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05:42:18

에서 넘어옴
현대 가나 오십음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eee,#2d2f34>
기타 탁점 · 요음 · 촉음 · · ヶ, ヵ }}} * 음영 처리: 현대에 잘 쓰이지 않거나 쓰지 않는 가나
* 둘러보기: 틀:히라가나 · 틀:가타카나
}}}}}} ||

1. 개요2. ま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3. え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4. 모양5. 쓰임
5.1. 女5.2. 目, 芽5.3. 奴5.4. めっ
6. 한자
6.1. 음독6.2. 훈독6.3. 여담

1. 개요

히라가나 가타카나
'''''' <colbgcolor=white,#1f2023> ''''''
국립국어원 표기법
라틴 문자 표기 me
IPA [me̞][1]
히라가나 자원 초서
가타카나 자원 약자
일본어 통화표 [ruby(明治, ruby=めいじ)]のメ(메이지노 메)
유니코드 U+308(E)1
일본어 모스 부호 -・・・-
ま행 え단 글자이다.

2. ま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양순 비음으로, 비음의 특성상 거의 유성음이며 탁음은 없다. 양순음이라는 점에서는 ば/ぱ행과 유사하다.

일본 한자음 중 오음으로 ま행인 게 한음으로는 ば행인 것들이 있다. 이런 한자들은 한국 한자음에서는 대체로 오음과 같이 ㅁ으로 읽는 글자들이 많다. 전반적으로 한음 ば행이 우세하지만, 늘 그렇지는 않다.

3. え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え단의 모음은 전설 평순 중모음. 한국어의 ㅐ(/ɛ/)와 ㅔ(/e/)의 중간 정도의 발음이지만 현재 한국어에서 ㅐ와 ㅔ가 합쳐지는 식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え단 모음의 장음은 히라가나에서는 え를 쓰기도 하지만 주로 를 써서 표현한다. 가타카나로는 다른 모음과 마찬가지로 장음 기호 ー를 쓴다.

4. 모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2%81-bw.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3%A1-bw.png

둘 다 女의 뜻에서 왔다. 女는 지금도 め로 읽을 수 있지만 지금은 주로 합성어에서 드러나는 편이다.

가타카나 メ는 (しめ)와 좀 닮았다. 〆는 일단 일본 내에서는 한자로 여겨지기는 하는데 한편으로는 メ의 이체자로 보기도 하는 모양이다.

メ의 닮은꼴 문자로 㐅가 있다. 이 글자는 五의 고자이다.

5. 쓰임

5.1.

에 양립하면서 여자를 뜻하는 단어로 자주 쓰인다.

5.2. 目, 芽

'눈'을 뜻하는 단어로 쓰인다. 재미있게도 식물의 눈이나 계란의 눈에도 똑같이 め라고 쓸 수 있다. 이 경우 간혹 ま(마)라고 읽기도 한다.

5.3.

명사에 붙어서 무시하는 말로 많이 쓰인다. ex) こいつめ 배틀 애니메이션에서 꽤 자주 들을 수 있다.

5.4. めっ

뒤에 촉음이 붙으면 주로 어린 아이를 혼낼 때 쓰는 떼끼! 정도의 뜻으로 쓰는 말이 된다.

6. 한자

6.1. 음독

상용한자표 기준으로 음독이 め로 시작하는 한자는 무척 적어 12개뿐이다. め 단독은 한 개도 없고 めい, めつ, めん만이 존재한다. 거의 모두가 한국 한자음으로 깔끔하게 '며-'에 대응된다.
한자 특수
メイ
(8)
名命明冥銘鳴 미(迷)
맹(盟)
メツ
(1)
[2]
メン
(3)
免面綿 [3]
名, 命, 明, 冥은 오음 ョウ로도 읽는다.

6.2. 훈독

,:め
:めくら
:めぐみ, :めぐ-み
:めし

6.3. 여담

간사이권 대형 사철회사 중 하나인 한큐에서는 부정승차 방지를 위해 우메다(梅田)역의 역명을 표기할 때 를 口과 メ가 합쳐진 로 하기도 한다. 이는 으로 끝나는 다른 역의 승차권을 가지고 우메다로 속이는 꼼수가 빈번했기 때문.

[1] 유성 양순 비음전설 평순 중모음[2] '멸시', '능멸'에 쓰이는 '蔑'(멸)은 ベツ이다.[3] '勉'(면)은 ベ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