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15:38:37

미스 페레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

파일:팀 버튼 로고 화이트.svg

팀 버튼 감독 장편 연출 작품 (TV 드라마 제외)
[ 펼치기 · 접기 ]

상세정보 링크 열기
<colbgcolor=#0c0c26><colcolor=#e7b055> 미스 페레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 (2016)
Miss Peregrine's Home for Peculiar Children
파일:미스페레그린포스터.jpg
장르 모험, 판타지, 미스터리
감독 팀 버튼
각본 제인 골드만
원작 랜섬 릭스
제작 피터 처닌, 제노 타핑
주연 에바 그린, 에이사 버터필드
촬영 브루노 델보넬
편집 크리스 레번존
음악 매슈 마지슨, 마이키 하이그럼
촬영 기간 2015년 2월 24일 ~ 2015년 7월
제작사 팀 버튼 프로덕션
처닌 엔터테인먼트
TSG 엔터테인먼트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코리아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코리아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9월 28일
파일:미국 국기.svg 2016년 9월 30일
화면비 2.39:1
상영 타입 2D | 3D | 4DX
상영 시간 127분
제작비 1억 1천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281,980,863
북미 박스오피스 $86,896,767
대한민국 총 관객 수 2,718,138명
스트리밍
[[디즈니+|
Disney+
]]
#!if 링크 != null
[[https://www.disneyplus.com/|▶]]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ww.disneyplus.com/|▶]]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disneyplus.com/|▶]]
#!if 주석2 != null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 12세 이상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13 로고.svg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줄거리6. 용어7. 평가8. 흥행
8.1. 한국8.2. 북미8.3. 일본8.4. 해외
9. 원작과의 차이점10. 여담11. 둘러보기

1. 개요

소설 페러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을 영화화한 작품. 음악은 팀 버튼 감독 영화답게 대니 엘프먼이 맡았다가 매튜 마게슨, 마이키 하이그럼으로 교체되었다. 배급은 20세기 폭스. 북미 개봉일은 2016년 3월 4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20세기 폭스가 개봉 예정작 일정을 대거 뒤바꾸면서 2016년 12월 25일로 밀렸다가 다시 앞으로 당겨졌다.

2. 예고편

▲ 1차 공식 예고편
▲ 2차 공식 예고편

3. 시놉시스

올 가을, 세상에 없던 유일한 미스터리 판타지!

할아버지의 죽음의 단서를 쫒던 ‘제이크’ 는 시간의 문을 통과해 놀라운 비밀과 마주한다.
시간을 조정하는 능력을 가진 ‘미스 페레그린’ 과 그녀의 보호 아래 무한 반복되는 하루를 사는 ‘특별한 능력의 아이들’,
그리고 그들을 사냥하는 보이지 않는 무서운 적 ‘할로우게스트’
미스 페레그린과 제이크를 비롯한 아이들은 살아남기 위해 ‘할로우게스트’ 에 맞서야 한다.

시간과 공간을 넘나들며 펼쳐지는 이들의 대결이 팀버튼 감독의 마법같은 상상력으로 펼쳐진다.
네이버 영화 발췌

4. 등장인물

5.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0대 소년 제이크가 마트 아르바이트를 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제이크는 평범하기만 한 자기 삶에 대해 독백한다. 말을 건네도 남자친구에게 정신이 팔려 안 받아주는 친구, 마트 알바를 훼방 놓고 도망가는 친구까지...

제이크의 할아버지는 제이크가 어릴 적 자신의 모험담 이야기를 자주 했었다. 어린 제이크는 모험담을 굳게 믿었고, 이후로 꽤 오랫 동안 이 이야기를 믿었으나, 학교에 얘기를 꺼냈다가 비웃음을 당한 후부터 믿지 않게 된다.[31]

그러던 어느 날, 제이크는 아버지로부터 할아버지를 급히 찾아가 보라는 연락을 받고 마트에서 함께 근무하는 아주머니 계산원 셸리가 태워주는 차를 타고 할아버지 댁으로 간다. 무슨 일이 있나 싶어 전화하니 할아버지 에이브는 "위험하니 여기 오지 마라" 하고, 서랍에 넣어둔 총기 보관함 열쇠가 사라졌다며 총 없이 어떻게 괴물들을 물리치냐며 한탄한다. 통화내용을 들은 셸리는 제이크를 측은히 여기며 알츠하이머에 걸리셨냐 묻고 제이크는 치매라고 정정한다.

두 사람은 늦은 밤이 되어서야 할아버지 댁에 거의 도착했는데, 안개 속에서 하마터면 사람을 칠 뻔 한다. 다행히 셸리가 차를 급하게 꺾어 사고를 피하고, 제이크는 차가 그 옆을 지나는 짧은 순간에 칠 뻔한 사람의 눈이 하얀 것(바론)을 목격한다.

제이크가 할아버지 댁에 들어가니 방은 잔뜩 어질러져 있었고 뒷문의 방충망은 찢어져 있었다. 제이크는 급하게 셸리를 부르며 누군가 침입했다고 말하고, 셸리는 총을 들고 나올테니 가만히 있으라고 대답했다. 기다리던 제이크는 뒷쪽 스산한 분위기의 숲 초입에서 할아버지의 피 묻은 손전등을 발견하고 숲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제이크가 발견한 것은 피 묻은 연장을 들고 눈이 뽑힌 채 쓰러진 할아버지. 제이크는 구조대에 연락하려 하지만 할아버지는 "미스 페레그린을 찾아가라"는 등의 의미심장한 말을 남기고 죽고 만다. 순간 갑자기 제이크의 눈에 슬렌더맨 같은 괴물이 보이고, 제이크가 셸리에게 경고하자 아주머니는 그 말을 듣고 뒤돌아 총을 쏘지만 괴물은 이미 사라진 상태.[32] 경찰은 이 사건을 들개의 소행이라 단정지으면서 사건을 종결하고, 제이크의 부모님은 제이크가 PTSD라고 판단해서 정신과 의사 골란에게 방문, 여러 가지 상담을 받게 한다.

