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10:15:02

티파니앤코

티파니(브랜드)에서 넘어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의 시계 제조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해리 윈스턴 로고.svg 파일:Jacob & Co. 로고.svg 파일:RGM_logo.jpg 파일:Tiffany & Co. 로고.svg 파일:Ralph Lauren Watch and Jewelry Co._logo.jpg
파일:Devon_logo.png 파일:BALL Watch.png 파일:Vortic_logo.jpg 파일:Movado 로고.svg 파일:Ingersoll 로고.svg
파일:Bulova 로고.svg 파일:Wittnauer.jpg 파일:MVMT 로고.svg 파일:캘빈 클라인(브랜드) 로고.svg 파일:LUMINOX 로고.svg
파일:FOSSIL 로고.svg 파일:TIMEX 로고.svg 파일:INVICTA 로고.svg 파일:게스 로고.svg 파일:NIXON 로고.svg
파일:Armitron 로고.svg 파일:Bertucci 로고.jpg 파일:garmin-logo.png 파일:Fitbit 로고.svg 파일:Apple 로고.svg
}}}}}}}}} ||
하이 주얼리 브랜드
파일:부쉐론 로고.svg 파일:Buccellati.jpg 파일:불가리 로고.svg 파일:Cartier 로고.svg 파일:쇼메 로고.svg
파일:Chopard 로고.svg 파일:Damiani logo.png 파일:Graff.jpg 파일:Tiffany & Co. 로고.svg 파일:Van Cleef & Arpels 로고.svg
<colbgcolor=#7fd7cf><colcolor=#000> 티파니앤코
Tiffany & Co.
파일:Tiffany & Co. 로고.svg파일:Tiffany & Co. 로고 화이트.svg
업종 보석
설립 1837년 9월 18일 ([age(1837-09-18)]년)
설립자 찰스 루이스 티파니 (Charles Lewis Tiffany)
존 B. 영 (John B. Young)
주요 임원
회장
마이클 버크 (Michael Burke)
부회장
알레상드르 아르노 (Alexandre Arnault)
CEO
앤서니 르드뤼 (Anthony Ledru)
본사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뉴욕주 뉴욕시
모기업 파일:LVMH 로고.svg파일:LVMH 로고 화이트.svg
공식 사이트 [[https://www.tiffany.com/|
파일:Tiffany & Co. 로고.svg
]]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핀터레스트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external/4.bp.blogspot.com/tiffany%2527s.jpg
뉴욕본점

1. 개요2. 역사3. 특징4. 티파니 블루5. 제품
5.1. 티파니 T5.2. 티파니 하드웨어5.3. 티파니 노트5.4. 티파니 락5.5. 쟌 슐럼버제5.6. 티파니 커플링&웨딩링5.7. 티파니 워치5.8. 엘사 퍼레티™5.9. 팔로마 피카소5.10. 리턴 투 티파니
6. 국내 매장7. 앰버서더 및 프렌즈
7.1. 글로벌7.2. 로컬
8. 논란 및 사건 사고
8.1. 옥외광고 슬로건 논란8.2. 개인정보 유출 사고
9. 기타10. 둘러보기

1. 개요

파일:티파니앤코 뉴욕 본점.png
티파니앤코 뉴욕 본점
미국의 하이엔드 명품 주얼리 브랜드. 찰스 루이스 티파니와 존 B.영이 1837년 9월 18일 뉴욕에서 영업을 시작한 다이아몬드 액세서리 전문 브랜드이다. 특히 6개의 프롱이 다이아몬드를 들어 올리는 '티파니 세팅' 을 개발해 현대적인 약혼반지의 기준을 세웠다. 까르띠에와 더불어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 매출 선두 자리를 항상 지키고 있는 기업.

정식으로는 '티파니'로 읽는데, 티파니가 흔한 인명이기 때문에 보석 티파니라고 표현하거나 영문 표기 그대로 '티파니앤코'로도 읽기도 한다.
<rowcolor=#000> 연도 매출 신장률 영업이익
2019 43억 8천만 ($) -1.55%
2020
2021
2022 50억+ ($)
<rowcolor=#000> 연도 한국 매출 신장률 영업이익
2020 2,354억
2021 2,881억 22.4%
2022 3,560억 24% 216억
2023 3,510억 -2%

2. 역사

파일:티파니앤코의 역사.png
티파니앤코의 역사

1837년 뉴욕의 259 Broadway에서 시작하였으며 처음에는 식기와 팬시용품을 판매하였다.[1]

남북 전쟁 시기에는 북군을 후원하여 기병도 같은 무기를 만들고 깃발 및 수술도구를 제작하기도 했다. 19세기 후반 다이아몬드 사업을 시작했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까지를 소위 티파니의 황금시대라 부른다.

1940년 뉴욕 Fifth Avenue at 57th Street로 본점을 이전하였다. 5번가 본점은 현재도 영업을 하고 있다.

