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13:55:57

말줄임표

...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문서가 있는 문장 부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배경 음영: 한글 맞춤법 부록에 수록되지 않은 문장 부호
동아시아 (CJK)
문장 부호
겹낫표
『 』
홑낫표
「 」
모점
}}}}}}}}} ||
작가들이 문장을 말줄임표로 끝내는 것은 이야기가 계속될 수도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서이고, 문장 중간이나 문장과 문장 사이에 말줄임표를 넣는 것은 글의 일부가 생략되었음을 알리기 위해서이다. 그에 반해서 비전문가들은 자기들이 사용하고자 하는 수사법이 지나치게 대담하다 싶을 때 말줄임표를 넣는다.
이탈리아는 말줄임표의 존중에 토대를 둔 공화국이다.[1]
「말줄임표를 사용하는 방법」, 『세상의 바보들에게 웃으면서 화내는 방법』 / 움베르토 에코. 1991[2]

1. 개요2. 말줄임표 점의 개수3. 입력 방법4. 남용
4.1. 나무위키에서의 남용4.2. 찌라시에서의 남용
5. 스마트폰에서6. 변형

1. 개요

한국어 말줄임표
일본어 リーダー(리더, leader)
영어 Ellipsis
프랑스어 Points de suspension
독일어 Auslassungspunkte
문장 부호의 일종으로 말줄임표, 줄임표, 혹은 종종이, 또는 '점점점(쩜쩜쩜)'이라고도 한다. 이 외에도 말없음표, 무언부, 무언표, 생략부, 생략표, 점(點)줄 따위의 많은 이름을 가지고 있다.

Microsoft IME로는 ㄱ+한자+PgDn+PgDn+1, 알트 입력법으로는 Alt+133, Alt+41382, A+0133[3]으로, 유니코드로는 U+2026으로 입력할 수 있다.

문장을 완전히 끝맺지 않을 때 쓰는 문장 부호이다. 할 말을 줄였을 때나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에 쓰거나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 머뭇거림을 보일 때 쓴다. 간단히 말해서 말끝을 흐리는 식으로 문장을 마칠 때 쓰는 문장 부호. 한국에서는 현실이든, 인터넷이든 이것을 남용하면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낙인 찍힐 수 있고 심할 경우 오덕 등 특이한 사람으로까지 몰릴 수 있다.

그 외에 나무위키를 비롯한 서브컬처 계열에서 종종 “(…)” 형태로 사용된다. 자신이 설명한 문장이 미묘하거나, 마음에 들지 않거나, 혹은 내용이 비상식적이거나 등등 하여튼 설명해 놓고 왠지 한마디로 표현하기 힘든 여러 가지 생각이 드는 경우 뒤에 갖다 붙인다. '(?)'와 비슷한 용법으로서 그 유래 역시 상기한 '(?)'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며, 사실상 (?)로부터 직접적으로 파생된 표현이라 보아도 무방하다. 이는 (!), (?!) 등도 마찬가지이다.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많으나 1990년대 후반의 게임 잡지들의 공략 기사들에서 나왔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당시의 문장들로 추론했을 때, (…)의 용법은 주로 괄호를 열고 뭔가 부연 설명을 해야 하나 앞 문장의 상황이 어이없거나 모순된, 황당한 설명일 경우 괄호 안에 부연 설명 대신 “아 씨바, 할 말을 잊었습니다……”라는 의미로 말줄임표를 대신 치환하여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대개 쉼표가 들어가야 할 자리에 말줄임표를 쓰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인지 말줄임표 대신 쉼표를 3개나 2개를 찍는 식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원래는 가운뎃점 6개 “……”인데(그것도 3개씩 끊어서), 원고지 쓰던 시절 만들어진 규정이라서 그렇다.

확대 허용 이전의 좁은 규정의 경우, 말줄임을 사용할 때 “……(3 + 3)”이며, 문장의 끝에 쓰여 마침표가 붙을 경우 "… … .(3 + 3 + 1)"이다. 나무위키의 기본 표시 글꼴에서는 모든 점이 아래로 깔려 있어 구분이 가지 않지만, 지원하는 글꼴에서는 “…"는 행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며 (⋯), "."만 행의 아래에 깔려 있으므로(.) 명확히 구분이 된다. 따라서 원고지로 치면 한글 한 자의 자리에 말줄임표 하나씩, 총 두 칸을 사용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지금은 원고지 자체가 어문 규정에서 없어진 지 오래이다. 지금 와서는 말줄임표 하나만을 사용하다가 그것을 온점 3개로 대체한 ‘…’으로 많이 쓰이고 특수 문자를 일일이 입력해야 하는 귀찮음으로 인해, 모바일 등지에서는 마침표 3개 “...”이 자주 사용된다.

