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가나 오십음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eee,#2d2f34> | 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
あ행 | あ | い | う | え | お | ||
か행 | か | き | く | け | こ | ||
さ행 | さ | し | す | せ | そ | ||
た행 | た | ち | つ | て | と | ||
な행 | な | に | ぬ | ね | の | ||
は행 | は | ひ | ふ | へ | ほ | ||
ま행 | ま | み | む | め | も | ||
や행 | や | ゆ | よ | ||||
ら행 | ら | り | る | れ | ろ | ||
わ행 | わ | ゐ | ゑ | を | |||
ん | ん | ||||||
기타 | 탁점 · 요음 · 촉음 · 々 · ヶ, ヵ | }}} | * 음영 처리: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 * 둘러보기: 틀:히라가나 · 틀:가타카나 |
1. 개요
히라가나 | 가타카나 |
'''ぬ''' | <colbgcolor=white,#1f2023> '''ヌ''' |
국립국어원 표기법 | 누 |
라틴 문자 표기 | nu |
IPA | [nɯ̹][1] |
히라가나 자원 | 奴의 초서 |
가타카나 자원 | 奴의 약자 |
일본어 통화표 | [ruby(沼津, ruby=ぬまづ)]のヌ(누마즈노 누) |
유니코드 | U+306(C)C |
일본어 모스 부호 | ・・・・ |
2. な행 전반에 해당되는 사항
に를 제외한 な행은 유성 치경 비음이며, に는 구개음화되어 치경구개 비음이다. 비음의 특성상 무성음은 없으므로(세계적으로도 드문 편) 탁음을 쓰지 않는다.3. う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모음은 후설 평순 고모음(/ɯ/)으로 한국어의 ㅡ(ɯ)와 비슷하다. 가장 큰 차이점은 한국어의 'ㅡ'는 비원순 모음이지만 일본어 う단은 약하지만 원순성을 띈 모음이라는 것. 그러나 /u/처럼 입술이 앞으로 튀어나오는 (protruding) 원순모음이 아니라 입술이 제 자리에 그대로 있는 상태로 원순성을 띈다. つ, す의 경우 비격식적인 환경에서는 원순성이 매우 약해져서 모음 부분이 한국어의 'ㅡ'와 거의 동일하게 들리기도 한다.4. 발음
5. 모양
둘 다 奴의 음에서 왔다. 사전에도 일단 ぬ가 음으로 실려있긴 한데... 보통은 음으로는 ど에서 변환이 된다. 입력 자체는 물론 훈으로 やつ라고 입력해서 변환하는 게 제일 간단하다.
원본이 되는 한자에 女가 들어있어서 히라가나나 가타카나나 め와 매우 닮았다. ぬ/め, ヌ/メ. 마찬가지로 女가 들어간(安) あ와도 조금 닮았다(가타카나 ア는 阿라서 다르다). わ - れ - ね, ろ - る와 함께 꼬리로 구분하는 세트 아이템(?).
가타카나 ヌ는 자칫하면 ス와 헷갈리게 쓰기 쉽다. 오른획을 그을 때 확실하게 X자로 넘어가게 쓰자. 한자 又와도 비슷하기는 한데...[2] ヌ나 又나 그렇게 썩 자주 쓰이는 글자는 아니라서 별 문제가 되진 않는 듯하다. 又는 また(또)를 한자로 그렇게 쓸 때도 있다.
주음부호 ㄡ(ou)와도 닮았다. 이쪽은 진짜로 위에서 닮았다고 했던 又(또 우)에서 온 글자이다.
누마즈시의 로고는 가타카나 ヌ를 형상화했다.