제이크의 생일 날, 할아버지가 남긴 책에서 미스 페레그린의 편지를 발견한 제이크는 정신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명목으로 아빠와 함께 할아버지가 말해 준 어린이집이 있는 섬을 향하고, 배 위에서 페레그린(송골매)을 보고 미스 페레그린일지도 모른다며 인사를 건네지만 아빠에게 눈총을 받는다.

숙소에 도착한 다음 날, 웜과 더티 D[33]라는 아이들의 안내를 받아 어린이집을 찾아가지만, 이미 폐허가 된 어린이집을 보고 실망하며 숙소로 돌아간다. 다음날, 제이크는 이 둘과 놀러간다며 다시 어린이집을 찾아갔다가 그곳에서 어린 아이들을 발견한다. 귀신인 줄 알고 도망가다 문 바로 근처에서 넘어지고, 그 아이들은 제이크를 끌고 어느 동굴로 이동한다. 제이크는 이미 할아버지에게 이들의 이름을 들었기 때문에 그 자리에 있었던 모두의 이름[34]을 하나하나 되짚는다. 그들을 따라 1943년의 저택에 도착한 제이크는 미스 페레그린의 환대를 받으며 한명 한명을 소개받는다. 페레그린은 자신은 아이들을 돌보는 별종 임브린 중 하나이며 임브린들의 능력은 새로 변신하는 것과 시간을 재설정하여 24시간 속에서 영원히 살아가는 '루프 '라는 것을 생성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한다.[35] 그 후 정원을 걷다가 엠마의 일과[36]를 도와주며 친분을 쌓지만 제이크를 아니꼽게 여기는 별종 소년 에녹은 엠마가 에이브가 떠난 상처에 남자와는 담을 쌓았으니 친해지지 말라고 한다. 저녁도 먹고, 호레이스의 꿈을 투영한 영화를 보며 아이들과 놀아주는데, 이때 호레이스의 예지몽에 한 노파가 수상한 자들에게 끌려가는 장면이 나온다. 엠마와 제이크가 키스하는 장면(...)을 끝으로, 아이들과 함께 루프를 재설정하는 것도 함께 본다. 1943년 9월 3일, 독일군의 폭격[37]을 맞기 직전 24시간이 계속 반복되는 것. 현대로 돌아갈 시간이 되어, 동굴로 들어서는데 휴대폰이 울리자 엠마가 놀라서 제이크는 폰에 대해 설명하며 엠마와의 사진도 한 장 찍는다. 엠마는 제이크가 바깥에서 살아갈 때도 자신은 여기 있을 것이라고 슬프게 말하며, 현재에서 살면 되지 않느냐는 말에 루프에 있다 밖으로 나가면 본래의 시간으로 돌아가 버리기 때문에 급격히 늙을 것이라고 말한다. 제이크가 할 말을 찾지 못하는 동안 갑자기 다친 새 한 마리가 동굴로 날아 들어와 벽에 부딪힌다. 엠마는 그것이 임브린이란 것을 알아채고 호레이스의 꿈에 나왔던 임브린이라 짐작해서 페레그린에게 데려다 준다. 제이크는 아빠에게로 돌아가지만 엠마에게 작별 인사를 하려던 찰나, 자신은 작별 인사를 정말 싫어하니 제발 그냥 가달라고 하는 말에 내일 또 오겠다고 한다. 제이크가 루프를 나와 다시 돌아가자 공교롭게도 목장의 양떼가 모두 눈알이 뽑힌 채 죽어있고, 제이크의 짓이냐는 주민의 물음에 아빠는 자기 아들은 마침 옆에서 힐책을 받고 있던 더티 D와 웜과 함께 있었다고 하나 두 사람은 ' 코빼기도 못 봤는데요 ' 라고 답한다. 결과적으로 거짓말을 한 제이크를 데리고 숙소로 돌아간 아빠는, 치료목적으로 여행을 허락하는 게 좋겠다던 골란 박사에게 전화로 무지막지하게 화를 내고 제이크더러 섬에 있는 동안 자신 옆에서 떨어지지 말라고 엄포를 놓는다. 다음 날, 아빠를 따라 해변으로 간 제이크는 자신의 책에 실을 사진을 찍으러 왔다는 새(Bird) 사진사를 만나고, 아버지는 제이크더러 절대 밖에 나가지 못하게 한다.