개정된 국립국어원 어문 규정상으로도 허용하는 사안이다. 여기에 마침표를 찍어야 하는 경우 7개 "......."나 4개 '....'도 허용한다.#[4]
맞는 표현
기분 참 안 좋다... (O)
기분 참 안 좋다...... (O)
틀린 표현
기분 참 안 좋다.. (X)

다만, 이런 표기는 유니코드 표준엔 맞지 않는 표기인데, 이 때문에 맞춤법 검사기에 넣으면 틀리다고 나오는 경우도 있다. 자세한 것은 2번 문단 참고.

Chrome 브라우저의 검사기도 "...", "......" 표기가 틀리고 "..", "....."이 맞는 표기로 나온다.

C/C++에서는 "..."가 가변 함수 인자 표기로 쓰인다. ex: int printf(const char* format, ...);

2. 말줄임표 점의 개수

2012년 10월 22일 발표된 한글 맞춤법 문장 부호 개정안 기사
......줄임표는 '......'와 같이 여섯 점을 찍는 것이 원칙이나, 석 점('…')만 찍거나 마침표를 세 번 찍는 것('...')도 허용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15년 1월 1일부터 컴퓨터 입력을 고려해 아래에 여섯 점(......)을 찍거나 세 점(…, ...)만 찍는 것도 맞는 것으로 개정했다.

현재의 국어 맞춤법 체계에 의하면 말줄임표를 여섯 점(......)을 찍어도 되고, 세 점(…, ...)만 찍어도 된다.

예전에는 "……"만 허용했다. 마침표 3개나 6개가 아니라 특수 문자로 말줄임표 2개를 찍어야 맞춤법에 맞았던 것이다. 다만 현재의 컴퓨터 체계에서 "……"로 쓰기에는 특수 문자를 일일이 찾아서 써야 되는 불편이 있었기 때문에 허용되지 않던 시절에도 인터넷에서는 "..."로 쓰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공적인 문서나 대학 과제물 등에서는 반드시 "……"로 써야 했었다. 학계 일부에서도 "……"는 낭비이니 "…" 역시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반드시 점 6개가 한 묶음을 이루어야 했다. 간혹 '..', '...', 제대로 쓰더라도 '…'식으로 3개만 쓰는 등 6개가 아닌 경우가 있는데 이 역시 예전에는 맞춤법에 의하면 틀린 표현이었다. 또한 문장의 맨 끝이 '……'로 끝나는 경우 '…….'로 마침표까지 써 줘야 했다. 말줄임표도 문장의 구성 요소로 여겼기 때문이다.

당시 논란이 되었던 맞춤법 중 하나로서 이런 문제들이 상당히 불편하기 때문에 정식으로 출판되는 책들 중에서도 '……'를 완전히 다 쓰지 않고 짧게 '…'만 쓰는 경우가 자주 보였다.

2012년 10월, 국립국어원은 문장 부호 개정안을 발표했고, 이 개정안에서는 말줄임표로 '……'뿐만 아니라 '…'과 '...'도 허용한다고 했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이를 고시하여 2015년 1월 1일부터 컴퓨터 입력을 고려해 아래에 여섯 점(......)을 찍거나 세 점(…, ...)만 찍는 것을 맞는 것으로 개정했다.

황당하게도 국립국어원의 한글 맞춤법 문장부호 항목에선 "‥‥‥"라는 식으로 2개짜리 말줄임표 3개를 찍고 있다.# 유니코드 표준에 명백히 어긋나는 일이다.

이전부터 국립국어원은 공식 누리집 등에서 유니코드 표준에 어긋나는 표기를 종종 사용해 왔는데, 다른 문장 부호의 유니코드 포인트를 묻는 질문에서 "문의하신 내용은 온라인 가나다에서 답변해 드릴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납니다. 관련 참고 서적을 두루 살펴보시기 바랍니다."라고 답변한 것을 볼 때, 국립국어원은 문장 부호의 전산화나 유니코드 지정에 관해서는 무관심하고, 문장 부호의 '형태'만을 규정하고 있는 듯하다.

마찬가지로 말줄임표를 모두 마침표로 대체하는 것은 유니코드 표준에는 맞지 않는 표기다. 유니코드에는 엄연히 말줄임표 …(U+2026)와 마침표 .(U+002E)가 구분되어 있기 때문이다. 국립국어원은 문장 부호의 전산화에 무관심한 관계로 컴퓨터상에서 입력을 편하게 하기 위해 말줄임표를 아래에 찍을 수 있게 허용했다고 했지만, 사실 컴퓨터상에서 마침표 .(U+002E)를 3개/6개 찍더라도 그것은 마침표 .(U+002E) 3개/6개일 뿐, 말줄임표 …(U+2026)는 아닌 것이다. 개정된 맞춤법에서는 말줄임표를 아래에 찍을 수 있다고 했을 뿐이지 마침표 3개/6개가 말줄임표를 대체한다고 규정된 것이 아니므로, 엄밀히 말해서 이러한 표기는 틀린 것이 된다.

