[30] 알루미늄, 마그네슘, 플라스틱 등.[31] 팬이 안 들어가는 모델이 있다. 무소음 PC를 선호하는 사람이 있듯 한 번 팬리스 노트북에 맛들이면 팬이 들어간 노트북은 거들떠도 안 볼 정도라고 한다.[32] 휴대 전화처럼 SIM이 들어가는 모델이 따로 있다.[33] DC 어댑터를 쓰는 모델과 USB PD를 쓰는 모델로 양분되어 있다.[34] AMD64, AArch64[35] 舊 T4*0s 시리즈. T14의 경량형/슬림화 버전으로 본판 모델보다 200~300그램정도 가볍다. 다만 가벼운 대신에 전력세팅이 빡빡하게 되어있어 쓰로틀링이 빨리 걸리며 RAM이 온보드로 추가가 불가능하다. 본판인 T14도 많이 경량화되며 두 모델의 무게 차이가 100그램 내외로 좁혀졌다. 아주 약간 무거운 걸 대가로 더 저렴하고 확장성이 좋은 T14를 선택하는 유저도 꽤 많다.[36] 주로 50~70 라인[37] 그 말인 즉, 게이밍 노트북 중 일부 경량—고급 지향 제품들과 크리에이터 노트북 중 GPU에 대한 설계 전력이 높은 제품들은 두 범주의 경계에서 양자 모두로 취급될 수 있다. 두 범주 모두 고성능을 지향하며, 설계 단에서 가지는 차이는 특정 하드웨어의 탑재 유무가 아니라 용도에 상부하는 비중 분배와 그에 따른 설계 전력 차이 뿐이기 때문이다.[38] 인텔 맥북 시절의 설계를 확인하면 본격적인 모바일 워크스테이션의 구성을 취하고 있으나, Apple Silicon으로 이주하며 하드웨어적 근거로 범주를 규정하기는 어려워졌다. 성능 구간과 용도를 고려하면 옵션에 따라 크리에이터 노트북과 모바일 워크스테이션 양자의 특성을 겸한다.[39] 구형 15, 17 포함[40] X1 Extreme 포함[41] 저성능 작업인 워드프로세서나 엑셀 사용 등을 말하는 것으로, 그래픽을 다루는 고성능 작업 또한 필요하면 모바일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함[42] 일례로 파나소닉 렛츠 노트의 경우에는 대략 2010년 라인업까지 초저전력 CPU를 사용했다.[43] 가상화, 원격제어, 보안 요소를 통합하여 중앙 집중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인텔의 기업용 플랫폼[44] 이걸 쓰는 사람들의 경우 노트북에 저장된 자료가 날아가면 수천만 원에서 수십억대의 손실을 보는 상황이며, 심지어 도난이라도 당한다면 그 손실은 상상을 초월하는 경우도 많다.[45] 몇몇 모델들은 별도의 도구 없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하드디스크를 탈착할 수도 있게 설계된다. 위급상황에서 노트북을 들고 나오지 못할 경우 하드디스크라도 분리해서 중요한 자료가 망실되거나 타인에게 탈취당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다.[46] 키보드에 물 쏟아도 털어만 내고 전원 켜도 된다는 의미가 아니다. 전원과 배터리를 모두 제거하고, 뒤집어서 어느정도 건조시킨 후 바로 서비스센터에서 상태를 확인한 후 정상 판정을 받고 사용해야 한다. 이마저도 맹물이 아닌 음료라면 세척작업이 필수적이며 예후가 좋지 않다. 2010년대 초중반 모델까지는 키보드에 배수로까지 마련된 모델이 제법 많았지만 노트북들이 슬림화, 경량화된 현재는 키보드와 메인보드 사이에 약간의 액체 유입만 막아줄 실링 처리만 되어있는 경우가 대부분.[47] ECC를 지원하는 SODIMM 자체는 존재하며 HP Moonshot 등 클러스터 서버에 주로 사용되었다. EP3L-12800E 등[48] 풀로드 기준 평균 4시간, 잘 아껴쓰면 12시간.[49] 예전엔 씽크패드도 마그네슘 합금 외장+마그네슘 롤케이지었으나 현재는 카본파이버 재질 외장+마그네슘 롤케이지로 갈아탔다.[50] 물론 케어 별도 구매시에는 자기가 부숴도 교체해줄 정도이니 예외. 30만 원이라는 게 함정..[51] 요즘 나오는 P시리즈보다는 낮고 단종된 모델이지만 W 시리즈 자체가 워크스테이션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라인업이기 때문에 추가한다.[52] 현재 P시리즈에서 이 포지션은 P1*s 제품군이 담당하고 있다. T14, T16 섀시로 만든 보급+경량형 워크스테이션이라 보면 된다.[53] 모바일 쿼드로는 지포스와는 다르게 액정 크기에 따라 탑재할 수 있는 그래픽카드 등급의 제한이 있다.[54] 가격은 9,999$[55] 원래 G시리즈였으나 현재는 W시리즈라는 별도의 라인업으로 분리되었다.[56] '유로'라고 쓰여있어서 유럽권 국가의 회사같지만 실제로는 캐나다회사다.