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6:19:39

깐숙




파일:깐숙배너.pn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dddddd><colbgcolor=#CCACEE><colcolor=#fff><width=25%> 방송 정보 ||방송 역사 · 방송 특징 · 방송 장비 · 플레이한 게임 목록 ||
대회 이력 리그 오브 레전드 · FC 온라인
기타 캐릭터 · 별명 · 스트리머들과의 관계 · 관련 파일
<colbgcolor=#CCACEE><colcolor=#fff> 깐숙
nangnan
<nopad> 파일:깐숙_프로필.png
출생 2001년 4월 27일 ([age(2001-04-27)]세)
본관 진주 강씨 (晉州 姜氏)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거주지 서울특별시
신체 158.9cm│A형
성별 여성
가족 부모님, 오빠(1998년생)[1]
학력 여자고등학교 (졸업)
MBTI ISTP
데뷔 2024년 7월 13일
(첫 방송일로부터 [dday(2024-07-13)]일, [age(2024-07-13)]주년)
상징색
연보라색
주 콘텐츠 Just Chatting, 리그 오브 레전드
소속 SOOP 스트리머
게임 닉네임
[ 펼치기 · 접기 ]
* 리그 오브 레전드
  • 강깐숙 #KR1 #
  • 강깐지 #4444 #
  • 낭낭 18세 #KR1 #
  • FC 온라인
  • 강깐숙 # #
  • 로스트아크
  • 권왕파천루 #
  • 깐숙아범 #
  • 마인크래프트
  • ggansuk #
  • 발로란트
  • 강깐숙 #KR1[2] #
  • ggansuk #4444[3] #
별명 깐북이, 깐쇼새우, 깜시, 깐더지 등
상세 내용은 해당 문단 참고.
플랫폼 파일:SOOP 아이콘.svg 깐숙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깐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풀영상
플랫폼 현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SOOP 아이콘.svg 깐숙
애청자 1.37만명
팬클럽 2.72천명
구독자 91명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깐튜브
구독자 6.33천명
조회수 569,370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긴깐숙
구독자 365명
조회수 7,075회
기준: 2025년 4월 13일
}}}}}}}}}||

1. 개요2. 소개3. 캐릭터
3.1. 아바타
4. 방송 정보
4.1. 방송 개요4.2. 방송 역사4.3. 방송 장비4.4. 채팅 규칙
5. 방송 특징
5.1. 퍼스나콘과 구독티콘5.2. 시그니처 풍선
6. 게임 콘텐츠7. 대회 이력8. 별명9. 타 스트리머들과의 관계10. 여담

1. 개요

마스터 미드 깐숙의 등장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롤 좋아하는 사람
SOOP 방송국 소개란||

SOOP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인터넷 방송인.

2. 소개

3. 캐릭터

3.1. 아바타

파일:첫깐숙.jpg
▲ 첫 아바타 (2024. 7. 13.)
새로운 의상 및 헤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0px -11px"
파일:깐숙의상.png 파일:깐숙뉴의상헤어.png
▲ 2025. 2. 4. ▲ 2025. 2. 16.
파일:깐숙뉴의상헤어2.png 파일:깐숙뉴의상헤어3.png
▲ 2025. 2. 16. ▲ 2025. 3. 26.
파일:깐숙뉴의상헤어4.png 파일:깐숙뉴의상헤어5.png
▲ 2025. 3. 27. ▲ 2025. 3. 29.
파일:깐숙뉴의상헤어6.png
▲ 2025. 4. 2.
}}}}}}}}} ||
#474f7a}}}
#fffbc5
#deaecd
왼쪽부터 헤어, 이너, 눈동자색이다.] 등 참고용으로 그림을 그려서 보내줬다고 한다.[주의]

4. 방송 정보

4.1. 방송 개요

4.2. 방송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깐숙/방송 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깐숙/방송 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깐숙/방송 역사#|]][[깐숙/방송 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방송 장비

4.4. 채팅 규칙

📌 타비 비하 및 욕설 금지
📌 리모콘 및 희롱하는 채팅 금지
📌 어그로성 채팅 및 반복 채팅 금지
📌 랜드 및 CK 시 밸런스 언급 금지
📌 억까 및 억빠 채팅 금지
📌 닉 언급, 비꼬는 채팅, 반응 채팅 금지
위 사항을 어길 시 채금, 채금 2회 시 블랙
🚨 라이브 방송 채팅 규칙 🚨

