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01:56:19

칼잡이 맥

Mack the Knife에서 넘어옴

<colbgcolor=#000><colcolor=#DAA520> 파일:Grammy.svg
그래미 명예의 전당 헌액작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작품명 <colcolor=#373a3c,#ddd>
종류
아티스트
헌액 연도 1999년 }}}}}}}}}'''

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빌보드 로고 흰색.svg
'''
빌보드 역사상 가장 성공한 노래
[[https://| 빌보드 역사상 가장 성공한 노래]]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999><#fff,#191919> 파일:180322_libraryofcongress_900px.jpg파일:libraryofcongress_dark.png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2000년대 등재 노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02년 등재
엔리코 카루소, 오페라 <팔리아치> 중 "Vesti la giubba" (1907)
오리지널 딕시랜드 재즈 밴드, "Tiger Rag" (1918)
베시 스미스, "Down Hearted Blues" (1923)
조지 거슈윈, 랩소디 인 블루 (1924)
케이트 스미스, "God Bless America" (1938년 11월 11일)
빌리 홀리데이, "Strange Fruit" (1939)
빙 크로스비, "White Christmas" (1942)
우디 거스리, "This Land is Your Land" (1944)
찰리 파커, 마일스 데이비스, 디지 길레스피 등, "Ko Ko" (1945)
레스 폴, 메리 포드, "How High the Moon" (1951)
레이 찰스, "What'd I Say" (1959)
아레사 프랭클린, "Respect" (1967)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The Message" (1982)
2003년 등재
레드 벨리, "Goodnight, Irene" (1933)
척 베리, "Roll Over Beethoven" (1956)
오티스 레딩, "I've Been Loving You Too Long (To Stop Now)" (1965)
2004년 등재
마 레이니, "See See Rider Blues" (1924)
프레드 아스테어, 아델 아스테어, 조지 거슈윈, "Fasinating Rhythm" (1926)
지미 로저스, "Blue Yodel No.1 (T for Texas)" (1927)
글렌 밀러 오케스트라, "In the Mood" (1939)
디지 길레스피 빅 밴드, 차노 포소, "Manteca" (1947)
행크 윌리엄스, "Lovesick Blues" (1949)
머디 워터스, "I'm Your Hoochie Coochie Man" (1954)
2005년 등재
노라 베이스, "Over There" (1917)
카운트 베이시, "One O'Clock Jump" (1937)
냇 킹 콜, "Straighten Up and Fly Right" (1943)
패츠 도미노, "Blueberry Hill" (1956)
버디 홀리 & 크리켓츠, "That'll Be the Day" (1957)
제리 리 루이스, "Whole Lotta Shakin' Goin' On" (1957)
마사 앤 더 반델라스, "Dancing in the Street" (1964)
에드윈 호킨스 싱어즈, "Oh Happy Day" (1967)
질스콧 헤론,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 (1970)
2006년 등재
칼 퍼킨스, "Blue Suede Shoes" (1955)
로네츠, "Be My Baby” (1963)
샘 쿡, "A Change Is Gonna Come” (1964)
롤링 스톤즈, "(I Can't Get No) Satisfaction” (1965)
2007년 등재
로사 폰셀, 오페라 <노르마>(빈첸조 벨리니) 중 "Casta Diva" (1928년 12월 31일, 1929년 1월 30일)
아트 테이텀, "Sweet Lorraine" (1940)
로이 오비슨, "Oh, Pretty Woman" (1964)
스모키 로빈슨 앤 더 미라클스, "The Tracks of My Tears" (1965)
2008년 등재
앤드루스 시스터즈, "Bei Mir Bist Du Schoen" (1938)
존 리 후커, "Boogie Chillen'" (1948)
에타 제임스, "At Last" (1961)
조지 존스, "He Stopped Loving Her Today" (1980)
2009년 등재
클리프 에드워즈, "When You Wish Upon a Star" (1940)
리틀 리처드, "Tutti Frutti" (1955)
하울링 울프, "Smokestack Lightning" (1956)
맥스 매튜스 등, "Daisy Bell (Bicycle Built for Two)” (1961)
로레타 린, "Coal Miner's Daughter" (1970)
R.E.M., "Radio Free Europe" (1981)
투팍 샤커, "Dear Mama" (1995)
}}}}}}}}} ||
2010년대 등재 노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10년 등재
에드워드 미커, "Take Me Out to the Ball Game" (1908)
Sons of the Pioneers, "Tumbling Tumbleweeds" (1934)
태미 와이넷, "Stand By Your Man" (1968)
알 그린, "Let's Stay Together" (1971)
2011년 등재
