模 본뜰 모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木, 11획 | 총획수 | <colbgcolor=#fff,#1f2023> 15획 | ||||
고등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モ, ボ | ||||||
일본어 훈독 | かた, のっと-る | ||||||
- | |||||||
표준 중국어 | mó, mú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模는 '본뜰 모'라는 한자로, '본뜨다', '모양(模樣)', '모호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본뜨다 |
음 | 모 | |
중국어 | 표준어 | mó, mú |
광동어 | mou4 | |
객가어 | mù | |
민동어 | muò[文] / mè̤[白] | |
민남어 | bô͘ | |
오어 | mu (T3) | |
일본어 | 음독 | モ, ボ |
훈독 | かた, かたぎ, かたど-る, のっと-る | |
베트남어 | mô |
유니코드에는 U+6A2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木廿日大(DTAK)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木(나무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莫(없을 막)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고모한(高模翰)
- 구병모(具竝模)
- 김건모(金健模)
- 김성모(金城模)
- 더☆모케이다 무벤베(ザ☆模型田 ムベンベ)
- 리근모(李根模)
- 모코야마 츠요시(模糊山 剛)
- 박준모(朴埈模)
- 박충모(朴忠模)
- 사가미(相模)
- 성굉모(成宏模)
- 성윤모(成允模): 관료
- 신성모(申性模)
- 신좌모(申佐模)
- 안재모(安在模)
- 양용모(梁龍模)
- 양정모(梁正模): 1921년생
- 양준모(梁俊模): 모델
- 정한모(鄭漢模)
- 제춘모(諸春模)
- 조성모(曺誠模)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蟆(두꺼비 마, 파리매 막)
- 𩌧(가죽신 막)
- 嗼(고요할 막)
- 縸(그물친모양 막)
- 𦟦(꺼풀 막)
- 膜(꺼풀/막 막)
- 漠/𥕓(넓을 막)
- 䮬(말이름 막)
- 𪍤(밀기울 막)
- 㷬(불타는모양 막)
- 暯(어둘 막)
- 幙(장막 막)[4]
- 𣩎(죽어쓸쓸할 막)
- 饃(찐빵 막, 떡 마)
- 鏌(칼이름 막)
- 塻(티끌 막)
- 瞙(흐릴 막)
- 𥡸(말먹이 말)[5]
- 𡻟(빽빽한모양 맥)
- 貘(짐승이름 맥)
- 獏(개이름 모)
- 謨(꾀 모)
- 摸(더듬을 모)
- 𨢢(맛좋은음료 모)
- 糢(모호할 모)
- 嫫(추녀 모)
- 慔(힘쓸 모)
- 𪏟(막)
- 𪝡
- 𧷸
- 𩐻
- 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