2021년 1월에 프랑스 LVMH에 인수되었다. LVMH가 미국 시장 공략[2]과 보석, 귀금속 악세사리 등 하드패션 부문을 강화하려던 차에 성장 동력이 떨어져가던[3] 티파니 측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짐으로써 성사됐다. 인수 금액은 주당 135달러인 총 162억 달러 (원화 19조 512억원)로 LVMH 그룹 출범 이후 최대 규모의 M&A로 기록되었다.# 금액이 금액이니만큼 LVMH도 마냥 인수가 쉽지 않아서 인수를 미루려던 LVMH와 빨리 이행하라는 티파니앤코 사이에 소송전도 오갔다. 인수 완료 후, 까르띠에반클리프 아펠을 소유한 리치몬트 그룹과 티파니, 불가리를 보유한 LVMH가 보석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상대하게 되며, 이들 브랜드와 격을 맞추기 위해 기존보다 더 프리미엄화 하는 방향으로 전략이 세워졌다. 때문에 향후 지속적인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

3. 특징

파일:티파니앤코 6프롱 다이아 반지.png
티파니앤코 6프롱 다이아 반지

캐럿보다 광채를 중시하는 티파니의 전통을 보여주는 티파니 옐로 다이아몬드와 6개의 프롱[4]이 다이아몬드를 고정하는 티파니 세팅이 유명하다. 다이아몬드 외에도 이나 을 이용한 제품도 만들고 있다. 현재는 향수, 가죽제품, 테이블 웨어 등으로 영역을 확장했다.

파일:옐로우 다이아몬드 & 쟌 슐럼버제 버드 온 어 락.jpg
옐로우 다이아몬드 & 쟌 슐럼버제 버드 온 어 락



소위 "명품"을 제작 판매하는 회사들 중 의외로 많지 않은 미국 기업 중 하나로[5], 미국 연방정부와도 오랫동안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일례로 미국 화폐인 달러 지폐에 새겨진 미합중국 문장(Great Seal of the United States)은 1880년대에 티파니가 기존의 것을 고쳐 디자인한 것이며, 미국 공식 행사에 사용되는 물건들(예를 들어 의전 행사용 해병 군도인 mameluke sword 등) 중에도 티파니가 제작한 것들이 많고, 백악관에서 사용하는 고급 식기[6] 및 국빈에게 증정하는 선물 등도 티파니 제품이다.

일반적인 명품 브랜드와 달리 가격 스펙트럼이 매우 넓다. 보통의 명품 브랜드같은 경우 고급스런 이미지를 위해 보급형 중저가라인 제품들은 생산하지 않으며 고가 마케팅을 유지한다. 하지만 티파니는 수십만원대의 티파니의 네임벨류 대비 합리적인 제품부터 억대를 호가하는 초고가 제품까지 다양한 가격대로 판매하고 있다. 이에 대해 비싼 명품 보석을 구매하기 어려운 젊은 청년들에게 티파니 상자 속 꿈을 담아 주는 일명 '티파니 드림'을 전하고 싶어 저가 브랜드 런칭을 안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렇게 티파니는 또 다른 마케팅[7]을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모든 제품은 최고급 실버만을 사용하며 합리적인 가격들을 책정한 것일뿐 중저가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의 오드리 헵번이 뉴욕 5번가 본점 앞에서 빵을 먹고 커피를 마시며 매장을 바라보는 장면은 매우 유명하다. 이 장면을 통해 티파니앤코는 상류층 여성들의 상징과 같은 브랜드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세계적으로 이름을 알리는데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영화 제목에 브랜드 이름을 넣은 최초의 PPL로도 유명하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지금도 티파니 매장에는 《티파니에서 아침을》시절 오드리 헵번의 사진이 걸려있다. 그리고 사업 다각화와 근래 흔히 말하는 인스타 세대를 잡기 위해 이 영화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뉴욕 본점 4층에 브런치 카페를 열어 정말로 '티파니'에서 '아침'을 먹을 수 있게 됐다.The Blue Box Cafe 최근에는 홍콩과 영국 런던 고급백화점 Harrods에 입점했다. 2013년 영화 《위대한 개츠비》를 통해 다시 한번 주목 받았다. 영화 속 배경인 1920년대 뉴욕을 재현하기 위해 티파니앤코와 전적으로 협력한 것이다. 영화에서 사용되는 과거를 재현한 쥬얼리 제작에만 18개월이 소요되었다. 영화 속 주인공들의 악세사리뿐만 아니라 개츠비 집 인테리어 곳곳을 티파니앤코 제품들로 장식했다.

슈퍼볼 우승 트로피인 빈스 롬바르디 트로피나 월드 시리즈 우승 트로피인 커미셔너 트로피같은 유명 스포츠 우승컵과 우승반지를 제작하는 기업이기도 하다.

4. 티파니 블루

파일:WOT_Hero_11AA.jpg
티파니앤코를 상징하는 티파니 블루

컬러 마케팅을 굉장히 성공적으로 활용한 기업이다. 티파니 블루[8]라는 고유의 색을 색채상표로 가지고 있는데, 이를 상자와 포장지, 쇼핑백 등에 활용한다. 여러 마케팅을 통해 이를 티파니의 상징으로 삼고 있다. 티파니 블루를 기업의 상징컬러로 사용하게 된 유래는 꼬까울새의 알 색깔이다. 빅토리아 시대 영국에서는 결혼식 하객들에게 자신을 잊지 말아달라는 뜻으로 꼬까울새의 알색인 블루 컬러를 입한 비둘기 모양 브로치를 선물했었다. 티파니는 이 블루 컬러를 기업 광고책 표지에 사용해 배포했고 블루북이라는 이름도 붙였다. 이후 이러한 색상은 온갖 곳에서 사용된다. 특히 1886년 티파니 세팅 제품을 선보일 당시 티파니 블루로 꾸며진 반지 상자에 넣어 선보인 것이 결정타를 날렸다. 이 반지 상자는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끌었고 티파니 매장에는 티파니 블루 색상의 반지 상자를 구매하겠다는 사람들로 넘쳤다. 오늘날 온갖 곳에서 사용되며 티파니앤코를 상징하는 색상으로 남았다.