보 디들리, "Bo Diddley" (1955)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Green Onions" (1962)
돌리 파튼, "Coat of Many Colors" (1971)
도나 서머, "I Feel Love" (1977)
슈거힐 갱, "Rapper's Delight" (1979)
2012년 등재
지미 데이비스, "You Are My Sunshine" (1940)
밴 클라이번,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1958년 4월 11일)
처비 체커, "The Twist" (1960)
2013년 등재
조지 W. 존슨, "The Laughing Song" (1896년경)
빙 크로스비/루디 밸리, "Brother, Can You Spare a Dime?" (1932)
엘모어 제임스, "Dust My Broom" (1951)
에벌리 브라더스, "Cathy's Clown" (1960)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Fortunate Son" (1969)
제프 버클리, "Hallelujah" (1994)
2014년 등재
블라인드 레몬 제퍼슨, "That Black Snake Moan"/"Matchbox Blues" (1928)
제리 멀리건 콰르텟, 쳇 베이커, "My Funny Valentine" (1954)
벤 E. 킹, "Stand by Me" (1961)
라이처스 브라더스, "You've Lost That Lovin' Feelin'" (1964)
2015년 등재
블라인드 윌리 맥텔, "Statesboro Blues" (1928)
줄리 런던, "Cry Me A River" (1955)
루이 암스트롱/바비 다린, "Mack The Knife" (1956/1959)
슈프림즈, "Where Did Our Love Go" (1964)
임프레션스, "People Get Ready" (1965)
빌리 조엘, "Piano Man" (1973)
글로리아 게이너, "I Will Survive" (1978)
2016년 등재
주디 갈란드, "Over the Rainbow" (1939)
빅 마마 손튼, "Hound Dog" (1952)
윌슨 피켓, "In the Midnight Hour" (1965)
멀 해거드, "Mama Tried" (1968)
주디 콜린스, "Amazing Grace" (1970)
돈 맥클린, "American Pie" (1971)
시스터 슬레지, "We Are Family" (1979)
2017년 등재
잉크 스파츠, "If I Didn't Care" (1939)
빌 헤일리 앤 더 코메츠, "(We're Gonna) Rock Around The Clock" (1954)
토니 베넷, "I Left My Heart in San Francisco" (1962)
템테이션스, "My Girl" (1964)
케니 로저스, "The Gambler" (1978)
Chic, "Le Freak" (1978)
케니 로긴스, "Footloose" (1984)
글로리아 에스테판 앤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Rhythm Is Gonna Get You" (1987)
2018년 등재
캡 캘러웨이, "Minnie the Moocher" (1931)
리치 발렌스, "La Bamba" (1958)
니나 시몬, "Mississippi Goddam" (1964)
닐 다이아몬드, "Sweet Caroline" (1969)
2019년 등재
글렌 캠벨, "Wichita Lineman" (1968)
빌리지 피플, "YMCA" (1978)
휘트니 휴스턴, "I Will Always Love You" (1992)
}}}}}}}}} ||
2020년대 등재 노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20년 등재
루이 암스트롱, "When the Saints Go Marching In" (1938)
패티 라벨, "Lady Marmalade" (1974)
개구리 커밋(짐 헨슨), "Rainbow Connection" (1979)
Kool & the Gang, "Celebration" (1980)
이즈라엘 카마카위올레, "Somewhere Over the Rainbow/What a Wonderful World" (1993)
2022년 등재
어니스트 터브, "Walking the Floor Over You" (1941)
냇 킹 콜, "The Christmas Song" (1961)
앤디 윌리엄스, "Moon River" (1962)
디즈니랜드 보이즈 콰이어, "It's a Small World" (1964)
포 탑스, "Reach Out I'll Be There" (1966)
, "Bohemian Rhapsody" (1975)
저니, "Don't Stop Believin'" (1981)
리키 마틴, "Livin' la Vida Loca" (1999)
2023년 등재
포 시즌스, "Sherry" (1962)
바비 젠트리, "Ode to Billie Joe" (1967)
존 레논, "Imagine" (1971)
레드 제플린, "Stairway to Heaven" (1971)
존 덴버, "Take Me Home, Country Roads" (1971)
지미 버핏, "Margaritaville" (1977)
아이린 카라, "Flashdance... What a Feeling" (1983)
유리드믹스, "Sweet Dreams (Are Made of This)" (1983)
콘도 코지,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지상 BGM (1985)
머라이어 캐리,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1994)
칼 세이건, "Pale Blue Dot" (1994)
대디 양키, "Gasolina" (2004)
}}}}}}}}}}}}}}}}}}

