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면 뭐하니?에 등장하는 유재석의 부캐에 대한 내용은 카놀라 유 문서 참고하십시오.
한국의 일러스트레이터인 카놀라유에 대한 내용은 카놀라유(일러스트레이터) 문서 참고하십시오.
식용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식물성 | 겨자유 · 고추기름 · 노니 오일 · 녹차씨유 · 달맞이씨유 · 대추야자유 · 동백기름 · 들기름 · 마가린 · 마카다미아 오일 · 면실유 · 무씨기름 · 바닐라 오일 · 브라질너트 오일 · 비자기름 · 사차인치 오일 · 산초기름 · 아르간 오일 · 아마인유 · 아몬드기름 · 아보카도 오일 · 옥수수유 · 올리브유 · 인삼씨유 · 잣기름 · 참기름 · 참외씨유 · 카놀라유 · 카카오버터 · 코코넛 오일 · 콩기름 · 파기름 · 팜유 · 포도씨유 · 피스타치오 오일 · 피칸 오일 · 해바라기씨유 · 햄프씨드 오일 · 헤이즐넛 오일 · 현미유 · 호두유 · 호박씨유 · 홍화씨유 |
동물성 | 간유 · 개기름 · 거위기름 · 고래기름 · 다슬기기름 · 닭기름 · 돼지기름 · 말기름 · 밀웜 오일 · 버터 (기) · 번데기기름 · 사슴기름 · 소기름 · 악어기름 · 양기름 · 연어기름 · 염소기름 · 오리기름 · 오소리기름 · 자라기름 · 지네기름 · 참치기름 · 초록입홍합 오일 · 크릴 오일 · 타조기름 | |
혼합 | 쇼트닝 | |
식용유의 발연점 |
1. 개요
유채씨에서 짜낸 기름의 일종.세계 카놀라유 생산량은 2010년 2,352만 톤에서 2022년 3,285만 톤으로 증가하였으며, 2022년 기준 주요 생산국은 유럽연합, 중국, 캐나다, 인도, 러시아이다.
콩기름만큼은 아니더라도 한국에서 구할 수 있는 식용유류 중에서 동종 타 기름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1]
2. 종류
유채씨에서 짠 기름을 채종유라고 하며 카놀라유는 채종유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차이점이라면 채종유는 아무 유채꽃씨에서나 짠 것이고[2] 카놀라유는 카놀라 품종의 꽃씨에서 짠 것이다.카놀라(canola)라는 단어는 저산성 캐나다산 오일(Canadian oil, low acid)에서 따온 말로, 이 기름에 쓰이는 유채의 재배품종을 가리키기도 한다.[3] 매니토바 대학교 소속 화학자인 키스 다우니(Keith Downey)와 발더 스테판슨(Baldur R. Stefansson)이 1970년대에 개발하였다.
2.1. 카놀라유 외의 유채기름
중국 삼국시대에 촉나라 특산품이 유채기름이었다. 위의 카놀라유를 뽑는 식물과는 종이 다르다.원래 유채유는 불쾌한 쓴맛이 강하고 심장병과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에루스산이 포함되어 있어 식용이 불가능했고 호롱불을 켜거나 윤활유로 쓰던 기름이었다. 1970년대에 에루스산이 적게 포함된 품종(카놀라)을 개발한 이후로, 유채유는 식품 및 공업용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런 문제가 있지만 일본에선 에도 시대부터 튀김요리를 하는 데에 유채기름이 많이 사용됐다. 이건 일본의 유채가 뭔가 특별해서 그런건 아니고, 원래 일본에서도 독성이 있고 냄새가 독하다는 것을 알아서 등불 연료용이나 공업용으로 쓴 것인데, 싼 기름이라는 이유로 덴푸라를 조리하는데에 사용한 것이 퍼진 일종의 불량식품이었다. 그런 이유로 일본의 전통 음식을 만들 때는 이 카놀라유를 사용하여 튀기거나 부치는 등의 조리를 하는 것이 전통적인 풍미를 살리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불량식품에서 유래된 것이 오래됐다는 이유로 전통화된 것이다.
3. 영양과 건강
오늘날에는 올리브유처럼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다른 기름보다 높기 때문에,[4] 전통의 강자인 콩기름이나 옥수수유보다는 좀 더 고급화된 기름인 것이라고 최근 여러 기업에서 건강에 좋다고 선전하고 있다.2006년 FDA(미국 식품의약국)로부터 카놀라유의 심장병 예방 효과를 공식 인정받기도 했다.
- 높은 GMO 품종 비율
농약에 저항을 가지도록 개발된 GMO 품종이 이용되는 경우도 많으며, 국내에도 허가되어 시판되고 있다. 2011년 기준 3,100만 헥타르의 카놀라 중 820만 헥타르(26%)가 유전자 변형 카놀라이다. 다만 정제유이므로 완제품에 GMO에서 유래한 DNA나 단백질이 없기 때문에 GMO의 안전성 문제는 없다고 보는 게 학계의 중론이며 이에 따라 GMO 표기 의무도 없다. 하지만 GMO에 대해 과도한 불안감을 보이는 이들을 자극하려는 목적에서 이따금 "카놀라유가 GMO 품종에서 나오는 걸 알고 계시나요?" 하는 글이 종종 올라오곤 한다.
