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장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61BDC2><colcolor=#fff> 스타일 | SF 영화, 공연 실황 영화, 공포 영화, 느와르, 다큐멘터리 영화, 드라마, 로드 무비, 모험물, 뮤지컬, 미스터리, 법정물, 수사물, 스릴러, 슬로우 시네마, 액션 영화, 사극, 일상물, 전기 영화, 코미디(블랙 코미디, 로맨틱 코미디, 슬랩스틱), 첩보물, 판타지 |
사조 | 네오 리얼리즘, 누벨바그, 뉴 할리우드, 대만 뉴웨이브, 스파게티 웨스턴, 시적 리얼리즘, 표현주의, 도그마 95, 실험영화, 소비에트 몽타주, 프리 시네마, 폴란드 학파, 제3영화, 멈블코어, 시네마 뒤 룩, 홍콩 뉴웨이브, 뉴 퀴어 시네마, 뉴 저먼 시네마 | |
포맷 /프로덕션 | 3D, 독립 영화, 애니메이션 영화, 흑백 영화 |
1. 개요
판타지 영화는 기본적으로 세상과는 다른 세계, 물리학과 생물학의 일반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세계를 창조해낸다.판타지 영화들은 시간과 공간을 편집으로 변형, 조작하고 모든 종류의 특수 효과를 사용해 어떤 물질세계를 직접 창조하여, 영화사 초기 조르주 멜리에스가 시도한 <날 나라 여행, 1930>이라는 영화가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어왔다. 산문으로 된 이야기는 상상의 여지를 많이 남겨 두지만, 영화는 우리의 상상력이 일으키는 환상을 우리 눈앞에서 만들어낸다. 판타지 영화는 인간의 두려움과 욕망을 투영시키고, 또한 관객의 의식적이고도 무의식적인 기대감이 해방되고 만족감을 느끼는 상황을 객관화시킨다.
판타지 영화의 소재로 자주 나오는 귀신, 요정, 정령, 도깨비, 괴물이나 괴수 등 초현실적인 소재와 표현주의, 초현실주의, 상징주의 등의 표현법 등이 섞인 비현실적이면서 몽상적인 배경과 설정들이 많아서 '판타지'자체 영화로서 반지의 제왕, 킹콩 등 인기 있는 영화들도 있지만, 호러영화로서도 판의 미로같은 판타지와 호러가 섞인 영화들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