한편 가져온 편지에는 할아버지가 페레그린에게 보낸 내용이 씌여 있었는데 미스 에보셋의 블랙풀에, 바론일당이 찾아간 것 같다는 언급이 있었다. 자고 있는 아빠를 피해 다시 루프로 온 제이크는 도망쳐왔던 임브린을 치료하던 페레그린에게 편지를 돌려주며 에이브가 자연사가 아니라 눈이 뽑혀 사망했다는 사실을 말하며, 바론 일당이 대체 누구냐고 물으니 페레그린은 정색을 하며 밖으로 나간다.
이 때 제이크에게 에녹이 빅터를 만나게 해준다고 해서 올라와 인사를 나누려 했으나, 에이브처럼 눈이 없는 상태로 누워 있는 모습을 보고 사태를 짐작했고, 에녹은 빅터의 시체에 심장을 넣어 제이크를 기겁하게 만든다.[38] 결국은 엠마에게 가서 바론이 누구인지 묻는데, 엠마는 눈이 하얀 사람을 사진으로 보여주겠다고 1915년에 섬에서 침몰한 배로 데려가 에이브가 맡겨둔 책과 사진을 본다. 그리고 페레그린이 뒷뜰에서 할아버지가 사냥해 왔다고 이야기해주곤 하던, 그리고 할아버지의 사망 장소에서 목격했던 그 슬랜더맨을 닮은 괴물을 지정시간에 죽이는 것을 보고[39] 제이크는 자신이 에이브의 능력인 할로우를 볼 수 있는 능력을 이어받은 것을 알게 된다. 이후 페레그린은 제이크에게 바론 일당에 대해 설명한다. 오래 전 루프에서만 사는 것에 불만을 가진 별종들이 임브린의 힘을 이용해 현재를 살아가면서도 영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리더인 바론을 필두로 친구들이 모여 임브린을 매개로 한 기계장치를 통해 불사가 되는 실험을 감행했다. 하지만 실험은 실패로 돌아가고 바론과 친구들은 눈이 없고 촉수가 가득하고 일반인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투명 괴물, 할로우게스트(줄여서 할로우)로 변형되었다고 한다. 수년간의 연구 끝에 바론은 본래 모습으로 돌아오는 방법을 찾아냈는데, 바로 별종의 눈알을 먹는 것이다. 충분한 수의 눈알을 빼앗아 지속적으로 섭취하면 백안이 된 눈을 제외하고는 인간의 모습이 될 수 있다고 한다.[40] 설명이 끝난 후, 다친 임브린이었던 미스 에보셋이 인간의 몸으로 돌아와 할로우들이 자신의 루프를 습격했으며 아이들을 지키려 했으나 자신만 간신히 도망쳤다고 슬퍼한다. 또한 바론 일당이 더 많은 수의 임브린들을 잡아 와 한번에 재실험을 가동할 것이라는 사실을 말한다. 위험을 직감한 페레그린은 새로운 루프를 만들어 도망할 계획을 세우고 아이들에게 짐을 싸라고 이른다. 한편 엠마는 함께 갈 수 없는 제이크와 갈등을 빚고 제이크는 현재로 돌아간다.

다시 현재로 돌아온 제이크는 호텔에서 제이크를 웃음으로 환영해 주었던 오기라는 노인이 절벽에서 눈이 없어진 채로 죽어 있는 것을 본다. 사람들은 다시 들개의 소행으로 알고 넘어가지만, 제이크는 이 상황을 페레그린에게 알리려 루프로 향한다. 그러나 전부터 이상하게 제이크 주위를 맴돌던 사진사가 결국, 루프의 입구까지 제이크를 따라 들어와 버리고, 섬에서 내내 나를 쫓아다녔냐는 제이크의 물음에, 그보다도 더 오래되었다며, 사진사는 갑자기 골란 박사로 변신하고, 급기야 본모습인 바론으로 바뀐다.
본색을 드러낸 할로우들의 리더 바론은, 힌쪽 손을 칼모양으로 변형시켜 제이크를 위협하고 결국 페레그린의 저택에까지 쳐들어 가 제이크를 인질로 잡고 페레그린을 협박한다. 결국 페레그린은 아이들을 응접실에 들여 보낸 뒤 작별의 인사를 남기고, 순순히 변신하여 새장에 갇힌다. 숨어있던 미스 에보셋은 아이들을 조직해 할로우를 대적하기 위해 준비하지만, 할로우가 벽을 뚫고 기습하여 에보셋을 먹어치우자, 제이크는 할로우를 대적할 사람은 본인밖에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에녹이 할로우에게 잡혀 죽을 뻔하지만 제이크가 석궁으로 할로우의 어깨를 쏴 에녹을 구해낸 뒤 아이들을 이끌고 2층으로 도망친다. 아이들은 피오나의 생장능력으로 자라게 한 나뭇가지를 타고 지상으로 도망치고, 9월 3일의 폭탄으로 할로우와 어린이집은 함께 폭발한다. 이로 인해 유지되었던 루프가 사라진다.

아이들은 모두 무사했지만 바론은 미스 페레그린을 타고 온 배에 태워 섬에서 사라진 후였다. 제이크 일행은 엠마의 은신처였던 바닷속 난파선을 이용해 바론이 향했을 블랙풀로 가기로 한다. 엠마가 공기를 주입해 배를 수면 위로 올리고, 올리브가 배의 연료로에 불을 지펴 배를 출발시킨다.[41]
폐쇄된 부두에 도착한 제이크와 아이들은 또다른 루프인 부두에 있는 '귀신의 집' 안으로 들어가 놀이공원으로 나온다. 제이크 일행은 계획을 세우고, 엠마와 제이크, 밀라드만 바론과 할로우들이 있는 곳으로 향한다. 제이크는 허공에 엠마를 띄워 자신들이 있는 곳으로 오라고 도발하고, 바론은 부하 둘을 보낸다. 놀이공원에서 전투가 벌어지고, 아이들이 눈을 던져 할로우들을 식별할 수 있게 한 후 엠마가 솜사탕을 뒤집어 씌워 할로우들이 보이게 하여 전황을 유리하게 몰고, 에녹은 자신의 능력을 이용해 난파선 속 해골들을 살려내 전투원으로 이용하여 할로우를 모두 리타이어시킨다.[42]
아이들은 페레그린을 구하기 위해 바론이 있는 곳으로 향하고, 아이들과 바론의 남은 부하 둘과의 전투가 벌어진다. 바론은 페레그린과 임브린들이 있는 곳으로 향하고, 엠마는 한발 앞서 임브린이 있는 곳으로 들어간 제이크를 위해 바람 공격으로 바론을 몰아붙이며 시간을 끈다. 제이크는 새장 속 임브린들을 풀어주기 위해 자물쇠와 씨름하고, 숨이 딸린 엠마를 뒤로 한 바론이 들이닥치기 직전 새장을 여는데 성공해 임브린들은 바론의 머리를 한 대씩 후려갈긴 후 도망친다. 자신의 계획이 틀어진 것에 분노한 바론이 제이크를 해치려는 그때, 석궁을 든 에녹과 엠마가 제이크를 찾아 들어온다. 하지만 바론은 최후의 수단으로 제이크의 모습으로 변신해 있었고 에녹은 누구를 쏴야 할지 몰라 혼란스러워한다. 두 명의 제이크는 서로 자신이 진짜라고 주장하지만, 진짜 제이크는 에녹에게 "나라는 걸 증명하겠다. 난 평범하지 않으니까."라고 한다.[43] 제이크는 죽지 않은 할로우[44] 하나가 바론의 뒤에 있는 것을 보고, 할로우는 제이크의 모습으로 변신한 바론의 눈알을 빼낸다.[45] 바론의 눈을 먹은 할로우가 제이크마저 노리자 에녹이 제이크에게 석궁을 던져주고, 제이크는 할로우를 사살한다.