1998년 상표등록을 통해 전 세계에서 오직 티파니만 티파니 블루 색상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격적으로 법적인 문제는 없었지만 이를 색채 상표로 굳히기 위해 여러 노력을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빨간색 밑창'으로 유명한 구두 브랜드 크리스찬 루부탱이 밑창까지 전신이 새빨간 구두를 내놓은 입생로랑을 상대로 법정 공방을 벌였던 사건이 있었는데, 특정 브랜드의 색채를 강조하기 위한 소송전이였기 때문에 역시 비슷하게 티파니 블루를 자신들의 고유 색으로 정착시키려는 티파니와 이해관계가 맞아 소송전에서 티파니가 크리스찬 루부탱 편에 서기도 했다.# 2007년 대한민국에서도 상표법이 개정되어 색채상표를 도입할 수 있게 되자 바로 이 색채상표를 등록하기도 했다.키프리스 등록 정보 여담으로 마틴 린드스트롬의 연구에 따르면 여성들은 티파니 블루 색상을 보는 것만으로도 심장박동수가 22%나 상승한다고 한다.

5. 제품

5.1. 티파니 T

파일:티파니 T 아이콘 컬렉션.jpg
티파니 T 아이콘 컬렉션



티파니의 이니셜인 알파벳 T를 디자인 포인트로 만들어진 컬렉션이다. 티파니 T 컬렉션은 1975년 티파니 아카이브에 등장한 아이코닉한 모티프에 대한 오마주이자, 브랜드의 탄생지인 뉴욕의 깨끗하고 수직적인 스카이라인과 교차하는 거리에서 영감을 받았다.

알파벳 'T'라는 단순하고 그래픽적인 형태를 주얼리의 핵심 디자인 요소로 사용하여, 뉴욕의 에너지와 가능성을 대변한다.


티파니 스마일 외에도 T1 뱅글 팔찌, T1 와이어 팔찌 등 다양한 라인이 존재한다
파일:(좌) 티파니 T1 네로우 다이아 힌지드 뱅글 & (우) 티파니 T1 네로우 서클 펜던트.jpg
(좌) 티파니 T1 네로우 다이아 힌지드 뱅글 & (우) 티파니 T1 네로우 서클 펜던트



티파니의 실버 입문템이 리턴 투 티파니 펜던트라면 골드 입문템은 명실상부 T 스마일 목걸이 스몰사이즈이다. 가장 인기 있는 스몰사이즈, 로즈골드 옵션 제품의 가격이 2025년 기준 1,890,000원으로 까르띠에 다무르와 더불어 무난한 가성비 명품 입문템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이러한 평가를 의식해서인지 2024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기존 스몰 사이즈 라인을 온라인 익스클루시브로 돌리고 기존 스몰에 10p 다이아몬드 액센트를 더한 제품을 200만원 후반대로 신규 출시했다. 즉 기존 스몰 사이즈는 이제 온라인으로만 구입할 수 있다.

5.2. 티파니 하드웨어

파일:티파니앤코 하드웨어 아이콘 컬렉션.jpg
티파니 하드웨어 아이콘 컬렉션

링크로도 불리는 제품으로 2017년 출시된 라인이며, 1971년 아카이브의 유니섹스 브레이슬릿에서 영감을 받은 컬렉션.
출시 초기에는 한국에서 인기있는 데일리 스타일보다는 볼드하다보니 주목을 크게 못받는 듯 하였지만 하이쥬얼리 커뮤니티에서는 실물파로 통한다

뉴욕의 강인한 정신을 상징하는 볼과 게이지 링크 디자인이 특징이다. 뉴욕의 강인한 정신, 회복력, 그리고 자유를 상징하며, 파격적이면서도 지극히 세련된 스타일.국내에서는 김나영, 박주미, 이지아, 박민영 등 유명 연예인들이 많이 착용하고 나왔던 라인업이다.
파일:티파니앤코 하드웨어 그래듀에이티드 링크 네크리스 & 스몰 링크 브레이슬릿 .jpg
티파니앤코 하드웨어 그래듀에이티드 링크 네크리스 & 스몰 링크 브레이슬릿

티파니 하드웨어를 검색하면 김나영 의 인스타그램 사진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볼드한 라인이다보니 착장은 화이트/블랙 등 깔끔한 스타일과 자주 매칭되고 있다.
파일:(좌) 김나영 일상 티파니 하드웨어 (우) 티파니 하우스 오브 아이콘 팝업 스토어 .jpg
(좌) 김나영 일상 티파니 하드웨어 (우) 티파니 하우스 오브 아이콘 팝업 스토어


이외에도 배우 그레타 리, 마이키 매디슨, 패션 인플루언서 크리셀 림 등 수많은 셀러브리티와 인플루언서들이 일상과 공식 석상에서 하드웨어 주얼리를 착용하며,

컬렉션의 대담하면서도 웨어러블한 매력을 입증하고 있다.