[57] Windows on ARM 제품군이 있기는 하나 성능이나 잠재성이나 글쎄올시다이다.[58] 사용 중인 요금제에 기본 용량이 많다면 OPMD를 이용해도 무방하다.[59] 셀룰러 모뎀이 AP에 통합돼 있다.[60] 단 모뎀 슬롯은 있는데 SIM 슬롯이 없어서 설치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며, 안테나 케이블 매설 작업의 난이도가 높다.[61] 대부분 Tablet PC Edition을 탑재했다. 스티커 메모나 필기장 등 일반 Windows XP에 없는 몇 가지 기능이 추가되었다.[62] 대표적으로 화상키보드가 영어뿐이었다.[63] 울트라 씬 노트북의 경우 셀러론N/펜티엄N이 아닌 셀러론U/펜티엄U가 주류를 이루며 아키텍처도 완전 딴판이라 사실상 별개라도 봐도 된다.[64] 물론 ASUS의 Mothership이나 그 후속제품인 Flow Z13처럼 노트북이면서도 성능을 위해 본체가 화면 뒤에 달린 제품들도 있긴 하지만, 이런 제품들이 다 그렇듯 결코 대중적인 제품이라 볼 수는 없다. 이들은 탈착식 키보드 등 사실상 게이밍 + 2in1 노트북에 가까우며 가격도 매우 비싸다.[65] IT조선에서는 대략 2011까지도 데스크노트라는 용어를 중량급 게이밍 노트북을 지칭하는 단어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66] 2021년 4월 현재 다나와 노트북 카테고리에는 아예 18 인치 이상의 서브카테고리가 없다. 애초에 요샌 18~20 인치 급 패널을 만드는 회사도 별로 없다.[67] 일부 모델은 SIM을 장착해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기도 한다.[68] 먼저 필수적인 장비만 해도 열풍기, 인두기, 플럭스, 핀셋, 히팅플레이트(프리히터)가 필요하고 그 외의 장비도 필요할 수도 있다.[69] 하스웰 시절까지는 교체 가능했다.[70] 이마저도 '이론 상 가능은 하다' 정도지 노트북용 탈착식 CPU나 GPU를 구하는 게 매우 어려워서 거의 유명무실했다.[71] 하판을 열자마자 일단 배터리 커넥터부터 분리하면 웬만해서는 뭐가 잘못될 일이 없다. 일단 제조사들은 RAM이나 SSD 증설을 원하면 서비스센터에 방문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72] 그나마 배터리 탈착형 노트북이었던 시절에는 나사만 풀면 하판이 열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지금은 나사를 풀어도 기타피크 등으로 틈을 벌리는 작업이 따로 필요한 수준.[73] 각각 엔지니어링 샘플/퀄리티 샘플의 약자로 기업 등에 샘플로 뿌려지는 것이기에 비매품이며, A/S가 안 된다. 다만 배수락이 풀려있는 경우가 많기에 종종 거래되곤 한다.[74] 그나마 다행히도 데스크탑용 RTX 4070 노멀의 성능은 넘는다.[75] 요즘 나오는 노트북은 USB PD 지원에 힘입어 보조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모델도 있다.[76] 그래서 쿨러가 멈추면 자동으로 셧다운하고 쿨러 고장 메시지를 띄운다. 물론 이 기능이 없는 기종도 아직 많다.[77] 부품이 있어도 개인이 교체하기 힘든 게, 작은 크기에 부품을 쑤셔넣다 보니 쿨러를 탈거하기 위해 사전에 뜯어야 할 부품이 한두 개가 아니다. 당연 기종마다 쿨러 디자인도 다 다르다.[78] 고정나사의 크기나 위치가 모든 회사 모든 기종 거의 표준화되어있는 데스크톱에 비해 작은 크기에 부품을 집약하는 노트북 특성상 같은 회사의 제품, 심지어 같은 회사 같은 시리즈의 제품이라도 나사의 위치나 힘을 가해 뜯어야 할 부분이 모두 다르다. 엔지니어들조차도 해당기종의 분해매뉴얼이 없으면 거의 못한다. 그 예로 삼성 갤럭시갤럭시 북 시리즈라면 삼성전자서비스에서 애프터 서비스를 담당하는데 노트북만 따로 전담하는 전문 엔지니어가 따로 있을 정도다. 이처럼 노트북만 전담하는 전문 엔지니어가 없다면 해당 센터에서는 노트북 수리가 아예 불가능한 수준이다.[79] 의외로 중국은 일본, 한국과는 다르게 구타 및 가혹행위에 전혀 관대하지 않다. 기본적으로 모병제를 채택하고 있는 데다 선진병영문화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 마찬가지로 군납비리 역시 매우 엄격하고 가혹하게 처벌한다. 이런 건 국군도 본받을 필요가 있다.