사건이 일단락되었지만 루프가 닫힐 시간이 되어 아이들과 제이크는 안타까운 이별을 하고, 할아버지가 죽기 전인 2016년 1월 시점에 바론과 할로우들이 이미 죽었기에 역사개변이 일어나 할아버지가 살아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제이크는 할아버지댁으로 가서 자초지총을 설명한다. 할아버지는 제이크에게 루프가 표시된 세계지도와 세계 각지의 돈[46]을 주며 엠마를 찾아가라고 얘기해 준다. 제이크는 엠마가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고 하자 할아버지는 마지막으로 어디에 있었는지는 알지 않냐고 대답한다. 할아버지의 말뜻을 알아챈 제이크는 세계 지도를 이용해 세계 각지의 루프를 찾아다니며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 수 년 만에 그들이 헤어졌던 부두에 도착하고, 부두에 정박한 난파선에서 다시 엠마와 재회한다.
제이크와 엠마는 감동적인 재회 후 키스를 나누고, 블랙풀 타워 꼭대기에서 그 광경을 흐뭇하게 바라보던 페레그린이 새로 변신해 출항하는 난파선을 향해 날아가는 것으로 영화는 끝난다.

원작에서의 이야기가 초반부터 점점 달라진다.

6. 용어

영어명 출처

7.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메타스코어 57 / 100 점수 6.7 / 10 상세 내용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신선도 64% 관객 점수 60%

<nopad> 파일:IMDb 로고.svg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3.7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3.5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129383"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129383;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29383|{{{#!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7.08 / 10
관람객
8.58 / 10
네티즌
8.46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7.08 / 10
관람객
8.58 / 10
네티즌
8.46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2d2f34><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8.0 / 10



팀 버튼 감독의 최근 필모그래피가 상대적으로 영 좋지 않은 상태인지라 영화 개봉 전부터 원작 팬들의 우려섞인 목소리가 많이 나왔으나 전작들과 달리 준수한 완성도로 체면치레를 했다는 평이 많다.

팀 버튼 감독 특유의 살짝 그로테스크한 크리쳐들로 다소 호불호가 갈릴 수 있으나, 꽤 볼 만한 판타지 영화이다.

하지만 원작 3부작의 내용 중 1권의 내용만 이용하고 그 이후 '할로우 시티'와 '영혼의 도서관'의 내용이 전부 삭제되고 바론도 사망해 후속작이 없어져서 원작을 본 관객들의 아쉬움이 있다.[65]

8. 흥행

8.1. 한국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6년 39주차 2016년 40주차 2016년 41주차
아수라 미스 페레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 럭키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개봉 첫 주 <아수라>의 강세로 인해 박스오피스 2위를 차지했다. 개천절 오전에는 예매율 1위와 일일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가뜩이나 수위가 높아 관람 연령대가 제한적인 <아수라>에 대한 혹평이 거세서 반사효과를 누리고 있는 중. 그리고 10월 2일에 아수라를 넘었다.

그러나 박스오피스 2위임에도 불구하고 유일하게 500만 달러가 넘는 수익을 올리는 등 선방을 하였다.

11월 마지막 주를 기점으로 상영 종료를 확정지었고, 최종 스코어는 2,718,138명이다.

8.2. 북미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6년 39주차 2016년 40주차 2016년 41주차
매그니피센트 7 미스 페레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 걸 온 더 트레인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8.3. 일본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7년 4주차 2017년 5주차 2017년 6주차
닥터 스트레인지 미스 페레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 파트너 극장판 4
링크1 박스오피스 모조

일본 개봉일은 2017년 2월 3일. 개봉 첫주에 닥터 스트레인지를 밀어내고 무난히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였다.

8.4. 해외

11개국이 동시 개봉하였으며, 멕시코, 루마니아, 포르투갈만 개봉 첫 주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그러나 첫주 해외수익 1위가 박스오피스 2위를 한 한국이다

10월 9일 기준 해외수익은 9400만 달러, 북미 수익은 5100만 달러로 1억 4500만 달러를 돌파했다.[66] 앞으로 벌어들이는 해외수익을 계산해보면 적어도 본전은 금세 도달할 듯 보이고, 어느 정도 상당히 수익을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10월 23일 기준 흥행수입 2억달러를 돌파했다. 큰 흥행은 못했지만, 극장수익으로 제작비 회수는 가능할듯..

10월 27일 이미 2억 2천만 달러를 돌파해 2억 3천만 달러에 근접해졌다. 이미 제작비 회수는 되었고, 어느 정도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일본에서 개봉하지 않았다는 것을 감안하면 그럭저럭 괜찮은 양의 추가 수익을 볼 듯하다.

9. 원작과의 차이점

설정과 등장인물만 따왔다고 해도 될 정도로 차이가 큰 편이다.