- 정자 손상 루머
카놀라유를 많이 먹으면 고자가 된다는 루머가 있다. 이는 정제되지 않은 면실유에 함유되어 있는 고시폴(gossypol)이라는 페놀의 일종인 물질이 정자형성과정을 억제하는 것이 와전되어 전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 논문은 다음 링크를 참고. #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아 정자가 손상될 수 있다는 연구가 있다곤 하지만 특정 식품을 먹는 것에 대한 임상실험은 보통 건강한 음식을 챙겨먹는 사람들이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지는 경우가 많기도 해서 신중하게 봐야 한다. 자세한 사항은 식용유 문서 참조. 참고로 단일불포화 지방산의 대표주자는 올리브유이며 비율은 약 75%, 잇꽃유가 약 70%, 그리고 그 다음이 카놀라유로 약 64%이다. 발암 물질 어쩌구 해서 가끔씩 욕 먹기도 하는 붉은 소고기가 약 50% 정도를 포함하고 있다.
- 뇌기능 저하 설
2017년 12월 7일 카놀라유를 많이 먹으면 뇌기능에 저하가 올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또 치매를 악화시킨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유전적으로 알츠하이머가 발병되는 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매일 1 테이블스푼의 카놀라유를 먹이에 추가하니[5] 체중 증가 및 뇌기능 저하 영향이 있었다고 한다. 뇌기능 저하를 유발하는 정확한 섭취 용량은 연구 중에 있다.학술지원문, 뉴스기사
하지만 이 실험에는 상당한 문제가 있어서 canola oil alzheimer's 로 구글링한 첫 페이지에 반박 기사가 다수 존재한다. # # # 연구진이 올리브유로 했던 이전 실험도 논문 인용이 10건 정도며, 이번 실험은 5건도 되지 않는 것을 보면 알츠하이머 관련으로 학계에서 주목받는 연구가 절대 아니다. 하지만 언론은 이 실험의 문제점에 대한 지적이나 관련 정보 없이 카놀라유는 치매를 악화시킨다고 몰아가는 기사를 양산했으며, 한국까지 번역 기사가 들어오게 되었다.
- 높은 산패율
고온에서 산패율이 독보적으로 높아 문제가 된다. 카놀라유는 발연점이 높아 튀김요리 등에 널리 사용되는데, 산화적 안정성이 낮아 6시간 이상 고온을 유지할 경우 급속도로 산패하기 시작한다. 산패가 잘 되는 이유는 오메가 3 지방산 함량이 많아서 그런 것이라 단점만 있는 건 아니다.
가정용으로 일반적인 조리 시간과 온도를 생각하면 너무 우려할 수준은 아니나, 산패가 더 빨리되는 건 맞으므로 기름을 여러 번 재사용하는 스타일이라면 타 식용유보다 더 안좋을 수 있다.[6] 장기간 기름을 고온으로 유지하는 음식점이나 튀김유를 몇번이나 재활용하게 되면 다른 기름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 속도로 산패한다.
그 외에 초고온에서도 급격하게 산패하기 때문에 중화 요리처럼 연기가 나도록 고온에서 조리하는 조리법도 좋지 않다. 트랜스지방 생성 비율도 다른 기름에 비해 현격하게 높은 편. 잠깐 조리하는 수준인 볶음 요리나 구이 요리 정도는 상관없다. 튀김의 경우 같은 기름으로 계속 튀기거나 남는 기름을 재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문제가 되는 것.
마찬가지로 튀김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포도씨유도 같은 문제가 있다. 사실 이 문제는 포도씨유가 더 심각한데, 특히 트랜스지방 생성율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수준. 반대로 고온에 안정적인 기름으로는 아보카도유가 있다. 정제 올리브유(레귤러)도 튀김용으로는 나쁘지 않은 편.
4. 여담
- 총기 윤활유로 쓰기에도 엄청나게 좋다. 파이어클린 참조.
- '자동차가 놀라면?' 이라는 아재개그의 정답이기도 하다.
[1] 2025년 2월 기준으로 해표 카놀라유 500ml 1병이 약 3000원 정도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2] 이 후 에루스산을 제거한 후 시장에 유통된다.[3] 원래는 영어로 유채를 rapeseed/rape 등으로 부르는데, 라틴어 rapa에서 온 말이긴 하지만 강간을 뜻하는 rape와 동음이의어이기 때문에 영어로는 좀 어감이 좋지 않다. rape 대신 canola라는 명칭이 대중화된 이유 중 하나. 여기서의 "rape"는 라틴어로 '무' 종류의 식물을 의미한다. 그 식물의 정식명칭이 Brassica rapa이다.[4] 후술하듯 산패가 잘 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5] 사람 기준이 아니다. 대조군 생쥐의 먹이에 1 테이블스푼의 카놀라유를 추가한 것이다. 즉 총 섭취 열량에 대한 변인을 통제하지 않은 실험이다. 베타 아밀로이드의 생성과 분해가 자가포식과 관련이 크다는 최근 연구결과를 참고하면, 자가포식을 저해하는 과잉 영양은 당연히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6] 예를 들어 프라이팬에서 카놀라유로 요리를 했을 경우 가급적 설거지를 해서 카놀라유가 안 남도록 하는 것을 권장한다.