5. 방송 특징

5.1. 퍼스나콘과 구독티콘

<rowcolor=#fff> 퍼스나콘[12]
<rowcolor=#CCACEE> 파일:깐발바닥.png 파일:보라판다.png 파일:새싹판다.png
<rowcolor=#fff> 1개월 3개월 6개월
<rowcolor=#CCACEE> 파일:유치원판다.png 파일:리본판다.png 파일:안경판다.png
<rowcolor=#fff> 9개월 12개월 15개월
<rowcolor=#fff> 구독티콘
<rowcolor=#CCACEE> 
 파일:안녕깐.png  파일:우미깐.webp  파일:눅눅깐.png  파일:까딱깐.webp 

 파일:살벌깐.png  파일:분노깐.png  파일:따봉깐.png  파일:의문깐.png 
 

5.2. 시그니처 풍선

<rowcolor=#fff> 시그니처 풍선
파일:깐숙_시그니처풍_177개.png 파일:깐숙_시그니처풍_504개.png 파일:깐숙_시그니처풍_767개.png 파일:깐숙_시그니처풍_1477개.png
<rowcolor=#ffffff> 177개
하나뿐인 깐숙
504개
하아마
767개
깐수기
1477개
천사깐숙

6. 게임 콘텐츠

6.1. 플레이한 게임

6.2. 리그 오브 레전드

<rowcolor=#F4C15D> 계정 시즌 최고 티어 최종 티어
강깐숙
시즌 10 파일:lol_diamond_s2022.png 다이아몬드 2 파일:lol_diamond_s2022.png 다이아몬드 3
시즌 11 파일:lol_diamond_s2022.png 다이아몬드 1 파일:lol_diamond_s2022.png 다이아몬드 3
시즌 12 파일:lol_master_s2022.png 마스터 파일:lol_master_s2022.png 마스터
시즌 13-1 파일:lol_master_s2022.png 마스터 파일:lol_master_s2022.png 마스터
시즌 13-2 파일:lol_master_s2022.png 마스터 파일:lol_diamond_s2022.png 다이아몬드 2
시즌 14-1 파일:lol_master_s2022.png 마스터 파일:lol_master_s2022.png 마스터
시즌 14-2 파일:lol_master_s2022.png 마스터 파일:lol_master_s2022.png 마스터
시즌 14-3 파일:lol_master_s2022.png 마스터 파일:lol_master_s2022.png 마스터
<rowcolor=#F4C15D> 계정 시즌 최고 티어 최종 티어
강깐지
시즌 10 파일:lol_silver_s2022.png 실버 1 파일:lol_silver_s2022.png 실버 1
시즌 11 파일:lol_platinum_s2022.png 플레티넘 1 파일:lol_platinum_s2022.png 플레티넘 2
시즌 12 - -
시즌 13-1 파일:lol_platinum_s2022.png 플레티넘 1 파일:lol_platinum_s2022.png 플레티넘 1
시즌 13-2 파일:lol_s2023_emerald.png 에메랄드 1 파일:lol_s2023_emerald.png 에메랄드 1
시즌 14-1 - -
시즌 14-2 파일:lol_s2023_emerald.png 에메랄드 1 파일:lol_s2023_emerald.png 에메랄드 1
시즌 14-3 파일:lol_s2023_emerald.png 에메랄드 3 파일:lol_s2023_emerald.png 에메랄드 4
}}}

6.3. FC 온라인

파일:깐숙스쿼드.png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

6.4. 마인크래프트

6.4.1. 퍼켓몬: PERKeMON

6.5. 발로란트

6.6. 로스트아크

7. 대회 이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깐숙/대회 이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깐숙/대회 이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깐숙/대회 이력#|]][[깐숙/대회 이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별명

