肉 고기 육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肉,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6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ニク, ジク | ||||||
일본어 훈독 | しし | ||||||
- | |||||||
표준 중국어 | ròu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 |
1. 개요
肉은 '고기 육'이라는 한자로, '고기', '몸', '근육(筋肉)'을 뜻한다.2. 상세
肉은 동물의 고기를 의미하며 글자의 자원은 잘라 썰어낸 갈비 부위 고기 조각의 형상을 본뜬 상형자이다. 위 뜻과 대응되는 인간의 고기는 肌자로 나타내는데 한대 이후는 肉이 인간의 근육도 의미하게 되었다. 의미를 확대해보면 과일의 껍질을 벗긴 과실의 부분을 가리키기도 한다.[1]현대 중국어와 중국의 오랜 지배로 그 영향을 받은 베트남어에서 肉이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돼지고기를 가리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국인들의 유구한 돼지고기 사랑이 엿보이는 부분이다. 기타 다른 고기를 나타낼 때는 肉 앞에 牛(소 우), 羊(양 양), 鷄(닭 계)와 같은 동물명을 붙인다. 반면 한국이나 일본은 쇠고기를 가리키는 경우가 아직도 많다. 중국에 비해 돼지를 대량으로 사육하기 애매하던 기후[2][3]와 농업생산량 탓도 있고, 중세 시대에 불교의 영향을 깊이 받아서 식용 고기 자체를 잘 기르지 않게 되었다가 뒤늦게[4] 농사에 쓰느라 접할 일이 많았던 가축인 소를 그나마 좀 더 자주 먹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전에는 內(안 내)의 영향으로 肉의 맨 위의 人(사람 인) 모양을 入(들 입) 모양으로 쓴 적이 있었지만, 요즘에는 人으로 바꿔 쓰고 있다.
유니코드는 U+8089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BO(人月人)로 입력한다.
이체자로 宍{宀부 4획, 유니코드 5B8D, 창힐수입법 十卜金(JYC)}이 있는데, 현대에는 일본의 지명이자 성인 시시도(宍戸), 신지 또는 시시토(宍道)를 표기할 때에만 쓰인다.
3. 자형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4. 용례
4.1. 단어
- 계육(鷄肉)
- 골육(骨肉)
- 과육(果肉)
- 근육(筋肉)
- 다육(多肉)
- 돈육(豚肉)
- 발골육(發骨肉)
- 사육제(謝肉祭)
- 수육(熟肉) - 원음은 '숙육'이다.
- 식육(食肉)
- 어육(魚肉)
- 우육(牛肉)
- 유육종증(類肉腫症)
- 육계(肉桂)
- 육돈(肉豚)
- 육두구(肉荳蔲)
- 육류(肉類)
- 육미(肉味)
- 육박(肉薄)
- 육성(肉聲)
- 육수(肉水)
- 육식(肉食)
- 육신(肉身)
- 육아(肉芽)
- 육안(肉眼)
- 육우(肉牛)
- 육정(肉情)
- 육즙(肉汁)
- 육지니(肉지니)
- 육질(肉質)
- 육체(肉體)
- 육친(肉親)
- 육탄전(肉彈戰)
- 육포(肉脯/肉包)
- 육필(肉筆)
- 육회(肉膾)
인육(人肉)- 정육(精肉)
- 편육(片肉)
- 혈육(血肉)
4.2. 고사성어/숙어
4.3. 인명
4.4. 지명
4.5. 기타
5.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명칭:고기육부
강희자전에 130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49,030자 중 674자가 수록되었다.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동물의 몸이나 장기, 유체의 생육, 비만이나 여윔, 부상, 병듦에 따른 몸의 변화, 육식, 제사, 고기 요리에 관한 뜻을 나타내며 月(육달월)과 같은 형상으로 변화되어 사용된다. 육달월이 발에 오면 왼쪽 획이 휘지 않고 똑바로 서 있는 ⺝ 모양으로 바뀐다. 단, 대만과 홍콩에서는 月(달 월)과의 혼동을 막기 위해 ⺼로 쓰며, 발에 올 때도 왼쪽 획을 삐침으로 쓴다.[5] 肉이 발에 오면 腐처럼 그대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육달월은 대개 변(왼쪽)이나 발(아래)에 오는데, 胡(되 호)처럼 드물게 방(오른쪽)에 오는 경우도 있다.[6]
肉이 다른 글자의 일부로 쓰일 때 月로 변형된 탓에, 구성 순서 및 위치가 동일한 月+A 조합 글자와 肉+A 조합 글자가 일종의 거짓짝이 된 경우가 있다. 여기에 해당하는 경우는 朣(달뜰 동)-膧(살찐모양 동), 朦(흐릴 몽)-䑃(풍부할 몽), 朧(흐릿할 롱)-𦢫(살찐모양 롱) 등이다.
오늘날 중국의 부수에서는 육달월부를 폐지하고 달월부에 통합, 기존의 고기육부에 속한 글자들 중 肉이 원형 그대로 쓰인 글자들만 고기육부로 남겨놓고 肉이 육달월로 쓰인 글자들은 달월부에 편입시켰다. 부수/중국 참고.
5.1. 부수 예
추가 획 | 한자 |
기본자 | 肉 月 |
2획 | 肋 |
3획 | 肝 肖 肛 |
4획 | 育 肥 肩 肯 肢 肪 |
5획 | 肺 背 胞 胡 胃 胎 胚 |
6획 | 能 脈 胸 脅 胴 脂 胱 |
7획 | 脫 脚 脣 脯 |
8획 | 腐 腎 腔 腑 |
9획 | 腸 腹 腰 腦 腱 腺 腫 |
10획 | 膏 膈 膀 |
11획 | 膜 膚 膝 膣 |
12획 | 膨 膳 膵 |
13획 | 膽 膿 膾 膺 臆 |
18획 | 臟 |
5.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고기육부, 육달월
- 중국:[ruby(肉部, ruby=ròubù)]
- 일본:にく, にくづき
- 미국:Radical meat
6. 유의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内(안 내)
[1] 중국티베트조어에서 '부드러움'을 뜻하는 어휘들과 어원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 다만 냉대건조기후대에 위치했던 부여, 고구려, 발해는 건조한 추위를 견디기 위해 지방이 많아 비교적 칼로리가 높은 돼지고기를 즐겨먹었다. 물론 대부분 왕족이나 귀족들이 주로 먹었고 평민들은 제사같은 국가 중대사를 치르는 날이 아니면 구경도 못했지만...[3] 애초에 중국도 돼지고기 요리가 제대로 발달한것은 만주에서 발흥한 만주족이 중원으로 들어와 청나라를 세우면서 본격적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 현대 중국의 돼지고기 요리들은 송나라 시대의 동파육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 청나라 시대의 산물이다.[4] 한국은 원 간섭기에 시작되어 본격적으로는 조선시대부터, 일본은 메이지 유신 때부터.[5] 여기서는 ⺆ 안에 丶 두 개가 위아래로 나란히 있는 모습으로 보일 수도 있겠으나, 이 링크를 보면 ⺆ 안에 冫 비슷한 형태가 들어가 있는 형태로 나와 있다. 이 예시를 보면 대만과 홍콩에서는 해당 형태로 쓰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6] 肉부는 아니지만 㱚(찌꺼기 잔)도 육달월이 방으로 오는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