파일:(좌) 그레타 리 (우) 마이키 매디슨.jpg
(좌) 그레타 리 (우) 마이키 매디슨




5.3. 티파니 노트

파일:티파니앤코 노트 아이콘 컬렉션.jpg
티파니 노트 아이콘 컬렉션
티파니앤코의 아이콘 컬렉션 중 하나인 티파니 노트.뉴욕 거리의 '체인 링크'와 아카이브의 '리본' 모티프를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상반된 것들의 조화'라는 철학을 담겨있다.

특히 티파니 노트 귀걸이는 2024년 11월, tvN 예능 프로그램 '유 퀴즈 온 더 블럭'에 15년만에 토크쇼에 출연했던배우 고현정이 착용하며 큰 화제가 되었다.
파일:유퀴즈온더블럭에 출연한 고현정이 착용한 티파 니노트 귀걸이와 티파니 빅토리아 귀걸이png.png
배우 고현정이 유퀴즈 온 더 블럭에서 착용한 티파니 노트 귀걸이


티파니 노트 컬렉션은 리본 형태의 일관적인 디자인 특징이 있고, 최근에는 신제품으로 노트 체인 팔찌와 미니 노트 목걸이, 미니 귀걸이 등이 출시되기도 하였다
파일:티파니 노트 더블 로우 힌지드 뱅글.png
티파니 노트 더블 로우 힌지드 뱅글
파일:티파니 노트 목걸이.png 파일:티파니 노트 반지.png
티파니 노트 목걸이 티파니 노트 반지

5.4. 티파니 락

파일:티파니앤코 락 아이콘 컬렉션.jpg
티파니 락 아이콘 컬렉션


티파니 락 컬렉션은1883년 티파니 아카이브에 보관된 자물쇠 모티프를 통해 탄생했다.
자물쇠에서 영감을 받은 티파니 락은 두 사람을 이어주는 영원한 유대를 상징하는 제품.

파일:티파니 락.jpg
티파니 락



깨지지 않는 유대를 상징하는 브랜드 최초의 올젠더(all-gender) 컬렉션으로 성별의 경계를 넘어 모든 형태의 사랑과 연결을 포용한다는 현대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글로벌 앰배서더 블랙핑크 로제의 이름에서 영감을 받아 '티파니 락 로제 에디션'이라는 특별한 캡슐 컬렉션을 출시하기도 했다. 18K 로즈 골드 소재에 사랑과 힘을 상징하는 희귀한 핑크 사파이어를 세팅한 이 컬렉션은 로제의 이미지와 완벽하게 어우러지며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파일:티파니앤코 락 로제 에디션.png
티파니앤코 락 로제 에디션

5.5. 쟌 슐럼버제

파일:티파니앤코 쟌 슐럼버제.png
쟌 슐럼버제


쟌 슐럼버제(Jean Schlumberger)는 1956년부터 티파니앤코와 함께하며, 바다 생물·식물·새 등의 유기적 형태를 초현실적으로 재해석한 독창적인 하이 주얼리로 명성을 얻었다. 그의 대표작인 ‘버드 온 어 락(Bird on a Rock)’ 브로치(티파니 옐로우 다이아몬드 128.54캐럿 장식)와 에나멜·컬러 젬스톤을 조합한 플렉시블한 디자인은 기술적 정교함과 예술적 상상력이 결합된 그의 미학을 보여준다.

파일:쟌 슐럼버제 옐로우 다이아몬드와 버드 온 어 락 jpg.jpg
쟌 슐럼버제 옐로우 다이아몬드와 버드 온 어 락


쟌 슐럼버제의 대표 컬렉션 중 하나인 식스틴 스톤은 직물의 십자 스티치에서 영감을 받아 다이아몬드와 18K 골드·플래티넘 X 모티브를 교차 배치한 섬세한 엮음 디자인으로 티파니의 가장 아이코닉한 디자인 중 하나이다.


파일:쟌 슐럼버제 식스틴 스톤 반지.jpg
쟌 슐럼버제 식스틴 스톤 반지


축구 선수 손흥민은 2025년 5월 유로파 리그 우승 퍼레이드에서 식스틴 스톤 링을 착용했으며,

파일:손흥민 유로파 우승.png
손흥민 유로파 리그 우승 퍼레이드


배우 고현정 보그 코리아 커버와 화보에서 버드 온 어 락 브로치를 비롯한 다양한 슐럼버제 컬렉션을 완벽하게 소화하며 그의 작품이 지닌 예술적 가치를 다시 한번 대중에게 각인시켰다.

배우 박주미는 개인 sns 에 “지금 제가 끼고 있는 반지는 25년 전, 저희 부부가 연인이 되기로 약속한 날 서로에게 선물한 커플링이자, 결혼식에서 영원한 사랑을 약속하며 나눠 낀 웨딩밴드입니다.이니셜과 그날의 날짜를 새겨 넣은 티파니의 밀그레인 밴드 링.제가 좋아하는 식스틴 스톤 링을 레이어드해서 착용하고 있어요" 라고 업로드 하며 각별함을 표한 바 있다.