9. 타 스트리머들과의 관계

10. 여담


[1] 3살 터울이며, 깐숙과 디코를 하며 롤 듀오를 했다. 깐돌이라는 별명이 생겼다.[2] 한국 서버 닉네임.[3] 아시아 서버 닉네임.[4] 이후에 밝히기를 녜힁 제조기를 썼다고 한다.[5] 2024년 7월 13일, 방송 시작 이후로 현재 캐릭터를 사용하고 있다.[6]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4px; border-radius: 20px; background: #474f7a; font-size: 14px[주의] 파일:깐숙_참고용 그림.png[8] 컬러풀 기업의 제품을 사용중이다.[9] 안녕수야로부터 받은 컴퓨터는 보관중이라고 한다.[10] 규치원 원장인 김규태로부터 지원받았다.[11] AG03와 AG06 중 어떤 모델인지는 불명.[12] 퍼스나콘의 동물은 레서판다라고 한다.[13] 주 콘텐츠.[14] Get To Work는 이후의 롤 합방 일정 때문에 클리어하지 못했다.[15] 100점 미션을 2판 만에 클리어할 정도로 수준급의 실력이다.[16] 타임라인 07:27:10 부터 시작.[17] 최고 티어는 S14-2 마스터 402점.[18] 예전엔 카시오페아 원챔이었다고 한다.[19] 전 프로 출신 및 챌린저 스트리머들에게 화면과 마우스질이 깔끔하다, 무빙이 좋다 등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20] AD 챔프의 사용은 가능하나, 디테일이 부족하다. 또한, 암살자 챔프를 스탠딩 메이지처럼 플레이한다.[21] 스승인 최기명은 혼자 롤이 아니라 철권을 하는 것 같다고 이야기했다.[22] 요네, 스몰더, 시비르 등 AD 챔피언을 연습도 하고 가끔 사용하기도 한다.[23] 방송 종료 후에 방송을 본 아버지가 전술 보드를 가지고 와서 빌드업에 대해 설명해 주었다고 한다.[24] 얼떨결에 침대를 훔쳐서 사죄의 마음으로 지었으나, 알고 보니 그냥 주는 아이템이었다.[25] 인간 스트리머는 유치장, 버츄얼 스트리머는 규치소.[26] 3막은 첫 트라이.[27] 롤랜드나 CK에서 캐리했을 때 주로 불리는 별명이다.[28] 뒷길 사용 및 너무 안전한 텔 위치가 이유.[29] 깨박이와 같은 팀으로 플레이했을 때 좋은 모습을 자주 보여줘서 지어진 별명이다. 1일 3깐 숭배[30] 슈퍼 플레이를 했을 경우엔 킹깐슈기가 된다.[31] 3챌 패널티도 한몫하며, 깐키리코끼리+깐숙, 맘모숙맘모스+깐숙 등 몸집이 거대한 동물도 있다.[32] 파일:깐숙_견자희_롤링페이퍼.png[33] 파일:깐숙_견자희_롤링페이퍼2.png[34] 김된모가 운영하는 발치원.[35] 김민교가 CK를 진행하면서 이라333은 넣고 깐숙은 제외했는데, CK 후 랜드에서 별풍선을 쏴서 맞밸로 하고 싶다고 전자녀를 넣은 것이 발단.[36] 야옹민지순당무의 추천도 있었다.[37] 에임 위치 및 점사 사용.[38] 많이 해본 적 없는 챔피언이어서 숙련도와 디테일이 부족하다.[39] 라인전 및 사이드 플레이의 디테일과 함께 겁쟁이 미드 라이너 라는 별명도 획득.[40] 해깐데스크.[41] 귀멸의 칼날, 스파이 패밀리, 원펀맨, 최애의 아이,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등.[42] 생긴 게 귀엽고, 옷 입히는 맛이 있을 것 같다고 한다.[43] 오리지널.[44] 학생 때 친구가 민트 초코 아이스크림을 자주 먹었는데 맛이 궁금해서 한입 뺏어 먹고는 그때부터 안 쳐다보기로 했다고 한다.[45] 어렸을 때 가족이 생 당근을 먹어보라고 해서 먹었는데 한입 먹자마자 헛구역질을 했고 그 이후부터 싫어한다고 한다.[46] QoS 제한이 원인.[47] 바다는 모래도 그렇고 뒤처리가 힘들어서 별로라고 한다.[48] 본인이 느끼길 중간에 있는 크림이 많아서 덜 달다고 한다.[49] 순댓국, 설렁탕, 갈비탕 등 이런 메뉴들을 잘 안 먹는다.[50] 마지막 시력 검사는 면허를 따기 위해 했으며 우안 1.5, 좌안 1.2 정도라고 한다.[51] 사이즈는 M.[52] 파일:깐숙젠지유니폼.png[53] 수치는 몸무게 43kg, 골격근량 18.5kg, 체지방 7.9kg.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