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00:18:13

붙임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외국어에서 사용하는 하이픈에 대한 내용은 -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문서가 있는 문장 부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배경 음영: 한글 맞춤법 부록에 수록되지 않은 문장 부호
동아시아 (CJK)
문장 부호
겹낫표
『 』
홑낫표
「 」
모점
}}}}}}}}}


1. 개요2. 입력3. 용법
3.1. 맞춤법 규정3.2. 그 외

1. 개요

-

붙임표(붙임)는 낱말을 합치거나 음절을 나눌 때 쓰는 문장 부호이다.

한국어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서 사용된다. '‐'(하이픈)을 사용하는 게 더 정확할 듯하나, 국립국어원은 '-'(하이픈마이너스)를 붙임표로 사용하고 있다.

대화문에서 모든 단어를 하이픈으로 이어서 표현할 경우, 호흡을 끊지 않고 말을 한다는 의미가 된다. 언어와 문자를 옳게 구분하지 못해 실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음표를 붙이기도 한다. 비슷한 말로는 연자 부호, 접합부가 있다.

2. 입력

3. 용법

3.1. 맞춤법 규정

2017년 3월 28일에 개정된 한글 맞춤법에 따르면 용법은 다음과 같다.

3.2. 그 외


[1] 이 용법은 언어학 분야의 특수한 용법으로 보고 2015년 개정안에서부터 제외되었다.[2] 다시 말해 ‘선’이나 ‘근’같이 한 음절일 때엔 발음 혼동이 예상되어도 seo-n, geu-n처럼 쓰지 못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