10. 여담


11. 둘러보기

2016년 대한민국 주간·주말 박스오피스 1위 영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000> 주 차 주간·주말 제목 제작국 누적 관객 수 누적 매출액
1주 차
(01/04~01/10)
주간 히말라야 대한민국 7,084,638명 55,045,924,315원
주말 굿 다이노 미국 550,196명 4,147,190,400원
2주 차
(01/11~01/17)
주간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 미국 821,953명 6,673,566,388원
주말
3주 차
(01/18~01/24)
주간 1,520,794명 12,340,347,350원
주말
4주 차
(01/25~01/31)
주간 쿵푸팬더 3 미국 1,602,030명 12,650,509,520원
주말
5주 차
(02/01~02/07)
주간 검사외전 대한민국 3,336,512명 26,494,381,051원
주말
6주 차
(02/08~02/14)
주간 8,083,281명 64,856,612,764원
주말
7주 차
(02/15~02/21)
주간 데드풀 미국 1,710,188명 14,427,714,621원
주말
8주 차
(02/22~02/28)
주간 귀향 대한민국 1,109,948명 8,339,623,906원
주말
9주 차
(02/29~03/06)
주간 2,605,628명 19,900,961,836원
주말
10주 차
(03/07~03/13)
주간 3,142,620명 23,960,690,042원
주말 주토피아 미국 2,342,909명 18,043,347,562원
11주 차
(03/14~03/20)
주간 2,812,993명 21,857,177,614원
주말
12주 차
(03/21~03/27)
주간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 미국 1,386,658명 11,863,328,637원
주말
13주 차
(03/28~04/03)
주간 1,991,407명 16,722,350,871원
주말
14주 차
(04/04~04/10)
주간 날, 보러와요 대한민국 355,369명 2,993,579,423원
주말
15주 차
(04/11~04/17)
주간 시간이탈자 대한민국 546,820명 4,533,885,435원
주말
16주 차
(04/18~04/24)
주간 944,457명 7,725,634,760원
주말
17주 차
(04/25~05/01)
주간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미국 3,934,515명 32,780,610,498원
주말
18주 차
(05/02~05/08)
주간 7,346,968명 61,616,499,825원
주말
19주 차
(05/09~05/15)
주간 곡성 대한민국 2,319,396명 19,160,332,382원
주말
20주 차
(05/16~05/22)
주간 4,548,698명 37,253,801,706원
주말
21주 차
(05/23~05/29)
주간 엑스맨: 아포칼립스 미국 1,643,413명 13,598,968,320원
주말
22주 차
(05/30~06/05)
주간 아가씨 대한민국 1,825,314명 15,147,163,710원
주말
23주 차
(06/06~06/12)
주간 3,137,421명 26,035,101,352원
주말 정글북 미국 847,460명 7,350,360,669원
24주 차
(06/13~06/19)
주간 1,701,467명 14,722,107,405원
주말
25주 차
(06/20~06/26)
주간 인디펜던스 데이: 리써전스 미국 986,517명 8,624,976,440원
주말
26주 차
(06/27~07/03)
주간 굿바이 싱글 대한민국 908,954명 7,335,486,715원
주말
27주 차
(07/04~07/10)
주간 봉이 김선달 대한민국 1,048,515명 13,904,503,530원
주말 도리를 찾아서 미국 1,015,002명 8,432,301,298원
28주 차
(07/11~07/17)
주간 나우 유 씨 미 2 미국 1,737,725명 14,373,785,709원
주말
29주 차
(07/18~07/24)
주간 부산행 대한민국 5,317,433명 43,839,841,176원
주말
30주 차
(07/25~07/31)
주간 8,412,834명 68,154,112,339원
주말 인천상륙작전 대한민국 2,626,571명 20,615,779,407원
31주 차
(08/01~08/07)
주간 5,245,554명 41,078,672,218원
주말 덕혜옹주 대한민국 1,706,465명 13,786,811,859원
32주 차
(08/08~08/14)
주간 터널 대한민국 2,582,032명 21,011,236,667원
주말
33주 차
(08/15~08/21)
주간 5,085,521명 41,422,424,442원
주말
34주 차
(08/22~08/28)
주간 6,280,546명 51,032,969,697원
주말
35주 차
(08/29~09/04)
주간 6,942,915명 56,147,186,717원
주말
36주 차
(09/05~09/11)
주간 밀정 대한민국 2,174,116명 17,715,843,427원
주말
37주 차
(09/12~09/18)
주간 6,049,842명 49,982,681,371원
주말
38주 차
(09/19~09/25)
주간 6,904,005명 56,733,881,193원
주말
39주 차
(09/26~10/02)
주간 아수라 대한민국 1,802,691명 14,077,307,062원
주말
40주 차
(10/03~10/09)
주간 미스 페레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 미국 1,998,086명 16,215,936,764원
주말
41주 차
(10/10~10/16)
주간 럭키 대한민국 2,002,697명 16,728,672,948원
주말
42주 차
(10/17~10/23)
주간 4,341,321명 35,675,359,273원
주말
43주 차
(10/24~10/30)
주간 닥터 스트레인지 미국 2,399,372명 20,643,593,989원
주말
44주 차
(10/31~11/06)
주간 3,966,439명 34,768,203,072원
주말
45주 차
(11/07~11/13)
주간 4,825,434명 42,516,992,772원
주말
46주 차
(11/14~11/20)
주간 신비한 동물사전 미국
영국
1,936,408명 16,718,524,565원
주말
47주 차
(11/21~11/27)
주간 3,393,931명 29,100,301,801원
주말
48주 차
(11/28~12/04)
주간 대한민국 2,160,082명 16,850,362,393원
주말
49주 차
(12/05~12/11)
주간 판도라 대한민국 1,459,251명 11,799,350,810원
주말
50주 차
(12/12~12/18)
주간 3,113,648명 24,801,770,162원
주말
51주 차
(12/19~12/25)
주간 마스터 대한민국 3,002,188명 24,829,887,409원
주말
52주 차
(12/26~01/01)
주간 5,441,619명 44,184,434,165원
주말
본 자료는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의 주간/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자료를 출처로 하고 있으며, 관객 수와 매출액은 주마다 갱신된 총 수를 기준으로 한다. }}}}}}}}}