<colbgcolor=#000><colcolor=#fff> Mack the Knife
Die Moritat von Mackie Messer
The Ballad of Mack the Knif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원곡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저작권 등록 1928년 8월 31일
작곡 쿠르트 바일
작사 베르톨트 브레히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바비 다린 커버 버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발매 1959년 8월
녹음 1958년 12월 19일
녹음실 미국 뉴욕 주 뉴욕 시, 풀턴 스튜디오
장르 전통 팝, 재즈
길이 3:04 (싱글)
3:11 (앨범)
작사/작곡 쿠르트 바일, 베르톨트 브레히트
마크 블리츠슈타인 (영어 번역)
프로듀서 앤디 월러스
레이블
[[미국|]][[틀:국기|]][[틀:국기|]] 앳코

[[영국|]][[틀:국기|]][[틀:국기|]] 런던
}}}}}}}}}

1. 개요2. 가사
2.1. 독일어 가사2.2. 영어 가사
3. 매체

[clearfix]

1. 개요

로비 윌리엄스 버젼

1928년에 초연된 베르톨트 브레히트쿠르트 바일의 음악극 '서푼짜리 오페라(Die Dreigroschenoper)'에 수록된 곡.

바비 다린엘라 피츠제럴드, 루이 암스트롱가 부른 버전이 재즈계에서는 단연 독보적이다.

많은 버전 중 바비 다린의 버전이 가장 유명한데, 바비 다린 버전 Mack the Knife는 빌보드 핫 100에서 9주 연속 1위를 달성해 당시 신기록을 세웠으며[1] 1959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2위, 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서 3위를 달성한 대중음악 사상 최고의 히트곡 중 하나다. 최신 버전 빌보드 올타임 차트에서는 4위를 차지해, 64년 동안 빌보드 올타임 차트 5위권을 유지한다.

또한 1960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레코드상과 뉴 베스트 아티스트 상을 수상해 바비 다린에게 그래미 2관왕의 명예를 안겨주었다.

밝은 분위기이지만 노래 가사 내용이 살인마를 소개하는 내용으로 유명하다. 한 유튜브 댓글에서 1950년대판 Pumped Up Kicks라고 할 정도이다.

2. 가사

2.1. 독일어 가사

DIE MORITAT VON MACKIE MESSER
칼잡이 맥키의 모리타트

Und der Haifisch, der hat Zähne
그리고 상어는 이빨을 지녔고
Und die trägt er im Gesicht
그것들을 얼굴에 달고 다니지
Und Macheath, der hat ein Messer
그리고 맥히스는 칼을 지녔음에도
Doch das Messer sieht man nicht.
사람들이 그 칼을 보지 못하네.

Und es sind des Haifischs Flossen
그리고 그것은 상어의 지느러미인데
Rot, wenn dieser Blut vergießt
붉구나, 이것이 피를 흘리면
Mackie Messer trägt ’nen Handschuh
칼잡이 맥키는 장갑을 끼고 다니는데
Drauf man keine Untat liest.
그것 때문에 사람들이 범죄를 눈치 못챈다네

An der Themse grünem Wasser
템즈 강 푸른 물에
Fallen plötzlich Leute um
사람들이 갑자기 떨어지네
Es ist weder Pest noch Cholera
이건 페스트도 아니고 콜레라도 아니라네
Doch es heißt: Mackie geht um.
이건 맥키가 돌아다닌다는 말이네.

An’nem schönen blauen Sonntag
아름다운 우울한 일요일에
Liegt ein toter Mann am Strand
죽은 남자가 강변에 놓여 있고
Und ein Mensch geht um die Ecke
한 사람이 구석으로 가는데
Den man Mackie Messer nennt.
그를 사람들이 칼잡이 맥키라고 부르지.

Und Schmul Meier bleibt verschwunden
또 슈물 마이어가 실종이라네
Und so mancher reiche Mann
그리고 많은 부자도 그랬는데
Und sein Geld hat Mackie Messer
그의 돈은 칼잡이 맥키가 가지고 있지만
Dem man nichts beweisen kann.
그걸 아무도 증명하지 못한다네.

Jenny Towler ward gefunden
제니 타울러가 발견되었는데
Mit ’nem Messer in der Brust
가슴에 칼이 꽂힌 채였다네
Und am Kai geht Mackie Messer
그리고 카이에게로 칼잡이 맥키가 간다네
Der von allem nichts gewußt.
아무에게도 눈에 띄지 않고.

Wo ist Alfons gleich, der Fuhrherr?
배달부 알폰스는 지금 어디있지?
Kommt er je ans Sonnenlicht?
그가 여지껏 햇빛을 쬐러 나오는 중인가?
Wer es immer wissen könnte
그걸 항상 알지도 모르던 사람이 있더라도
Mackie Messer weiß es nicht.
칼잡이 맥키는 그것을 모르지.