식스틴 스톤 외에도 쟌 슐럼버제의 가장 상징적인 작품은 유색 보석 위에 다이아몬드로 세팅된 새가 앉아 있는 형상의 '버드 온 어 락(Bird on a Rock)' 브로치가 있다.


파일:쟌 슐럼버제 버드온더락png.png
쟌 슐럼버제 버드 온 어 락


5.6. 티파니 커플링&웨딩링

파일:티파니앤코 반지.jpg
티파니앤코 반지

티파니는 1886년, 티파니앤코는 오늘 우리가 알고 있는 티파니™ 세팅 웨딩 링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현재, 이 링은 오늘날 웨딩 링의 정수로 자리 잡았다. 티파니는 이처럼 사랑의 아이코닉한 상징인 웨딩 링과 웨딩 밴드를 선보이고 있다.

파일:티파니앤코 다이아 반지.jpg
티파니앤코 다이아 반지


육프롱 위에 다이아가 세팅이 유명한 티파니™ 세팅 웨딩 링, 밀그레인 밴드링으로 유명한 티파니 투게더 웨딩 밴드, 영원한 약속을 표현하는 티파니 포에버 웨딩밴드, Tiffany & Co가 인그레이빙되어 있는 T&CO.™ 등 여러 웨딩 링 및 웨딩밴드 컬렉션과 제품이 있다.


파일:(좌) 티파니 세팅 웨딩링 (우) 티파니 투게더 밀그레인 반지.jpg
(좌) 티파니 세팅 웨딩링 (우) 티파니 투게더 밀그레인 반지

파일:(좌) 티파니 포에버 밴드링 (우) T&CO 밴드링.jpg
(좌) 티파니 포에버 밴드링 (우) T&CO 밴드링


5.7. 티파니 워치

파일:티파니 로프 시계.jpg
티파니 로프 시계


티파니는 티파니의 유산을 보여주는 다양한 워치 컬렉션을 선보인다. 스위스 메이드 무브먼트를 기반으로 정교한 제작 기술과 브랜드 특유의 우아한 디자인이 결합된 것이 특징이다.
파일:(좌) 티파니 하드웨어 워지 (우) 티파니 유니온 스퀘어 기계식 워치.jpg
(좌) 티파니 하드웨어 워치 (우) 티파니 유니온 스퀘어 기계식 워치

5.8. 엘사 퍼레티™

파일:티파니앤코 엘사퍼레티.jpg
엘사 퍼레티™

엘사 페레티(Elsa Peretti)는 1974년 티파니앤코에 합류하면서 주얼리 디자인에 혁신을 불러일으킨 이탈리아 출신 디자이너이다.

그녀의 대표작인 오픈 하트, 다이아몬드 바이 더 야드™, 본 커프 컬렉션은 유기적이고 조각적인 형태로 여성의 몸과 감성을 우아하게 드러내며, 오늘날에도 시대를 초월한 디자인으로 사랑받고 있다.


파일:엘사 퍼레티 (좌) 오픈 하트 목걸이 & (우) 다이아본드 바이 더 야드 팔찌jpg.jpg
엘사 퍼레티 (좌) 오픈 하트 목걸이 & (우) 다이아본드 바이 더 야드 팔찌


파일:엘사 퍼레티 (좌) 본 커프 &(우) 빈 목걸이.jpg
엘사 퍼레티 (좌) 본 커프 &(우) 빈 목걸이




5.9. 팔로마 피카소


파일:팔로마 피카소.jpg
팔로마 피카소


팔로마 피카소(Paloma Picasso)는 파블로 피카소의 딸이자, 1980년 티파니 앤 코에 합류한 이후 대담한 독창성과 생동감 넘치는 디자인으로 주얼리 업계에 혁신을 일으킨 프랑스‑스페인계 디자이너이다.

팔로마 피카소의 시그니처 컬렉션 팔로마 그래피티는 70년대 지하철과 벽에 낙서하는 것에 대해서 영감을 받아 과감한 그래픽 모티브를 구현했으며, 올리브 리프는 올리브잎의 유기적 형태와 정교한 디테일의 주얼리로 사랑받고 있다.

파일:팔로마 그래피티  (좌) 러브링  (우) x 펜던트.jpg
팔로마 그래피티 (좌) 러브링 & (우) x 펜던트


파일:팔로마 피카소 (좌) 러빙 하트 목걸이 (우) 올리프 리프 귀걸이.jpg
팔로마 피카소 (좌) 러빙 하트 목걸이 & (우) 올리프 리프 귀걸이




5.10. 리턴 투 티파니

파일:리턴투티파니 풀하트 목걸이.jpg
리턴 투 티파니 풀 하트 목걸이

1969년에 처음 선보인 키 링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하트 모양이 포인트인 라인으로 티파니앤코 치고 비교적[9] 저렴한 실버 라인과 830만원짜리 체인 팔찌같은 비싼 골드 라인이 같이 나오는 제품이다.