[1] 평범한 인간은 루프에 못들어온다. 임브린이 억지로 데리고 들어올 수는 있는데 그러면 들어오는 즉시 정신이 붕괴하여 식물인간이 된다고.[2] 별종으로서의 능력은 보이지 않는 할로우들을 보는 것. 때문에 몸이 보이지 않는 것을 제외하면 별반 방어력은 없는 할로우들의 최대 천적이다. 허나 본인도 전투 능력이 없기 때문에 맨손인 경우에는 되려 위험할 수 있다. 작중 설명에 별종은 열성으로 대를 거치며 갑자기 발현한다고 하였는데, 제이크 역시 할아버지가 가진 할로우를 보는 능력을 물려받았지만 아버지를 걸러 격세유전한 것으로 보인다.[3] 아예 할아버지 측에서 폴란드어로 '작은 호랑이'라는 뜻의 "티그리스쿠"라는 별명까지 붙여줄 정도.[4] 그것도 그냥 죽은게 아니라, 두 눈이 뽑혀 있는 끔찍한 상태었다.[5] 그러나 그것은 바론의 계획으로 제이크는 아무것도 모르고 그곳으로 간 것이다. 거기에서도 짐승들이나 휠체어 탄 노인도 눈이 뽑혀서 난리가 나지만 제이크는 누구도 믿지 못할까 봐 들개라고 변명을 해야 했다.[6] 도쿄에서 사진자판기로 이용했었다. 물론 유럽이나 중국, 한국까지도 루프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 중간 과정을 보면 아예 해군으로 위장한 상태였을 때도 있고 머리카락의 상태로 보아 매우 오래 걸린 듯.[7] 석궁을 할로우에게 두 번, 바론에게 세 번 쐈는데, 마지막에 영거리 사격급의 초근거리 사격으로 할로우를 한번 맞춘 거 빼고는 모조리 빗나갔다. 명중률 25% 제대로 다루지도 못하는 무기 쏘지 말라면서 핀잔 주는 바론은 덤.[출처] 영어명 출처[9] 에녹 피셜이라 확실하진 않지만 페레그린 원장이 검은 정장만 입는 것은 빅터를 에도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동료 임브린들은 에보셋 원장을 제외하면 꽤 자유로운 복장이라고 묘사되는 것을 보면 아마도 빅터를 위한 상복이 맞는 듯 하다.[10] 사실 새로 변했을 때는 임브린이 가장 위험해지는 순간인데, 새로 변하면 시간 조종 능력을 사용하지 못하는데다 변한 상태에서 부상을 당하면 인간으로 다시 돌아올 수가 없는데 이 상태가 지속되면 영원히 새로 살아야 한다. 페레그린이 까도 할말이 없는 능력인 것(...). 그나마 다른 임브린이 치료해주면 다시 인간으로 변할 수는 있다. 새로 변했을 때의 장점이라면 비행 정도인데 이건 페레그린의 변신체가 새 중에서 가장 빠른 송골매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장점이다.[11] 원작에서 이 능력은 올리브의 것이고, 불을 다루는 능력이 엠마의 것이었다.[12] 제이크 역의 에이사 버터필드와 엠마 역의 엘라 퍼넬은 실제로 연인으로 이어졌다가 현재는 결별했다.[그런데] 올리브의 도움에도 불구하고 얼음이 거의 안 녹았는데도 괴력으로 혼자서 깨 냈다(...).[14] 제이크와 첫 식사 때 양봉 모자를 쓰는 것을 깜빡하여 벌들이 날아다니는 사태가 일어났다.[15] 식사 중 제이크에게 "영원히. 영원히 여기서 지내."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또한 집을 떠난다고 페레그린이 이야기 하자 "여기가 우리 집인데?"라고 한다.[16] 제이크는 꽤나 충격받은 얼굴로 벙쪄 있는데 올리브만 혼자 박수를 치고 있다.[17] 뿐만 아니라 외모도 바뀌었는데 원작의 올리브는 왕관을 쓴 꼬마 아이인데 영화에선 오히려 원작의 엠마와 외모가 비슷하다.[18] 할로우를 볼 수 있는 제이크에게 왜 안 보이느냐 의문을 가질 수 있는데, 애초에 제이크의 능력은 '투명한 것'을 보는 것이 아니라 '할로우'를 보는 것이다.[19] 식사를 할때 옷을 홀딱 벗고있자 식사할 때 옷을 벗고 있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고 페레그린이 말해준다.[20] 작중 보여진 예지로는 미스 애보셋이 바론 일당에게 끌려가는 장면과 엠마가 제이크와 키스하는 장면.[21] 본인도 공격 효과를 노린 것은 아닐 것이고, 빛으로 시야를 일시적으로 봉쇄하려 했던 듯했으나 그 정도도 안 됐다는 뜻.[22] 참고로 그 인형은 페레그린이 인형 하나로 싸우는 모습을 발견한 직후 세로로 찢어 이등분해서(...) 나눠 준다. 더 웃긴 건 쌍둥이들이 그걸 태연하게 받아들고 같이 시소를 타며 논다. 식사 때에는 서로의 밥을 먹여주는 장면으로 나온다.[23] 메두사처럼 얼굴을 본 이를 바로 돌로 만들어 버리는 능력. 가면을 벗으면 뱀마냥 하얀 비늘로 덮히고 눈은 세로동공이 꽉 찬데다 입엔 바늘같은 이빨이 들어찬 매우 호러틱한 얼굴이 드러난다.영상 참고 이런 막강한 능력이 있는데도 바론 앞에서 쌍둥이의 얼굴을 보이거나 하지 않고 굳이 복잡하게 싸웠나 할 수 있는데, 바론이 데리고 온 할로우들은 눈이 없어서 쌍둥이의 능력이 통하지 않고 무엇보다 제이크가 바론 근처에 있어서 함부로 능력을 사용하다 자칫 제이크가 돌이 될 팀킬이 될위험성이 있었기 때문이다.