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05:43:14

에서 넘어옴
현대 가나 오십음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eee,#2d2f34>
기타 탁점 · 요음 · 촉음 · · ヶ, ヵ }}} * 음영 처리: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
* 둘러보기: 틀:히라가나 · 틀:가타카나
}}}}}} ||

1. 개요2. や행 전반에 해당되는 사항3. あ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4. 모양5. 발음6. 쓰임
6.1. 명사를 잇는 조사6.2. 간사이벤의 조동사6.3. 기타
7. 한자
7.1. 음독7.2. 훈독
8. 한글 표기

1. 개요

히라가나 가타카나
'''''' <colbgcolor=white,#1f2023> ''''''
국립국어원 표기법
라틴 문자 표기 ya
IPA [jä][1]
히라가나 자원 초서
가타카나 자원 약자
일본어 통화표 [ruby(大和, ruby=やまと)]のヤ(야마토노 야)
유니코드 U+308(E)4
일본어 모스 부호 ・--
や행 あ단 글자이다.

2. や행 전반에 해당되는 사항

や행의 초성은 유성 경구개 접근음이다. 또한 /j/가 들어간 모음들을 표시하기 위해 い단과 조합할 수 있다. キャ / ジャ 등. 그 외에 ヴ / フ / テ와도 조합해 /vjä/, /fjä/, /tjä/의 소리를 낼 수도 있다.

3. あ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중설 평순 저모음(/ä/)으로 중설 평순 근저모음인 한국어 ㅏ(/ɐ/)보다 약간 혀가 더 내려간다. 다만 NHK에서 펴낸 한국어 교재에는 'ㅏ'의 발음이 'あ'와 같은 발음이라고 표기됐다. 사실상 구분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차이라는 것.

일본어에는 '어' 계열 발음이 없기 때문에 외래어에서 '어'와 유사한 발음이 나는 발음들은 일본어에 들어올 때 주로 あ단으로 적는다. 그리고 영어의 er, or, ar을 모두 あ단으로 적는다. ex) peanut[ˈpiːt] → ピーッツ. 다만 한국어를 가나로 표기 할 때에는 ㅓ가 원순모음의 경향이 많기 때문에 お단으로 쓴다. ex) 선 → ソン

4. 모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2%84-bw.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3%A4-bw.png

둘 다 어조사 야(也)에서 왔다. '어조사'라는 뜻풀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한자는 단어 단위로는 그다지 쓰이지 않는다. 한문에서는 어조사 의(矣)와 함께 문장 끝에 자주 온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도(역시)' 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히라가나 や는 폰트에 따라서 세로획 두 개를 이어서 쓰기도 한다.

5. 발음


6. 쓰임

6.1. 명사를 잇는 조사

한국어 '~나'와 비슷하게 서로 동등한 명사 둘을 잇는다. ex) 野球やサッカー(야구나 축구)

6.2. 간사이벤의 조동사

간사이벤은 や로 끝날 때가 많은데 강한 주장을 하는 조동사 역할을 한다고 한다. 표준어의 のだ와 약간 유사하다.

6.3. 기타

あ 앞에 い가 선행될 경우 '야'로 나는 것을 や로 적기도 하고, あ로 적기도 한다. や로 적는 사례는 ダイヤ(다이아몬드)가 있고,[2] イタリアブルガリア는 ア로 적는 사례. 이 두 나라도 태평양 전쟁 이전까지는 イタイヤ, ブルガリヤ라고 적었다고 한다.

일본 이름에서 끝에 や가 들어가면 대부분 남자의 인명이다. 타쿠야, 나오야, 신야, 아츠야 등.

하이쿠에서는 시상을 전환하는 키레지의 하나로 사용되며 바로 위의 단어를 강조한 후[3] 다른 장면으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7. 한자

7.1. 음독

한자 한자 특수
野夜冶
ヤク 役訳 約薬躍 액(厄)
ヤ로 시작하는 한자는 ヤ행 중에서 제일 적다. 독음 수도 2개뿐이며 한자 수도 9개뿐이다.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 ヤウ였던 것이 ヨウ로 간 것이 많다.

뜻이 있는 단어로는 野(들 야)외 冶(풀무 야)가 제일 많이 쓰인다. 그나마도 冶는 야금이나 야공 등 제철 단어에만 한정적으로 쓰이므로 음으로 읽는 한자 중에선 野가 제일 압도적이다. 野球(야구), 野生(야생), 野党(야당) 등. 다만 野는 훈으로 라고 읽을 때도 많다.

그 외에 爺(아비 야)가 있기는 하나 이 글자는 주로 爺(じじい)처럼 훈으로 읽는다. 마지막으로 椰(야자 야)가 있는데 동식물 이름에는 한자를 잘 쓰지 않고 가타카나를 쓰는 추세다 보니 '야자나무' 역시 椰子보다는 ヤシ라고 쓸 때가 많다.

也와 마찬가지로 어조사인 耶가 있다. 과거 '예수'의 한자 음차인 耶蘇(야소)에서 간간히 볼 수 있다.

7.2. 훈독

矢(화살 시) 屋(집 옥) 谷(골짜기 곡) 弥(미륵 미)가 있다.

矢는 화살을 나타내는 단어에서 훈으로 꽤 자주 읽는다. いちのや(처음 쏜 화살), あだや(빗맞은 화살) 등.

은 일본어에서 이라는 의미를 넘어서 '~하는 사람'의 뜻을 가진다. 万屋(よろずや;만물상), 居酒屋(いざかや;선술집) 등. 이는 한국어에서 ()이 '가게'라는 뜻으로 쓰이는 것과 어느 정도 유사하다. ex) 시계방, 약방 등. 그 외의 집 모양을 한 것들에 이것저것 붙는다. 屋敷(やしき)는 저택, 屋台(やたい)는 (집 모양) 포장마차, 屋根(やね)는 지붕 등. やど 역시 보통 宿로 쓰지만 屋戸라고 풀이하는 사전도 있다.

는 や로 읽을 때가 별로 없는데 가장 자주 볼 수 있는 예는 渋谷(시부야)이다. 간혹 古谷(후루야), 塩谷(시오야) 등 사람 이름에 쓰이기도 한다.

弥는 弥生(야요이)에서 や라고 읽는다.

8. 한글 표기

무난하게 늘 '야'라고 적는다.


[1] 유성 경구개 접근음 + 중설 평순 저모음[2] 여담으로 이 단어는 '다이아몬드'뿐 아니라 (주로 철도에서) '다이어그램'을 뜻하기도 한다.[3] 잘 이해가 안간다면, 느낌표와 비슷한 효과를 준다고 생각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