6. 쓰임
-ない 형에 붙어서(5단 동사일 때는 어미의 あ단, 그 외엔 る 탈락형) 부정형을 만든다. しる - しらぬ(모르다) 등. ず와 다른 점은 ず는 '않은 채' 등의 부사꼴이 된다면 ぬ는 종결형이나 수식형으로 -ない와 용법이 같다는 것이다. -ない보다 더 오래된 표현으로 쓰이는 듯하다. 그러나 현대 구어체에서는 -ん을 쓴다.그 외에는... 그다지 쓰이지 않는다. 사실 へ 항목에 걸어놓은 링크에 따르면# へ가 12만 자 중에서 고작 200자 쓰인다고 놀렸는데[3], ぬ는 그 와중에 22자 쓰인다. 0.04%로, 가장 많이 쓰이는 い보다 약 302배 적게 쓰이는 것이다. 하다 못해 ず와 겹쳐서 잘 안 쓰인다는 づ보다도 더 적다.[4] ぴ나 ぁ에 필적할 정도로 적다. 오죽하면 히라가나 ぬ를 폐지하겠다는 드립이 나올 정도.
6.1. な행 변격동사 (문어)
ぬ로 끝나는 동사는 모두 4단동사(현 5단동사)와는 다른 활용을 했다.か행 변격동사(く), さ행 변격동사(す), ら행 변격동사(あり)에 이어 일본어의 4개의 변격동사 중 하나이다. ら행 변격동사와 함께 구어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死ぬ(しぬ), 往ぬ(いぬ) 두 동사만 해당된다. 다른 변격동사와 마찬가지로 な행에서 활용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었다. 이들 동사는 다음과 같이 쓰였다.
- 未然形[부정형]: 死なない
- 連用形[명사형]: 死にます
- 終止形[끝맺음]: 死ぬ
- 連体形[수식형]: 死ぬる ex) 死ぬる人(죽는 사람)[5]
- 已然形[가정형]: 死ぬれば[6]
- 命令形[명령형]: 死ね
수식형, 가정형에서 る, れ가 들어간다는 것이 다른 동사들과 달랐다. 지금은 死ぬ 역시 다른 동사들과 마찬가지로 5단동사로 쓴다. 往ぬ는 사전에 수록되어 있기는 하지만 구어체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아 아예 사라진 것이나 다름없는 단어이다.
6.2. 이로하 노래 열번째
イロハニホヘトチリヌル로 10번째이다. 일본 중전차에는 치하, 치로와 마찬가지로 치누도 물론 있다. 경전차 10번째 케누도 존재. 일본군에서 이 글자를 넘어간 '루'까지 붙이는 경우는 별로 많지 않다.7. 한자에서
한자 음독이 ぬ로 시작하는 글자는 상용한자표 기준으로 한 글자도 없다. 물론 ぬ로 끝나는 음도 없다.[7] 사실 위에서 소개한 지극히 저조한 빈도의 원인으로는 배당 한자가 없는 것도 큰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ぬ로 시작하는 음독을 가진 한자는 정식 2개, 기타 비정식 음독[8] 2개로 총 4개 뿐이다. 孥와 駑는 ド와 ヌ가 모두 음으로 수록되었지만 두 한자 모두 용례가 거의 없고, 있다고 해도 주로 ド로 읽히므로 ヌ 음독은 거의 못 본다고 해도 마땅하다. 奴와 怒는 ド만으로 읽는 것이 원칙이며 예외적으로 ヌ로 읽힌다.[9] 왠지 ヌツ, ヌン 식으로 대응될 것 같은 訥(말 더듬을 눌), 嫩(어릴 눈)은 일본 한자음이 トツ, ドン이다. 이 음을 한국 한자음으로 치환하면 '돌'(←톧), '돈' 정도. 둘 다 상용한자에는 글자 자체가 없다. 특수한 예로 운(云)의 경우 본래는 ウン으로 읽지만 운운(云云)이라고 할 때는 /n/ 음이 덧나서 두 번째 云을 ヌン으로 읽는다(ウンヌン). 천황(天皇)을 일본 한자음으로 읽을 때 한 글자씩 읽으면 テン과 オー이지만 한 단어로 읽으면 /n/ 음이 덧나서 テンノー로 읽히는 것과 같은 이치. 상용한자에는 이 글자(云)가 수록되어 있지 않다.
상용한자표 페이지에서 (표제어 외 예문 포함) ぬ를 검색하면 총 20글자 나올 정도. 표에 실린 훈독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ぬう(縫): 꿰다
- ぬく/ぬける/ぬかす/ぬかる(抜く): 빼다. 'ぬき' 형으로 다른 동사와 같이 자주 쓰인다. (명사)ぬき로 써면 해당 명사가 빠져있다는 뜻.