[24] 하지만 에이브의 부인은 묘사를 보면 엠마보단 한참 못한 민폐녀로 보인다. 에이브가 이혼하고 엠마에게 가지 못한 게 딸 수지 때문이지 부인 때문이 아닌 것을 보아 에이브도 결혼하고 후회했을 듯(...). 정작 그 수지도 나중가면 에이브를 정신병자 취급했다[25] 그런데 이때 들려주는 이야기가 역사를 조금이라도 공부한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정말 2차 대전을 동화로 포장하여 만든 것 같다. 할로우는 나치, 희생자는 유대인이나 연합군을 비유한 이야기 같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은근히 있다. 제이크의 아버지 역시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26] 일본 엔, 파운드 스털링, 유로, 중국 위안, 심지어는 한국 원도 들어있었다.[27] 그것도 큰 문제도 아닌 아주 사소한 문제에 불과하다. 고작해야 경쟁자가 생기는 정도.[28] 사실 의사로 변신한 바론이었다.[29] 가령 친구들에게 제이크를 속이기 위해 플로리다에 처박혀 있어야 했다며 소리를 지르다 말고 "근데 너희들 플로리다 가본 적 있음?"이라고 묻는다던가, 엠마의 공격을 당할 때 콧물을 흘린다던가 팔을 벌리는 몸짓을 하다 팔이 벽쪽으로 밀리고, 구취제거 사탕을 사주겠다고 말했으며, 호레이스에게 나중에 양복집 소개해 달라고 하거나.[30] 원작에선 실험 실패로 탄생한 괴물들을 할로우게스트, 별종을 잡아먹고 인간 형상을 갖출 수 있게 된 자들을 와이트라 부른다. 영화에선 와이트란 명칭이 언급되지 않는데, 바론을 할로우들의 리더라 칭하는걸 보면 영화에선 없는 설정인듯.[31] 정확히 말하자면 학교에서 비웃음을 당한 후 제이크의 아버지 왈, '할아버지의 이야기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얘기들을 할아버지가 동화로 포장해서 한 것이다' 라는 말을 듣고 나서부터이다.[32] 다만, 괴물이 눈앞에 있었어도 이 아주머니가 제이크처럼 별종의 유전자를 받지 않았다면 못 봤을 확률이 100%다.[33] 원작에서 이름은 딜런, 어떻게 된 거냐면 딜런이 길을 안내해주다가 웜을 만났고, 거기서 소개를 할때 웜이 딜런을 더티 D라고 부른다.[34] 엠마, 올리브, 쌍둥이, 클레어, 밀라드, 브론윈.[35] 이때 제이크가 페레그린의 편지를 슬쩍 가져와 바론의 존재에 대해 알게 된다.[36] 나무에서 떨어진 새끼 다람쥐 올려주기. 어지간히 많이도 해 봤던지 아예 시각에 맞춰 손을 내밀면 다람쥐가 손 위로 떨어질 정도.[37] 당시는 2차세계대전이 한창이었다.[38] 이때 일어나는 장면에서 꽤 놀랄 수 있으니 주의. 그로테스크한 분위기와 배경음악까지 곁들였으니.[39] 9월 3일을 루프로 지정하기는 했으나 그 날 빅터를 죽였던 할로우까지 루프로 재생되면서 매일 같은 장소에서 나타나게 되었다.[40] 당연히 눈알이 뽑힌 대상은 사망한다. 눈알 두개가 뽑힌 만큼 희생자가 늘어나는 것이니 식탁에 바론일당이 둘러앉아 눈알을 포크로 찍어 먹는 장면은 정말 극혐.[41] 이때 배의 모습은 영락없는 유령선 그 자체.[42] 셋은 확실히 죽었으나, 하나는 아직 죽지 않았다. 이후 줄거리 참조.[43] 제이크는 오랫동안 자신이 별종임을 모르고 있었고, 알게 된 후에도 크게 납득하는 눈치는 아니다. 바론도 이를 언급하며 자신이 진짜라고 주장하지만, 정작 진짜 제이크는 본인이 별종임을 인정함으로써 본인임을 증명했다는 것에서 인상적이다.[44] 이 할로우는 앞서 해골들과의 전투에서 브론윈이 던진 회전목마 유니콘에 맞아 바다에 빠졌으나 죽지 않은데다 물 속에서 솜사탕과 눈이 씻겨 버려 다른 할로우의 유해를 검사하는 과학자들의 눈에 띄지 않고 교전 장소로 올 수 있었다.[45] 붙잡히자마자 원래 모습으로 다시 바꾸며 자신이 바론이라고 주장하지만 굶주린 할로우를 막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눈을 먹힌 것이다. 본인이 앞서 그렇다고 말했다.[46] 중국 위안일본 엔은 물론이고 한국 원도 있다! 정확히 말하면 책을 펼칠 때 돈들이 보이는데, 아랫부분에 만원짜리 왼쪽 상단에 있는 글자와 숫자가 보인다.[47] 엠마는 납 신발을 신고 다니고, 올리브는 절연 장갑을 끼고 다녀야 하며, 쌍둥이는 늘 얼굴을 가리고 다녀야 한다. 다만 밀라드처럼 도구의 도움이 없어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48] 빙결 능력을 가진 바론의 부하의 경우, 피오나의 식물을 얼려서 포박에서 벗어났으며 올리브의 발화 능력을 제압하고 역으로 얼려버리기도 했다.[49] 그런데 임브린의 능력이 시간 조종인 것을 생각해보면 매우 사기적인 전투 능력이다. 