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14:30:50

함양 오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함양 오씨
咸陽 吳氏
관향 <colbgcolor=#fff,#191919>경상남도 함양군
시조 오광휘(吳光輝)
집성촌 경상북도 영양군
경상남도 진주시 마천면
황해도 송화군
인구 35,846명(2015년)
링크 함양오씨대종회
1. 개요2. 역사3. 족보4. 분파5. 과거급제자6. 항렬7. 집성촌8. 종친회9. 인물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함양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2. 역사

1397년 오탁진이 작성한 《오씨30세계도》에 근거하면 오씨의 도시조는 500년(지증왕 원년)에 중국에서 신라로 입국했다가 다시 중국으로 돌아간 오첨(吳瞻)이다. 오첨(吳瞻)은 태백왕의 25세손인 초나라 재상 오기(吳起)의 45세손이다. 오첨의 둘째 아들 오응(吳膺)은 나이가 어려 중국으로 귀환하지 못하고 그대로 신라에 남아 함양(咸陽)에서 살게 되었다.

함양오씨(咸陽吳氏) 시조 오광휘(吳光輝)는 도시조 오첨(吳瞻)의 24세손 오현필(吳賢弼)의 둘째 아들 오량(吳良)의 4대손으로 고려시대 좌복야(左僕射)를 지내고, 흥위위상장군(興威衛上將軍)으로서 거란군을 물리친 공으로 추충정란광국일등공신(推忠靖亂匡國一等功臣)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에 올랐으며 함양부원군(咸陽府院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3. 족보

족보 서문에 의하면 일찍부터 족보가 확립되어 (吳呂朴)의 삼성보(三姓譜)가 함양 관청에 보관되어 있었지만 정유재란때 소실되었다고 한다. 덕계 오건(1521~1574)의 덕계선생문집[1]을 통해서도 족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주기적으로 족보를 편찬해 왔고 족보 편찬 내력은 다음과 같다.
오성노(吳星老)⋅오성열(吳星說) 등이 주동이 되어 편찬한 현존하는 함양오씨 최초의 체제를 갖춘 족보이다. 세덕편 외에 6권으로 편성되었다.
오달겸(吳達謙) 등이 무술보의 누락 부분과 오류를 보완하여 편찬한 것이나 무술보를 추종하여 증보한 것이다. 8권으로 편성되었다.
오장헌(吳璋憲) 등이 금남재(錦南齋)에서 1875∼76년(을해∼병자) 간에 편찬한 것이다. 무술⋅계사보를 보완한 것이나 영양 개녕파(開寧派)가 참여하지 않았으며, 9권으로 편성되었다.
오재열(吳在烈)⋅광열(匡烈) 등이 운봉 아곡(雲峰 阿谷)에서 두암공파(杜菴公派)⋅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사인공파(舍人公派) 만 참여하여 5개월만에 편찬한것이다. 10권으로 편성되었다.
오필환(吳弼煥)⋅문현(文鉉) 등이 새로 창건한 영화재에 보소를 두고 1914∼1916년(갑인∼병진) 간에 편찬한 족보로서, 12권으로 편성되었다.
오상훈(吳相勳)⋅오정열(吳正烈) 등이 도유사를 맡고 오병권(吳秉權)이 교정을 맡아 영화재에 보소를 두었으나, 실제 편찬은 거창의 오병권(吳秉權) 집에서 1959∼60년(무술∼경자)간에 이루어졌으며 각 종파별로 총 19권으로 편성되었다.
오수종(吳秀鍾)⋅오주식(吳冑植)이 도유사를 맡고, 오규환(吳珪煥)⋅오규홍(吳奎洪)⋅오영종(吳榮鍾) 등이 영화재와 산청 서계서원(西溪書院)에서 1977∼1978년(정사∼무오) 간에 편찬한 족보이다. 족보 내용을 대폭 수정하였고, 체제와 족보 형태를 양장본으로 하여 상하양권으로 편성되었다.
오주환(吳主煥)⋅오무홍(吳武弘)⋅오병무(吳炳武)가 편찬위원장과 부위원장을 맡아 대구에 보청(譜聽)을 두고, 종래와는 달리 세덕편을 ① 비문 및 행장록(行狀錄), ② 효열행록(孝烈行錄), ③ 원사⋅재정⋅기문(院祠 齋亭 記文), ④ 원사⋅재정의 사적(史蹟)으로 나누어 모두 국역하고, 오씨족보 변정론(辨正論)을 써 시대와 역사적으로 적합지 않은 사실을 변정하고, 총 4권(근 5,000페이지)으로 된 양장본으로 구성되었다. 사대성(事大性)이 있는 중국의 연호는 사용하지 않고, 여자도 남자와 같이 이름을 기록하여 남녀평등을 기하였다. 무인보는 전종파 대표들이 참여하여 3년간(1997∼1999)에 걸쳐 완성되었다.
오병관(吳丙寬)이 편찬위원장을 맡아 모든 내용에 한글번역을 추가하여 인터넷 족보와 함께 5년간(2017~2023)에 걸쳐 대동보로 편찬되었다. 총 10권으로된 현대식 오침안정법으로 편성되었다.[2]

4. 분파

5. 과거급제자[3]

문과
오건(吳健) 오경지(吳敬之) 오릉(吳凌) 오명증(吳命增) 오상문(吳尙文) 오석규(吳錫奎) 오응(吳凝) 오장(吳長) 오적(吳績) 오전(吳晪) 오첨경(吳添慶) 오형(吳泂)

무과
오극성(吳克成) 오돌시(吳乭屎) 오명변(吳明變) 오무변(吳霧變) 오변생(吳邊生) 오엇거리(吳旕巨里) 오영발(吳穎發) 오윤성(吳允成)

생원시
오담(吳譚) 오덕윤(吳德潤) 오도원(吳道源) 오두채(吳斗采) 오두형(吳斗炯) 오면수(吳冕洙) 오명증(吳命增) 오빙(吳憑) 오상옥(吳相玉) 오응(吳凝) 오전(吳晪) 오첨경(吳添慶)

진사시
오건(吳健) 오도한(吳道漢) 오상주(吳相胄) 오섭(吳涉) 오세영(吳世英) 오영훈(吳永勳) 오운(吳霣) 오익창(吳益昌) 오인(吳寅) 오첨선(吳添善)

6. 항렬

대동항렬이 있지만 각 파마다 항렬자가 조금씩 다르다.

7. 집성촌

8. 종친회

함양 오씨 종친회는 "함양오씨 대종회"로 서울에 위치하고 있다.

9. 인물

10. 관련 문서


[1] #[2] 계묘보를 마지막으로 함양오씨 대종회에서는 더는 족보를 편찬하지 않고 인터넷 족보로 언제든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합의하였다.[3] #[4] 사호공파 파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