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5 15:40:30

매그니피센트 7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경제 용어}}}에 대한 내용은 [[매그니피센트 7(기업)]]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매그니피센트 7(기업)#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매그니피센트 7(기업)#|]]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경제 용어: }}}[[매그니피센트 7(기업)]]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매그니피센트 7(기업)#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매그니피센트 7(기업)#|]]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앤트완 퓨콰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 다큐멘터리 제외
<colbgcolor=#d2691e><colcolor=#fff> 매그니피센트 7 (2016)
The Magnificent Seven
파일:external/29e2ef6bcbbf99bd8d3e367eae051b8df68c9532dc0ff1edf86215ef8764a09f.jpg
{{{#!wiki style="margin: -5px -10px"
장르 서부극, 액션
감독 앤트완 퓨콰
각본 존 리 핸콕
닉 피촐라토
제작 로저 번바움
토드 블랙
원작 구로사와 아키라 - 영화 《7인의 사무라이
존 스터지스 - 영화 《황야의 7인
촬영 마우로 피오레
편집 존 르포아
음악 제임스 호너[1]
사이먼 프렝글런[2]
미술 데릭 R. 힐
의상 샤렌 데이비스
출연 덴젤 워싱턴
크리스 프랫
에단 호크
빈센트 도노프리오
이병헌
마누엘 가르시아룰포
마틴 센스마이어 외
제작사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론스타 캐피럴
빌리지 로드쇼 픽처스
핀 하이 프로덕션
에스케이프 아티스트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소니 픽처스 릴리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PI 코리아
촬영 기간 2015년 3월 18일 ~ 2015년 8월 18일
상영 시간 133분
개봉일 파일:토론토 국제 영화제 로고.svg 2016년 9월 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년 9월 13일[3]
파일:미국 국기.svg 2016년 9월 23일
제작비 9,000만 달러
박스오피스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 $93,395,132 (12월 22일 기준)
파일:세계 지도.svg $160,400,289 (12월 22일 기준)
총 관객수 921,317명 (최종)
스트리밍 | VOD 파일:wavve 로고.svg[4] | 파일:왓챠 로고.svg | 파일:iOS Apple TV 아이콘.svg
[[쿠팡플레이|
coupang play
]]
#!if 링크 != null
[[https://www.coupangplay.com/content/29c2d574-dd47-426c-a205-d721055392b6|▶]]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ww.coupangplay.com/content/|▶]]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coupangplay.com/content/|▶]]
#!if 주석2 != null
^^^^
국내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북미 상영 등급 파일:PG-13 로고.svg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
4.1. 주요 인물4.2. 그 외 인물
5. 줄거리6. 결말7. 사운드트랙8. 평가9. 원작과의 차이점10. 흥행
10.1. 한국10.2. 북미10.3. 해외
11. 기타

1. 개요

1960년 존 스터지스의 영화 《황야의 7인》의 리메이크작.

MGM/UA가 2차 파산 이후 많은 영화들의 판권을 넘겨주게 되는데 《황야의 7인》은 콜롬비아 픽처스한테 간다. 그 후 리메이크 형식으로 나올 것이며 한국에서는 특히 이병헌의 출연으로 화제를 모았다.

2. 예고편

<rowcolor=#fff> 티저 예고편 2차 예고편
<rowcolor=#fff> 30초 예고편 7인 7색 캐릭터 예고편
<rowcolor=#fff> Billy Rocks 캐릭터 예고편 Billy Rocks 캐릭터 30초 예고편

3. 시놉시스

"정의를 원하죠. 하지만 복수를 택하겠어요"
1879년, 평화로웠던 마을 로즈 크릭을 돈과 무력으로 점령한 보그 일당의 탐욕적인 악행과 착취로 인해 선량한 사람들이 이유없이 살해당하고 쫓겨나게 된다. 남편의 억울한 죽음을 지켜본 엠마는 치안 유지관을 가장한 현상범 전문 헌터 ‘샘 치좀’(덴젤 워싱턴)을 찾아 그에게 마을의 전 재산을 건 복수를 의뢰한다.