핵폭탄이 떨어져도 시간을 되돌리면 그만이고 와이트들이 아무리 무장을 해도 시간을 정지시키거나 매우 느리게 하면 아주 쉽게 제압할 수도 있다. 다만 페러그린 원장이 바론(원작에선 골란)과 대치할 때 능력을 사용하지 못한 것을 보면 임브린의 시간 조종은 생각 외로 제한적인 능력일 수도 있다.[50] 그래서 무기를 다루는 법을 항상 숙지해 두고 있는 듯 하다. 미스 페레그린, 미스 에보셋 모두 석궁을 쓰는 법을 알고 있었다.[51] 임브린과 별개로 남성 시간 조종자가 있는지는 불명. 일단 여동생이 임브린인 카울(잭)과 벤담은 평범한 별종이었던 것으로 보아 임브린의 형제라도 시간 조종은 불가능한 듯 하다.[52] 뒷부리장다리물떼새[53] 쏙독새[54] 개똥지빠귀[55] 굴뚝새[56] 최대 24시간이다. 최초의 임브린 '이민'도 처음에는 단순히 몇 분씩 되돌리다가 점점 루프 기간을 확장시켜 24시간의 루프를 만들어냈다. 자세한 내용은 랜섬 릭스의 <기묘한 사람들> 참조.[57] 그래서 돈을 받고 여러 도시의 루프를 관리해 주는 데미 임브린도 있다고 한다.[58] 소설에 따르면 별종들의 발에는 특별한 영혼이 하나 더 있어 루프를 견디게 해 준다.[59] 페레그린이 납치된 이후 루프를 습격한 할로우로 독일군 폭탄에 맞기 직전 엠마와 제이크를 잡아먹으려는 모습이다.[60] 정확히는 실험에 참가한 바론의 친구들이나 지인들이 실험의 부작용으로 변한 것이다.[61] 페레그린의 아이들이 할로우와의 결전 때 할로우를 시인하기 위해 눈덩이를 던져 대충 형태를 잡은 뒤, 솜사탕을 뒤집어씌워서 어디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만들었다.[62] 문제는 자기들끼리조차 누가 누군지 구별하지 못한다(...). 이것 때문에 최종보스가 허무하게 사망한다.[63] 참고로 눈을 뽑는 건 원작에 비해 순화된 것이다. 원작에선 희생자의 배를 갈라서 죽여버린다.[64] 다만 이는 사람들의 주목을 끌지 않으면서 제이크 일행을 쫓기 위해 그렇게 행동한 것으로 보이며, 심의상으로도 거리에 나다니는 시민들을 학살하는 장면을 보여줄 순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할로우들이 대학살을 벌일까 봐 조마조마했다는 평도 있는 편.[65] 다만 원작이 워낙 잔혹한 탓에 그 즈음에서 적당히 끝맺는 편이 나았을 수도 있다.[66] 이 중 한국에서 1458만 달러를 돌파했고, 덕분에 전 세계 수익의 10%가 넘는 수익을 한국에서 보게 되었다.개봉전에 팀 버튼 감독이 한국에 오고 싶다고 했던 것과 지금 한국에서의 흥행 성적을 보면 정말로 한국에 오고 싶어질 듯.[67] 원래는 눈구멍과 머리카락, 코도 있는 모습이었다. 다만 입에서 촉수가 나오는 것은 그대로이다.[68] 원작에서 마을의 랩퍼 아이들양아치이 양을 죽였다는 의심을 벗는 것도 이 때문. 몸이 피칠갑이 되었어야 했는데 아무것도 묻지 않아서.[69] 할로우들에게 살해당하고 에녹에 의해 잠깐 살아나 제이콥에게 힌트를 준다. 영화에서는 살해당하는게 프리스트 홀의 바텐더 케브의 오기 할아버지로 변경되었는데, 에녹이 살리거나 하는 장면은 없다.[70] 정확히는 늪을 지나 돌무덤을 통과하는 것인데 영화상에선 늪과 동굴의 문자들을 생략한 것. 동굴의 전체적인 모습은 소설속 사진과 흡사하다.[71] 그도 그럴 것이,아이들이 같이 저녁을 먹자고 할 때 엠마가 저녁식사 때 입을 재킷을 입혀준 후 그 재킷에 꽃을 꽂아주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소설에서는 엠마가 제이콥에게 먹으라고 준 것을 제이콥이 간직해서 숙소로 가지고 왔다가 다음날 아침에 썩어있는걸 발견했다.[72] 제이콥을 보는 순간 제이콥의 할아버지에게 무슨 일이 생겼다는 것을 직감했지만 현실을 부정하며 제이콥을 침입자로 몬다. 허리에 칼을 들이대어 미스 페레그린에게로 끌고 간다.[73] 이 부분은 원작을 먼저 보든 영화를 먼저 보든 독자들이 혼란스러워 할 부분이니 참고, 여담으로 원작에서 에녹은 제이콥과 첫 대면할 때 제이콥이 엠마에게 관심이 있다는 것을 어느 정도 파악당하는 묘사가 있었다. 결국 영화에서는 불을 다루는 올리브와 연인 사이로 발전 다만 초기에는 에녹은 공기보다 가벼운 엠마를 좋아하고 불을 다루는 올리브가 에녹을 좋아했었다. 연인 사이는 영화 후반부부터.[74] 제이콥이 직접 총을 쏴서 죽임. 바론은 골란 박사가 예전 스쿨버스 기사 행세를 할 때 쓰던 가명으로만 나온다.[75] 책에 사진을 보면 마치 해리포터에 나오는 빌런 벨라트릭스 레스트랭 같은 머리를 하고 있다.[76] 페러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 3 번째 이야기, 영혼의 도서관.[77] 참고로 둘 다 틀린 표기이며(...) 페그린이 올바른 표기법이다.[78] 예를 들면 할로우들을 설명할때 눈이 하얀 산타 클로스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