[80] 인터넷이 안 되는 부대에서는 지뢰찾기나 카드놀이는 물론 Windows 7이 깔린 구형 노트북은 Purble Place나 체스를 하는 등 기본으로 내장된 게임을 할 수도 있다. 스토어 따위는 없는 Windows 10 Enterprise LTSB/LTSC라면 포기하자.[81] 서비스 엔지니어에게 해당하는 내용으로 같은 이유로 해당 노트북 수리 시 접수된 상태 그대로 인터넷에 연결하면 안 된다. 보안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 만약 인터넷을 연결해야 할 상황일 경우 기존 저장장치를 일시적으로 제거한 후 테스트용 저장장치를 연결하여 작업해야 한다.[82] 온도가 잘 내려가는 경우도 있지만 차이 없는 경우도 있고, 오히려 열이 갇혀서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83] 냉각팬이 들어가지 않는 노트북은 따로 '팬리스(fanless)'라고 부른다.[84] ASUS 노트북들의 My ASUS 프로그램에는 기본 탑재되어 있다.[85] 후술하겠지만 음료 등을 옆에 놓고 자주 마시는 환경인 경우 키스킨을 씌워둬야 할 수 있다. 노트북 등에 음료를 쏟을 경우 내부에 음료가 침투하는 것을 어느 정도 막아주기 때문. 그 외 강의실이나 도서관 등 소음을 줄여야 하는 환경이어도 사용해야 하지만, 2010년 이후 출시되는 제품들은 키스킨이 없어도 소음이 덜하도록 설계하기 때문에 너무 세게 타건을 하지 않는다면 키스킨이 없다고 소음이 크게 나진 않는다.[86] 대표적으로 ThinkPad X1 Carbon 10세대 이후 모델[87] 예를 들면 HP의 케어팩. 해당 서비스에는 "ADP(Accidental Damage Protection, 고객 과실 보증(1회 한정)#)"라는 보증을 선택 또는 포함할 수 있다.[88] 상판의 가운데를 잡고 열 때 가장 편하게 열 수 있도록 상하판 가운데에 홈을 파두거나, 얇은 베젤에 고성능 웹캠을 넣기 위해 불가피하게 튀어나온 상판의 중앙부가 손잡이 역할을 겸한다.[89] 실제로 시스템 종료나 절전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그냥 노트북 덮고 (그후 노트북 동작이 완전히 멈췄는지 확인하지도 않고) 가방에 넣어 다니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 상기했듯이 장기적으로 노트북 수명을 갉아먹는 위험한 행동 중 하나다. 팬리스 모델은 사정이 좀 나은 편.[90] 그렇다고 바로 가방에 넣는 행동은 자제하도록 하자. 절전 모드 전환이 완료될 때까지는 노트북이 계속 동작하고 있기 때문이다.[91] 정확히 말하자면 어댑터 자체에는 충전기능이 없다. 말 그대로 전원공급 역할만 하며, 실제 충전기능은 노트북 본체에 있다. 자세한 내용은 충전기 문서 참조.[92] 예컨대 하드카피를 해야 할 경우가 있겠다. VGA 단자직렬 포트 단자도 아직 쓰이는 곳이 남아 있다.[93] 아예 고장나면 새로 사면 될 수준으로 싸면 모르겠지만, 그럴 가능성은 낮다.[94] 특히 Lenovo와 ASUS는...답이 없는 수준으로 유명하다. 그나마 규모가 크고 직영으로 운영되는 Lenovo 강남센터나 ASUS 로얄클럽은 좀 낫다는 평가가 있으나 이곳들마저도 크게 기대할 수준은 못 된다. 로얄클럽의 경우 악평이 대부분일 정도.[95] 보통 3년[96] 외산 브랜드는 꼭 본인 과실로 인한 고장이 아니더라도 과실보증 유무에 따라 AS 품질이 크게 차이난다. Lenovo ADP의 경우 부품 수급 문제만 제외하면 국산 브랜드의 AS 수준까지도 올라간다는 평이 많다.[97] 온라인 게임 같으면 아무리 출시된 지 오래되었다 할 지라도 물리엔진이 최소한 한번 이상은 변경이 안 될거란 보장이 없으므로 교체를 앞둔 상황이면, 해당 게임회사의 공지사항을 수시로 참조하여 실질적인 요구사양이 올라가서 권장사양으로만 맞춰서는 즐기기 힘들겠다 싶으면 비용을 조금 더 모아서 권장사양을 훨씬 능가하는 사양으로 맞춰놓는 게 좋다. 그런데, 어차피 서비스한지 10년 넘어가는 온라인게임은 사양이 아무리 올라간다 해도 2022년 현재도 권장사양이 램 8GB를 넘는 경우가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직까지 노트북의 쓰임새는 유용할 것이다.[98] GPU가 망가진 경우 eGPU를 쓰거나 A/S센터 방문 혹은 납을 녹여서 교체하면 된다. 일부 노트북은 내장그래픽만 쓸수도 있다. 현존하는 모든 모바일 제품군이 강력한 내장그래픽을 지녔기에 옵션타협 좀만 하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