마음이 움직인 ‘샘 치좀’은 도박꾼 ‘조슈아 패러데이’(크리스 프랫)와 라이플의 명수 ‘굿나잇 로비쇼’(에단 호크), 암살자 ‘빌리 락스’(이병헌),
무법자, 추격자에 인디언 전사까지, 7인의 무법자를 모아 모든 것을 날려버릴 최후의 결전을 준비하는데…

정의가 사라진 세상, 통쾌한 복수가 시작된다!

4. 등장인물

4.1. 주요 인물

4.2. 그 외 인물

5. 줄거리

6. 결말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7. 사운드트랙

<rowcolor=#fff> "Rose Creek Oppression" "The Magnificent Seven"
엘머 번스타인이 작곡한 원작의 테마곡을 개정한 곡
제임스 호너와 사이먼 프랭글렌이 공동으로 음악을 맡았다. 사이먼 프랭글렌은 영국 출신의 작곡가이자 음악 프로듀서로, 오랜 기간동안 제임스 호너의 음악작업에 편곡자나 연주자,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My Heart Will Go On"의 공동 프로듀싱을 맡기도 했다. 이들이 작곡한 오리지널 스코어는 원작 《황야의 7인》의 음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원래 제임스 호너 단독으로 음악을 맡기로 되어있었다. 그러나 영화가 촬영되기 전인 2015년 6월 22일, 호너는 경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하고 말았다. 결국 감독 앤트완 퓨콰는 다른 작곡가를 물색할 수밖에 없었지만, 어느 날 호너가 사망하기 전에 이미 작곡 작업을 시작했으며 이를 서프라이즈로 준비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호너는 약 15분 정도 분량의 테마곡 7개를 작곡했었다. 이후 호너의 절친한 친구이자 동료 음악가였던 사이먼 프랭글렌이 호너의 작업을 이어받아 음악을 맡았다.

프랭글렌은 엘머 번스타인의 원작 음악을 참고하여 현대적인 액션 음악을 클래식한 느낌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했다. 흔히 할리우드 액션 영화에는 오케스트라에 신디사이저 리듬이 결합되는 방식이 자주 사용되는데, 프랭글렌은 신디사이저 대신 박수 소리를 리듬으로 활용했다. 또한 빌런 캐릭터를 묘사하기 위해 두 대의 벤조를 사용한 테마를 만들었다. 할리우드 스튜디오 심포니의 연주로 완성된 이 스코어는 제임스 호너의 공식적인 유작이며, 평단은 스코어에 우호적인 반응을 보이며 제임스 호너의 경력을 기렸다.

사운드트랙은 2016년 9월 16일에 소니 클래시컬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

8. 평가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메타스코어 54 / 100 점수 6.2 / 10 상세 내용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신선도 64% 관객 점수 71%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별점 3.3 / 5.0

전반적인 평은 말 그대로 깔끔하고 무난하게 볼만한 서부극. 이 영화에 매우 흡족할만한 관객층이라면 스토리보다는 덴젤 워싱턴크리스 프랫 등의 배우들의 특유의 카리스마를 기대하는 팬들이나, 서부극을 좋아하는 관객들은 적들을 압도하는 장면 등에서 쏠쏠한 카타르시스를 마음껏 느끼고 극장을 나올 수 있다. 다만 빚을 갚기 위해 반강제로 참여했던 패러데이가 어째서 자신의 목숨을 버려가며 싸웠는지, 로비쇼는 어째서 트라우마를 극복했는지 등에 대한 전체적인 스토리의 개연성이 부족하다. 스토리라인을 중요시하는 관객이라면 알아둘 것.

액션 부문에서는 상당한 호평을 얻고 있다. 메타크리틱과 로튼토마토 둘 다 초반에 떨어졌다가 소폭 상승했다. 근래 나온 서부극 중 이만한 액션이 없다는 평.

스토리는 《7인의 사무라이》 - 《황야의 7인》을 리메이크한 정도의 딱 예상할 만한 평작 정도의 느낌을 보여주며, 연기와 액션이 상당히 괜찮다는 평가다. 특히 후반부의 대규모 액션 장면은 푯값을 한다는 말들이 있다. 감독의 특성상 기존의 아날로그적 서부극 액션을 구현하는데 치중한 듯하다.