가격과 무난한 디자인 덕분에 티파니 키Key와 함께 티파니의 입문 아이템이자, 20~30대 젊은 여성들에게 판매량이 그만큼 많은 아이템이기도 하다. 한국에서는 리턴투 티파니의 실버 볼 팔찌가 꾸준히 인기를 얻은 바 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그 피카소가 맞다. 정확히 말하면 파블로 피카소프랑수아즈 질로 사이에 태어난 친딸인 팔로마 피카소가 디자인한 라인업이다.
파일:리턴 투 티파니 (좌) 티파니 블루 더블 태그 펜던트. (우) 티파니 블루 하트 태그 비드 브레이슬릿.jpg
리턴 투 티파니 (좌) 티파니 블루 더블 태그 펜던트. (우) 티파니 블루 하트 태그 비드 브레이슬릿




6. 국내 매장

대한민국에는 1991년 롯데면세점을 통해 처음 진출했으며, 1996년 현지법인을 세워 직진출했다. 현재 백화점, 면세점에서 판매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도 상위급으로 손꼽히는 브랜드로 까르띠에, 반클리프 아펠, 불가리 등과 함께 쥬얼리업계에서 4대 보석 브랜드로 손꼽히곤 한다.[10] 이 때문에 주요 백화점의 핵심지점급에만 입점됐다.
※ 2024월 2월 기준 - 자세한 정보는 티파니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 EAST, 타임월드)
* 롯데백화점 (본점, 잠실점, 부산본점, 인천점[11]])
*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 무역센터점, 판교점, 더현대 서울, 더현대 대구)[12]
* 신세계백화점 (본점, 강남점, 센텀시티점, 타임스퀘어점, 대구신세계, 스타필드 하남점, 경기점, 광주신세계[13])
* 면세점: 롯데면세점 소공본점/월드타워점, 신라면세점 서울점, 신세계면세점 명동점, 신세계면세점 인천공항점(1, 2터미널), 롯데면세점 부산점, 롯데면세점 제주점

7. 앰버서더 및 프렌즈[14]

7.1. 글로벌

Tiffany & Co.
<rowcolor=#FFFFFF> 이름 직업 국적 역임
연도
<rowcolor=#FFFFFF> 앰버서더
레이디 가가 가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0~
갤 가돗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스라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0~
퍼렐 윌리엄스 가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0~
로제 가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뉴질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뉴질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1.04~ [15]
안야 테일러조이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1.06~
비욘세 가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1.09~
제이지 가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1.09~
에마 라두카누 테니스 선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1.09~
헤일리 비버 모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1.10~
조이 크라비츠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2.10~
플로렌스 퓨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02~
지민[16] 가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03~
로지 헌팅턴 휘틀리[17] 모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06~
장쯔이[18]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05~
마틸다 데안젤리스 배우, 가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
마이키 매디슨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

7.2. 로컬

Tiffany & Co.
<rowcolor=#FFFFFF> 이름 직업 국적 역임
연도
<rowcolor=#FFFFFF> 앰버서더
미요시 아야카[19] 모델,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2.10~
낸시 아즈람 가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레바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레바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05~
토미나가 아이[20] 모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07~
종추시[21]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11~
허광한[22]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12~
핌차녹 류위셋파이분[23]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04~
그레타 리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
윈 메타윈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
Tiffany & Co.
<rowcolor=#FFFFFF> 이름 직업 국적 역임
연도
<rowcolor=#FFFFFF> 프렌즈 오브 더 하우스
이정재[24]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05~
메타윈 오파이암카천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09~
앤 커티스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필리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12~
브루나 마르케지니[25] 모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라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04~
당언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04~
고현정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04~
로운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04~
성훈[26] 가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05~
제이크[27] 가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호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호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05~
야마다 료스케[28] 가수,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05~
손흥민 축구 선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07~
테일러 러셀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
앨리샤 키스 가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
아드리아나 리마 모델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브라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브라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
아만다 사이프리드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
미아 고스 모델, 배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

8. 논란 및 사건 사고

8.1. 옥외광고 슬로건 논란

파일:tiffanyco-2021ad.jpg
Not Your Mother's Tiffany(2021)

티파니앤코는 오드리 햅번이 출연한 티파니에서 아침을 이래, 흔히 여성들에게 사랑을 받아온 브랜드로 알려져 있는데 2021년 LVMH가 인수한 이후 새로운 마케팅 전략으로 내세운 방법이 논란이 되었다. 길거리에 있던 그 현수막에 적힌 문구 'Not Your Mother's Tiffany' 가 문제였다. 한국어로 번역하면 '당신 어머니의 티파니가 아니다'이지만, 의아한 곳이 한 군데 더 있었다.

티파니앤코 라면 자동으로 떠올릴 수 있는 드레스 의상하고 달리 캐주얼한 청바지, 민소매 티셔츠, 데님 셔츠를 입고 있는 여성이 대부분이었다. LVMH의 인수 이후 MZ세대들에게 브랜드 선호를 받고자 이 광고를 제작하게 되었지만 업계에서는 해당 문구가 티파니앤코의 주 이용층이자 단골 손님인 여성중 일부에게 오히려 역으로 모욕감을 줄 수 있다고 경고 하였다.