- ぬぐ/ぬげる(脱ぐ): 벗다
- ぬぐう(拭う): 닦다
- ぬし(主): 주인
- ぬすむ(盗む): 훔치다
- ぬの(布): 직물
- ぬま(沼): 늪
- ぬる(塗る): 칠하다
표 외 표현으로는 ぬるい(温い, 미지근하다), ぬか(糠, 쌀겨)가 있다. ぬ 단독으로 한자 변환했을 때 나오는 濡는 ぬれる(젖다)의 어간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이것도 표 외.
(ぬ로 시작하는 것은 아니나 상용한자표 훈으로 ぬ가 들어가는 예)
- しぬ(死ぬ): 죽다
- きぬ(絹): 비단
- いぬ(犬): 개
- まぬかれる(免れる): 모면하다
- つらぬく(貫く): 꿰뚫다
이외에도 높으신 분들의 죽음을 이르는 표현으로 みうせぬ(薨ぬ)라는 용례가 있다.
이렇게 빈도가 적은 글자이지만 ぬれぎぬ(濡れ衣, 누명)이라고 첫글자/끝글자가 모두 ぬ인 표현이 있다.
8. 한글 표기
한글로는 보통 '누'로 적는다.9. 외래어에서
일본에서는 프랑스어 등에서 -nne를 ンヌ로 적는다. (예)잔 다르크 - ジャンヌ•ダルク) ン이라고만 하면 -ng인지 -n인지 알 수 없기 때문. 하지만 한국에서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그냥 ㄴ받침으로 적는다. 한국에서도 '안느'라고 적는 경우가 더러 있기는 하다. 드문 경우, '안누'라고 써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annu인 경우.알파벳 N을 표기할 때에 エン이 아닌 エヌ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NHK는 エヌエイチケイ가 된다.
10. 특수 기호로 사용
간이 영수증에서는 이 ヌ와 비슷한 모양의 기호를 쓴다. 정식 글자는 〆. 읽을 때는 “시메”라고 읽는다. 본래 마지막 항목 칸의 아랫줄에 가로줄을 긋고 남은 칸에 /모양의 대각선을 그려넣은 다음 가운데에 \ 모양의 대각선을 (メ와 비슷하게) 짤막하게 그려서 더 이상 기재할 내용이 없음(이하여백)을 나타냈는데 이게 빠른 기록을 위해 단순화되다 보니까 ヌ와 비슷한 모양으로 바뀐 것. 우연의 일치인지 ぬ[10]는 진술되는 동작·작용이 완료했다는 뜻을 나타내는 조동사로도 쓰인다.11. 기타
성우 누마쿠라 마나미의 별명 겸 아이덴티티기도 하다. 주된 별명부터가 누누기도 하고, 그녀와 관련된 것에 누란 글자를 일부러 넣는 경우도 많은 편. 그 때문인지 히라가나에서 ぬ가 폐지된다는 얘기가 나오자 격노하기도(...).젤라티노가 좋아하는 글자이다.
[1] 유성 치경 비음 + 후설 평순 고모음 + 원순화[2] 물론 이 글자의 원형인 奴도 女 + 又이기는 하다.[3] へ는 조사로라도 쓰인다. ぬ는 그것마저도 없다.[4] 그 와중에 누마즈시에는 ぬ와 づ가 모두 들어간다.[5] 여타 4단동사는 대개 종지형과 연체형이 동일하다.[6] 현대 구어로는 死ねば. '~eば'가 가정형이다.[7] 일본 한자음이 한 글자가 아닌 이상 い/う/き/く/ち/つ/ん으로 끝난다.[8] 일본어 사전에 "外"라고 표시된 것들이다.[9] 憤怒/忿怒(분노)를 ふんど로도 ふんぬ로도 읽는 경우가 있으며, 일본 도치기현에 위치한 유명 온천 기누가와(鬼怒川) 온천 역시 怒 부분을 ぬ라고 읽는다.[10] 활용은 な행 변격동사 문단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