Und das große Feuer in Soho
소호에 큰 불이 났네
Sieben Kinder und ein Greis
일곱 아이와 한 노인
In der Menge Mackie Messer, den
군중속에 칼잡이 맥키
Man nichts fragt, und der nichts weiß.
그에게 아무것도 묻지 않고 그는 아무것도 모르지.

Und die minderjähr’ge Witwe
미성년자 과부
Deren Namen jeder weiß
그 이름은 누구나 알지
Wachte auf und war geschändet
깨었더니 능욕을 당했네
Mackie welches war dein Preis?
맥키 네 포상금이 얼마였더라?
Wachte auf und war geschändet
깨었더니 능욕을 당했네
Mackie welches war dein Preis?
맥키 네 포상금이 얼마였더라?

MORITAT(모리타트)란, 독일어 단어 Mordtat(살인 행위)에서 유래한 것으로, 독일 카바레에서 베데킨트가 노래 불렀던 일종의 교훈적인 공포를 불러일으키는 발라드를 말한다. (출처 - 드라마사전)

또한, Soho(소호)영국 잉글랜드의 런던에 있는 시티 오브 웨스트민스터의 웨스트엔드의 지역 중 하나이며 주요한 번화가이자 윤락가로, 19세기부터 번화가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 노래를 부른 거리의 악사 역할을 맡은 배우는 바로 훗날 구 동독의 인민가수가 되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에른스트 부슈이다. 또한 영화 상에서는 해설 역할로도 나온다.

2.2. 영어 가사



루이 암스트롱 버전
Oh the shark, babe, has such pretty teeth, dear
오, 저 상어좀 봐, 저런 깜찍한 이빨이 나 있네
And he shows them pearly white
시허옇게 번뜩이는 이빨을 드러내네
Just a jack knife has ol’ MacHeath, babe
꼭 맥히스가 품은 나이프처럼, 자기
And he keeps it out of sight
그도 그걸 시야에서 감춰두거든
You know when that shark bites with his teeth, dear
있지, 상어가 그 이빨로 물어뜯을때면 말야
Scarlet billows start to spread
진홍색 물결이 번져나가지만
Fancy gloves though wears ol’ MacHeath, babe
맥히스는 멋들어진 장갑을 끼고 다니거든
So there's never, never a trace of red
그러니 절대로, 결코 빨간 흔적이 남지를 않지

On the sidewalk, Oh Sunday morning don’t you know
있잖아, 일요일 아침의 길가 한쪽에
Lies a body just oozing life
시체가 누워있네 목숨을 줄줄 흘리며
And Someone's sneaking around the corner
그리고 누군가 몰래 골목을 서성거려
Could that be our boy Mack the knife?
혹시 저게 우리 친구 칼잡이 맥일까?

From a tug boat down by the river don’t you know
강어귀에 정박한 예인선에, 그 알잖아
Lays a cement bag just dropping on down
풍덩 잠겨버린 시멘트 자루가 하나 있어
That’s cement's there, it’s there for the weight, dear
거기 그 시멘트는 그냥, 무거우라고 달아둔 거야
Five’ll get you ten ol’ Macky is back in town
이건 보나마나 틀림없이 왕년의 맥키가 마을로 돌아온 거야

Did you hear bout Louie Miller? He disappeared, babe
루이 밀러 얘기 들었어? 실종됐대, 자기야
After drawing out all his hard earned cash
힘겹게 벌어온 현금을 죄다 인출해서는 말야
And know MacHeath spends, he spends just like a, like a sailor
그리고 맥히스는 펑펑 써제끼고 있지, 꼭, 마치 귀항한 선원처럼
Could it be, could it be, our boy did something rash?
그런 걸까? 우리 친구가 뭔가 저질러버린 걸까?

Jenny Diver Oh Sukey Tawdry
몸팔이 제니, 오, 천박한 수키
Look out Miss Polly Peachum and Oh Lucy Brown
조심해요 미스 폴리 피첨, 루시 브라운 양
Yeah the line forms on the right, dear
이런 침착하라구[2], 친구
Now that Macky is back in town
이제 맥키가 마을로 돌아온 거야

얼핏 듣자면 밝고 경쾌한 느낌의 노래 같지만, 가사를 자세히 봐 보자면 강도 살인마에 대한 노래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담으로 작중 등장하는 칼잡이 맥은 <서푼짜리 오페라>의 주연급 인물.

3. 매체


[1] 이 당시 빌보드 9주 연속 1위는 현재의 15주 연속 1위와 맞먹는다.[2] the line forms on the right는 군대 격언 중 하나로 분대에서 우측 선두에 선 인원은 다른 사람의 기준이 되며, 다른 분대원들은 그에 연계해서 움직여야 한다는 의미다. 거기서 의미가 확장되어 진중하지 못한 사람에게 침착하고 진정하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