이병헌이 의외로 상당한 비중의 주연으로 나온다. 특히 에단 호크와의 콤비 플레이가 많은 편.

원작의 원작인 7인의 사무라이와 연관점이 많다. 물론 원작인 만큼 당연한 것이겠지만, 7인의 사무라이를 본 영화 팬이라면 덴젤 워싱턴의 샘 치좀은 원작의 시마다 간베에, 조슈아 패러데이는 기쿠지요가 생각날 가능성이 있고, 이 둘의 몇 가지 장면이 원작의 배역과 비슷한 점들이 있다. 하지만 시대의 조류에 따라 많은 캐릭터들이 다인종 사회를 상징하도록 조정되었다. 동양인, 히스패닉, 코만치족 원주민, 흑인 등. 심지어 옛 인디언 헌터와 아메리카 원주민, 옛 북군 흑인 지휘관과 남군 백인 저격수가 한 팀이 되는 기가 막힌 구성을 보여준다. 살아남은 인원이 모두 유색인종이란 점도 눈에 띈다. 그에 따라 각 캐릭터들이 7인의 사무라이와 완전히 연결되지는 않는다.

9. 원작과의 차이점

원래 황야의 7인과 비교하여 서술되었으나 여기에 일본판 '7인의 사무라이'와의 비교점도 추가하였다. 이하 원작(황)과 원작(사)로 서술한다. 간추리면 원작에 비해 깊이는 줄이고 액션 쪽에 중점을 둔 활극물이 되었다.

10. 흥행

북미 9,342만 달러, 해외 6,700만 달러를 기록하여 총 1억 6천만 달러의 수익을 벌었다. 제작비가 9천만 달러이므로 흥행은 크게 성공하지 못했다. 박스오피스 기준

대신 2차시장에서 3,400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손익분기점은 넘기게 되었다. 블루레이 등의 2차 수익

10.1. 한국

북미보다 빨리, 그리고 추석 연휴의 시작인 9월 14일 수요일에 개봉했다. 비슷한 시기에 《밀정》(이 영화에도 이병헌이 출연), 《고산자, 대동여지도》 등의 경쟁작들이 개봉했다.

그리고 《밀정》은 꺾지 못 했지만, 《고산자, 대동여지도》, 《벤허》, 《거울 나라의 앨리스》등등 경쟁작들을 전부 다 꺾어버리고 첫주 관객수 67만명로 2위를 기록하여 괜찮은 시작을 보여줬다. 그러나 회차가 거듭될수록 박스 오피스는 이기고 있던 벤허에게 밑려 2주차 관객수는 총 87만명에 그쳐 3위로 하락했고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었던 긴 추석 연휴 덕분에 초반에는 어느 정도 흥행 성적을 찍었으나 연휴가 끝난 후에는 드랍율이 커져 개봉 3주차에 10위권 밖으로 밀려 결국 앤트완 퓨콰의 최고 흥행작인 《킹 아더》의 관객수(1,213,584명)를 넘지 못하고 최종 관객수는 92만명으로 마무리했다.

10.2. 북미

미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설리: 허드슨강의 기적
(2016년 38주차)
매그니피센트 7
(2016년 39주차)
미스 페레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
(2016년 40주차)
데드라인에 따르면 개봉 오프닝 첫 주 박스오피스 예상 매출액으로 5천만 달러를 벌어들 것으로 예상했으나 # 개봉 첫 주 박스오피스에서 예상치 보다 적은 3천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 하지만 2주차에는 미스 페레그린과 이상한 아이들의 집의 개봉으로 첫주 보다 55%나 감소하여 박스오피스 3위로 떨어졌다.

10.3. 해외

25개국이 동시 개봉과 함께 포르투갈,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키스탄, 에콰도르 등 개봉 첫 주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지만 최종 북미 제외 해외 흥행 수익은 6,700만 달러에 그쳤다.

11. 기타


[1] 비행기 추락사고로 사망하였고 이 영화는 그의 미완성 유작이다. 참고로 완성 유작은 사우스포.[2] 제임스 호너가 사망한 뒤 작업을 이어나갔다.[3] 전야개봉[4] 제외됨[5] 원작(사)의 카츠시로, 원작(황)의 치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