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17px -12px -15.75px" |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405c1a> | }}} | |||
| | | | ||
BT-1 | BT-2 | BT-5 | BT-7 | ||
| | | | ||
A-20 (BT-20) | A-32 | BT-42 | BT-43 |
|
А-20 |
1. 개요
BT-7의 업그레이드 계획으로 만들어진 전차. T-34 전차의 프로토타입격인 전차다.2. 제원
A-20 경전차 | |
분류 | 경정찰전차 |
개발 년도 | 1939년 |
생산 년도 | 1939년 |
생산 대수 | 1대[1] |
개발국 | 소련 |
운용국 | 소련 |
제원 | |
전장 | 5.76m |
전폭 | 2.30m |
전고 | 2.44m |
지상고 | 0.4m |
중량 | 16.5t |
승무원 | 4명 |
장갑 | |
재질 | 압연 철 장갑 |
차체 정면 장갑 | 25mm |
차체 측면 장갑 | 16mm |
차체 후면 장갑 | 16mm |
차체 하단 장갑 | 16mm |
차체 상부 장갑 | 16mm |
포탑 장갑 | 20mm |
동력부 | |
엔진 | V-2 12기통 4행정 수랭식 디젤 엔진 |
엔진 마력 | 500hp |
출력비 | 30.3hp/t |
현가 장치 | 크리스티 현가장치 |
궤도 접지압 | 0.65kg/cm² |
무장 | |
주 무장 | 46구경 45mm 20K 대전차포 1문 (152발) |
최대 사거리 | 1km |
부 무장 | 7.62mm DT 동축기관총 2정 |
기동성 | |
최고 속력(도로) | 65km/h |
최고 속력(야지) | 57km/h |
작전행동반경(도로) | 200~300km |
작전행동반경(야지) | 불명 |
기동 가능한 경사각 | 불명 |
강 도하 능력 | 1.2m |
참호 도하 능력 | 2.5m |
벽 도하 능력 | 0.75m |
3. 개발
|
BT-7 |
4. 특징
500마력을 내는 V-2 디젤엔진을 탑재했기 때문에 무려 최대 시속 80km의 기동성을 갖추고 있었다. 장갑도 전작인 BT-7에 비해 2배 늘어나고 경사장갑을 채용했으며, 현가장치도 크리스티 현가장치를 이용했기에 뛰어난 기동성을 보여주었다.5. 말로
그러나 궤도 폭이 좁아 선회력이 상당히 줄어들고 접지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일단 기본적으로 화력이 증강되지 않았다. 1939년 겨울전쟁 때 다른 프로토타입 전차들(SMK, T-100)과 함께 투입되었는데 역시 화력이 부족하여 문제가 되었다. 결국 화력 문제는 후속작인 A-32에서 76.2mm 포를 장착하는 것으로 해결되며 이후 A-32를 개량한 A-34가 제식 채용이 결정되고, 이는 소련군 기갑부대의 전설인 T-34 전차가 되어 양산된다.6. 미디어
6.1. 게임
6.1.1. 월드 오브 탱크
|
A-20 |
하지만 고증에 충실하게 거지같은 선회력과 화력도 시망이란 문제에 경전차가 으레 다 그렇듯 체력과 장갑이 약할수밖엔 없다보니 한 번 멈추면 다굴맞고 순식간에 끝장인데다 그로인해 상술한 사격후 충각전법을 쓰는 경우가 생겨나는 바람에 유인 유도 미사일, 줄여서 유유미(...)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프로토타입[2] source by wikipedia, https://ru.m.wikipedia.org/wiki/БТ-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