실제로 패션 업계 또는 명품 업계에서는 MZ세대들을 잡고자 노력을 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MZ세대를 위한 상품을 별도로 개발하거나 브랜드 자체를 리브랜딩 한다. 하지만 티파니앤코는 리브랜딩이나 별도 상품 개발 없이 더 이상 중년 여성만 이용하는 곳이 아니라고 강조하기 위해 'Not Your Mother's Tiffany' 라는 문구를 현수막에 기재 하였다..
<nopad>
Believe in Dreams(2018 AD)

그렇다고 티파니앤코가 지속적으로 특정 대상을 향해 비하한 것은 아니다. 2018년경 젊은 고객을 잡기 위해 광고를 공개했을 당시에는 별 문제가 없었다. '엘 패닝티파니앤코 매장에 전시된 의상을 보는데 그 옷을 입고 과거하고 달라진 본인의 모습을 상상하는 모습'으로 영상이 시작된다.

보석하고 연계되는 드레스 의상은 없었지만 어린 여자아이부터 20-30대 남성, 중년 남성, 남녀 구분이 없는 흑인까지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이 티파니앤코을 상징할 수 있는 색의 옷이나 모자를 착용하거나 자전거를 타고 라이딩 하는 모습을 그려냈다.

참고로 비슷한 실수를 저지른 곳이 약 20년 전, 한 곳 더 있었다. 미국 자동차 브랜드 올즈모빌 이었는데 1988년에 공개한 광고 영상에 'This is not your father's Oldsmobile'이라는 텍스트를 삽입하였다. 한국어로 번역하면 '이것은 당신 아버지가 타던 올즈모빌이 아닙니다'. 이 때도 젊은 층에게 인기를 받고자 광고를 제작 하였지만 오히려 주 이용 고객 층인 중년 남성층에게 모욕감을 줬다고 업계에서 평가를 하였고 실제 판매 실적에도 악영향을 줬던 광고로 기록되어 있다.

8.2. 개인정보 유출 사고

관련 보도

디올·티파니·까르띠에에 이어 '티파니에'서도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났다.
9월 15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고객의 성명, 주소, 이메일, 전화번호, 구매 이력, 고객번호 등의 유출을 알렸으나 이번 사고는 이미 5월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피해 규모나 정확한 고객 수는 여전히 미공개 상태. 고객관리용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에 접근하는 직원 계정이 해킹된 것이 원인이라고 한다.

9. 기타

10. 둘러보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파일:LVMH 워드마크 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min-width: 25%"
{{{#!folding [ 패션 브랜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파일:벨루티 워터마크.svg파일:벨루티 워터마크 화이트.svg파일:셀린느(브랜드) 로고.svg파일:셀린느(브랜드) 로고 화이트.svg파일:크리스챤 디올 로고.svg파일:크리스챤 디올 로고 화이트.svg
Berluti Celine Christian Dior
파일:에밀리오 푸치 로고(2021).svg파일:에밀리오 푸치 로고(2021)_화이트.svg 파일:펜디 로고.svg파일:펜디 로고 화이트.svg 파일:펜티 로고.png
Emilio Pucci Fendi FENTY
파일:지방시 로고.svg파일:지방시 로고 화이트.svg 파일:겐조 로고.svg 파일:로에베 워드마크.svg파일:로에베 워드마크 화이트.svg
Givenchy Kenzo Loewe
파일:로로피아나 로고.svg 파일:루이 비통 로고.svg파일:루이 비통 로고 화이트.svg 파일:마크 제이콥스 로고.svg
Loro Piana Louis Vuitton Marc Jacobs
파일:므와나 로고.png파일:므와나 로고 화이트.png 파일:니콜라스 커크우드 로고.png 파일:장파투 로고.jpg
Moynat Nicholas Kirkwood Patou
파일:etro_logo.png파일:etro_logo white.png 파일:토마스 핑크 로고.jpg 파일:리모와 로고.png
ETRO Pink Shirtmaker RIMOWA
}}}}}}
[ 향수 · 코스메틱 브랜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height=90><width=33%>파일:아쿠아 디 파르마 가로 로고.svg파일:아쿠아 디 파르마 가로 로고 화이트.svg||<width=33%>파일:Benefit_Cosmetics_logo_black.png||<width=33%>파일:Cha Ling_logo.png파일:Cha Ling_logo white.png||
Acqua di Parma Benefit Cosmetics Cha Ling
파일:펜티 로고.png 파일:프레쉬로고.png 파일:지방시 로고.svg파일:지방시 로고 화이트.svg
Fenty beauty Fresh Givenchy Parfums
파일:Guerlain_logo_2022.png파일:Guerlain_logo_2022_white.png 파일:Kat Von D Beauty_logo.png 파일:겐조 로고.svg
Guerlain Kat Von D Beauty Kenzo Parfums
파일:Logo_MaisonFrancisKurkdjian.png 파일:MAKE UP FOR EVER 로고.svg파일:MAKE UP FOR EVER 로고 화이트.svg 파일:마크 제이콥스 로고.svg
Maison Francis Kurkdjian Make Up For Ever Marc Jacobs Beauty
파일:크리스챤 디올 로고.svg파일:크리스챤 디올 로고 화이트.svg 파일:로에베 워드마크.svg파일:로에베 워드마크 화이트.svg
Parfums Christian Dior Perfumes Loewe
[ 보석 · 시계 브랜드 ]
||<tablebgcolor=#FFFFFF><height=90><width=33%> 파일:Zenith 로고 컬러.svg파일:Zenith 로고 화이트.svg ||<width=33%>파일:쇼메 로고.svg파일:쇼메 로고 화이트.svg||<width=33%> 파일:Fred Joaillier 로고.svg파일:Fred Joaillier 로고 화이트.svg ||
Zenith Chaumet Fred
파일:Hublot 로고.svg파일:Hublot 로고 화이트.svg 파일:TAG Heuer 로고.svg파일:TAG Heuer 로고 화이트.svg 파일:Tiffany & Co. 로고.svg
Hublot TAG Heuer Tiffany & Co.
파일:불가리 로고.svg
Bvlgari
[ 주류 브랜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height=90><width=33%> 파일:ardbeglogo.png ||<width=33%> 파일:Logo-Belvedere.png ||<width=33%> 파일:Cape Mentelle_logo.svg파일:Cape Mentelle_logo_white.svg ||
Ardbeg Belvedere Vodka Cape Mentelle
파일:Château d'Yquem_logo.png 파일:cloudy-bay-logo.png파일:cloudy-bay-logo-white.png 파일:chandon_logo.png
Château d'Yquem Cloudy Bay Domaine Chandon
파일:dom-perignon-1-logo-png-transparent.png 파일:글렌모렌지 로고.svg파일:글렌모렌지 로고 화이트.svg 파일:헤네시(코낙)_로고.svg파일:헤네시(코낙)_로고_다크모드.svg
Dom Pérignon Glenmorangie Hennessy
파일:585e7253cb11b227491c3444.png 파일:Moët_&_Chandon logo.svg파일:Moët_&_Chandon logo white.svg 파일:logonewton_final-ok.png
Krug Moët & Chandon Newton
파일:585e7657cb11b227491c3455.png 파일:TDLA Wordmark Black.png파일:TDLA Wordmark White.png 파일:Veuve_Clicquot_Champagne-logo-02C3D6E983-seeklogo.com.png
Ruinart Terrazas Veuve Clicquot
}}} ||