다만 국립국어원의 맞춤법 개정 취지에 맞춰 이러한 표준을 엄밀히 지키지 않아도 되는 비공식적인 상황에서는 말줄임표를 마침표로 대체해서 써도 될 것으로 보인다.

나무위키 문서에도 ..이나 ...........처럼 말줄임표를 과도하게 많거나 적게 적는 경우가 보인다.

3. 입력 방법

4. 남용

4.1. 나무위키에서의 남용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찌라시에서의 남용

네이버 같은 거대 포털 사이트 등에 뉴스 제목을 올릴 때도 유용하게 사용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인데,
네이버 제목: 아웃백 스테이크에 공급되는 닭 알고보니…‘헉’

실제 기사 제목: 김인식 체리부로 회장, 닭고기 하나로 매출 4500억원 “1조가 꿈”

제목만 보면 아웃백 스테이크 매장에 공급되는 닭에 문제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사를 클릭해 들어가 보면 노출되는 제목과 실제 기사 제목이 다른 것이 태반이다. 언론사가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말줄임표와 각종 수식어 (“헉”, “충격”, "경악", "소름", "이것", "끝내", "결국", “알고 보니”, “진실은”)를 사용하는 것이다. 일종의 낚시이다. 진실은 낚시 추가적인 내용은 충격 고로케 참조.

이곳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5. 스마트폰에서

서양 폰트한중일 폰트에서 줄임표의 높이가 다르다.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에서는 줄임표("…", U+2026)를 "⋯"(U+22EF)[7]처럼 중간에 오는 글리프로 그리나, 서양 폰트에서는 마침표와 같은 높이로 쓰기에 "..."처럼 쓴다.

고로, 현재 서양 폰트가 기본인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폰은 한중일 문자열을 출력할 때 "···"처럼 나와야 할 줄임표가 "..."처럼 나오는 문제가 있다.

"‥"(두점/U+2025)도 서양 폰트에서는 ".."처럼 나오며 한중일 폰트에서는 "··"처럼 나온다.

6. 변형

사실 맞춤법 개정안에 따라 쓰이는 말줄임표는 아래와 같다.
파일:줄임표.png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있지만 대표적인 여섯 가지만 나열했다.
점 세 개(⋯), 점 네 개, 점 여섯 개, 점 일곱 개… 하다 보니, 자연스레 점 두 개만 쓰이기도 한다. ".." ←이것. 용도는 같다. 말을 흐리거나 머뭇거릴 때 주로 쓰인다. 예) "어제 내가 영화를 봤었나.." 사실 유니코드에 두 점 "‥"도 있기에 익숙하며 자연스럽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이를 엄연히 규정에만 따지면 어긋난 표현이다.[8] 한글 맞춤법 개정안에서는 위의 사진과 같이 6개 또는 3개의 점만 내려서 찍는 것을 허용시켰기 때문이다.

그러나, 뉴스에서는 대놓고 쓴다.
파일:SBS 헤드.png
SBS 8 뉴스에서 쓰인 자막이다.
가운데를 자세히 보면 '..'이 있다. 타 방송사들은 〈물놀이도 "불볕을 피해"이 시각 해운대〉와 같이 중앙에 점 3개를 놓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어긋난 표현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쓰는 이유[9]는 좁은 헤드라인 공간에 한 글자라도 더 채우려고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좁은 공간에 점 하나가 추가되면 줄바꿈이 일어나 글자가 잘리게 된다. 즉, 그 점 하나 때문에 〈물놀이도 "불볕을 피해"⋯이 시각 해운대〉에서 '대'가 잘리게 되므로 불가피한 선택이다. 무엇보다 점 개수에 초점을 두는 것보다 '⋯'와 '..' 같은 것들이 모두 생략에 의미를 두고 있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한 해석으로 보인다.


[1] 이탈리아 헌법 제1조(이탈리아는 노동에 기초를 둔 민주 공화국이다.)를 비튼 것이다. 성찰과 진실에 기반을 두지 않은 무책임한 발언에 책임을 회피하려는 세태를 풍자하려는 논설에 쓰였다.[2] 전문은 # 여기[3] 윈11을 사용하는 경우[4] 명시적으로 그렇게 하라고 나온 건 아니고, 예와 해설에 그렇게 써놓은 게 있어서 있다고 해석하는 거다. 부록 21, 붙임 1, 첫 번째 예, 해설 (7), 붙임 2의 해설 (10) 참고.[5] 윈11은 생략하면 안 된다.[6] macOS에서 한글 입력기 옵션 입력은 라틴 문자 입력으로 작동한다.(옵션 + ㅁ = a로 입력되는 식.)[7] '⋯(U+22EF)'는 수학 기호이므로 일반적인 말줄임표의 용도로는 '…(U+2026)'를 사용하는 것이 옳다.[8] 일본어와 영어에서는 정식으로 허용되는 표현이므로 번역체 문장으로도 볼 수 있다.[9] '⋯'보다 '..'를 쓰는 이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9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9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