[1] 실제 1837년 Charles Lewis Tiffany and John B. Young 가 코네티컷의 브루클린에 설립시에는 문구 및 공상품 백화점(stationery and fancy goods emporium)으로 설립됐다. #[2] 2019년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루이비통 생산 공장을 미국 텍사스에 오픈하는 등. LVMH가 불확실성이 강한 중국 시장 대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미국 시장을 노리기 위해 최근 잰걸음을 하고 있다. 티파니 인수도 이와 궤를 같이 하고있다.[3] 과거 몇번 다른 기업이 소유했던 적이 있지만 의외로 독립 운영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모기업에서 지원을 팍팍 밀어주고 있는 경쟁업체에 비해 밀린다는 평을 받고 있던 차였다.[4] prong-갈퀴라는 뜻으로 보석을 고정하는 역할[5] 흔히 말하는 명품 브랜드들 대부분이 프랑스나 이탈리아, 혹은 영국 출신의 브랜드가 대부분이다. 명품시계까지 범위를 확대하면 스위스도 있다. 그래서 유럽계 브랜드들이 대다수를 차지한 상태이다. 다만, 이탈리아 브랜드 구찌를 책임졌던 톰 포드나 프랑스 브랜드 루이 비통의 총괄 디자이너였던 마크 제이콥스, 그리고 루이 비통 남성부분 디자이너인 버질 아블로 등 미국 출신 인물이 유럽 브랜드의 디자이너를 맡고 있는 경우는 꽤 흔하다.[6] 이는 백악관이 국산품 애용 차원에서 시작된 일이다. 미국 독립 후에도 미국 갑부들은 미국산을 잘 안 썼으며, 유럽의 유명 엠포리움에서 제작한 물건들을 애용했을 정도였다. 때문에 백악관 차원에서 지원한 것이다. 참고로 청와대 역시 우리나라 최고 명품 식기인 광주요 제품을 사용하는데, 이 역시 돈지랄이 아니라 자국제품 홍보를 위함이다.[7] 구매력이 적은 청년층에게 스털링 실버 제품을 사게 하여 티파니 구매경험을 제공하고 좋은 이미지를 조성, 이후 청년층이 직장에서 지위가 높아지고 소득이 신장되면 고가 라인을 구매하기를 기대한 마케팅.[8] 헥스 코드: #81D8D0[9] 물론 티파니 치고 저렴한 것으로, 수십만원대에서 100만원대 정도의 은제품 치고는 상당히 고가이다.[10] 백화점에서는 주얼리 3대 브랜드는 까르띠에, 티파니앤코, 불가리[11] 입점 예[12] 신촌점은 2021년 상반기에 폐점했다.[13] 24년 2월 오픈[14] 티파니앤코는 기존의 '앰버서더' 외에 '프렌즈 오브 더 하우스'를 별도로 기용하고 있다.파일:5137MM6VVRL._AC_UF10001000_QL80.png[15] 하드웨어 컬렉션 21~22년 까지 캠페인 모델을 했다.[16] #[17] #[18] 프렌즈 오브 더 하우스에서 하우스 앰버서더로 승격 되었다. #[19] 일본 최초의 티파니앤코 앰버서더 선정 ###[20] #[21] #[22] # | #, 品牌大使(품패대사) = 브랜드 앰버서더[23] #[24] #[25] #[26] #[27] #[28] #[29] 약 39억[30] The fact that Tiffany set the current American standard for sterling silver, 9.25 parts per 1,000 parts silver, is less kn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